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홍석의 개혁주의 인간론 고찰 - 하나님 형상(Imago Dei)론을 중심으로

        이상웅 ( Sangung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6 한국개혁신학 Vol.52 No.-

        본고에서 논구하고자 하는 최홍석은 32년간 총신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치고 최근에 은퇴한 개혁신학자이다. 그는 1984년 가을 학기부터 2015년 가을 학기까지 인간론, 신론, 교회론을 집중적으로 가르쳤다. 따라서 우리는 그의 인간론에 대한 학문적 개관과 평가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2절에서 먼저 최홍석의 신학적인 배경과 그의 인간론적 저술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는 총신에서 죽산 박형룡(1897-1978)과 정암박윤선(1905-1988)의 신학을 배웠고, 차영배교수를 통해 화란신학에 입문하게 되었으며, 화란 깜쁜에 소재한 개혁파교단 신학교에서 독토란두스 과정을 이수하면서 헤르만 바빙크(1854-1921)와 화란신학을 원전으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인 배경을 통해 그는 `역사적 개혁주의` 혹은 `옛 개혁신학`의 입장에 서서 신학 작업한 신학자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그의 『인간론』(2005)은 방대한 분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3절에서 하나님 형상론에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최홍석은 바빙크나 안토니 후크마의 논의 순서를 따라 자신의 형상론을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성경적인 자료들을 다루는 일을 먼저 했고, 둘째. 형상론의 역사적인 논의를 제시했다. 자연주의적 견해, 로마교회의 초자연주의적 견해, 루터파, 개혁파(그리고 칼빈의 형상론) 등을 소개하고 나서 20세기의 바르트와 추세를 소개했다. 이러한 논의에 이어서 최홍석은 개혁신학적인 정리를 해줌으로 논의를 마친다. 그가 강조한 것은 구속사적인 조망(4중 상태)에서 형상론을 다루는 것이 중요하며, 전인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었다. 또한 하나님의 형상이신 그리스도가 보여주신 삼중적 관계 속에서의 형상 이해의 중요성과 함의를 강조한 것도 그의 형상론의 특징이다. 물론 우리는 그의 형상론 논의 속에서도 그의 신학하는 자세가 (푈만의 분류에 따르자면) `재생적이고 요약적인 기능`에 치중하고 있음을 알수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성경본문에 대한 보다 폭넓은 주의를 기울이고, 풍성하게 전개된 현대적인 형상론 논의들을 잘 수렴하되 개혁주의적인 관점에서 평가하고 비평하며 논의를 진전시켜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면서 논의를 마쳤다. Professor Hongsuk Choi is a reformed theologian who was a professor at the Chongshin Theological Semianry for 32 years and retired recently. He taught Anthropology, Doctrine of God and Ecclesiology intensively from Fall Semester of 1984 to Fall Semester of 201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verview and evaluate his Anthropology academically. In second section, we have examined his theological backgrounds and his writings dealing with Doctrine of Man. He learnt the theologies of Dr. Hyungnong Park (1897-1978) and Yunsune Park (1905-1988) at Chongshin Theological Seminary and had been introduced to the Dutch Reformed Theology by Professor Youngbae Cha. And then he had been influenced by Herman Bavinck (1854-1921) and Dutch Reformed Theology profoundly during the period of his study at Theological School in Kampen. By scrutinizing his theological backgrounds, we have known that Choi stood in the `Historic Reformed Theology` or in Dutch `oude gereformeerde theologie` and continued to theologize till present. Since his Anthropology is a large volume, we have examined only his Doctrine of Imago Dei in Section Three. Professor Choi divided his discussions on it into three parts, as Bavinck and Anthony A. Hoekema have discussed. In first part, he examined the Biblical data concerning the image of God and then he overviewed the variegated voices from Theological history in second part. In it, he presented the naturalistic viewpoint, supernatural viewpoint of Roman Church, Lutheran viewpoint, Reformed viewpoint (and Calvin`s doctrine of image of God) and lastly viewpoints of Barth and the contemporary trends. And then he concluded his discussion by presenting Reformed viewpoint on image of God and its theological implications. He emphasized that it wa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mage of God from redemptive-historical perspective (i.e. fourfold states of human nature) and to understand the whole person as an image of God. Moreover, it is a characteristic of his doctrine of imago Dei that he has emphasized to see the image in the threefold relationships which Christ, the perfect image of God shows us well and its practical implications. By examining his discussions on the image of God, we recognize that his Theological attitude is focused on `reproductive and summary function of Dogmatics` (Pohlmann). So we feel the need of our discussion to be developed by paying more attention to biblical texts and contemporary theological books and articles on the image of God to evaluate the variegated viewpoints and interpretations from reformed perspective.

