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탐색

        양진희(Yang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경험한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통합학급 교사 6명이었으며, 15주 동안 협력교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 교사교육에 지원한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은 협력교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나, 협력교수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협력교수가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전제조건이라는 점에 동의하고 있었다. 둘째, 협력교수 교사교육에 참여한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은 협력교수 수행을 시도함으로써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끌려는 의지를 보였다.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은 통합학급 교사로서의 교육철학과 신념, 역할과 책임, 전문성 발달과 향상, 협력과 소통 등으로 세분화 되어 나타났으며, 각각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의 협력교수 수행은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따라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점과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실천은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의 협력적 체계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of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co-teaching performance in a teacher support program for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A teacher support program for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developed by Yang jin-hee(2008) was us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collaboration of the team of 6 co-teachers including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period of 15 weeks.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of co-teachers related to the changes in co-teaching performance.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classified and arranged by the purpose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rist, the philosophy and belief on co-teaching performance of co-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 was changed to mutual confidence and trust between the co-teachers. The co-teachers shared communication techniques on overall aspects about co-teaching. Second, the thought on role and the responsibility of co-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 was changed to the designation of the rol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imit of responsibility. The co-teachers shared the method of trouble-shooting on overall aspects about co-teaching.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t supporting systems that are responsive to the requests of instructors while co-teaching with co-teachers.

      • KCI등재후보

        학습자중심 혁신교수법의 협력적 수업코칭 사례연구

        김인숙(Insook Kim)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1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대학에서 협력적 수업코칭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대학 교수자의 협력적 수업코칭 참여 동기, 참여 과정, 참여 결과 및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협력적 수업코칭 운영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협력적 수업코칭 프로그램의 운영 과정에 참여한 교수자의 협력적 수업코칭 프로그램 신청서, 계획서, 설문지, 인터뷰 결과, 결과보고서 및 성찰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협력적 수업코칭에 참여한 교수의 참여동기는 COVID-19로 인한 새로운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적응, 원격교육과 재택학습 지원을 위한 학습자중심 교수법과 에듀테크 활용 기술 습득, 대학내 교수법 개선의 중심이 되는 전공 혁신교수법 적용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적 수업코칭의 효과는 수업에 대한 열정과 에너지, 교육철학 및 교육자로서 정체성 강화, 교수학습법, 교수설계방법, 학습자 참여유도, 학습자 이해, 수업 운영 방안, 교육목적, 교수학습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성찰 측면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적 수업코칭의 운영방안은 목적 및 취지에 대한 공유, 참여자의 그라운드 룰 공유, 프로그램 주요 절차 및 운영 방법 안내, 상호피드백, 제안 및 통찰 내용에 대한 수업적용 여부를 공유하는 후속 프로그램 운영, 성장 마인드셋에 기초한 코칭, 코치, 코치이 및 수업 전문가 컨설턴트의 수평적 관계 유지, 프로그램 결과 공유, 코치, 코치이 및 수업 전문가의 협력적 운영으로 도출되었다. 한편, 후속 연구로는 협력적 수업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자의 수업개선 및 교수역량 개선 효과를 검증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와 교수자가 자발적으로 협력적 수업코칭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통한 교수학습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collaborative coaching programs in universities to identify the motivation, participation process, participation results, and effectiveness of professors participation in collaborative coach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pplications, plans, questionnaires, interview results, results reports, and reflections of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coaching program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irs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collaborative coaching was to adapt to the new teaching environment due to Corona 19, acquir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edu-tech skills to support remote and home learning, and apply innovative teaching methods in universities. Second, collaborative coaching has shown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passion and energy for classes, educational philosophy and strengthening identity as educators, teaching methods, teaching design methods, learner engagement, learner understanding, teaching purposes, teaching courses and outcomes. Third, the operation of collaborative coaching was shared with the purpose and purpose of collaborative coaching, ground rules shared by collaborative coaching participants, program maintenance, follow-up program operations with feedback, suggestions and insigh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by strengthening the teaching capacity of professors.

