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 Situ Solute Migration Experiments in Fractured Rock at KURT: Installation of Experimental System and In Situ Solute Migration Experiments

        Jae-Kwang Lee,Min-Hoon Baik,Tae-Yeop Lee,Kyung-Woo Park,Jongtae Jeong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3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1 No.3

        암반 단열을 통한 용질의 이동 및 지연 특성 규명을 위한 현장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현장 용질이동 실험 장치를 설계하여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지 내에 건설된 지하연구시설(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KURT)에 설치하였다. 현장 용질이동 실험 장치를 주입부, 회수부 그리고, 자료처리부 등 3개의 주요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지하수 유동이 있는 단열을 선정하기 위하여 총 5개의 공을 시추하였으며, BIPS(Borehole Image Processing System)를 이용한 시추공 영상 분석을 통하여 시추공의 단열 특성을 조사하였다. 시추공 영상 분석 결과를 통하여 단열 연결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YH 3-1 시추공과 YH 3-2 시추공에 존재하는 단열이 상호 연결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리시험을 통하여 현장 실험 대상 단열을 선정하였으며, 용질이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플루오레신, 에오신, 브롬 등의 비수착성 추적자 및 루비듐, 니켈, 사마륨, 지르코늄 등의 수착성 추적자를 이용하여 현장 용질이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 공항포장용 현장재생골재의 골재특성실험 및 콘크리트 기초물성 실험 연구

        이활웅,박진호,양성철,김남호,배종오,송명근 한국도로학회 2013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3 No.09

        공항포장 재시공 중 재생골재의 사용 시 운송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를 위하여 공장을 경유하지 않는 현장재생설비의 사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천연골재(화강암), 현장재생골재(○○공항), 공장재 생골재(중간처리업체) 세 등급으로 나누어 골재의 특성 및 콘크리트의 기초물성을 실험하였다. 다음 표 1은 골 재의 특성실험 및 콘크리트 기초물성 실험 결과 값이며 그림 1은 현장재생골재의 입도곡선, 그림 2는 슬럼프 경시변화 결과그래프이다. 골재 특성실험 결과 현장재생골재는 적정 슬럼프 및 공기량을 보였으며 마모율 및 안정성, 입도곡선에서도 기준치를 만족하였으나 공장재생골재는 안정성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슬럼프 경시변화에서현장재 생골재의 경우 40분 이후 슬럼프 변화량이 급하게 감소하여 시공에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흡수율의 경우 미국 대부분 기관에서 재생골재의 흡수율 기준을 두지 않고 있기 때문에 현장재생골재의 흡수율이 초과하더라도 천연골재와 동일수준의 품질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콘크리트 기초물성 실험 결과 천연골재, 현장재생골재, 공장재생골재 모두 압축강도, 휨강도, 탄성계수 기준치를 만족시키는 결과가 나왔으며 특히 현장재생골재의 경우 압축강도와 휨강도에서 천연골재와 유사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고 탄성계수실험에서는 천연골재 대비 88%의 성능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Hands-on을 강조한 화학 실험 활동 자료의 개발과 적용

        심재호,한재영,최정훈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7 敎員敎育 Vol.23 No.4

        과학 수업을 위한 실험 활동 자료가 많이 개발되고 교사 연수를 통하여 이들 자료가 보급되고 있지만, 개발된 자료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한지에 대한 적절성 검증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hands-on을 강조한 화학 실험 활동 자료를 개발하고, 개발된 자료를 현장 과학 교사 연수에 적용한 뒤,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로부터 실험 활동 자료에 대한 현장 적용의 타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우선 과학 교사 단체에서 개발한 많은 자료 중 학교 현장 적합성, 내용의 수준, 적용 가능한 수업 전략 등을 체크리스트를 통해 점검하여 7가지 화학 실험 주제를 선정하였다. 이 실험 주제를 연구진과 개발진의 워크숍, 학교 현장 적용을 통한 수정 보완을 통하여 hands-on에 기초하면서 개념, 탐구능력, 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형태로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실험 활동 자료를 현장 교사 연수에 적용하였다. 연수 참여 교사들의 설문 결과, 개발된 실험 활동 자료는 모두 현장 적합성이 높으며, 실험 주제나 내용 구성에 따라 정규 수업, 특별 활동, 체험 활동에 대한 적합성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발한 실험 활동 자료를 바탕으로 실험 연수를 실시함으로써 개발한 자료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실험 활동 자료를 정교화 시킬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본제국군의 세균전 과정에서 731부대의 농안,신징 지역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의 역사적 의의

