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Survey on Korean Menopausal Women`s Behavior and Perception of Hormone Therapy

        ( Nam Kung Jeong ),( Youn Jee Chung ),( Jae Eun Ha ),( Hyun Hee Jo ),( Eun Jung Kim ),( Dong Jin Kwon ),( Young Ok Lew ),( Jang Heub Kim ),( Mee Ran Kim ) 대한폐경학회 2011 대한폐경학회지 Vol.17 No.3

        연구목적: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요법은 그 이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WHI 연구 결과 발표 이후로 호르몬 요법에 대한 인식의 전환으로 호르몬 사용이 감소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폐경 증상으로 병원을 방문한 여성 중 폐경 여성의 호르몬 요법에 대한 반응과 인지도 및 태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2009년 9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4주간에 걸쳐 폐경 증상으로 병원을 방문한 45~64세 여성으로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설문은 일대일 직접 면담을 통해 30분 이내로 이뤄졌으며 대상군을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로 구분하여 각각 150명씩 총 60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폐경 증상으로 찾은 병원의 형태는 산부인과가 80%를 차지하였다. 그 중 현재까지 호르몬을 복용하고 있는 여성은 16%, 그 외 84%는 호르몬 치료 경험이 전혀 없거나 (53%) 사용하다가 중단한 경우였다 (31%). 호르몬 사용자중에서 단지 9%만이 5년 이상 호르몬 요법을 받았고 80%에서는 호르몬 사용기간이 2년 이내로 나타났다. 호르몬 요법경험 여부와 관계없이 가장 불편한 증상은 안면 홍조였으며, 의사가 권유했을 때 72%의 환자에서 호르몬 요법을 받아들였다. 호르몬 비사용자의 경우 호르몬 요법을 받지 않은 가장 큰 이유가 부작용 때문이었으며 (51%), 그 중에서도 암에 대한 우려가 67%로 나타났다. 결론: 폐경 증상 호전에 있어 호르몬 요법이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여성에서 호르몬 요법을 받아들이지 않고, 호르몬 요법을 시작했더라도 반수 이상에서 호르몬 요법을 중단한다. 가장 흔한 이유는 부작용에 대한 걱정, 그중에서도 암 발생과 관련된 우려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경기 호르몬 요법은 폐경 증상 호전과 삶의 질향상을 위해 가능한 단기간 최소 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Objectives: After Women`s Health Initiative (WHI) study had been published, the use of hormone therapy (HT) have been decreasing even though it is the most effective therapy for menopausal symptom.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Korean menopausal women`s perception of HT and behavior when they are treated by HT. Methods: During 4 weeks from September 2009 to October 2009, total 600 women aged 45~64 participated in the survey by face to face interview. Out of answering women, women who have visited clinic/hospital at least 1 time to treat their menopausal symptom during last 1 year were included. One hundred fifty women for each age group, 45~49, 50~54, 55~59 and 60~64, were recruited in consecutive order. Results: Eighty percent women who have visited clinic/hospital to treat menopausal symptom, visited obstetrics and gynecology. Only 16% of these women were current user, and other 84% of these women had no experience of HT (53%) or stopped therapy (31%). Among current user, only 9% of women have used HT more than 5 years. Eighty percent of current user had used HT less than 2 years. Most distressing menopausal symptom is ``hot flush`` regardless HT experience. When doctor recommend HT, 72% of patients accept HT in overall. Among women who had no experience of HT, the most common reason of not to take HT was concern of side effects (51%). And 67% of women who had concern of side effects worried about cancer incidence. Conclusion: Many women with menopausal symptom do not take HT even though it is the most effective therapy. Most of women who take HT stop treatment within 1 year. Most common reason of not to take HT is concern about side effect, increasing incidence of cancer related to HT. Therefore, HT should be considered to short-term relief of menopausal symptoms and at the minimal dose, if possible. (J Korean Soc Menopause 2011;17:142-149)

