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과 혁명 : 1920년대 초 사회주의 수용에서 러시아혁명 인식의 문제

        최은혜 ( Choi Eun-hy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7 No.-

        본고는 1920년대 초반 식민지 조선에서 사회주의 사상이 수용될 때, 러시아 혁명이 미친 영향을 살피고 그것이 어떤 인식론적 변화를 가져왔는지 살펴보았다. 주지하듯 1차 세계대전 중 발발한 러시아혁명은 유일하게 자본주의 및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혁명이자 농민ㆍ노동자가 전제정치를 뒤엎고 선두에 선 혁명이었다. 이 혁명의 여파는 특히 민족 문제의 해결을 원하는 식민지들에게 크게 몰아쳤는데, 조선에서 또한 마찬가지였다. 워싱턴 회의로까지 이어지는 베르사유 체제 속에서 레닌의 민족자결주의는 조선의 사회주의자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사회주의자들의 주도로 형성된 러시아혁명 및 볼셰비즘에 대한 인식은 3ㆍ1 직후 보다 더 명징하게 민족자결의 문제와 관련되었으며, 이는 민족의 자족적 운동을 넘어선 세계 혁명에 대한 잠재성을 안고 있는 것이었다. 한편 조선의 사회주의자들에게 러시아혁명은 정치ㆍ문화ㆍ경제적으로 낙후되었던 러시아를 인류가 이상으로 생각하는 체제의 선두에 서게 한 사건이었다. 후진으로서의 조선은 러시아혁명을 통해 역전의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었다. 러시아혁명이 민중에 의한 혁명이었다는 점은 사회주의자들에게 3ㆍ1을 민중 운동으로 자리매김하게 하고, 그랬을 때 3ㆍ1은 조선에도 혁명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이 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사회주의자들은 세계사적 동시대성을 ‘실천적으로’ 확보했다. This article explored the impact of the Russian revolution on accepting socialism in colonized Joseon during the early 1920s and went further to acknowledge the changes the Russian revolution made on the epistemological features of accepting socialism. The Russian revolution, which took place during WWI, was the only revolution that stood up against capitalism and imperialism, and a revolution led by farmers and workers revolting against autocracy. This revolution had a substantial impact on colonies yearning for self-determination, and Joseon was not an exception. National selfdetermination, called forward by Lenin himself, affected socialists in Joseon in various ways within the context of the Versailles system that persisted until the Washington confer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ion of the Russian revolution and Bolshevism led by socialists and national self-determination was more clear than that in the period following the 3ㆍ1 independence movement. The situation had the potential to escalate into an international revolution, over a national self-determination movement. However, socialists in Joseon considered the Russian revolution to be an event that allowed Russia to escalate from its lagging political, cultural, economic status into a nation that leads the system considered to be ideal to mankind. Joseon, in its lagged state, had a chance to change the game through the Russian revolution. The fact that the Russian revolution was led by the people led socialists to set the 3ㆍ1 independence movement as a movement by the people. By doing so, the 3ㆍ1 independence movement suggested that a revolution may break out in Joseon. As a result, socialists in Joseon “practically” secured their historical simultaneity.