      • KCI등재

        질료 형상론과 감각의 블록의 미술: 미술교육에의 시사점

        박정애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과 교육 Vol.23 No.3

        이 글에서는 서양의 전통적인 질료형상론과 이를 부정한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가 개념화한 감각의 블록의 미술을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이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위해 특별히 미술가 박서보의 예술적 목적, 의도, 그리고 실천 과정에 대해 해석하였다. 질료 형상론에서는 재료가 필연적인 질서를 가지기 때문에 형상이 의도와 목적을 부여할 수 있다는 사고이다. 따라서 형상이 우위에 있다. 이러한 전통에서 “미술가가 어떻게 그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작품에 표현하고 있는가?”에 대한 지식이 미술교육에서 중요한 지식이 되었다. 들뢰즈가 개념화한 감각의 블록으로서의 미술은 정동과 지각으로 구성된 것이다. 배치와 유사한 개념인 블록(bloc)은 정동과 지각이 복수적인 힘을 가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한 복수적인 힘의 관계에 의해 미술작품은 스스로를 보존하고 유지한다. 감각이 재료를 통해 발현하기 때문에 박서보는 신체적 행위를 통해 자신의 체질이 물질적인 재료에 물성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시도한다. 그런데 그의 한지의 질료가 스스로 운동을 하다가 형태를 만들어낸다. 이는 감각의 블록으로서의 미술에 대한 구체적 설명인 것이다. 감각의 블록으로서의 미술은 자유로운 손 솜씨가 시각 전체에 미치는 효과가 만든 조화이다. 이와 같이 손이 만든 회화는 관계에 의해 차이가 만들어지는 아날로그 미술로 특징된다. 이러한 시각에서 박서보의 각각의 묘법은 유사하면서도 차이를 드러낸다. 손이 만드는 아날로그 회화는 궁극적으로 복수적 감각의 공존을 통해 다양체 미술을 지향한다. 그것은 이미 재현에서 벗어나 있는 것이다. 재현에서 벗어나 순수한 감각적 요소를 추출한 것이기 때문이다. 감각의 블록으로서의 미술은 궁극적으로 재현에서 벗어난 순수 차이의 미술이다. 따라서 미술교육은 감각의 차이를 표현하면서 학생들이 자신들의 존재의 차이를 깨닫는 방법을 지향한다. 존재적 차이에 대한 자각은 의미를 만들게 한다. 그리고 그것은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내적 성장을 이끈다.