      • KCI등재후보

        간호사의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류언나 ( Eon Na Ryoo ),박경숙 ( Kyung Sook Park ),박형무 ( Hyoung Moo Park ) 대한폐경학회 2012 대한폐경학회지 Vol.18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한 지식, 태도를 조사하여 폐경기 여성의 호르몬 대체요법의 환자 상담과 교육 등의 기초자료를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전국 산부인과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총 2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지는 폐경 관련 지식과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한 지식과 태도로 구성되었으며 총 9문항이다. 결과: 간호사들은 폐경 여성에게 우려되는 질환으로 골다공증 (78%), 우울증 (69%)이라고 답하였다. 대부분의 간호사는 (95%) 호르몬 대체요법이 폐경 증상의 효과적인 치료법이라고 하였다. 또한 간호사들은 호르몬 대체요법의 장점 (59%)과 단점 (44%)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하였다. 호르몬 대체요법으로 우려되는 질환은 암(71%), 부작용 증상에는 유방통 (77%)과 질 출혈 (77%)이었다. 호르몬 대체요법의 적절한 치료기간은 기간제한을 할 필요가 없다고 (46%)하였다. 호르몬 대체요법 선택 시 가장 중요 고려사항은 안정성 (59%), 삶의 질 개선(36%)이었다. 대부분의 간호사들이 (95%) 본인/가족에게 폐경 증상의 치료로 호르몬 대체요법을 권유하겠다고 답하였다. 폐경 증상에 대한 호르몬 대체요법 상담은 진료 전 (40%), 약물 처방 후 (42%) 모두에서 시행되고 있었다. 결론: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한지식이 부족하므로 앞으로 교육이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교육은 간호사가 호르몬 대체요법을 설명하고 상담하는 효과적인 간호중재가 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o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of menopausal wome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21 nurses who were working at maternity hospitals in the whole country using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9 questions related to menopause-related knowledge and HRT-related attitudes and knowledge. Results: According to the nurses`s responses, the diseases of concern in menopausal women were osteoporosis (78%), and depression (69%). Most nurses replied that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of menopausal symptoms is HRT, and nurses were very knowledgeable about its strengths (59%) and weaknesses (44%). Cancer was regarded as the major complication of HRT (71%), and its side effects were breast pain (77%) and vaginal bleeding (77%). Forty-six percent of nurses thought that the appropriate treatment duration of HR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period.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conducting HRT were drug stability (59%)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36%). Ninety-five percent of nurses responded that they personally would use HRT for menopausal treatment or would recommend their family. HRT for menopausal symptoms was being utilized before seeking medical treatment (40%) and after drug prescription (42%). Conclusion: Nurses have very positive attitudes about HRT but appeared to lack critical knowledge about HRT. Therefore, more educational programs for nurses about HRT should be required.

      • KCI등재

        임상의사의 폐경 후 호르몬 대체 요법에 대한 인식조사

        폐경연구소위원회 ( The Study Group For Menopause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1

        최근 폐경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에 관한 진료가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호르몬 대체 요법은 폐경기의 급성증상뿐 아니라 폐경으로 인한 만성증상에도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폐경 후 호르몬 대체요법의 사용은 이점도 있으나 건강에 대한 단점도 있어 호르몬 처방에 있어서 각 환자의 치료 적응증, 치료 금기, 치료로 인한 장단점등에 관한 임상의사의 인식이 중요하다. 따라서 호르몬 대체요법(HRT)에 대한 임상의사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폐경여성의 호르몬 치료와 처방에 관한 성향을 조사하고 폐경 치료의 문제점 발굴과 개선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2년 7월 폐경학회 회원에서 우편으로 4쪽 분량이 되는 21문항의 설문지를 우송하였고 8월말까지 회수된 102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호르몬 대체요법 시행에 관하여 응답자의 97.8%가 시행하고 있다고 답변하였다. 호르몬 대체요법의 적응증에 대하여서 폐경증상이 없는 환자에게 시행하는 경우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하여 처방하는 경우가 777명 (75.7%),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708명(69%). 조기 폐경인 경우 468명(45.6%), 심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294명(28.7%)이 처방 하였다. 호르몬 대체요법의 적응증에 대하여 폐경증상이 있는 여성에게 호르몬 대체요법을 처방하는 경우 vasomotor 증상을 위하여 934명 (91%), 성교통 524 명 (51.1%), 요로계 증상 치료 470 명 (45.8%), 질 증상 치료를 위하여 609 명 (59.3%), 관절통과 관절염 치료 505 명 (49.2%), 심리적 증상의 완화 498 명 (48.5%) 으로 나타났다. 폐경이 지난 여의사인 경우 현재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고 있는 경우가 124명(81%)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다수의 대한 폐경학회 회원들이 폐경 후 호르몬 대체요법을 처방하고 있었고 주로 안면홍조의 치료와 골다공증예방을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Objectives : To describe trends and attitudes concerning the prescription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Methods : Self administered postal questionnarie sent to Korean menopausal society. members (gynecologists, family medicine practitioners and general practitioners). Results : Results showed 1003 physicians (99.1%) routinely offered HRT to their menopausal patients. A high proportion of postmenopausal women doctors (81%) used HRT. Most popular indication for HRT were prevention of osteoporosis(75.6%), wellbeing or quality of life(69.1%) and vasomotor symptoms(91.0%).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hysicians in sex, age and practice pattern regarding indication to HRT. Most physician (79.8%) did not prescribe alternative medicine for postmenopausal women. Conclusions : Most Members of Korean menopausal society recommended HRT during menopause. Regarding indication to HRT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hysicians in sex, age and practice pattern.