        서이종 ( Yi-jong Suh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3

        본 논문은 일본제국군 731부대가 특수시설에서 세균무기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생체실험을 실시하고 이어 중국대륙에서 실제 세균전을 실시하기에 앞서이루어진 1940년 농안과 신징 지역에서의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의 역사적 존재와 그 의의를 탐구한다. 지금까지 농안과 신징 지역의 대규모 페스트 발발에 대하여 731부대의 음모론이 제기되었으나 관련 증거의 부족으로 대체로 자연발생적이라는 주장이 지속되었다. 제2장에서 1940년 농안과 신징 지역의 페스트 발발은 731부대의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에 의한 것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2011년 새로 발견된 가네코 준이치의 논문을 통해서 주장하고 이전에 발견된 역사적 증거들과의 상응관계를 통해서 이를 입증하였다. 제3장에서는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이 실시된 배경으로 1930년대 세균전 가능성에 대한 국제적 논란 속에서 세균전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세균무기의 효과성뿐만 아니라 적절한 백신 개발 등 방어력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당시 세균전문가들의 주장을 소개하고, 일본제국군 제731부대의 세균전 준비과정과 세균무기 개발 그리고 사균 및 생균백신의 개발과정을 소개하였다. 제4장에서는 실제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의 실제 전개과정을 다룬 장으로 1940년 6월 중국인 밀집지역인 농안과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는 신징 지역을 선정하여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을 실시하고 농안은 집단 격리하여 사망자의 해부 등을 통해서 페스트균의 효과성을 철저히 검증하였으며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는 신징에서는 개발된 백신을 사용하여 대규모 방어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생균백신은 어떠한 인체실험도 없이 바로 대규모 현장실험에 사용되었다. 제5장 결론에서는 농안과 신징 지역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의 3가지 함의를 정리하고 이후 실시된 세균전 과정에서 어떤 결과를 초래하였는지를 소개하였다. This paper is to explore a historical existence and a historical meaning of the massive field bacteriological experiment in Nangan and Shinjing area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bacteriological warfare by Japanese Imperial army unit 731. Chapter 2 dealt with a historical existence of massive field bateriological experiment in Nongan and Shinjing area through newly found-out papers of Ganeko Junichi as a pivotal figure in unit 731. Chapter 3 dealt with the background of implementing massive field bacteriological experiment. Among western bacteriological experts there were common opinions of impossibility of bacteriological warfare mainly because of no effective vaccine for protecting themself against bacteriological weapons. Therefore in an entire development of biological warfare by Japanese Imperial army a massive field experiment was needed before bio-war for convincing the effectiveness of usable bio-weapons and the controlling power from it. Chapter 4 dealt with real process of implementing the massive field experiment in Nongan and Shinjing area. Nongan area was selected as a place for testing its effectiveness because it was a representative residential community of Chinese peoples with historically high possibilities of occurring peste diseases, while Shinjing as a representative residential place of Japanese peoples near Nongan was selected as a place for testing controlling power from it. After dispersing 5 g of peste germ in Nongan at June, 1940 and a massive occurrence of peste diseases, Nongan area was controlled and systematically investigated by unit 731, while Shinjing was protected with a massive scale of vaccines not only of dead germs but also of live germs, which was massively used into human experimentation without small scale of human experiment. In chapter 5 the historical meaning of massive field bacteriological experiment is concluded in a consideration on its meaning in followed bacteriological warfare in continental China.

