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격의료를 활용한 가정형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

        조병모,조현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3 대한보건연구 Vol.49 No.2

        Purpose: This study proposed a home-based hospice model and activation plan using telemedicine as a way to solve insufficient bed problems and limitations of medical resources, reduce the economic burden of hospitaliz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Methods: In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home-based hospice and telemedicine were analyzed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statistical data and literature and expert advice, and a plan to activate home-based hospice using telemedicine was proposed through case studies in advanced. Results: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hould be activated as a prerequisite for the activation of home-type hospice; 1) Improving access to home-based hospice 2) Providing active pain and symptom control and establishing a home care service system 3) Establishing a hospice linkage system 4) Establishing a hospice cluster 5) Supporting professional care providers 6) Providing hospice in nursing homes. Improvement tasks for promoting home-based hospice using telemedicine, First, doctors are given separate qualifications for telemedicine, Second, the scope of patients subject to telemedicine is limited, Third, legal requirements or standards are eased to enable telemedicine on-site,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regulations on where to be responsible, such as immunity measures in the event of a medical accident, in a situation where certain procedures cannot be observed and controlled. Telemedicine is now not the subject of debate, but a demand of the times that needs to be implemented. As the number of terminal patients who wan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s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of termina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hould be improved by expanding home-based hospice utilizing telemedicine. A telemedicine model for home-based hospice patients was presented by referring to the above and telemedicine cases using hospice information system in Taiwan. Conclusion: Since most of the home-based hospice are provided to patients who need care through home visits by medical staff without requiring separate surgery or treatment, telemedicine can be a good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s' lives 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for home visits. 연구목적: 입원형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들의 부족한 병상 문제와 의료자원의 한계를 해결하고 입원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이며 환자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원격의료를 활용한 가정형 호스피스 모델과 활성화 방안 모색연구방법: 관련 통계자료 및 문헌 고찰을 통하여 각국의 가정형 호스피스와 원격의료 사례를 분석하고 전문가 자문 실시연구결과: 가정형 호스피스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1) 가정형 호스피스 접근성 제고 2) 적극적인 통증 및 증상 조절 제공 및 가정 간병서비스 체계 구축 3) 호스피스 연계 체계 구축 4) 호스피스 클러스터 구축 5) 전문적인 돌봄 제공자 지원 6) 요양 시설의 호스피스 제공. 원격의료를 활용한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를 위한 개선과제로 첫째, 의사에게 원격의료에 관한 별도의 자격을 부여하고 둘째, 원격의료 대상 환자의 범위를 한정하며 셋째, 방문간호 및 응급 상황 시 현장에서 원격의료가 가능하도록 법적 요건이나 기준을 완화하며 넷째, 일정한 절차를 준수하고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의료사고 발생 시 면책 방안 등 책임 소재에 대한 규정 마련이 필요하다. 호스피스·완화의료를 희망하는 말기 환자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원격의료를 활용한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확대로 말기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대만의 호스피스정보시스템(HIS)를 참조한 원격의료 활용 가정형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결론: 가정형 호스피스는 임종이 얼마 남지 않아 별도의 수술이나 치료가 필요없이 의료진의 가정방문을 통한 돌봄이 제공되고 있어 의료진의 가정방문을 원격의료로 대체하면 방문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가족들의 간병부담을 줄일 수 있어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인식 및 지식에 대한 조사 연구

        정선아,홍덕기,이충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2

        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인식 및 지식을 확인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 치료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전국의 작업치료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총 41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6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사 역할 관련 10 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측정 20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일반적 특성과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 스피스·완화의료 지식측정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Mann-Whitney 검정과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리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우선순위는 죽음에 대한 준비, 통증 예방과 감소, 삶의 질 순서로 높았다.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서는 낮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와 교육과정에 대 한 필요성은 높았다.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에 대한 비교분석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 :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견해 및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 및 관련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by confirming the role, awareness and knowledg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nvironment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all over the countr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41 questions, including 6 general characteristics, 10 questions related to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hospice·palliative care, 20 questions on knowledge measurement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5 questions on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palliative care .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iority, frequency, and proportion of occupational therapy role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Kruskal-Wallis test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nowledge measure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n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sults : The priority for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high in the order of prepare for death, pain prevention and reduction, and quality of life. Overall awarenes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low, and the need and curriculum for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ere high. Comparative analysi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nowledg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therapis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opinion and level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ccupational therapy and to conduct related research.

