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팀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협력적 조절의 매개효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공유정신모형, 만족도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지현,임규연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4

        Recently,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learning led researchers to pay attention i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co-regulation which are collaborative variables that have been derived from the variables for individual learning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structional design implications for successful team project-based learning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co-regulation, including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other regul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learning outcomes. In this study, learning outcomes are measured by task-related shared mental model, team-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50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team project-based learning, and then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task-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satisfaction. Second, other regulation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ffects task-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satisfaction by using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or other regulation. Thus, methods to facilitate the learner'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co-regulation are needed to improve task-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satisfaction in a team project-based learning environment. 최근 협력학습이 강조되는 추세에 따라 개인학습맥락에서의 변인을 협력학습맥락으로 확장하여 이해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조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팀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협력적 조절(협력적 자기조절, 타인조절)이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과제관련 공유정신모형, 팀원관련 공유정신모형,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규명하여, 성공적인 팀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위해 처방해야할 교수설계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대학강의의 수강생 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협력적 자기조절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과제관련 공유정신모형 간의 관계,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인조절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이를 통해 팀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협력적 자기조절 또는 타인조절 전략을 통하여 학습성과인 과제관련 공유정신모형과 만족도를 예측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팀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과제관련 공유정신모형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과정에서의 협력적 조절(협력적 자기조절, 타인조절)을 고려하여 이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예비 체육교사의 프로젝트기반학습 경험이 협력적 자아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주도학습 역량에 미치는 영향

        홍석호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7

        이 연구는 예비 체육교사의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경험한 협력적 자아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 역량 간의 관계 검증과 협력적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예비 체육교사의 프로젝트기반 학습경험이 프로젝트기반 수업의 장점을 반영한 수업설계를 할 수 있는역량 강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S대학의 체육교육과 전공교육학 강좌를 수강한 50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 역량 변인의 자기보고식 설문을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에 대한이중 검증으로 표적집단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협력적 의사소통능력이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미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소벨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프로젝트기반학습으로 설계된 학습경험을 통한 연구 결과 첫째, 중등 예비체육교사가 인식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 예비 체육교사가 인식한 협력적 의사소통능력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 역량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수준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는 프로젝트기반 수업설계시 협력적 자기효능감인식과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주도학습 역량 강화를 위해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인식하고 의사소통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학습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experienced in projectbased learn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how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s can enhance their competence to design lessons that reflect the advantages of project-based instruction.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on the variables of collaborative self-efficacy,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was administered to 50 students who took a course in the major of physical education at S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Targeted grou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double validation of the survey results.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and a micro-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check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the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 showed that: first,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collaborative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tatic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second,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kill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tatic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and third,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kill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tatic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enhance collaborative self-efficacy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in order to enhance collaborative self-efficacy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in project-based lesson design.

      • KCI등재후보

        협력적 프로젝트 기반 교육평가 수업의 개발ㆍ 적용이 예비교사의 정보활용 및 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허영주(HUR, Youngju)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0 핵심역량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협력적 프로젝트 기반의 교육평가 학습활동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이 학습이 예비교사의 정보활용 및 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N대학교 ‘교육평가’ 수업에 참여한 교직과정 이수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2019년 2학기에 협력적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진행하였고,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학습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두 가지이며,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교육평가 학습활동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협력적 프로젝트 학습은 예비교사들의 정보활용 역량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따라서 향후 교육평가 수업을 위한 프로젝트 활동은 예비교사들이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료들을 검색하고 분석하도록 하는 활동은 유지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둘째, 프로젝트 기반 학습활동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소통역량은 향상되지 않았다. 하위역량별 변화를 보면, 공감능력은 유의미하게 향상된 반면, 경청과 표현역량이 향상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교육평가 수업을 위한 프로젝트 활동은 팀원들이 함께 토론하고 협의하여 진행하도록 하는 활동은 유지하는 한편, 팀들 간에 발표할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경청 및 표현능력을 향상시킬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apply cooperative project based ‘Educational evaluation’ learning,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for improving information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7 students of N University who attended the ‘Educational evaluation’ clas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The effect of improving information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has been verified by pre-post measur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rranged in two ways, I made sugges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cooperative project based learning have improved information appli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For future cooperative project based learning of educational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engage students in activities to search and to analyze for the materials that are needed for the project. Second, cooperative project based learning haven’t improved communi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Let’s look at the change in the sub-competency, empathy ability improved and listening and expressive ability not improved. For future cooperative project based learning of educational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engage students in activities that team members discuss abd together, and to give students to present among the teams for listening and expressive ability improved.