      • KCI등재후보

        包括的核實驗禁止條約의 有效性과 限界

        李秉和(Lee Byung Hwa) 한국법학원 2007 저스티스 Vol.- No.100

        오늘날 核實驗禁止는 제2차 세계대전 후의 핵군축교섭 중에서 중심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으며, 핵군비경쟁의 질적 측면을 규제하는 조치이자 새로운 핵무기의 개발을 정지시키는 조치로서 중요시되고 있다. 한편 냉전이 종결되고 국제사회의 상황이 크게 변화하여 동서대립이 존재하지 않는 현재에 있어서는 기존에 주된 기능을 해온 다국간군축교섭기관인 제네바 軍縮委員會會議 및 軍縮會議의 존재의의가 의문시 되고 있다. 이러한 현황에서 종전보다 많은 나라들이 당사국으로 참여하는 보편적인 包括的核實驗禁止條約의 체결이 요구된 것이다. 그러나 핵실험금지조약의 당사국을 가능한 한 확대하고자 했던 본래의 의도가 반드시 유익한 결과만을 야기한 것은 아니며, 핵실험금지에 대한 각국의 입장이 너무나 다양하고 복잡한 현실에서 오히려 상호간에 결속력을 대폭 저하시키는 어려움을 겪게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包括的核實驗禁止條約의 成立背景을 살펴보고 동 조약의 主要內容을 전반적으로 검토하며, 다음으로 아직까지도 미발효 상태인 包括的核實驗禁止條約의 有效性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여러가지 해석론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끝으로 包括的核實驗禁止條約의 限界를 다루되 특히 檢證體制(國際監視體制ㆍ現場査察)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요컨대 包括的核實驗禁止條約은 스스로의 自體的 限界를 안고 있고 아직 未發效條約임에도 불구하고 법적으로나 실천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기존부터 인정되어온 인공위성 등의 國內技術措置를 통하여 지속적인 검증을 해야 함은 물론이고, 包括的核實驗禁止條約에서 규정하고 있는 檢證體制 가운데 특히 國際監視體制에 의거하여 조약발효 이전이라도 잠정적 운용을 계속함으로써 동 조약의 발효를 위한 사전준비를 꾸준히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궁극적으로는 국제사회 전체의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핵실험금지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변화를 꾀해야 할 것이고, 조속한 시일에 동 조약의 비준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해도 包括的核實驗禁止條約의 發效가 부당하게 지연되고 결국 그 발효가능성마저도 기대할 수 없게 된다면, 최후에는 엄격한 비준조건을 명시한 동 조약의 發效條項을 재고해보는 방법도 제안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Nowadays, nuclear test ban becomes a key concern in international nuclear disarmament negotiations after the World War Ⅱ, and also becomes underlined as a means to regulate qualitative aspects of nuclear armaments competition and suspend any development of up-to-the-minute nuclear weapons. On the other hand, at this moment of collapsed cold war without any East-West confrontation under radical situational changes of international society, it is often questionable to sustain existing major multinational disarmament negotiation organizations such as the Conference of the Committee on Disarmament(CCD) and Conference on Disarmament(CD). In this context, it was required to conclude universal Comprehensive Test Ban Treaty(CTBT) which involved membership of more countries than before. However, the original intention to extend membership in CTBT into more countries as possible didn't necessarily lead to beneficial results, and since there have been extremely various and complicated standpoints all over the membership countries in terms of realistic means for nuclear test ban, CTBT has resulted in unexpected challenges from radically undermined mutual solidarity among membership countries. This study addresses backgrounds behind the establishment of CTBT, reviews major considerations of the said treaty on the whole, and analyzes a variety of theoretical interpretations that are developed around the possible validity of CTBT that is not yet in effect around all membership countries. Finally, this study deals with the limitations of CTBT, particularly, Verification Regime(International Monitoring System/On-site Inspections) for it. Summing up, CTBT has its own limitations but very crucial functions in both legal and practical aspects, even though it is not yet in effect.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verify CTBT via conventional proven means like National Technical Means(NTM) including man-made satellite, and also keep tentative operation of CTBT even before its effectuation in accordance with the Verification Regime, particularly International Monitoring System as stipulated in CTBT so as to steadily prepare for its effectuation. Ultimately, it will be required to seek for fundamental change of paradigm about nuclear test ban from the universal viewpoint of international society's benefits, and accelerate preparations for ratification of CTBT in earlier days. Nevertheless, if the effectuation of CTBT is unduly delayed and even the possibility of such effectuation is hardly expected, it is advisable to propose a final solution for reviewing effectuation provisions of CTBT, which contains strict ratification terms and conditions.