      • KCI등재

        가정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 도입을 위한 국민 인식도 조사

        최정규,태윤희,최영순,Choi, Jung-Kyu,Tae, Yoon-Hee,Choi, Young-Soo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8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 인식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2010년도 인구센서스를 기반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인지하고 있는 대상자는 15.9%였고,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 의향이 있는 대상자는 61.3%였다.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거주지역, 종교 및 민간보험 가입여부이다. 서울, 광주/전라, 부산/울산/경남에 거주하는 대상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대한 인지도는 인천/경기에 거주하는 대상자에 비해 높았다. 종교를 보유한 대상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는 종교를 보유하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민간보험 가입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는 민간보험 미가입자에 비해 높았다. 결론: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호스피스에 대한 국민과 의료진의 인식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요양기관과 지역사회 보건소가 일정 요건을 갖춘 호스피스 완화의료팀을 구성하여 가정을 방문하여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법제화하고, 이를 건강보험 수가에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한, 요양기관과 보건소가 가정호스피스 제공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호스피스 전문간호사 중심의 가정 방문 호스피스 센터 설치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점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public perception of home-based hospice and identify related factors. Methods: Between August 19, 2014 and August 30, 2014,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E-mail questionnaire that was filled by 1,500 adults who were over 20 years of ag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mong the respondents, 15.9% were aware of home-based hospice care, and 61.3% were willing to receive home-based hospice c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articipants' willingness to use home-based hospice services included residential district, religion and private health insurance. Respondents who lived in Seoul (OR: 1.56, 95% CI: 1.04~2.33), Gwangju/Jeolla province (OR: 2.02, 95% CI: 1.23~3.32), Busan/Ulsan/South Gyeongsang province (OR: 1.81, 95% CI: 1.17~2.82) were more well-aware of home-based hospice care than those who lived in Incheon/Gyeonggi province. The faithful were more informed about the services than those without non-faithful participants (Roman Catholics (OR: 2.03, 95% CI: 1.30~3.17), Protestants (OR: 1.76, 95% CI: 1.22~2.53). Participants who had a private health insurance plan knew more about the services than those without one (OR: 1.45, 95% CI: 1.03~2.04). Conclusion: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perception of the public and healthcare providers regarding home-based hospice care. The government should review a measure to institutionalize operation of a palliative care team at hospitals and community home-based hospice care centers.

      • KCI등재

        국내의 비암성 질환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적용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경화를 중심으로

        신진영,윤석준,김선현,이언숙,고수진,박진노,Shin, Jinyoung,Yoon, Seok-Joon,Kim, Sun-Hyun,Lee, Eon Sook,Koh, Su-Jin,Park, Jeann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0 No.3

        목적: 2017년 8월부터 말기 암 이외에도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경화 환자들에게도 호스피스 완화의료가 적용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암성 질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질환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목표, 내용 및 적용 방법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해,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생각, 인식, 태도에 대해 살펴보아, 국내 실정에 맞는 비암성 호스피스 완화의료 진료 모델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반구조적 심층 면담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이다. 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담당하는 네 명의 임상 의사가 85편의 문헌 검색을 통해 핵심 질문을 선정하여 총 11명의 비암성 질환 전문가들에게 면담을 하고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전문가들은 비암성 질환의 말기환자를 정의하기 어렵다고 하였고,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목표와 내용은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과 다르지 않다고 하였지만, 통증보다는 다른 신체 증상과 정서적 문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말기라고 진단할 수 있는 시점에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적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질환 별로 특수한 점들(AIDS 환자들의 항바이러스제 사용, COPD 환자들의 호흡곤란, LC 환자들의 간이식)과 의료진들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적용 시 환자들이 자신을 포기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고 정부의 재정 지원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결론: 비암성 질환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입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비암성 질환의 말기환자에 대한 정의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암성 말기환자들을 돌보는 의료진과 현재 말기 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담당하고 있는 인력의 협력이 필요하다. Purpose: From August 2017, hospice-palliative care (HPC) will be provided to patients with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liver cirrhosis in Korea. To contribute to building a non-cancer (NC) hospice-palliative care model, NC specialist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 goals, details, and provision methods of the model. Methods: Four physicians specializing in HPC of cancer patients formulat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questions extracted from literature review of 85 articles on NC HPC. Eleven NC disease specialists were interviewed, and their answ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Results: The interviewees said as follows: It is difficult to define end-stage NC patients. HPC for cancer patients and that for NC patients share similar goals and content. However,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alleviating other physical symptoms and emotional care rather than pain control. Timing of the care provision should be when patients are diagnosed as "end stage". Special issues should be considered for each NC disease (e.g., use of anti-retroviral drugs for AIDS patients, oxygen supply for COPD patients suffering from dyspnea, liver transplantation for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n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healthcare professionals. NC patients tend to negatively perceive HPC, and the government's financial assistance is insuffici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end-stage NC patients through in-depth discussion to minimize issues that will likely accompany the expansion of care recipients. This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medical staff caring for NC patients and HPC givers for cancer patients.