      • KCI등재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 교수 실행요인에 관한 분석

        정대영,이지은,이상로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plans to revitalize co-teaching in the real education field, by figuring out implementation stage of the previous studies which executed co-teaching, and analyzing viable implementation factors, for instance, role, consultation method and management plans of teachers. Method: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19 theses among theses published during the last 10 years focused on "co-teaching". Pursuant to the manual for supporting co-teaching the implementation factors co-teaching described in the selected the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ree phases of evaluation based on co-teaching preparation, co-teaching execution and co-teaching management results. Results: Firstly, the factors of preparatory stage for co-teaching included selection of students for co-teaching, selection of implementation teachers for co-teaching, consultation between co-teaching teachers, request for support for co-teaching, co-teaching program plans and co-teaching plan guide. Factors of execution stage refer to the process of execution of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teachers diverse strategies, techniques and collaboration types. The evaluation stage corresponds to the stage of which student achievement and factors of program quality improvement are assess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for in-depth qualitative studies regarding co-teaching, and expansion of subject of study towards inclusive class teacher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 교수를 실시한 선행연구의 실행단계를 살펴보고 각 실행단계에서 교사들의 역할, 협의 방법, 관리계획 등 실천 가능한 실행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현장에서 협력 교수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 논문들 중에서 ‘협력 교수’, ‘협력 중심’, ‘협력적 교수’를 주제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한 교실에서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제로 협력 교수를 실행한 절차를 기술한 연구로 제한하여 최종 19편의 논문을 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들을 협력 교수 지원을 위한 매뉴얼(국립특수교육원, 2016)에 따라 협력 교수 준비, 협력 교수 실시, 협력 교수 운영 결과 평가 3단계에 따라 협력 교수가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실행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협력 교수를 실시한 선행연구의 실행단계의 실행요인을 분석한 결과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 교수 준비단계의 요인은 협력 교수 대상 학생 선정, 협력 교수 실행 교사의 선정, 협력 교수 교사 간 협의, 협력 교수 지원 요청, 협력 교수 프로그램 계획, 협력 교수 계획 안내를 포함하고 각 요인별 실행 방법을 알아보았다. 실시 단계 요인은 교사의 역할과 책임, 다양한 전략과 기술, 협력 유형을 실천하는 과정으로 계획한 수업내용, 수업전략, 수업자료, 수업형태, 교사역할을 단위 수업에 직접 실행하는 단계로 준비 단계 요인들을 실행에 옮기는 단계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학생 성취 측면과 프로그램 운영 측면을 평가하는 단계로 학생의 학업적 성취 수준 및 도달 정도와 교사의 전문성 신장요인, 협력 교수에 대한 만족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협력 교수에 대한 심도 있는 질적 연구와 연구대상을 통합학급 교사까지 확대한 연구가 후속적으로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 교수 경험 분석