      • KCI등재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용성, 몰입, 인지된 상호작용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김세영 ( Se Young Kim ),강명희 ( Myung Hee K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 맥락이 지닌 개인과 사회적 속성, 환경적 특징을 바탕으로 학습성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들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즉,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용성, 몰입, 인지된 상호작용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대학교 70명의 학부생들을 4명씩 18개 팀으로 나누어 총 6주간 폐쇄형 SNS인 네이버 밴드를 활용하여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프로젝트 실시 전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고, 팀별 밴드에서 구성원끼리 상호작용하며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팀 프로젝트 학습 마지막 주차에는 팀별로 최종 산출물을 발표하였으며, 발표가 끝난 후 학습자들은 지각된 유용성, 몰입, 인지된 상호작용과 만족도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단순매개분석과 다중매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인들 중 만족도에 있어서는 학년, 성취도에 있어서는 학년과 전공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 몰입, 인지된 상호작용은 만족도를 예측하고, 지각된 유용성과 몰입은 성취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몰입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도,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도, 지각된 유용성과 성취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인지된 상호작용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성공적인 팀 프로젝트 학습 운영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구체적인 교수설계 전략과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pose strategies of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for undergraduate students by examining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outcomes specifically, 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Variables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perceived usefulness,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were chosen as critical predictors of the learning outcomes. 70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18 groups and instructed to work on a team project using Naver Band for 6 weeks.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the procedures as suggested by Preacher and Hayes were used for testing simple mediation analysis an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ith SPSS Macro. The class year and major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interaction, flow, and perceived usefulnes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atisfaction. Second, flow and perceived usefulnes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achievement. Third,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f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demonstrated that flow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1)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satisfaction, (2)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achievement, and (3)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flow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achievement. Finally, perceived interaction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1)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satisfaction, and (2)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This study will hopefully aid i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educational use of closed-type SNS and serve as a cornerstone for future research in this realm.

      • KCI등재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이 협력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김현정 한국문헌정보학회 201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1 No.2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적용이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도서관 시스템 평가 과목의 수강생 26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설문과 사후설문을 실시하여 그 변화를 측정하였고,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고, 프로젝트 학습의 실제성이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세부요인들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젝트기반학습법은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세부하위요인들인 리더의 양상, 의견 교환, 의견 평가, 그리고 의견 통합에 대하여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과, 학습의 실제성 중 자원의 실제성이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in LIS education affects student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 a positive direction and if the authenticity of the project has any relationship with their self-efficacy for group work. 26 student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y took the “Evaluating Digital Library Systems” course with the same set of questions asking about their perceptions on the individuals’ capabilities to successfully perform group tasks an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project’s authenticity. The paired sample t-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in terms of their capabilities as a leader as well as exchanging, evaluating, and integrating ideas when performing group activities. In addition, the authenticity of the project’s task shows som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student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 KCI등재
      • KCI등재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 성과 예측요인 규명

        오성은,이정민,조보람 한국교육방법학회 2015 교육방법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 성과 예측요인으로 학업적효능감, 협력적효능감, 사회실 재감을 상정하고 예측력을 규명함으로써,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에서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지원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A 대학의 수업을 듣는 학부생 42명을 대상으로 총 8주간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을 진행하였다. 학습활동이 끝난 후 학업적효능감, 협력적효능감, 사회실재감과 학습만족도설문을 진행하였으며, 학습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 성과 중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학업적효능감, 사회실재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적효능감은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취도는 사회실재감만이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설계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group efficacy, and social presence on project-based learning outcomes(learn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rough Facebook. In order to examine this purpose, 42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through Facebook during 8 weeks. After the instruction, they responded surveys regarding academic self-efficacy, group efficacy,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ook academic achievement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as a data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ademic self-efficacy and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however group efficacy did not. second,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s learning achievement, however, academic and group efficacy did not.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instructor or instructional designers should focus on promoting social presence when design or implement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through Facebook.