      • KCI등재

        상급종합병원근무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미치는 영향요인 -장기기증·이식의 지식 및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인식-

        제남주,화정석,Je, Nam Joo,Hwa, Jeong Se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1 No.3

        목적: 본 연구는 병원 근무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기증, 장기이식, 죽음,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지식, 태도 및 인식을 알아본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도 J시에 위치한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28명의 대학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관련 지식은 연령, 학력, 직종, 근무부서, 생명의료윤리 교육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뇌사 장기기증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죽음에 대한 인식은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은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명치료 중단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호스피스 병동 근무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으로 연명치료 중단 태도를 32.5% 설명하였다. 결론: 연명치료 중단 태도에 호스피스 병동 근무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이 관련이 있었으며, 생명의료윤리에 기반을 둔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hospital workers in their decision to withdraw from life-sustaining treatment, such as knowledge, attitude, and perception of organ donation, transplantation, death and hospice palliative care. Methods: A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28 workers of a tertiary general hospital,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by using SPSS 21.0. Results: The subjects' knowledge of biomedical ethics awareness differed by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affiliated department, and biomedical ethics education. Their knowledge of brain death,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ttitudes toward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knowledge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Their attitudes toward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nowledge of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ir awareness of deat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nowledge of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work at the hospice ward (32.5%), attitudes toward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Conclus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work at the hospice ward, attitudes toward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were related to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More research is needed to further develop various curriculums based on biomedical methods.

      • KCI등재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김창곤,Kim, Chang Go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0 No.1

        종합적인 보건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완화의료정책의 개발과 강화가 세계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암정복 10개년 계획과 국가암관리종합계획의 기틀 하에 암정책의 일환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이 시행되어왔고, 2003년 암관리법(Cancer Control Act)을 제정하여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최근 호스피스 완화 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을 제정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의 대상은 최근 관련법의 제정에 따라, 말기암환자에서 암(Cancer),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만성 폐쇄성 호흡기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만성간경화(Chronic Liver Disease/Live Cirrhosis) 등으로 확대되었고, 급여체계는 2015년에 모든 의료기관에 일당 정액수가와 행위별 수가의 복합지불방식으로 완화의료 건강보험제도가 시행되었다. 전달체계관련 건강보험제도는 입원형과 자문형, 그리고 가정형으로 구분되고, 완화의료전문기관의 지정 평가 지원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재원체계는 건강보험기금과 국가지원금으로 조달되고 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관련법의 시행에 앞서, 정책대상의 사회적 합의가 요구되며, 낮은 급여체계의 현실화, 민관협력을 통한 호스피스완화의료 표준설정과 전문요원양성, 질 관리 및 평가체계정립, 그리고 장기요양보험과 호스피스기금 등을 활용한 안정적인 재정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Globally, efforts are being made to develop and strengthen a palliative care policy to support a comprehensive healthcare system. Korea has implemented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PC) policy as part of a cancer policy under the 10 year plan to conquer cancer and a comprehensive measure for national cancer management. A legal ground for the HPC policy was laid by the Cancer Control Act passed in 2003. Currently in the process is legislation of a law on the decision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HPC and terminally-ill patients. The relevant law has expanded the policy-affected disease group from terminal cancer to cancer, human immunodeficiency viru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chronic liver disease/liver cirrhosis. Since 2015,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scheme reimburses for HPC with a combination of the daily fixed sum and the fee for service systems. By the provision type, the HPC is classified into hospitalization, consultation, and home-based treatment. Also in place is the system that designates, evaluates and supports facilities specializing in HPC, and such facilities are funded by the NHI fund and government subsidy. Also needed along with the legal system are consensus reached by people affected by the policy and more realistic fee levels for HPC. The public and private domains should also cooperate to set HPC standards, train professional caregivers, control quality and establish an evaluation system. A stable funding system should be prepared by utilizing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und and hospice care fund.