        정대영(Jung, Dae-young),이지은(Lee, Ji-eu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 교수 경험을 바탕으로, 협력 교수 실행에서 나타난 중심현상과 이에 영향을 끼치는 관련 변인을 알아보고,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 교수 경험에 대한 상황모형과 협력 교수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Strauss와 Corbin(1998, 2014)의 근거이론에 입각한 질적연구 방법으로 협력 교수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네 명, 통합학급 교사 네 명의 면담과 연구 참여자의 반성적 일지와 수업성찰 일지, 연구자의 면담 일지와 연구 일지, 공개수업 참관 및 세미나 참석을 통해 자료 수집, 분석 및 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결과 특수교사는 151개의 개념, 59개의 하위범주, 20개의 범주로 도출되었고 통합학급 교사의 경우 95개의 개념, 38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 교수에 대한 중심현상은 공통적으로 ‘협력 교수 시행착오’였다. 이에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과 맥락적 조건이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에게 각각 나타났으며 ‘협력 교수 시행착오’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수교사는 ‘학부모 연수’, ‘교사 연수’, ‘일반 학생 장애이해교육’, ‘협력 교수 계획’, ‘협력 교수 협의’, ‘협력교수 실시 전략’, ‘교사 관계 기술’이 도출되었고 통합학급 교사는 ‘협력 교수 협의방법’, ‘협력 교수 계획 및 실시 전략’, ‘교사관계 기술’이 그 전략이 나타났다. 이러한 전략을 조정하는 중재조건들이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그 중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 조건이 ‘교사 관계’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 결과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협력교수 전문가로 성장하기’가 도출되었다. 협력 교수의 이론적 모형이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성공적인 협력 교수를 시행착오 줄이기’에 대한 상황모형이 개인차원, 기관차원, 사회차원으로 나타났다. 개인차원으로는 특수교사 요인, 통합학급 교사 요인, 학생 요인, 학부모 인식에 영향을 받으며 기관차원으로는 학교 업무, 연수지원, 학교장 태도에 영향을 받으며 사회차원으로는 통합교육 중요성 인식과 행정적 제도적 지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협력 교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특수교사, 통합학급 교사가 서로 신뢰하는 관계로 형성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해 기관과 사회적 차원에서 다양한 전략이 촉매제 역할을 하며 갈등을 극복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특수교사가 주도적으로 움직일 때 통합학급 교사가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였고 일반 학생들의 장애인식이 개선되어 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도가 커지고 학부모, 학교장의 인식이 변화여 협력 교수가 활성화 되었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erience of co-teaching between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Following issues in co-teaching were studied in order to identify the central phenomena and their relevant factors involved in co-teaching to fomulate conditional matrix of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co-teaching and strategy to promote co-teaching in field. Method: This research carried out the study participants’ reflective diaries and class reflection diaries, researcher interview diaries and research diaries, open class visits and seminar attendance.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special teachers and four general teachers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The interviews were designed and conduct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 (1998, 2014). Collected data were simultaneously analys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saturation. A theory was created from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process of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categorizing and organizing concepts, and formulation of conditional matrix. Result: As a result of open coding, 151 concepts, 59 subcategories, and 20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special teachers. In the case of general teachers, 95 concepts, 38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derived. followings ar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s and conditions affecting co-teaching. The central phenomenon of cooperative teaching between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was ‘Trial and Error of Co-teaching’.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using various strategies, both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Growth as a Co-teaching Specialist’ were deriv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tegorized and structured co-teaching experience by analyzing teachers’ experience in the field of education where co-teaching is poor, even though co-teaching is ess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tegrated education. Variou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ere highlighted based on empirically observed difficulties. In particular, various solution strategies presented practical and specific support measures.

      • KCI등재

        UDL상황에서 차이화된 수업을 위한 협력교수의 적용 가능성 연구

        민천식 ( Min¸ Chun-si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UDL상황에서 차이화된 수업을 위한 협력교수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려는 이론 연구로써,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협력 교사의 자질, 협력교수의 전략, 협력교수의 적용을 위한 협력 교사의 역할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UDL상황에서 수업을 차이화하기 위한 협력 교사의 자질은 협력 과정에서 긍정적 상호의존성, 대인관계 기술, 의사소통 및 리더십 기술, 창의적인 문제해결 기술, 갈등(분쟁)해결 기술을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모든 학생들의 교육과정 접근을 촉진하는 협력교수의 유형으로는 네 가지가 제안되고 있는데, 한 교사가 전체 수업을 주도해 나갈 때, 협력 교사가 학생들 사이를 돌면서 지원하는 지원적 협력교수, 두 명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이 학급의 다른 부분에서 학생들의 다른 그룹들과 함께 공부하는 평행 협력교수, 협력교사들이 다른 협력교사들에 의해서 제공된 교수를 향상시키는 상보적 협력교수, 전통적인 교사들이 홀로 해왔던 계획, 교수, 평가 등을 두 명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이 하는 팀 협력교수이다. 셋째, UDL상황에서 협력교수 적용을 위한 협력 교사의 역할은 학습 내용, 과정, 결과를 차이화하기 위한 기능적인 결정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지원할 학생에 관한 정보 수집 방법을 학교의 다른 교직원들과 공유하고 배분하는 역할과 누가, 언제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해 대화하고 관련된 업무를 통해 추가 정보를 얻으며, 적절한 시기에 학습자에 관한 정보를 내용과 자료에 접목하는 역할, 공학기술과 동료 중재 수업이 수업 속에 융합될 수 있도록 또래 학생들이 협력 교사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 그리고 장애학생의 장애가 평가에 방해를 받지 않는 방식으로 학생의 평가를 의도적으로 조정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 theoretical study to find out applicability of co-teaching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situ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co-teachers to differentiating instructions in UDL situations is that they must be able to practice positive interdependence, interpersonal skills,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skill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conflict resolution skills in the collaborative process. Second, four co-teachings are proposed to facilitate access to the curriculum of all students: supportive co-teaching, parallel co-teaching, complementary co-teaching, and team co-teaching. Third, the role of the co-teacher for the application of the co-teaching in the UDL situation is to enable functional decisions to be made to differentiate learning contents, processes, and results; The role of sharing and distributing with students, who talks about who, when and what will be done, gets additional information through related tasks, and incorporates information about learners into content and materials at the right time, engineering skills and peer intervention classes. It is to allow students of their age to play the role of cooperative teachers so that they can be integrated into this class, and to intentionally adjust the student's evaluation in a way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evaluation of the disability of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 KCI등재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협력교수 실제