      • KCI등재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협력적 프로젝트 수행 교수학습법 연구

        김지윤,윤호경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eed to devise some methods of teaching that fit the current era and prepare for the future education and implement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meet digital natives’ needs. To show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of the notion, a note-taking software platform to organize assignments, manage lesson plans and project based on learning. Notion is effective for using when carrying out cooperative projects because it is easy to structure ideas, visualize thoughts, use intuitive data, and share announcements and schedules. The ability to cooperate, which is essential for the future, can be cultivated through collaborative activities using digital tools. This study selected the crisis of the ecosystem as the subject that allows learners to present productive alternatives through coopera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class, in the survey,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mprovement of cooper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digital tools, and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literacy. By correcting and making up the problems foun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is study suggested a student directed project learning model using the digital tools and literature-based activities to foster digital literacy and have opportunities for humanistic reflection. 디지털시대에 교양교육은 온라인 수업 구축 및 디지털 인문학과관련해서 현 시대에 적합하고 미래를 예비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탐색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인터넷 네트워크로 인해 다중의 연대를모색할 수 있는 오늘날, 교양교육은 협업을 통한 창의적 교육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애자일방법론을 기반으로 노션(Notion)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높인 협력적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업무생산성, 협업관리 디지털 도구인 노션은 아이디어의 구조화, 사유의 가시화, 직관적 자료 활용, 공지사항 및 일정 공유 등이수월하여 협력적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활용하기에 용이하다. 협력적프로젝트의 주제로 가능한 다양한 주제 중에서도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흥미를 가질 만하면서 생산적인 대안 제시가 가능한 주제로생태계의 위기를 선정하였으며, 문제의식을 내면화하기 위하여 생태계의 문제를 다룬 현대시 작품들을 활용하였다. 수업을 진행한 결과, 설문 조사에서 학습자들은 협동력 향상, 노션 활용, 문학 작품 활용, 생태감수성 향상 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시간의 한계 상 실제 강의에서 수행하지 못했던 과정들을 보완하여 수업 모델을 설계・제시하였다. 수업 모델은 ‘작품 읽기-문제의식 체화하기-주제 확정 및 개요 작성-글쓰기 및 피드백-수정 및퇴고-콘텐츠 제작, 발표, 평가’로 구성되며, 각 단계는 교수자의 강의, 학습자의 개인 과제, 팀 과제, 발표, 평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연구는 창의적 교양교육 방안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업무생산성, 협업관리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프로젝트 과정을 직접 관리하며 효과적인 협업을 수행하고 협력적 글쓰기 수행 및 콘텐츠 기획 제작 과정을 통해 배우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 모델을 제시하려 하였다는 점, 또한 문학을 활용하여 디지털 문식성과 인문정신을 함께 함양할 수있는 교양교육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PBL 과제를 활용한 디지털 협력적 읽기-쓰기 교수학습 모형 연구

        이지영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3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high-quality writing education by constructing a web-based PBL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in consideration of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and cooperative capabilities of society and the need to cultivate talent to solve practical problems. To this end, a web-based PBL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was designed and presented based on research results and theories related to web-based collaborative reading (WCW), project learning (PBL), and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the teaching-learning model, a plan to organize a semester and a step-by-step composition of a project were presented, and in practice, the role of the instructor and step-by-step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ere proposed. 본 연구는 사회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협력 역량에 대한 필요성과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의 요구를 고려하여 디지털 협력적 읽기-쓰기 교수학습 모형을 구성하여 질 높은 쓰기교육에 기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디지털 협력적 읽기-쓰기(DCW, Digital Collaborative Reading-Writing), 프로젝트학습(PBL, Project 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based Learning)과 관련된 연구 결과와 이론을 바탕으로 디지털 협력적 읽기-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수업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모형에는 한 학기의 구성 방안, 프로젝트의 단계적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고, 수업의 실제에는 과제 구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교수자의 역할과 단계별 교수학습 활동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이 경험하는 협력적 학습의 특성 및 교육적 효과 분석

        김훈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토론과 토의, 팀별 프로젝트 수행 등의 협력적 학습 경험이 대학생들의 학습 시간과 소규모 스터디 그룹 활동 정도, 고차원적 사고 활동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 한국교육개발원의 2018년도 NASEL 자료와 대학정보공시 자료를 함께 사용하였으며, 2수준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학생 간 학습 시간, 스터디 그룹 활동 정도, 고차원적인 사고 활동 정도의 차이는 학교 특성보다 학생 개인 및 학습 특성에 기인하고 있다. 둘째, 협력적 학습에서 경험하는 토론 및 토의, 팀별 프로젝트 수행 등은 학생들의 하루 평균 ‘학습 시간’을 증가시켰으나, 영향력의 크기는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셋째, 협력적 학습 경험은 ‘스터디 그룹 활동’을 보다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협력적 학습 경험은 수업 중 ‘고차원적 사고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첫째,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 방법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동료들과 토론하고 토의하며,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의 학습 활동 확대 및 고차원적 사고 활성화를 위해 교수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활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llege students’ experience on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class discussion and team project activities influence on their hours of learning, degree of study group participation and higher-level thinking skill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used 2018 NASEL data as well as public data on university information and adapted 2-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for analysis.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learning hours, degree of study group participation and higher-level thinking skills are more effectively explained by students’ individual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ather than institutional factors. Second, college students’ engagement in discussion and team project activities in the classroom setting increased their average ‘learning hours’ per day, but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was found to be limited. Third, college students’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 was found to further activate their ‘study group activities’. Fourth,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 was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llege students’ higher-level thinking activities in class hours. Followings are policy implications drawn from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raditional lecture-style teaching method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more participative learning methods which include discussion and team project activities. Second,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more active interaction among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to expand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nd vitalize their higher-level think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