      • KCI등재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현황 및 과제

        이건세,주지수,김정회,김건엽,Lee, Kun-Sei,Joo, Ji-Soo,Kim, Jung-Hoe,Kim, Keon-Yeop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4

        목적: 본 연구는 현재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의 인력 및 시설, 제공서비스 등이 말기 암환자 전문의료기관 지정 기준에 부합하는 정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향후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자료는 200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수집되었으며 설문내용으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의 일반현황, 인력현황, 시설현황, 장비현황, 호스피스 서비스 운영현황 등을 포함하였다. 총 62개 의료기관이 응답하였다. 결과: 전체 62개 기관 가운데 42개 기관이 종합병원 이상인데 비하여 의원의 경우 9개 기관에서 호스피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호스피스 의료기관은 수도권 지역 위주로 분포하고 있어 지역적인 불균형 공급을 보이고 있다. 의사의 경우 환자 10명당 1인의 의사를 갖추고 있는 기관은 종합병원 이상(80.0%)인데 비하여 의원의 경우 이 기준을 충족하는 비율은 낮았다(42.9%). 간호사의 경우 호스피스 간호를 위해 필요한 조건인 환자 1.5 명당 1인의 기준에 충족하는 기관은 의원급(71.4%)이 종합병원 이상의 기관(65.0%), 병원(50.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호스피스 지원기관의 기준에 해당하는 1병실 4인 기준을 충족하는 기관은 전체 62개 기관에서 14개 기관으로 22.6%를 차지하고 있었다.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한 특수요법의 경우는 의원급(66.7%), 병동 및 독립형(64.9%), 지원 사업 기관(73.9%)일수록 2개 이상의 특수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 및 사별관리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임종관리, 장례준비, 유가족지지모임, 사별가족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관의 비율이 높았으며, 의원급, 병동 및 독립형, 지원 사업 수록 실시율이 높게 나타났다. 팀 인력에 대한 교육은 의원급(55.6%), 병동형 및 독립형(55.8%), 지원기관(65.2%) 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시행하고 있었다. 현재 가정 호스피스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곳은 절반 수준인 32개(51.6%) 기관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것은 호스피스 기관을 양적으로 확대하는 것과 함께 지역적인 분포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과 아직도 호스피스 지원 기관의 인력, 시설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호스피스 기관의 종별 특성에 따라 인력 및 시설 확보 수준, 프로그램 운영에 차이가 있으므로 시설의 특성을 고려한 개선 방안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and to identify problems and improve hospice palliative care in Korea. Method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implemen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07. It wa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health manpower, facilities & equipments, service programs, and so on. Sixty two (79.5%) out of 78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returned the questionnaires. Results: They were 42 hospital-based hospice palliative care hospitals and 9 clinics, and most of them are located at central metropolitan areas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ore than 80% of hospitals met with the requirements (one doctor per 10 patients and one nurse per 1.5 patients), whereas 42.9% of clinics met the requirements. Approximately 22% of them met the requirement of sick room (4 patients for 1 room). Most of them provided various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The proportion of giving regular education programs to hospice palliative care personnels were about half (41.9%). Thirty two (51.6%) facilities provided home visiting hospice palliative care service. Conclusion: There were lack of enough health manpower, rooms, and programmes and they varied among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with consideration of regional fair distribution and standardization of programmes.