      • KCI등재

        보나벤투라의 복수 실체적 형상론에서 인간의 통일성의 문제

        정현석 한국하이데거학회 2015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8

        Bonaventure is a representing figure of the theory of plurality of substantial forms in the 13th century. According to his theory, in a man, there is at least one intermediate form which disposes the prime matter before its union with the ultimate substantial perfection, i.e., the human soul. However, his theory seems to commit itself to a kind of plural substances view such as the substance dualism inasmuch as each intermediate form is described to give its perfection to the matter and forms a substance in this process. Furthermore, Bonaventure’s contention of ‘unique perfection for one complete substance’ seems to be in a serious conflict with his own conception of plurality of forms. It is because the intermediate forms seem to actualize the human body as some kind of substance disposed to the unique ultimate perfection of the human soul. So, some criticized that his theory consists in presenting not absolute unity of human being, but accidental one, in so far as it deploys intermediate forms between the prime matter and the human soul. But for Bonaventure, the prime matter by its own essence is in radical potentiality or possibility to all forms. As such it has no necessity to any particular form. So, according to Bonaventure, if, as his opponents like Thomas Aquinas asserted emphatically, the human soul unites with prime matter without any mediating forms, then the unity of human being should be considered not as substantial but as accidental or contingent one. That is why Bonaventure thought tha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posit some intermediating principles which dispose this indifferent prime matter to be united to the human soul. In like manner Bonaventure accuses in his turn the rival theory of unicity of form of making the unity of human being as contingent in its nature. And through his conception of the teleological order and the essential subordination of plural forms to the unique substantial perfection which is the human soul, he makes it compatible to hold at the same time the conception of ‘unique perfection for one substance’ and that of plurality of forms. 13세기 사상가 보나벤투라는 인간 영혼과 인간 육체의 합일(unio)을 논하는과정에서 양자 사이에 복수(複數)의 실체적 형상을 정초한다. 그런데 그의 사상에서 그가 힘주어 강조하는 두 입장, 즉 인간의 단적이며 궁극적 완성으로서 인간영혼의 통일성과 인간 육체와 인간 영혼의 사이에 개입하는 여러 실체적 형상들은 동시에 보장하기 어려운 상충되는 주장처럼 보인다. 그래서 그의 입장은 하나의 동일한 인간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논하는 복수의 형상들이 사실상 두 개 이상의 실체들의 우연적 결합으로 인간을 논하는 입장으로 귀결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보나벤투라가 복수의 실체적 형상이 인간 영혼과육체 사이의 관계에 반드시 필요한 이유를 제일질료의 모든 형상에 대한 무차별성 속에서 찾고 있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보나벤투라는 오히려 복수 실체적 형상론을 비판하는 단수(單數) 실체적 형상론의 영혼과 제일질료의 직접적 결합이 양자 사이의 결합의 필연성을 저해하며 인간의 통일성을 우연한 것으로 만든다는 입장을 전개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보나벤투라가 인간 영혼과 제일질료 사이의 형상들을 인간 영혼이 통일체 인간의 궁극적 완성으로 수렴하는 목적론적 질서에서 인간이라는 하나의 실체적 완성 안으로 포섭한다는 입장을 통해 인간 영혼을 정점으로 하는 통일적 질서 안에서 다양한 형상들을 통해 보장되는 다양성을 논하고 있음을 밝힌다.

      • KCI등재

        『소피스트』 249b-d에서 포괄적 존재론의 시도

        김민우 범한철학회 2021 汎韓哲學 Vol.103 No.4

        플라톤 또는 엘레아 손님은 『소피스트』 243d-249d에서 ‘있는 것’에 관한 여러 주장을 비 판적으로 고찰한다. 이 텍스트에 대하여 학자들의 많은 논쟁이 있었지만, 이 글은 손님의 성과가 무엇인지를 둘러싼 브라운과 폴리티스의 해석 차이에 주목한다. 브라운이 주장하듯 이, 손님과의 대화를 통해 유물론자는 형상을 받아들이고 형상론자는 물체를 수용하고, 그 래서 이들은 ‘포괄적 존재론’ 안에서 완전하게 화해하고 통합되는가? 아니면 폴리티스가 주 장하듯이, 손님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두 진영의 ‘근본적인 불일치’는 해소되지 않으며 이들 의 통합은 불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는가? 이 글은 두 학자의 논쟁에 개입하여 손님이 포괄적 존재론을 성취한다는 것을 브라운과 다른 관점에서 옹호하려는 시도이다. 필자는 249d3-4를 대립하는 진영들을 통합하는 ‘철학적 선언’으로 바라본다. ‘지성’은 하 나의 동일한 것이면서 존재와 생성의 양 측면을 지니고 있다. 손님은 이런 지성을 이용해 있 는 것이 정지해 있다는 형상론자의 관점과 모든 것이 운동한다는 유물론자의 관점을 진정으 로 통합한다. 지성을 가장 존중하는 철학자는 운동과 정지 중 어느 것도 무시할 수 없다. 포괄 적 존재론이자 철학적 선언은 다음과 같다. ‘있는 것과 모든 것은 운동하면서 정지해 있다.’ Plato’s Sophist 243d-249d takes many contentions about ‘Being’ into account critically. There have been many disputes among scholars around this text, but I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one between Brown and Politis in this paper. What is it that is the final achievement by the Eleatic Stranger, a main speak of the dialogue, in these passages? As Brown affirms, is it true that the materialists receive forms in their ontology and the formalists accept bodies, so that both groups perfectly reconcile and are integrated in an ‘all-inclusive ontology’? Or, as Politis argues, do some fundamental disagreements between them have been resolved in spite of the Stranger’s efforts, and the integration remains imperfec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ntervene in the dispute between Brown and Politis and defend the Stranger attaining the all-inclusive ontology from an viewpoint different from Brown’s. I take the text 249d3-4 for a ‘philosophical declaration’ resulting in integration between the opposing positions. The ‘intellect’ both is one and the same thing, and has two aspects of being and becoming. Using this intellect, the Stranger really integrate the view of the formalists that beings are at rest and the one of the materialists that everything is in motion. A philosopher, who most respects intellect, is able to neglect neither motion nor rest. The all-inclusive ontology and philosophical declaration held by the Stranger is: ‘being and everything consists of whatever is in motion and at rest.’