      • KCI등재

        환경변화에 따른 조류 발생 변화

        노성유 ( Seongyu Noh ),신유나 ( Yuna Shin ),최희락 ( Heelak Choi ),이재윤 ( Jaeyoon Lee ),이재안 ( Jaean Lee ),류덕희 ( Doughee Rhew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3

        환경변화(체류 시간)에 따른 조류발생기작 및 이동특성 연구를 위해 현장규모 모의실험장치를 제작하여 낙동강 수계의 강정·고령보를 대상으로 체류 시간에 따른 조류발생 및 이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장규모 모의실험장치는 조류배양의 효율성 및 조류성장 관찰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투명아크릴로 제작하였다(직경 1 m, 높이 4 m, 가변형 원통수조, 3 sets). 빛 차단장치, 수심별 유입장치, 재이용수저류조 등의 부대시설을 설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체류 시간 조건은 2일(보설치 전, 실험조 1), 8일(보설치 후 2013년 체류 시간, 실험조 2), 30일(2014년 체류 시간, 실험조 3)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조별 수온은 실험조 1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험조 3에서는 표층(0 m)과 저층(4 m) 간 약 3℃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용존산소(DO), pH 변화 분석 결과 모든 실험조에서 표층 0 m에서 저수심(2 m, 4 m)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영양염류(TN, PO4-P)는 모든 실험조에서 부영양 상태를 나타냈다. Chlorophyll-a 분석 결과 실험조 1은 평균 19.8 μg/L, 실험조 2는 평균 35.0 μg/L, 실험조 3은 평균36.6 μg/L로 실험조 1 보다 실험조 2, 3에서 약 2배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환경 요인 중 체류 시간은 식물플랑크톤 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Pilot scale system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growth and movement of algae, depending on environmental changes(retention time, nutrient concentration, etc) in Gangjeong- Goryeong Weir of the Nakdong River. Considering the stability of algal culture and easy observation of algal growth, pilot scale system was made of transparent acrylic material(3 sets of flexible cylindrical water tanks with 1 m diameter and 4 m height). Auxiliary equipments include light intercepter, water inflow device for different water depth and storage of reclaimed water. The retention time was 2 days(before construction of weir; treatment 1), 8 days(after construction of weir, 2013; treatment 2) and 30 days(2014; treatment 3). According to the water temperature of treatment 1 were similar by depth, treatment 3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0 m) and bottom(4 m) more than 3 °C. DO, pH showed relatively high in the surface than the bottom. Nutrients showed eutrophic condition in all experiments. The Chlrophyll-a concentration of the treatment 1 showed a relatively lower value than the Chlrophylla concentration of the treatment 2 and 3. Therefore, the retention time was considered to influence the growth of phytoplankton.