      • KCI등재

        전기경련요법후 뇌하수체 호르몬의 순차적인 분비 반응

        김도관,김수정,최도선,복혜숙,김승태,Kim, Doh Kwan,Kim, Soo Jeong,Choi, Do Sun,Bok, Hae-Sook,Kim, Seungtai Peter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6 생물정신의학 Vol.3 No.2

        전기경련요법을 시행받은 9명의 정동자애 환자들과 2명의 정신분분열형장애 환자들에서 각각 3분 간격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각 채취하여 AVF, ACTH, PRL, cortisol 등의 호르몬에 대해 기저농도 및 전기경련요법 후의 농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각 호르몬 분비 반응 사이의 시간적인, 그리고 양적인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경련 지속 시간과 각 호르몬 분비반응들 사이의 상관관계도 검토하였다. 상기 호르몬 모두에서 전기경련요법 대한 의미있는 분비반응이 관찰되었다. 즉, AVP는 1.2pg/ml에서 33.3pg/ml(P<0.001). PRL은 21.8ng/ml에서 102.2ng/ml(P<0.005)로 cortsol은 20.1ug/dl에서 31.1ug/dl(P<0.001)로 각각 중가 되었다.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AVP, ACTH, PRL 세가지 호르몬 모두는 전기경련 요법 후 3분내에 분비 반용이 시작되었지만,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각각 3분, 6분, 12~15분대로 분명히 구별되는 소견을 보였다. cortisol은 6분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0~30분 사이에 최고 농도를 보였다. 경련 지속 시간과 분비 반응과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전기경련 요법에 대한 뇌하수체 호르몬의 반응은 동시적이라기 보다는 순차식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2) AVP는 다른 어떤 호르몬 보다도 아주 빠르고 양적으로 많은 반응을 보였다. 3) AVP 반응 후에 뒤따르는 ACTH 반응은 대부분의 과거 연구들에서 보고된 것보다 빠르고 강력했다. 4) 이러한 결과들은 뇌하수체 호르몬이 전기 자극보다는 경련의 결과로 분비된다는 가설을 지지해 주는 소견이다. 5)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 호르몬들의 순차적 반웅 양상은 각 호르몬의 분비 반응에 되먹임 조절 기전이 관여할 수 있음을 추정케 한다. Background : Most studies of the pituitary hormonal responses to electroconvulsive therapy(ECT) have used limited blood sampling schedules. Little is known about the precise sequence of neuroendocrine events immediately following en ECT application. or about the regulation of the hormonal responses. Methods : Blood was sampled at three minute intervals from eleven patients(two schizophrenics and nine affective disorder patients) undergoing ECT. Each sample was immunologically assayed for arginine vasopressin(AVP), adrenocorticotropic hormone(ACTH), prolactin(PRL), and cortisol. Baseline hormone concentrations and several measures of response were determined for each hormone. The temporal and quantitative relationships among the hormonal responses were determined.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between seizure duration and secretory responses. Results : All four hormones demonstrated significant secretory responses to ECT, with AVP increasing from 1.2 to 33.3pg/ml(P<0.001), ACTH from 5.4 to 32.3fmol/ml(P<0001). PRL from 21.8 to 102.2ng/ml(P<0.005) and cortisol from 20.1 to 31.1ug/dl(P<0.001). The three pituitary hormones showed consistent time courses of secretion with onset of responses by three minutes but clearly differing peak times of 3, 6, and 12-15 minutes for AVP, ACTH, and PRL, respectively. Cortisol began to rise after 6minutes and pecked between 20-30minutes. There wa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izure duration and any of the secretory response measures. Conclusions : 1) The pituitary hormone response to ECT is sequential rather than synchronous 2) The AVP response was extremely rapid and more massive than those of any other hormones. 3) The ACTH response of this study was more rapid and mare robust than thai revealed by the mast of past studies. 4) Th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pituitary hormones are released as a result of the seizure rather tho, the electrical stimulus. 5) The sequential pattern of responses suggests that neuroendocine feedback-regulatory mechanisms determine the response profile.