      • KCI등재

        무명 저자의 『영혼론 1권과 2권의 문제들』과 13세기 영혼론의 쟁점들-지성단일성론과 복수 실체적 형상론-

        정현석 한국중세철학회 2015 중세철학 Vol.0 No.21

        This research deals with Quaestiones in Aristotelis Libros I et II de Anima, written by an anonymous author of the 13th century, edited and published in 1971 by Maurice Giele in Trois Commentaires Anonymes sur le Traité de l’âme d’Aristote, M.Giele & als.(eds.)(Louvain: Publications Universitaires, 1971). Especially in this research we provide translations of 4 questions concerning the issues like the Medieval Monopsychism(II, Q.4) and the Controversy over plurality of substantial form(I, Q.17; II, QQ.5-6). In these questions, we can see the Anon. of Giele differentiates himself from other Art Faculty Professors of the 13th Century University of Paris like Siger of Brabant, who shared with the former the Monopsychism, while our anonymous author affirms 1) intellect or intellective soul conjoins to a human being or a body as its object, not as its subject; 2) and that, like the celestial mover conjoins to a certain celestial body; so 3) “properly speaking, human being does not understands”. And with the plurality of substantial form, the Anon. of Giele holds that, while soul and body is conceived as form and matter or act and potency, there is no need for intermediating principles between the two(I, Q.17). And he maintains that those powers like nutritive and locomotive in themselves are not souls, but parts of soul(II, Q.5) and they are distinguished not by their substances or in their beings but by definition or in mind. This position seems to be assimilated to that of Thomas who holds the unicity of substantial form thesis. Our anonymous author however distantiates himself substantially from the position of the Angelic Doctor while he conceives that i) intellect or intellective soul is not substantial form of body or human being; and ii) the difference between the human soul and the soul of a cat is comparable to that of cow’s and cat’s, that is, the difference in animal souls. 본 연구는 1971년 질(M. Giele)이 Oxford Merton College, MS. Lat. codex 275 fols.108-121에 수록된 무명 저자의 아리스토텔레스 영혼론에 관한 강의 내용을 현대 비평본으로 편집하여 Trois Commentaires Anonymes sur le Traité de l’âme d’Aristote, M. Giele & als.(eds.)(Louvain: Publications Universitaires, 1971)에 실은 Ignoti Auctoris Quaestiones in Aristotelis Libros I et II de Anima 중 13세기 중후반 파리대학에서 벌어진 인간학과 관련한 주요 쟁점, 지성단일성론(2권 4문)과 실체적 형상의 다수성 문제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는 부분(1권 17문, 2권 5문과 6문)들을 발췌하여 싣고 있다. 무명 저자의 입장은 지성단일성론과 관련하여(1권 17문) 1) 지성이 인간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인간을 대상으로 삼아 결합하며; 2) 지성과 인간 혹은 육체의 결합 방식은 천체의 원동자와 천체의 결합 방식과 같기에; 3) “엄밀히 말해 인간은 이해하지 않는다(proprio sermone homo non intelligat)”로 요약된다. 그리고 이런 면에서 비슷한 시기에 파리대학 인문학부 교수로 활동했으며 종종 그와 함께 라틴-아베로에스주의자로 분류되던 시제 브라방과 같은 지성단일성론자들이 제창한 내적 작용자(operans intrinsecum)로서의 분리된 지성을 논하는 입장과 차별성을 갖는다. 한편 그는 인간의 영혼과 육체의 결합이 형상과 질료의 결합이자, 현실태와 가능태의 결합이기에 양자의 결합에 매개적 원리가 없으며(1권 17문), 식물적 활동과 동물적 활동의 원리들이 서로 다른 총체로서의 영혼이 아닌 영혼의 부분이라는 것(2권 5문), 그리고 이들이 개념상으로만 구분되며 실체적으로는 구분되지 않는다는 입장(2권 6문)을 내세운다. 이런 까닭에 무명 저자의 입장은 단수 실체적 형상론에 가까워 보인다. 하지만 무명 저자의 입장은 단수 실체적 형상론의 옹호자인 토마스 아퀴나스와는 달리 지성 혹은 지성적 영혼의 육체와의 실체적 결합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 또한 무명 저자는 인간의 영혼과 소의 영혼의 차이가 단지 개와 소 혹은 고양이와 개의 동물적 영혼의 차이 정도, 즉 동물적 영혼 사이의 차이로 보고 있다. 이런 면에서 그의 입장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입장과 차별성을 드러낸다.