      • KCI등재

        1960년대 이후 태안지역 동학농민혁명 기념(선양)사업 분석과 현대적 의의

        문영식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7

        태안군의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의 역사는 문원덕 선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문원덕 선생은 1894년 태안지역의 동학농민혁명을 주도하신 문장로 대접주의 손자로 부친이신 문병석 선생까지 3대가 모두 동학을 통한 민족운동과 항일운동을 이은 인물이다. 또한 연구자 역시 부친이신 문원덕 선생의 딸로 아버지와 함께 태안군의 동학농민혁명의 선양사업을 시작해 온지가 벌써 50년에 이르고 있다. 태안군의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은 먼저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을 위한 조직체를 구성하는 것으로부터였다. 유족회와 동학농민혁명군의 추모탑건립위원회를 발족하였고 기념사업회도 출범시켰다. 또한 기념탑 건립을 실시하여 구체적인 선양 사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기념관 건립을 실시하여 내년인 2021년 개관을 앞두고 있다. 또한 동학농민혁명의 참여자 명단 확보와 관련 기록물 발간, 선양사업 등을 진행하여 왔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참여자와 가해자가 모두 화해와 상생의 길로 함께 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관과 민뿐 아니라 학계에서도 도움을 주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왜곡된 역사는 시정되어야 한다. 비록 1894년의 동학농민혁명은 좌절되었지만 이후의 3.1 독립혁명과 항일운동, 4.19 혁명, 이후의 민주화운동의 든든한 토대가 되었다. 문제는 앞으로 이같이 훌륭한 혁명정신을 이어받아 후손들이 잘 실천하고 후대에도 계속 전승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histo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memorative project in Taean-gun began with Moon Won-deok. Moon Won-deok is the grandson of Moon Jang-ro, who le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aean in 1894. He is the successor of the national movement through Donghak and the anti-Japanese movement, including his father, Moon Byung-seok. In addition, the researcher is also the daughter of his father, Moon Won-deok, and has been carrying on the Commemoration Project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aean-gun for 50 years with his father. Taean-gun’s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memoration project first started with the formation of an organization fo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memoration project. Taean-gun’s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memoration project first started with the formation of an organization fo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memoration project. The Bereaved Family Association an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ary Army commemorative tower construction committee was launched, and a commemorative project group was launched.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a memorial tower was carried out to carry out a specific Commemoration project. In the end, the memorial hall was built and is about to open next year, 2021. In addition, it has secured a list of participants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published related records, and conducted the Commemoration project. However, in the end, both the participant and the perpetrator must go along the path of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To this end, not only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but also the academia must provide help. Above all, the distorted histo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must be corrected. In the future, we must take over this great revolutionary spirit and make efforts so that our descendants can practice it well and continue to pass on it to the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의암 손병희의 독립국가사상 - 동학혁명에서 3·1혁명으로 -

        임형진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2

        동학혁명 시기에 의암 손병희는 유일하게 살아남은 최고 지도자였다. 혁명을 함께한 동료들과 스승님마저 체포되어 처형당했지만 그는 살아서 동학을 지켜내야 했다. 정부의 추적을 피해 일본에서 체류하면서도 그는 국민의 개화의식과 민도 향상에 전념하였다. 개화혁신운동과 언론 출판 및 교육사업에 투신한 것이 그것이다. 1910년 나라를 상실한 뒤에도 그의 노력은 계속되었고 드디어 3·1혁명으로 그 결실을 보았다. 3·1혁명 이후 탄생한 임시정부의 헌법에 명시된 ‘민주공화제’의 연원은 많은 곳에서 찾을 수 있지만 그 시대 누구보다도 영향력이 컸던 손병희의 행적에서도 발견된다고 할 수 있다. 즉, 그의 동학혁명과 일본 체류시기의 경험 그리고 독립을 위한 준비과정에서 더 이상의 왕정이 아닌 공화정의 사회가 앞으로의 국가가 될 것을 자각한 것이다. 또한 통치의 과정은 가장 민주주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동학혁명의 경험이 3·1혁명으로 승화된 모습이 그 반증이다. 그것이 동학과 천도교로 이어져 오는 정치이념이었다. 순국 100주년을 맞이하여 손병희의 삶을 추적해 보는 것은 혁명가, 종교개혁가, 독립운동가에 그치는 것이 아닌 민주공화정의 탄생에 기여한 바를 찾는 데에 있다. 분명 그의 경험은 국민이 주인인 사회이자 국민이 하늘과 같이 존엄한 존재(인내천)로 하늘처럼 대접받는 이상사회(사인여천) 즉, 민주공화정을 향한 걸음이었음이 분명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During the Donghak Revolution, Uiam Son Byung-hee was the only surviving supreme leader. Although his colleagues and even his master who had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were arrested and executed, he had to survive and defend Donghak. While he was staying in Japan to avoid being pursued by the government, he devoted himself to improving the people’s awareness of enlightenment and the mindset of the people. That is why he devoted himself to the enlightenment movement and the media publishing and education business. The origin of the ‘democratic republic’ specified in the constitu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hich was created after the 3·1 Revolution, can be found in many places, but it can be said that it can also be found in the deeds of Son Byunghee, who was more influential than anyone in that era. In other words, his experiences during the Donghak Revolution and his stay in Japan, an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independence, realized that a republican society, not a monarchy, would become the nation in the future. Also, the process of government should be conducted in the most democratic way. The experience of the Donghak Revolution sublimated into the 3·1 Revolution is proof of that. That was the political ideology that was passed down to Donggwa and Chondogyo. In commemo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martyrdom, tracing the life of Son Byung-hee is to find out what contributed to the birth of a democratic republic, not just a revolutionary, religious reformer, and independence activist. It is because he believes that his experience was clearly a step toward a democratic republic, that is, an ideal society in which people are as dignified as the heavens (Innaecheon) and treated like the heavens (Sainyeocheon)