      • KCI등재

        지하철 공사현장 환경하의 가시설 강재의 부식두께감소량 추정

        김인태,전상혁,허정옥,정진환,Kim, In Tae,Jeon, Sang Hyuck,Hur, Jung Ok,Cheung, Jin Hwan 한국강구조학회 2009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1 No.3

        가시설 구조물의 재료로 강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방식처리가 실시되지 않아 부식손상으로 인한 내하력 저하가 우려된다. 그러나 환경조건과 사용기간에 따른 가시설 강재의 부식감소량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가시설 강재의 설계시 부식손상을 고려한 정량적인 내하력 및 장기 안전성 평가가 곤란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혹한 대기부식환경인 지하철 공사현장을 대상으로 가시설 강재의 장기 안전성 평가에 필요한 부식 두께감소량 예측식을 제안하기 위하여, 실내부식실험과 현장노출실험을 실시하였다. 실내부식실험에서는 상대습도와 염화칼슘이 강재의 부식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현장노출실험에서는 실제 지하철 공사현장 환경하에 놓인 가시설 강재의 부식두께감소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1개월간의 현장노출실험을 통하여 환경조건과 사용기간에 따른 가시설 강재의 부식두께감소량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6개월간의 실내 부식실험을 통하여 부식영향인자인 상대습도와 염화칼슘에 따른 부식두께감소량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Steel has been widely used as a material in temporary structures. Corrosion attack often reduces the long-term durability of temporary steel members that are not protected from corrosion. In designing temporary steel structures,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ir long-term durability, since the thickness loss of steel members is not clear. In this study, laboratory and field exposure corrosion tests were performed on structural steel plate specimens, and the loss of thickness of specimens that were exposed to a subway construction site for 11 months and of specimens that were exposed to environments with controlled humidity and calcium chloride for six months were measured. Finally, a thickness loss equation was formulated based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testing periods.

      • KCI등재

        관측정 자연표류 실험을 통한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오염 지하수의 생물학적 복원 타당성 연구

        김영,김진욱,하철윤,김남희,홍광표,권수열,안영호,하준수,박후원,Kim Young,Kim Jin-Wook,Ha Chul-Yoon,Kim Nam-Hee,Hong Kwang-Pyo,Kwon Soo-Yul,Ahn Young-Ho,Ha Joon-Su,Park Hoo-Wo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 지하수토양환경 Vol.10 No.3

        본 연구는 현장 관측정 자연표류 실험 (SWNDT, Single-Well Natural Drift Test) 을 이용하여 트리클로로에틸렌 (TCE, trichloroethylene) 으로 오염된 지하수의 생물학적 복원 가능성 조사 방법 및 결과 해석법을 제시하였다. 현장 SWNDT 실험에 사용한 용액은 일정 양의 추적자 (브롬이온), 생분해 기질 (톨루엔, 에틸렌, 용존산소, 질산성질소) 을 현장 지하수에 용해시켜 준비한다. 준비된 실험용액을 대수층에 주입하고, 주입 시 시료를 채취하여 추적자와 생 분해 기질들의 초기 농도를 측정한다 주업 후 시간에 따라서 시료를 채취하여 추적자, 생분해 기질, 생분해 부산물들의 농도를 측정한다. 현장 SWNDT 실험은 생분해 기질과 추적자의 상대적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Push-pull Transport Test (PPTT), 토착 미생물의 양과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Drift Biostimulation Test (DBT), 트리클로로에틸렌과 미생물 반응이 유사하리라 예상되는 기질을 시험하기 위한 Drift Surrogate Activity Test (DSAT) 순으로 진행되었다 SWNDT 실험 양수 시 추적자로 사용한 브롬이용의 농도변화 곡선은 톨루엔, 에틸렌, 용존산소, 질산성 질소 농도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즉 대수층에서의 생분해 기질들의 이송이 추적자와 유사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토착 톨루엔산화 미생물의 존재를 톨루엔 농도의 감소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발생 및 용존산소 농도의 감소로 확인하였고, 그 톨루엔 산화 미생물은 트리클로로에틸렌 생분해 유사기질로 사용된 에틸렌을 분해하며, 부산물로 산화에틸렌 (ethylene oxide) 을 생성하였다. 이는 DBT 실험을 통하여 활성화된 톨루엔 분해 미생물이 트리클로로에틸렌 분해능이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현장 SWNDT 실험 방법 및 결과 해석 방법은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대표되는 염화 지방족 탄회수소화합물(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s, CAHs)로 오염된 지하수의 생물학적 복원 타당성 평가를 위한 경제적이고 용이한 현장 실험 방법이다. The feasibility of stimulating in situ aerobic cometabolic activity of indigenous microorganisms was investigated in a trichloroethylene (TCE)-contaminated aquifer. A series of single-well natural drift tests (SWNDTs) was conducted by injecting site groundwater amended with a bromide tracer and combinations of toluene, oxygen, nitrate, ethylene and TCE into an existing monitoring well and by sampling the same well over time. Three field tests, Push-pull Transport Test, Drift Biostimulation Test, and Drift Surrogate Activity Test, were performed in sequence. Initial rate of toluene degradation was much faster than the rate of bromide dilution resulting from natural groundwater drift, indicating stimulation of indigenous toluene-oxidizing microorganisms. Transformation of ethylene, a surrogate probing overall activity of TCE transformation, was also observed, and its transformation results in the production of ethylene oxide, suggesting that some tolueneoxidizing microorganisms stimulated may express a orthomonooxygenase enzyme. Also in situ transformation of TCE was confirmed by greater retardation of TCE than bromide after the stimulation of toluene-oxidizing microorganis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this environment, toluene and oxygen additions stimulated the growth and aerobic cometabolic activity of indigenous microorganisms expressing orthomonooxygenase enzymes. The simple, low-cost field test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s an effective method for conducting rapid field assessments and pilot testing of aerobic cometabolism, which has previously hindered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to groundwater remediation.

