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부품소재기업의 기술혁신 장애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규호(Park, Kyoo-Ho) 한국경제발전학회 2013 經濟發展硏究 Vol.19 No.2

        이 글은 각각 독립적으로 보이는 기술혁신의 장애요인들이 실제로는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착안해서 장애요인 사이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기술혁신의 장애요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기술혁신조사(Korean Innovation Survey) 결과를 활용하여 중소부품소재기업의 특성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특히 이 글은 기업규모가 기술혁신의 장애요인의 중요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중소부품소재기업의 기술혁신의 장애요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중소부품기업의 경우에 규모의 확대는 장애요인 중에서 자금이란 장애요인의 문제를 완화하지만 동시에 다른 장애요인의 중요성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차원과 정책차원 모두에서 기업의 대형화 등과 같은 가시적인 방안을 통해 단편적으로 장애요인에 대응하는 것보다는 이들 장애요인에 대한 시스템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소부품소재기업의 기술혁신을 제고하고 나아가 기업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JEL: M1, 03)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barriers to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erms of the complementarities among them, considering that even though they seem to b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they are actually intertwined with each other. In specific,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component and material firms, in terms of the determinants of barrie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utilizing the result of Korean Innovation Survey done by STEPI. This paper'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enhancement of firm size does alleviate the problems of funding, but it also make worse the other barriers at the same time. This findings may hint at a systematic address to barriers to technological innovation, rather than partial and independent intervention toward each barrier to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enhancing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 component and material firms in Korea.

      • 한국 제조기업의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김재영,황정재,박재민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2016년 한국기술혁신조사(KIS 2016)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 제조기업의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혁신저해요인에 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KIS 2016 데이터의 제조업 기업 수는 4000개였는데 이 중 혁신 설문에서 제시한 혁신 저해요인 중 아무것도 겪지 않았다고 답한 기업과 응답이 누락된 기업을 제외한 3159개 기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라 혁신 저해요인으로 자금 문제, 기업 역량요인, 필요 요인 총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자금 문제와 기업 역량 요인의 경우 혁신 제품의 시장 출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요 요인의 경우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혁신 성공에 있어서는 기술혁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기술혁신 장애요인이 지원제도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신현우 ( Hyun Woo Shin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7 No.2

        경제성장의 핵심요소인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정부는 다양한 지원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은 기술혁신의 결정요인, 지원정책수단의 효과 등에 대해 다양한 분석결과를 공급자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지만 정책수요자 측면에서의 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실시한 기술혁신조사(2005)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혁신 장애요인과 지원제도 활용간의 영향관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지원제도의 유형에 따른 일부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술혁신 장애요인이 지원제도 활용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금 장애요인이 클수록 기업들은 유형을 불문하고 지원제도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 장애요인을 크게 경험하는 기업일수록 기술지도/정보제공 관련 지원제도를 활용할 확률이 높았다.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s a variety of supporting programs with firms to promote technological innovation which is a main driver of economic growth. The existing literature on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mainly focused on analysis about determinants of successful innovation and effectiveness of a specific policy measure. However, there is no study deals with characteristics of policy demanders. For th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rriers and policy measure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 with raw data of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The findings from this analysis show that barrie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re meaningful variables to determining whether firms adopt a policy measure,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policy types. Cost barriers increased the probability that firms adopt support programs regardless of policy types. Also, the more firms encounter cooperation barriers, the more likely firms utilize supporting programs in regard to technological advice and information.

      • KCI등재

        중국-러시아 과학기술협력 - 현황과 전망 -

        조정원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23 중국과 중국학 Vol.- No.49

        . 본 연구는 시진핑-푸틴 시대의 중국과 러시아 간의 과학기술혁신 협력 추진 배경과 추동 요인들과 양국의 과학기술혁신 협력의 현황을 분석하 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향후 양국의 과학기술혁신 협력에 어떻게 전개될 지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의 대 중국 견제와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으로 인한 서방의 대 러시아 경제제재는 중국과 러시아가 과학기술혁신 협력을 추진하게 되는 외부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중국과 러시아가 서로의 수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양국의 과학기술혁신협력의 추동 요인이 되었다. 구소련 시기에 비해 러시아의 연구개발 인력과 역량이 약화된 면이 있지만 수학과 물리학, 인공지능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중국의 인공지능과 양자컴퓨터 등의 미래 기술과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파트너이다. 러시아는 중국의 국가혁신체제와 중국의 연구기관, 기업들이 내놓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성과와 산업 발전의 성과에 주목하면서 자국의 디지털 경제와 신산업 발전, 과학기술의 상용 화의 활성화에 중국을 활용하려 하고 있다. 그로 인해 2016년 9월부터 2021년까지 중국과 러시아의 과학기술혁신 협력은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양국의 과학기술협력은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의 대러 추가 제재로 인하여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미국의 기술과 장비를 사용한 제품의 대 러시아 공급 금지, 미국의 러시아에 기술과 장비를 제공하는 해외 기업들에 대한 제재 경고, 러시아-우크 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는 양국의 과학기술혁신 협력에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과 서방 선진국들의 제재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양국이 필요로 하는 분야들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혁 신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에서도 러시아와 중국이 필요로 하는 양자통신기술, 인공지능 등의 미래 기술에서 양국 간의 과학기술혁신 협력이 어떻게 진행되고 성과를 창출할 지를 관찰하고 연구하여 미래 기술과 산업의 판도 변화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혁신의 장애요인이 R&D협력에 미치는 영향

        박정수,허문구 기술경영경제학회 201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3 No.2

        본 연구는 기업이 직면한 혁신의 장애요인을 자금부족과 정보부족으로 조명하 고 수직적 협력과 수평적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한국 제조업 대상으로 진행된 기술혁신조사(KIS)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혁신의 장애요인인 자금부족은 수 직적 협력에 정(+)의 관계가 있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하지만, 정보부족은 수직적 협 력과 수평적 협력에 정(+)의 관계가 있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기존 연구들은 R&D협력의 선행요인으로서 기업 내부의 활동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혁신 의 장애요인으로 확장하였다. 또한, 경쟁의 구도가 기업과 경쟁사 사이의 기업 간 경쟁에서 서로 다른 협력 집단들 간의 경쟁구도로 변화함에 따라 R&D협력 유형을 범위를 수평적 협 력까지 확장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ctors hampering innovation on firm’s R&D cooperation. We classify the obstacles to innovation into lack of money and information, and also distinguish between horizontal cooperation and vertical cooperation. We argue that different obstacles have a differential effect on the types of R&D cooperation. We examined the hypotheses using KIS (Korea Innovation Survey) data. The results show that deficiency of inform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cooperation, however, lack of money is not related to firm’s R&D coope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from Korean manufacturing firm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지방정부의 혁신장애 요인 개선방안 연구

        박종관 한국비교정부학회 2009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innovation obstacle factors and present the developmental alternatives for a local public service employee. To achieve this goal, I will derive the innovation obstacle factors for the process of innovation propulsion on the local government and analyze the recognition of local public service employee on the developmental alternatives of this problem. As the result of these analyses are as follows: cultural factors, structural problems, technical problems and process problems are more important than coercion factors, utility problems. Especially, cultural and behavior innovation of a local public service employee and the innovation effort and practice of the high-ranking officials and middle-ranking officials are more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