        최승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04 특수교육학연구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lay of gratification in normal preschoolers and maladjusted preschoolers. And maladjusted preschoolers were compared with normal preschoolers on delay of gratification tasks. The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lay of gratification between normal preschoolers and maladjusted preschoolers? Second, what are the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s in delay of gratification in normal preschoolers and maladjusted preschoolers?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normal preschoolers and maladjusted preschooler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72 preschoolers. The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 group of 207 normal preschoolers and a group of 65 maladjusted preschoolers. Preschoolers were examined delay of gratification behavior in the natural and artificial situ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lay of gratification between normal preschoolers and maladjusted preschoolers. Second, age and mothers' parenting style were foun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delay of gratification of normal preschoolers. However, none of the demographical factors were foun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delay of gratification of maladjusted preschooler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rewards should be selected to maximize the conflicts in the situation of delay of gratification. Second, the larger number of sample should be used for the higher reliability of study results. Third, additional factors which might be related to the delayed gratification behavior of maladjusted preschoolers should be reviewed. 본 연구는 실제 협력교수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통합학급교사와 관리자 (교장, 교감)들의 협력교수에 관한 목적, 특성, 실행, 효과, 문제점에 관한 인식을 알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46명의 특수교사, 34명의 통합학급교사와 19명의 관리자가 참여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협력교사와 관리자를 위한 설문지를 각각 작성하였고, 대상자중 41명은 (교사 30명, 관리자 11명) 직접면접에 참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위한 대상자들의 의견들은 각 대상자의 직책에 따라 (특수교사, 통합학급교사, 관리자) 비교분석 되었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연구 대상자들은 협력교수를 교사와 장애학생들의 통합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협력교수 특성에 있어서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협력교수의 특성과 실제 수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특성에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협력교수 실행에 있어 협력교수를 위한 교사 간 역할 분담, 교수 사전계획, 교과 과정과 활동의 조정 및 수정, 학생의 진보 평가, 협력교사간의 의견교환 등에 있어서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간의 의견 차이가 보였다. 협력교수의 효과성에 관해서는 장애학생의 사회적 능력의 향상과 비장애 학생의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이 가장 큰 효과로 언급되었고, 문제점으로는 교사간의 장애아동의 통합 교육에 대한 철학의 차이와 협력교수 실행을 위한 사전 계획시간의 부족이 주요한 문제점으로 언급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효과적인 협력교수를 위한 노력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 KCI등재

        통합학급의 진로와 직업 교과 협력교수에서 얻게 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임현숙(Lim, Hyeon Sook),임경원(Lim, Kyoung Won) 한국통합교육학회 2020 통합교육연구 Vol.15 No.1