      • KCI등재

        혁명과 독립운동의 연관성- 충남지역 동학농민군 분석을 통해

        정을경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1

        일제강점기 자료에 의해 당시 동학 교인수는 70~80만여 명으로 추 산된다. 그러나 이 중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충남 출신 교인의 명부는 2015년에 교단에서 발간한 『동학천도교인명사전』과 부여, 예산, 서산, 논산에 남아 있는 교인 명단이 전부이다. 즉, 당시 추산되는 교인의 1/10에 해당되는 수치의 교인만이 파악될 뿐이다. 이 명단을 통해 충 남 출신을 선별하면, 충남 출신 동학 교인은 2,237명으로 확인된다. 또한 이 중 동학농민혁명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교인은 36.4%의 비율인 816명이다. 현재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에 등록된 동 학농민혁명 참여자는 3,644명이며, 이 중 호남지역 참여자는 2,043명, 충청지역 참여자는 1,103명, 충남 출신 참여자는 816명이다. 출신지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는 교인을 제외하고 충남지역 동학교 인의 출신 지역은 서산시가 17.1%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당 진, 논산, 예산, 공주가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서산지역은 서산관아를 공격하여 농민군 지도자 30여명을 구출하였으며, 관아와 관속들의 집 에 불을 지르는 등 동학농민혁명이 치열하게 전개된 지역이었다. 또한 동학농민군 참여가 높았던 당진, 논산, 예산, 공주 모두 충남에서 동학의 교세가 강성했으며, 동학농민혁명에서 중요한 전투가 벌어졌다는 점에서 동학교인의 비율과 참여도는 깊은 연관성을 갖는다. 충남 출신으로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했던 총 2,237명 중 동학농민혁 명 참여 이후 천도교단에서 활동한 인물들을 선별하기 위해, 동학농민 혁명에 참여하였다가 총살, 화형, 행방불명 등을 당해 이후의 삶을 지 속할 수 없었던 인물 405명을 제외하였다.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였 던 1,832명 중 동학농민혁명 이후 천도교단에서 활동한 내역이 확인되 는 인물은 총 67명으로 확인되었다. 즉,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중 3.67%가 천도교단에서 일정한 직책을 맡아 활동을 한 것이다. 이 비율 은 수치적으로만 판단하여 낮은 수치라고 말할 수 없다. 동학을 종교 로 믿고 혁명에는 참여하지 않았던 농민군도 있었을 것이고, 동학농민 혁명에 참여했던 농민군이 천도교단에서 일정한 직책을 맡지 않고 일 반 교인으로 활동하여 기록으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수치는 목숨을 잃을 뻔한 혁명에 참여하였던 농민군이 또다 시 교단에 믿음을 갖고 그 종교가 추구하는 독립운동과 활동에 함께 했 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는 수치이다. 67명 중 접주 등의 지도자의 위치에 있었던 농민군은 24명이었으 며, 충남지역에서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에 여러 차례 참여한 농민군도 18명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또한 이들 중 절반 이상의 농민군은 내포지역의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였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67명 중 천도교단에서 뚜렷한 직책을 맡지 않았던 인물은 13명이 전부이다. 즉, 80%가 넘는 인물들이 교단에서 중요 직책을 맡고 있었다. 동학농 민혁명에서 지휘력을 갖고 농민군을 진두지휘한 위치에 있던 동학농민 군은 천도교단에서도 중요 직책을 맡았던 것이다. 즉, 동학 내에서의 위치와 참여도가 천도교 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미쳤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밖에도 67명 중 4명은 동학농민혁명 참여와 함께 독립운동에도 참여하였던 내역이 확인된다. 박인호는 천도교 제4세 교주로, 충남 일 대를 돌면서 포덕활동을 펼쳐 충남의 동학 교세 확장에 큰 역할을 ... The number of Donghak (Eastern Learning) believer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estimated to be 700,000 to 800,000 persons. However, the registers of the believers from Chungnam who can be identified now are just found from 『Biographic Dictionary of Donghak Believers』 published by the religious body in 2015 and the lists of the believers left in Buyeo, Yesan, Seosan, and Nonsan. That is, the believers who are applicable to 1/10 of the then estimated believers are just identified. Selecting the believers from Chungnam in these lists of names, the Donghak believers from Chungnam have found to be 2,237 persons. And among them, the believers who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e 816 people, the rate of 36.4%. Now, the participants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registered in the National Commission o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e 3,644 people and among them, the participants in Honam are 2,043 people, the participants in Chungcheong are 1,103 people, the participants from Chungnam are 816 people. Execpt the believers whose their hometowns were not clearly identified, hometowns of Donghak believers in Chungnam have found that Seosan is highest as 17.1%, followed by Dangjin, Nonsan, Yesan, and Gongju. In Seosan, more than 30 leaders of the peasant army were rescued by attacking Seosan Government Office an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cluding setting fire to the government office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houses were fiercely developed in it. And Donghak’s religious influence were powerful in All the Chungnam areas including Dangjin, Nonsan, Yesan, and Gongju where a lot of Donghak peasant armies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Donghak believers’ rate and participation has a great correlation with Seosan in that there were important battles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order to select people who were active in the Religious Body of the Heavenly Way after participating in th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mong the total 2,237 people from Chungnam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405 people who could not live because of being shot dead, being burnt at the stake, or being missing after participating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ere ruled out. Then, the people who were active in the Religious Body of the Heavenly Way in the details among the total 1,832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ave found to be total 67 people. That is, 3.67% of the participants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ere active in the Religious Body of the Heavenly Way assuming positions. This rate is not low by judging the numerical value. There were the peasant armie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revolution even though they believed in Donghak and there were the cases that the peasants who participated in it were not recorded because of being active as the general believers without positions of the Religious Body of the Heavenly Way. Therefore, the numerical value is very meaningful in that the peasa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and had almost lost their life again were active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activities sought by the religion trusting in the religious body. As the peasants who were leaders including Jeopju among 67 people were 24 people and the peasants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Chungnam several times were 18 people, they have the high rates. And over half of the peasants among them were characterized by participating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Naepo. The people who did not have positions in the Religious Body of the Heavenly Way among 67 people were just 13 people. That is, more than 80% of them had important positions in the religious body. The Donghak Peasant Army that led the peasant armies with the ability to comman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ad also important positions in the Religious Body of the Heavenly Way. That is, posi...