      • KCI등재후보

        폐경 여성에서 3년 동안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 후 유방밀도의 변화

        김명환 ( Myoung Hwan Kim ),최훈 ( Hoon Choi ) 대한폐경학회 2011 대한폐경학회지 Vol.17 No.2

        연구목적: 유방밀도는 침윤성 유방암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이다. 한국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가 유방촬영술의 유방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의무기록을 통해 2000년 1월에서 2010년 6월까지 상계백병원 산부인과에서 3년 간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 중 한 가지를 받은 폐경 여성 중 선별된 127 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들을 alendronate군 (n = 26), raloxifene군 (n = 18), 에스트로겐 요법군 (estrogen therapy, ET) (n = 43), 지속적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병합요법군 (estrogen-progesterone therapy, EPT) (n = 20), 주기적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병합 요법군 (n = 20)으로 나누어 기저치와 치료 1년, 2년, 3년 후 Breast Image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의 분류에 의한 유방밀도를 비교하였다. Alendronate군, raloxifene군, 호르몬 요법군과 호르몬 요법 각 군 간의 유방밀도도 비교하였다. 결과: BI-RADS에 의한 유방밀도는 raloxifene군에서 1년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 = 0.04) 2년, 3년 후에는 유의한 감소는 없었다 (각각 P = 0.19, 0.19). ET군에서는 유방밀도가 3년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 = 0.03) 지속적 EPT군에서는 1년, 2년, 3년 후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며 (각각 P = 0.01, < 0.001, < 0.001) 주기적 EPT군에서는 2년, 3년 후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각각 P = 0.04, 0.02). Alendronate군에서 유의하지는 않지만 유방밀도가 1년, 2년, 3년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각 P = 0.08, 0.1, 0.1). Raloxifene군에서 호르몬 요법군보다 1년, 2년, 3년 후 유방밀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각각 P = 0.002, 0.001, 0.001). 3년 후에는 alendronate군에서도 호르몬 요법군보다 유방밀도가 유의하게 낮았다(P = 0.010). 결론: 호르몬 요법군에서 유방밀도의 유의한 증가가 있는 반면 raloxifene군에서는 유의한 감소가 있었고 alendronate군에서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Raloxifene와 alendronate의 유방밀도에 대한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전향적인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s: Breast density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invasive breast cancer. We conduct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effects of 3 years of hormone therapy, raloxifene, and alendronate on mammographic breast density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Methods: We studied 127 postmenopausal women who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between January 2000 and June 2010.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5 groups: alendronate (n = 26); raloxifene (n = 18); estrogen therapy (ET; n = 43); continuous estrogen-progesterone therapy (EPT; n = 20); and cyclic EPT (n = 20). The Breast Image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composition grade 1, 2, and 3 years after treatment was compared with the BI-RADS composition grade at baseline. Results: The BI-RADS grad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raloxifene group at 1 year (P = 0.04). The BI-RADS grad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T group at 3 years (P = 0.03), in the continuous EPT at 1, 2, and 3 years (P = 0.01, < 0.001, < 0.001, respectively), and in the cyclic EPT group at 2 and 3 years (P = 0.04 and 0.02, respectively).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decrease in the BI-RADS grade occurred in the alendronate group at 1, 2, and 3 years (P = 0.08, 0.1, and 0.1,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mammographic breast density at 1 year in the raloxifene group and a decreasing trend in the alendronate group, whereas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T and EPT group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aloxifene and alendronate on breast density, larger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J Korean Soc Menopause 2011;17:94-101)

      • KCI등재

        한국 임상 의사들의 호르몬 대체요법의 처방 시작 시기 및 사용기간에 대한 성향조사

        정혜원,윤병구,이병석,강병문,최훈,조수현,박형무,김정구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3