        This study is an action research that a special teacher and a career teacher practice the co-teaching method in their inclusive classes about ‘vocation and career’ for the 1st graders of the middle school.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practical knowledge and implications the special teacher gets on the progress. 48 students including 2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2 integrative classes joined. Also, 2 cooperative teachers taught them with 6 class observers. The lessons were proceeded 4 times each in class for 2 months, therefore lessons were executed 8 times in total.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comprehensive analysis steps based on principle of practical compromise. It was deducted that 2 upper categories, -‘make a truly inclusive classes through co-teaching’ and ‘the special teacher, reflect on co-teaching’- 5 lower categories and 27 meaning unit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below: We create a truly inclusive classes through co-teaching. First, constant consultation and clear role sharing among co-teachers is required. Secondly, it is proper that co-teaching should be progressed gradually from simple activities without burden to prepare to complex subject classes. Finally, required ability by special teachers who do co-teaching is instructional adaptation. Additionally, we confirm providing suitable learning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learning needs and disabilities is necessary. In the follow-up study, we need to improve the generalization of co-teaching by implementing long-term instruction with diverse subjects and students in various grades. 이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이 참여하는 중학교 1학년의 진로와 직업 교과 수업에 진로교사와 특수교사가 함께 협력교수 모형을 적용해 본 실행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협력교수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특수교사가 얻게 된 실천적 지식을 살펴보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협력수업 실행교사 2명, 수업관찰자 6명, 2명의 특수교육대상학생이 포함된 통합학급 2학급 학생 48명이었으며, 2개월 동안 2개 학급에서 각 4회기씩 총 8회 수업을 실행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는 실용적 절충주의에 입각한 포괄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협력교수로 진정한 의미의 통합수업 만들어 가기’, ‘특수교사, 협력교수를 되새김하다’의 2개 상위 범주와 5개 하위 범주, 27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협력교수를 통하여 진정한 의미의 통합수업을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첫째, 협력 교사 간에 지속적인 협의와 명확한 역할 분담이 필요하며, 둘째, 협력교수는 수업 준비에 부담이 없는 활동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차 교과수업으로 확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고, 셋째, 협력교수 실행을 위해 특수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교수적 수정과 관련된 역량이며,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개별적 학습욕구와 특성에 맞는 학습 자료의 제공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교과와 학년을 대상으로 더욱 장기간에 걸친 협력교수를 실행해 봄으로써 협력교수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여갈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송명숙,이숙향 한국통합교육학회 2022 통합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총 14명(7쌍)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의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교사와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면담자료 및 현장노트 등 다양한 질적 자료를 분석하여 5개의 대주제를 도출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참여 이전 장애학생은 통합학급에서 위축되어 있고 교사들은 통합학급의 수업을 부담스러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은 협력교수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 기회이며 개별적 지원으로 실행가능성을 높였다. 셋째, 교사들은 협력교수 실행 자신감 및 통합교육 전문성이 향상되었다. 넷째, 협력교수 실행에 따라 장애학생의 태도변화와 비장애학생의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 증진 등의 학생 성과를 이루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집중적인 프로그램 운영과 행정적・제도적인 지원요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사와 학생의 성과를 논의하고, 협력교수 실행을 위한 지원방안으로 1) 일원화된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현장요구를 고려한 운영, 2) 협력교수 지원을 위한 학교차원의 행정적 지원 강화, 3) 협력교수를 위한 교육정책 및 제도적 지원 강화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14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seven pairs), who participated in ‘Co-teaching Support Program to strengthen teacher’s competency for inclusive education’. For this study, all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nd all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Five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fore program particip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timidated in an inclusive classroom, and teachers felt burdened in preparing lessons in an inclusive classroom. Second, the co-teaching support program becam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practice co-teaching, and the practicability has been increased with individu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improved self-confidence in implementing co-teaching and professionalism in inclusive education. Fourth,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co-teaching, students outcomes such as change in attitud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improvement of peer relationships were achieved. Fifth, teachers have support needs such as intensive program operation, and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utcomes of the program for teachers and students were discussed and ways of supporting co-teaching implementation were proposed such as (i) conducting in consideration the necessity of a unified co-teaching support program and the needs of the field, (ii) strengthening administrative supports at the school level to implement co-teaching, and (iii) reinforcement of educational policies and institutional supports for implementing co-teaching.