      • KCI등재

        논문 : 무명 저자의 『영혼론 1권과 2권의 문제들』과 13세기 영혼론의 쟁점들 -지성단일성론과 복수 실체적 형상론-

        정현석 ( Hyun Sok Chung ) 한국중세철학회 2015 중세철학 Vol.0 No.21

        본 연구는 1971년 질(M. Giele)이 Oxford Merton College, MS. Lat. codex 275 fols.108-121에 수록된 무명 저자의 아리스토텔레스 영혼론에 관한 강의 내용을 현대 비평본으로 편집하여 Trois Commentaires Anonymes sur le Traite de l’ame d’Aristote, M. Giele & als.(eds.)(Louvain: Publications Universitaires, 1971)에 실은 Ignoti Auctoris Quaestiones in Aristotelis Libros I et II de Anima 중 13세기 중후반 파리대학에서 벌어진 인간학과 관련한 주요 쟁점, 지성단일성론(2권 4문)과 실체적 형상의 다수성 문제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는 부분(1권 17문, 2권 5문과 6문)들을 발췌하여 싣고 있다. 무명 저자의 입장은 지성단일성론과 관련하여(1권 17문) 1) 지성이 인간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인간을 대상으로 삼아 결합하며; 2) 지성과 인간 혹은 육체의 결합 방식은 천체의 원동자와 천체의 결합 방식과 같기에; 3) “엄밀히 말해 인간은 이해하지 않는다(proprio sermone homo non intelligat)”로 요약된다. 그리고 이런 면에서 비슷한 시기에 파리대학 인문학부 교수로 활동했으며 종종 그와 함께 라틴-아베로에스주의자로 분류되던 시제 브라방과 같은 지성단일성론자들이 제창한 내적 작용자(operans intrinsecum)로서의 분리된 지성을 논하는 입장과 차별성을 갖는다. 한편 그는 인간의 영혼과 육체의 결합이 형상과 질료의 결합이자, 현실태와 가능태의 결합이기에 양자의 결합에 매개적 원리가 없으며(1권 17문), 식물적 활동과 동물적 활동의 원리들이 서로 다른 총체로서의 영혼이 아닌 영혼의 부분이라는 것(2권 5문), 그리고 이들이 개념상으로만 구분되며 실체적으로는 구분되지 않는다는 입장(2권 6문)을 내세운다. 이런 까닭에 무명 저자의 입장은 단수 실체적 형상론에 가까워 보인다. 하지만 무명 저자의 입장은 단수 실체적 형상론의 옹호자인 토마스 아퀴나스와는 달리 지성 혹은 지성적 영혼의 육체와의 실체적 결합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 또한 무명 저자는 인간의 영혼과 소의 영혼의 차이가 단지 개와 소 혹은 고양이와 개의 동물적 영혼의 차이 정도, 즉 동물적 영혼 사이의 차이로 보고 있다. 이런 면에서 그의 입장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입장과 차별성을 드러낸다. This research deals with Quaestiones in Aristotelis Libros I et II de Anima, written by an anonymous author of the 13th century, edited and published in 1971 by Maurice Giele in Trois Commentaires Anonymes sur le Traite de l’ame d’Aristote, M.Giele & als.(eds.)(Louvain: Publications Universitaires, 1971). Especially in this research we provide translations of 4 questions concerning the issues like the Medieval Monopsychism(II, Q.4) and the Controversy over plurality of substantial form(I, Q.17; II, QQ.5-6). In these questions, we can see the Anon. of Giele differentiates himself from other Art Faculty Professors of the 13th Century University of Paris like Siger of Brabant, who shared with the former the Monopsychism, while our anonymous author affirms 1) intellect or intellective soul conjoins to a human being or a body as its object, not as its subject; 2) and that, like the celestial mover conjoins to a certain celestial body; so 3) “properly speaking, human being does not understands”. And with the plurality of substantial form, the Anon. of Giele holds that, while soul and body is conceived as form and matter or act and potency, there is no need for intermediating principles between the two(I, Q.17). And he maintains that those powers like nutritive and locomotive in themselves are not souls, but parts of soul(II, Q.5) and they are distinguished not by their substances or in their beings but by definition or in mind. This position seems to be assimilated to that of Thomas who holds the unicity of substantial form thesis. Our anonymous author however distantiates himself substantially from the position of the Angelic Doctor while he conceives that i) intellect or intellective soul is not substantial form of body or human being; and ii) the difference between the human soul and the soul of a cat is comparable to that of cow’s and cat’s, that is, the difference in animal souls.