      • KCI등재

        코칭이 자기효능감, 조직유효성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현장실험 연구

        조성진(Seong Jhin Joh),송계충(Kye Chung So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1 인사조직연구 Vol.19 No.2

        이 논문에서는 독립변수인 코칭이 종속변수인 자기효능감, 직무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가족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유사 현장실험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한 지방자치단체 단기 연수과정에 등록한 43명의 공무원은 코칭을 받는 실험집단에 배정되었고, 차기 연수과정에 들어오는 42명은 코칭을 받지 않는 통제집단에 배정되었다. 실험상의 조작변수인 코칭은 조성진(2008)이 개발한 21시간 ‘파워웰빙코칭’ 교육 프로그램과 8주에 걸친 주 1회씩의 1 : 1 ‘iCAN 전략적 모형’ 코칭 대화 프로세스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코칭의 조작적 정의는 목표설정(goal setting) 이론과 자기조절(self-regulation) 개념에 근거한 Grant(2006)의 목표지향 접근법과 Cavanagh & Grant(2010)의 해법중심 접근법에 근거하였다. 실험연구를 위하여 두 집단을 대상으로 코칭 전 및 코칭 후 두 시점에서 5개의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및 사후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코칭 전 종속변수의 측정에서 가족관계를 제외하고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나머지 4개의 변수는 두 집단 간 동질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test 결과 5개의 종속변수 모두에서 통제집단은 두 시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실험집단은 두 시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실험집단의 사전 및 사후 시점간의 5개 종속변수의 변화는 코칭에 기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사전 측정에서 실험 및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던 가족관계에 대해서는 사전 시점의 가족관계를 통제변수로 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사후 시점의 가족관계의 주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의 과정으로 실험집단에 대한 코칭의 효과가 증명되었으며 이는 과거의 상관관계 분석에 의한 검증과 달리 실험을 통한 인과관계의 검증이라는 점에서 차별화되었다. 그리고 연구 결과의 이론적 및 연구방법론적 확장 가능성과 학습코칭, 라이프코칭, 셀프코칭, 가족코칭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field experimental study investigated the positive effect of coaching (independent variable) on self-efficacy, perceived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amily relations. In a quasi-experimental design, 43 government employee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42 government employees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A coaching training program (Joh, 2008) provided to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1 hours structured POWER WELL-BEING. This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1st author of this paper. The POWER WELL-BEING Coaching program was based on goal-oriented approach(Grant, 2006) and solution-focused approach (Cavanagh & Grant, 2010). In addition to the POWER WELL-BEING, one-on-one coaching, known as ‘iCAN Strategical Model’(Joh, 2008) was provided once a week for 8 weeks. The POWER WELL-BEING Coaching program included both coaching training and face-to-face coaching communication. The coaching training consisted of 24 hours workshop for coaching environment, coaching philosophy, coaching core values, coaching communication process, coaching skill, diagnosis of characteristics of coachee and coach, coaching profession. The coaching communication process, called ‘iCAN strategic model’ consisted of identification, circumstance, action planning, and nurturing. Forty-three employees working in a local government participated in the ‘POWER WELL-BEING Coaching program,’ which consisted of 21 hours of coaching training workshop and 8 face-to-face coaching communication sessions for 8 weeks. We did not provide coaching to control group. Before we provided coach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wo groups to measur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fter two months of coaching,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gain. For contro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efore & after measurements for each dependent variable. However,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 after measurements for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measurements of 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family relations. For the family relations, ANCOVA was used and included before measurement of family relations as covariate, which showed the effect of coaching on family relations. This result shows that coaching causes increase in the level of self-efficacy, perceived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amily relations.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learning coaching, life coaching, self coaching, and family coaching.