      • KCI등재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협력교수 중재 연구 동향 고찰

        송명숙(Song Myoung-Suk),이숙향(Lee Suk-Hyang) 한국통합교육학회 2019 통합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협력교수 관련 연구 중 통합교육 상황에서 실시된 협력교수 중재 연구 총 12편을 선정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 및 중재특성, 현장적용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문헌분석 결과 첫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협력교수 중재 연구는 주로 집단설계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유·초등학교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연구참여자 중에서 중재효과를 측정한 대상은 대부분 장애학생이었으며, 교사를 대상으로 중재효과를 측정한 연구는 매우 낮았다. 둘째, 독립변인 중재유형은 교과목과 연계하여 협력교수를 실시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종속변인은 학업 성취도, 참여도, 인식과 태도 등으로 매우 다양했다. 셋째, 협력교수의 현장적용 방안을 위한 실행요인 분석결과 대부분 교사간 협의와 협력교수 프로그램 계획, 역할과 책임공유 및 특별한 전략이나 기술사용, 학생성취 및 프로그램 운영 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특성에 따라 다양한 협력교수 유형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협력교수의 현장적용 및 후속연구 방향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논의되었다:1) 협력교수 적용대상의 확대, 2) 학교급 특성에 따른 효율적인 협력교수 연계, 3) 협력교수 실행요인 및 유형별적용, 4) 행·재정적 지원체계 확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and intervention features regarding co-teaching implemented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2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2002 to 2019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First, most studies used group comparison design and implemented in preschools or elementary schools. Aslo, intervention effects were measured mostl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tudies examined the intervention effects for teachers were very few. Second, regarding independent variables, the most common intervention type was co-teaching linked to subject areas. Various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participation, cognition and attitude. Third, as core implementation factors for inclusive education, teachers’meetings for co-teaching, co-teaching program plan, role and responsibility sharing, and special strategies or skills, student achievement, and program management were addressed in most studies. Various co-teaching types were used considering different lesson plans or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as follows:1) extending the participants who co-teaching targeted for, 2) implementing effective co-teaching considering school features across difference school levels, 3) applying implementation factors and types of co-teaching, and 4) enhancing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ing system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수협력감과 자아효능감 및 교사효능감 관계

        김현경 ( Kim Hyun-kyo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4 아동교육 Vol.33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른 교수협력감과 자아효능감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유아 교사의 협력감 증진에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유치원에 재직하는 교사 235명을 대상을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협력감은 학력과 경력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교수활동에 대한 확신과 의사결정에의 참여 및 팀티칭을 위한 협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협력감은 자아효능감과 교사효능감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활동에 대한 확신과 교수협력감 전체는 자아효능감과 교사효능감과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유보통합을 위해 부처의 통합을 비롯하여 정책적 실행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위해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예비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기본소양을 위해 직전교육의 충족연한이 사범계열 학사과정 년한으로 안정화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교사의 협력과 교수활동에 대한 확신 및 팀티칭협력 등의 교수협력감은 외현적으로 관찰 가능한 직무행동이지만, 개별 교사의 자아효능감과 교사효능감이 대인간 교수협력감 간에 상관성을 보인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의 협력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훈련이 필요함과 아울러 이에 대한 정책지원도 뒤따라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연구결과의 논의점에 대해 살펴보고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promoting the sense of co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ooperation, self-efficacy,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and studied on 235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in the metropolitan area. First, the research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teaching coopera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higher the confidence in teaching activitie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nd a sense of cooperation for team teaching.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teaching cooperation was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teacher efficacy. In particular, the overall sense of confidence and teaching cooperation in teaching activities was found to be very clos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teacher efficacy. These results can be seen as a result of showing that the satisfaction period of the previous education should be stabilized to the academic year of the teacher field for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and basic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at a time when policy implementation, including the integration of ministries, is being discussed in earnest for the integration of reservations. This sense of teaching cooperation, such as teacher cooperation, confidence in teaching activities, and team-teaching cooperation, are externally observable job behaviors,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show that individual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 efficacy correlate between interpersonal teaching cooperation, show that continuous support and training are needed to promote teachers' cooper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as well as policy support for this. Accordingly, the discussion points of the research results were examined,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