      • KCI등재

        디트리히 본회퍼의 관계적 신형상론 고찰 ‐ 마르틴 루터의 관점과 연계하여

        김현주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4 장신논단 Vol.56 No.2

        본 논문은 디트리히 본회퍼의 ‘관계적 신형상론(relational view of imago Dei)’을 루터의 관점과의 연결성 속에서 분석한다. 창세기 1장 27-28절의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는 선언은 인간론의 중요한 진술을 담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하나님 형상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다양하게 해석될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기독교 신학의 주류 관점이었던 실체적 신형상론(substantive view ofimago Dei)과는 다르게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는 인간의 신형상됨의 근원을 인간의 자질과 같은 인간에게서 찾지 않고 인간의 외부인 하나님에게서 찾고자 했다. 루터는 하나님과 인간의 의로운 관계성을 가진 인간이 신형상이라는 구원론적 신형상론을 제시하였다. 루터의 신형상론을 계승한 근대 루터파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는 루터의 구원론적 신형상론에서 더 나아가 ‘관계적 신형상론(relational view of imago Dei)’을 제시하면서 루터의 관점을 심화하고 있다. 본회퍼는 인간의 신형상은 ‘나와 타자(I and the other)’의 윤리적 관계성을 통해 드러난다고 이해하고 있다. 본회퍼는 ‘나와 타자’의 관계를 하나님과 인간, 남성과 여성 또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이라는 삼중 틀로 확장하여 신형상의 범위를 개인 차원에서 공동체 차원으로 전환하였다. 결과적으로, 본회퍼는 신형상론을 타자와의 관계성을 통해 윤리적인 면으로 승화시켜 인간적, 자연적 타자의 존엄성을 강조했으며 인간의 타자를 향한 책임성마저도 하나님이 창조 시부터 인간에게 부여한 사명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관계적 형상론의 확장성과 윤리성에도 불구하고 신적 타자와의 의로운 관계성을 신형상의 출발점으로 삼음으로써 그리스도인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해석될 여지를 남기고 있다. 또한 타락 후에도 모든 인간이 신형상임을 암시하는 성서의 구절들과의 해석학적 긴장에 대한 고찰이 필요해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Dietrich Bonhoeffer’s relational view of imago Dei in connection with Martin Luther’s doctrine. The declaration in Genesis 1:27-28 that humans we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contains an important statement about anthropology. However, what God’s image entails is left open to various interpretations. Unlike the substantive view of imago Dei, which was the mainstream perspective in Christian theology, Martin Luther(1483-1546) sought the origin of imago Dei not in human qualities but in God, external to humans. Luther presented a soteriological view of the image of God in which a human in a righteous relationship with God is considered imago Dei. Dietrich Bonhoeffer (1906-1945), a modern Lutheran theologian who followed Luther’s view, further developed Luther’s soteriological view by proposing a relational view of imago Dei, deepening Luther’s perspective. Bonhoeffer understood imago Dei as revealed through the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I and the other.’ He extended the relationship of ‘I and the other’ to a triadic framework of God and humans, males and females, humans and nature, expanding the scope of imago Dei from an individual to a communal dimension. Consequently, Bonhoeffer elevated the doctrine of the image of God to an ethical level through relationality with others, emphasizing the dignity of human and natural others. He even recognized responsibility for others as a mission given to humans by God from creation. Despite the expansiveness and ethicality of the relational view of the image of God, it leaves room for interpretation that only Christians can be considered in the image of God by starting with the righteous relationship with the divine other. A review of the hermeneutical tension with biblical passages that imply all humans are the image of God even after the Fall seems necessary.