        목적 : 본 연구는 한국 임상의들이 각 적응증에 따라 폐경여성에게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하는 시기와 사용 기간에 대한 경향을 알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대한 폐경학회 정 회원에게 폐경 후 호르몬 치료에 관한 인식과 처방 형태에 관한 질문 2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우편으로 우송1012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의사들은 폐경 전후와 적어도 폐경 5년 내에, 폐경증상, 골다공증 예방, 그리고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하여 호르몬대체요법을 시작한다고 하였다. 폐경 증상 치료를 위하여 38.8%는 증상이 호전된 후, 33.5%는 폐경 후 5년 내까지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한다고 하였으나 사용기간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41.2%가 평생동안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한다고 하였으나 투여기간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심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37.2%는 평생동안, 25.6%는 폐경 후 5-10년 내까지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한다고 하였으나 성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대부분 의사들은 적어도 폐경 후 5 년 내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하지만 호르몬 대체요법을 사용하는 기간은 다양하다. 이에 대한 의견일치를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To identify the trends and attitudes of Korean physicians toward recommending when HRT is started and how long it is continued for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In a cross sectional study was invited letter to complete and return enclosed questionnaires to Korean menopausal society members(physicians). Results: Most physicians recommended postmenopausal women to start HRT for any indication during perimenopausal period or at least within 5 years after menopause. For relieving menopausal symptoms, 38.8% of respondents recommended continuing HRT till subsiding the symptoms and 35.5% recommended in 5 years after menopause. However, there lacked a consistency of sex and age among subjects. For preventing osteoporosis, 41.2% of respondents recommended continuing HRT for lifelong, although sex and age lacked consistency. F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37.2% of respondents recommended continuing HRT for lifelong and 25.6% recommended continuing HRT till between 5 and 10 years after menopause, although sex lacked consistency. Conclusions: Most Members of Korean menopausal society recommended starting HRT for any indications at least within 5 years after menopause. However, there was a discordance among Korean physicians regarding how long should be recommended to continue according to indications. Thus consensus for the duration of HRT will be needed among physician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인슐린유사 성장인자-1 유전자 내 CA 반복다형성에 따른 호르몬대체요법 후 골밀도의 변화양상

        김정화 ( Jeong Hwa Kim ),김정구 ( Jung Gu Kim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3

        연구목적 : 자연 폐경 여성에서 IGF-1 유전자 내 CA 반복다형성 양상과 호르몬 대체요법 후 골밀도의 변화 양상 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한국 자연 폐경 여성 302명에서 1년간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하였고 이런 여성에서 IGF-1 유전자 내 CA 반복다형성 양상을 전기영동, genescan, 염기서열분석으로 측정하였다. 호르몬 치료 전과 1년에서의 요추 및 대퇴 근위부의 골밀도를 DEXA로 측정하였으며 혈청 IGF-1, CTX, BAP를 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 동형 접합의 192bp 대립인자를 가진 군에서 호르몬 대체요법 후 Wardtkarkr주에서의 골밀도는 감소하였던 반면 이런 대립인자를 가지지 않는 군에서는 증가하였으나 다른 대립인자들의 복사수에 따른 골밀도 변화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IGF-1 대립인자들의 복사수에 따른 호르몬 대체요법후 6개월에서의 골교체 인자 및 IGF-1 농도의 변화율의 차이가 없었다. 호르몬 대체요법 1년 후 측정된 골밀도가 3% 이상 치료전보다 감소된 경우를 호르몬 치료에 비반응군으로 하였을 때 호르몬 치료 반응군과 비반응군에서의 IGF-1 192bp 대립인자의 분포양상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한국 자연 폐경 여성에서 IGF-1 CA 192bp 대립인자는 호르몬 대체요법에 의한 골밀도 변화양상을 반영하는 유전학적 인자 중 하나이다. Objectives :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ytosine-adenine(CA) polymorphism in IGF-I gene and the changes in bone mineral density (BMD) after hormone replacement therapy(HRT). Methods : The IGF-I CA polymorphism was analyzed by polyacrylamide-urea gel electrophoretic patterns, genescan and direct DNA sequencing in 302 postmenopausal Korean women receiving combined sequential HRT for 1 year. Serum GFI, bone alkaline phosphatase (BAP), and type I C-telopeptide(CrossLaps) were measured by immunoassay and BMD at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Results : Eight IGF-I alleles were observed with product sizes ranging between 180-194bp. Guanine and adenine deletion were found following 3’ end of CA repeats. Women possessing two alleles of 192bp showed significantly lower change in BMD at the Ward’ s triangle after 1 year of HRT compared with women who did not possessed this allel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1 year change in BMD of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among other IGF-1 genotypes. No correlations between 6 months changes of IGF-I and bone markers after hormone replacement and IGF-I CA polymorphism were fou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IGF-I 192bp genotypes between HRT-responders and HRT-nonresponders (women with >3% bone loss per year). Conclusion : The IGF-I CA polymorphism is one of genetic factors which affect 1 year BMD change after HRT.