      • KCI등재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 추정: 말기암환자를 중심으로

        박수경 ( Park Soo-ky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 추정방법을 고찰하여 유형화하고, 우리나라에 적용가능한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 산출식을 개발하여 말기암환자중심의 중단기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각종 문헌과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 추정의 방법론을 유형화하였으며, 각 방법론의 유형별로 구체적 내용과 특징을 정리, 기술하였다.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 산출식은 각 방법론의 적용가능성, 타당성, 합리성을 고려하여 현 이용 양상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론을 채택하였으며, 개발된 산출식을 적용한 결과, 2020년경 우리나라 말기암환자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은 1,528~1,810병상으로 추정되었다. 보건의료서비스 제공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자원의 필요량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요소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제공계획 수립에 참고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del for assessing the need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beds in general, and to estimate the need of terminally-ill cancer patient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beds. The assessment model was formula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amination of relevant studies conducted in the pas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veloped formula, it is estimated that by 2020, terminally-ill Korean cancer patients will need 1,528-1,810 bed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is study provides a reference for decision-making in the future supply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KCI등재

        호스피스 의료 환경에서 수행되는 음악치료 현황과 관련 의료인의 인식 조사 연구

        정지연,황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6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호스피스 환경에서 수행되는 음악치료 현황과 관련 의료인의 인지도, 이해도, 기대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시행하는 10개 기관과, 이 기관에 종사하는 관련 의사 및 간호사 90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된 10개 기관 중 8개 기관이 호스피스 음악치료를 실시하고 있었다. 그 중 8개 기관은 음악치료사를 비정규직으로 고용하였으며, 몇몇 기관은 악기나 음악치료실을 제공하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기관이 종말기 환자에게 효과적이지 못한 그룹 세션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스피스 음악치료를 참관한 의료인과 음악치료 실시 기관에 종사하는 의료인은 음악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스피스 음악치료 참관 경험과 음악치료 실시 기관 종사 여부에 따라 호스피스 음악치료의 목적에 대한 이해도에 차이를 보였다. 넷째, 호스피스 음악치료를 참관한 의료인과 음악치료 실시 기관에 종사하는 의료인들은 호스피스 의료 환경에서 전문 음악치료사의 활발한 양성에 대한 기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sic therapy is implemented in hospice setting and to investigate into medical personnel’s recognition, comprehension, and expectation of hospice music therapy. The subjects were ninety medical personnels from ten medical institutes which is providing hospice car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sic therapy was conducted in eight medical institutes out of ten. Among them, eight medical institutes employed music therapists as part time job and some institutes didn't be provided with facilities, such as instruments and session room. Most of institutes provided group session, which is not effective to the terminally ill patient. Second, the medical personnel, who observed hospice music therapy and worked in institutes which are providing hospice music therapy, had higher recognition on the goal of music therapy.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of comprehension on the goal of music therapy depending on experiences whether observed music therapy or not, and depending on institute whether provided music therapy or not. Finally, the medical personnel who observed hospice music therapy and worked in institutes which are providing hospice music therapy had higher expectation about fostering music therapist.

      • KCI등재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에서의 윤리적 고려사항

        윤가현,Youn, Gahy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2 No.2

        의료기술 발달 및 경제개발 수준 상승 등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hospice & palliative care) 서비스를 받는 말기 환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호스피스 완화의료 분야 임상전문가들은 환자나 가족 대상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하는 연구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정부의 연구대상자 보호 정책이 강화되면서 IRB(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의 연구계획서를 심의할 때 환자의 취약성과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사안들을 더 엄밀하게 점검하고 있다. 그러나 말기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 및 유지를 위해서는 질적으로 보장된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윤리적으로 안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의 시도가 지지되어야 한다. 이에 필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의 윤리지침을 종설 논문 형식으로 제안했다. 이는 윤리적으로 안전하고 과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연구계획서를 준비해야 하는 연구자 및 그 연구계획서를 심의하는 IRB가 적절하게 참조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Along with the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more terminally ill patients are receiving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Moreove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linicians have been showing considerable interest in studies that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said care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Meanwhile, after th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its policy to protect research participants,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s (IRBs) are more closely examining various ethical issues related to patients' vulnerability when reviewing protocol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search. However, terminally ill patients should be provided with guaranteed qualitie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o improve and maintain their quality of life. To that end,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efforts to conduct ethical and safe studies with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Thus, this review paper proposes ethical guideline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search. The guidelines could be appropriately used as a reference for researchers who should prepare for ethically safe and scientifically valued research protocols and the IRBs that will review the protoc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