      • KCI우수등재

        플라톤 독해의 기본전제에 관한 재검토

        박동천(Dong-chun Park) 한국정치학회 2001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3

        플라톤에 관한 전통적인 해석에 담겨 있는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전통적인 해석에서는 플라톤의 정치사상을 다음과 같이 압축한다. (1)개인이 가지는 개별적 의견을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타당한 지식이 존재한다. (2) 그러한 지식만이 우리로 하여금 올바른 정치적 판단에 이르게 한다. 이에 대하여, 본고는 두 단계의 주장을 펼친다. 우선, 그런 식으로 파악되는 “올바른 정치적 판단”이 얼마나 옳은지는 차치하더라도, 그것이 그다지 “정치적”인 것으로 보이지 않는 점을 지적한다. 그런 연후에, 플라톤이 그토록 무리한 주장을 일방적으로 펼쳤다고 볼 수 없는 증거로서, 플라톤의 대화 중에서 몇 구절을 들어 해석한다. 이를 통하여, 플라톤 철학의 본질이 이치(logos)의 본질적인 내용을 우리에게 주입하는 데에 있기보다는 우리가 원하는 이치를 우리가 원하는 만큼 스스로 찾아가라는 데에 있다는 함축을 본고에서는 주장한다. This paper purports to bring into relief some difficulties inherent in the traditional way of reading Plato. Traditional reading delineates Plato's suggestions that: (1) there is a special kind of knowledge which is universally valid and transcendent of particular opinions and (2) only such knowledge will lead us to the correct political judgment. Against this view, this paper sets forth a two-dimensional argument. First, setting aside the question of how correct the "correct political judgment" so understood might be, it does not seem quite "political" at all. Then, I will bring into light some pieces of evidence from the text to demonstrate that Plato did not make such an untenable set of suggestions. By implication, I will try to establish that the gist of Platonic political philosophy is not so much intended to insinuate into us whatever substance of the logos as it is to recommend us to find the kind of logos that we want as much as we want.

      • KCI등재

        천리마 기수 형상론과 최명익의 「임오년의 서울」

        김은정 ( Eun Jung Kim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3 No.-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circumstances of North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1960``s, by seeing how the historical novel "Seoul of Imo years" by Choi Myungik was ranked within the literature or cultural norms of its generation by relating it to the imagery of "Cheolima Gisu`` which was accepted as the standard of that period. The imagery of ``Cheolima Gisu`` rose up as a model for accelerated growth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nation after the Korean War, and was simultaneously a common image of man, linking the before and after of the Korean War while being the model of literature or cultural imagery that defined this period in histor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hidden inside "Seoul of Imo years" morals to be followed by "man", hence universal conscience was activated as a strong mechanism. Also, the mechanisms for the changes in the characters of the two novels that represent ``Cheolima Gisu`` from 1961 were divided into two, as class consciousness was not able to show fundamental change within the characters due to the fact that it was not a type of consciousness which could be embodied like universal consciousness. Thus, the role models only go to the extent of reminding the readers of the type of consciousness to carry as the labor class. On the other hand, the personal desires and universal conscience suggested by Choi Myungik became a chance to challenge the issue of reality by revealing flaws within the moral ideology of class consciousness. Despite this, factors for why "Seoul of Imo years" was not received well and was shied away from mainstream North Korean literature could be seen as follows: the character of democracy within the text seemed to be succeeding the opinions of the non mainstream groups; the text dealt with social revolution, hence being far from the greatest project of the nation at that time which was social reform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socialism; and his focusing on the universal and national consciousness without class consciousness.