      • KCI등재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연관 변인간의 분석

        김영란,민열하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menopause symptoms and associ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were receiving hormone therap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from 150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had been on hormone therapy at a hospital in Seoul. Data were analyzed with th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o compare the degree of menopause symptoms by demographic, clin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Results: The mean menopause symptoms score was 13.39±7.97. Most participants reported having hot flushes and sweating (75.3%), physical and mental exhaustion (82.7%) and sexual problems (64.7%). Menopause symptoms and depression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p<.01). Somato-vegetative symptom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by age, menopausal status at time of operation, occupation and tumor. Psychological symptom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by marital status, operation type and chemotherapy. Urogenital symptom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by prior history of cancer, occupation, operation type and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These findings can be used to provide tailored nursing interventions by identifying high risk groups for menopausal symptom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hormone therapy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항호르몬요법을 받고 있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갱년기 증상의 정도와 연관된 변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서울의 일개병원에 내원하여 항호르몬요법을 받고 있는 유방암 환자 150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임상적 및 심리적 특성에 따른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갱년기 증상의 평균 점수는 13.39±7.97 이었다. 대상자 중 다수에서 갱년기의 신체화, 심리적, 비뇨생식계 증상 중 안면홍조와 발한(75.3%), 신체적ㆍ심리적 피로감(82.7%), 성적 문제(64.7%)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모든 갱년기 증상과 연관되어 있었으며(p< .01) 신체화 증상은 연령, 폐경여부, 직업유무, 종양특성에서, 심리적 증상은 결혼상태, 수술유형, 항암화학요법 여부에서, 비뇨생식기계 증상은 암의 기왕력, 직업유무, 수술유형, 방사선요법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갱년기 증상의 고위험군을 선별함으로써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들에게 증상에 따른 맞춤화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여성호르몬 대체요법후 체중변화와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형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이기호,김상만,이득주,최희정,한인권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3

        연구배경: 폐경 전후에서의 체중 증가와 여성호르몬과의 연관성이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왔다 교감 신경계는 지방대사를 촉진하여 대사적 열생산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와 관련하여 베타3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유전자형이 폐경여성에서 여성호르몬 대체요법 이후의 체중증가와 연관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5년부터 2002년 5월까지 삼성제일병윈 비만클리닉 및 갱년기 클리닉에 방문하여 여성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 받았으며, 폐경에 관련한 과거력, 여성 호르몬 투여 전후의 체중, 체질량 지수에 대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곤,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을 분석한 92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결과: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 분포는 Trp64Trp형 39.1%, Trp64Arg형 25.0%,Arg64Arg형 34.8%,로 나타났다 여성호르몬 투여 전 체중의 평균은 61.07±7.06이었으며, 여성 호르몬대체요법 후 체중 변화의 평균은 1.28±3.20 증가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β3 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 아형에 따른 체중의 평균 변화는 Trp64Trp형에서 1.86±2.94 증가, Trp64Arg형 0.74±2.97 증가, Arg64Arg형 1,00±3.61 증가로 나타났으나 이들 모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세 아형간의 변화량도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폐경여성에서 여성호르몬 대체요법 후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β3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 아형에 따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Background: The study result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menopausal estrogen use and weight gain have not been consistent. Genetic studies have reported the association of BMI with the beta3-adrenergic receptor gene polymorhism. This study as designed to indentify association of beta3-adrenergic receptor gene polymorhism with weight gain related to HRT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192 postmenopausal women at a general hospital, Bariatric and climacteric clinic have been collected. Subtypes of beta3 adrenergic receptors were measured and physical, anthropomeric data including body fat and BMI was obtained before and after HRT. Results: Arg/Arg group was 34.8%, Trp/Arg group was 25.0%, Trp/Trp group was 39.1%. Mean weight gain in 192 postmenopausal women was 1.28±3.20 kg and the percent changes in weight gain between initial and final point was 2.32±5.66% but these resuls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eight gain(%) were 2.24%(95% C.I 0.35~4.13) in Arg/Arg group, 1.08%(-1.17~3.29) in Trp/Arg group and 3.18%(1.49~4.92) in Trp/Trp, but these result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F=1.13, p=0.03). Conclusion: Polymorphism of beta3 adrenergic receptor gene was not associated with weight gain after HRT in postmenopausal women. From these results, we may conclude that polymorhism of beta3 adrenergic receptor may not be the predicting factor to understand the weight gain after HRT in postmenopausal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