      • KCI등재

        인회석 및 생선뼈를 이용한 일광광산 AMD 처리 현장실험

        최정찬,Choi, Jung-Cha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 자원환경지질 Vol.3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일광폐동광산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AMD)내의 중금속에 대한 천연물질인 인회석 및 생선뼈의 현장에서의 제거효율을 평가하고 실내실험 견과와 비교하는 것이다. 현장실험 기간은 약 한 달이었으며 유속은 2.53-12.8 l/min 이었다. 현장실험 결과, 중금속 제거율의 경우 실내실험 결과와 유사하게 As, Fe 및 Pb는 인회석 및 생선뼈와 반응한 물 모두 높은 제거율을 보였으며 그 외 Al, Cd, Cu 및 Zn은 생선뼈와 반응한 물이 인회석과 반응한 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비소의 경우 실내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비소의 경우 평균제거율이 $84\%$로 생선뼈의 평균제거율 $75\%$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회석/생선뼈 및 AMD와 화학반응에 의해 형성된 인산염 침전물의 경우, 인회석 및 AMD와의 반응생성물은 가루형태이나, 생선뼈 및 AMD의 반응생성물은 슬러지 형태를 나타냈다. 기존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회석은 광범위한 pH영역에서 광산배수의 침전제로 사용될 수 있고, 생선뼈는 pH가 낮은 고농도로 오염된 AMD에 사용하는 게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a field test on heavy metal removal efficiency for AMD(Acid Mine Drainage) using fish bone and apatite, and to compare those results of the laboratory & the field tests. The duration of the field test was about one month and flow rates of AMD varied from 2.53 l/min to 12.8 l/min. From the result of the field test, removal efficiencies of apatite and those of fish bone are high for As, Fe, and Pb while those of fish born is higher than those of apatite far Al, Cd, Cu and Zn which are similar to the result of the previous laboratory test. In particular, average arsenic removal efficiency of apatite is higher$(84\%)$ than that of fish bone$(75\%)$ like the result of the previous laboratory test. In case of precipitates of phosphate compounds which are generated from chemical reaction between apatite/fish bone and AMD, those generated from apatite/AMD reactionform powder-shape while those created from fish bone/AMD reaction seem to be sludge. Therefore, apatite will be used as a precipitant for mine drainages having wide range of pH based on previous studies while fish bone will be applied as a precipitantfor AMD having lower PH and hig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