      • KCI등재

        일반논문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보편적 질료-형상론 비판

        정현석 ( Hyun Sok Chung ) 한국헤겔학회 2011 헤겔연구 Vol.0 No.30

        보편적 질료-형상론은 1230년대 이후부터 1260년대 중반에 이르는 약 한세대에 이르는 기간동안 중세 유럽에서 유행했던 이론으로서 아우구스티누스와 보에티우스와 같은 기독교 세계의 권위를 근거로 12세기 이후로 유입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그 시대의 현실과 이에 따른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당시 학문의 중심지였던 파리대학과 옥스퍼드 대학의 교수들과 스콜라학자들의 사상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바 있다. 그런데 이렇게 큰 성공을 거두었던 중세의 보편적 질료-형상론에 대해 13세기의 대표적인 사상가 알베르투스 마그누스(Albertus Magnus)는 1246년에 집필한 『명제집 주해』으로부터 1260년대 말-70년대 초에 걸쳐 집필한 『신학대전』에 이르는 저작들에 이르기까지 집요하게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본 논문은 알베르투스가 보편적 질료-형상론에 대한 비판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11세기 무슬림 제국 치하의 스페인에서 활동했던 유대철학자 아비체브론(Avicebron)과 그의 저작 『생명의 원천』(Fons vitae)이라는 저자와 저작을 보편적 질료-형상론의 근본 원천으로 제시하는 논의를 그의 저작연대를 좇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일차적으로 알베르투스의 생애 내내 유지되고 있는 일관되고도 집요한 그의 공격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유럽세계의 사람들에게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했던 그의 필생의 동기가 발현한 구체적인 예로서 밝히고자 한다. 이와 아울러 그가 아비체브론과 『생명의 원천』을 그와 동시대에 활동하던 보편적 질료-형상론자들이 거론한 철학적/신학적 권위들로부터 보편적 질료-형상론을 유리시키고 고립시키는 데 활용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1230년 대 이후 기독교 세계의 권위를 업고 유럽의 정신세계를 장악했던 보편적 질료-형상론을 아리스토텔레스나 아베로에스와 같은 이교 철학에 입각한 자신의 입장으로 대체하려는 알베르투스의 철학적 야심과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L`hylemorphisme universel au Moyen Age a ete l`une des theories qui ont vu les plus grand succes au 13e siecle. Les partisans de cette theorie, en citant et en faisant les siennes non seulement les autorites chretiennes comme Augustin et Boece mais egalement celles paienne comme Aristote etc., ont fait une tradition ou se trouvent les penseurs si eminents comme Alexander de Hales, Roger Bacon, Bonaventure, Jean Peckham etc. Toutefois Albert le Grand, deja dans les annees 1240, se fait contrer cette theorie qui est soutenue par les autorites si ecrasantes et les partisans si nombreux. Et jusqu`a la fin de son carrier il a revisite de facon parfois passionnee voire de maniere obsessionnelle l`hylemorphisme universel en evoquant systematiquement Avicebron, un philosophe juif du 11e siecle en Espagne sous le domaine de l`Empire Musulman, comme la source ultime du l`hylemorphisme universel. Dans cet article, j`envisage d`analyser les arguments critiques lances par Albert le Grand a l`encontre de l`hylemorphisme universel, en particulier pour voir la maniere dont il utilise Avicebron et le Fons vitae pour ebranler ou detruire la tradition bien etablie depuis longtemps de cette theorie en question. Ce faisant, je montrerai d`abord comment fonctionne le nom d`Avicebron et le Fons vitae conformement au leitmotiv personnel d`Albert, c`est-a-dire son intention de faire connaitre les latins la veritable pensee d`Aristote. Et en continuation de cela, en particulier consacrant notre attention sur le developpement bien interessant que l`on peut remarquer dans ses oeuvres lorsqu`il s`agit de l`attitude et des expressions qu`il designe Avicebron, l`une de ses dernieres oeuvres, j`eclaircirai l`ambition si grande d`Albert le Grand en tant que philosophe et interprete d`Aristote, qui vise a fournir une solution alternative contre l`hylemorphisme universel, et a substituer une theorie dominante de la scene de la pensee medievale avec sa propre idee epaulee de penseurs paiens comme Aristote, Averroe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