      • KCI등재

        ‘혁명공화파 여성시민협회’ - 프랑스혁명기 여성 정치클럽과 ‘불가능한’ 여성 시민권 -

        양희영(Yang, Heeyoung) 호서사학회 2020 역사와 담론 Vol.0 No.96

        이 글은 프랑스혁명기 파리 유일의 여성 정치클럽 ‘혁명공화파 여성시민협회’의 역사를 살펴본다. 1793년 5월 10일 여성의 무장을 통한 조국 수호를 목적으로 창설된 ‘협회’의 역사는 세 시기로 나눠볼 수 있다. 첫째는 1793년 5월 31일·6월 2일 봉기로 정점에 달한 대(對)지롱드파 투쟁의 시기, 둘째는 1793년 6-8월, 산악파와의 짧은 밀월기를 거쳐 격앙파 르클레르와 함께 이후 공포정치에서 실현될 비상조치와 새 헌법의 시행을 요구한 시기, 셋째는 1793년 가을 자코뱅과 국민공회의 공격을 받고 해체되는 시기이다. 1848년 혁명기에 다시 등장한 파리의 여성 정치클럽 ‘여성의 목소리’ 협회는 대혁명기 ‘혁명공화파 여성시민협회’를 혁명기 정치활동의 롤 모델로 여기지 않았다. ‘1848년의 여성들’에게 있어 ‘혁명공화파 여성시민협회’는 난폭하고 무질서한 혁명기 여성 민중운동의 일부일 뿐이었다. 이 글은 혁명기 여성 민중운동에 대한 1848년 여성들의 기억에 기초한 다음과 같은 문제들에 답한다. ‘혁명공화파 여성시민협회’의 여성들은 무엇을 주장하고 어떻게 행동했는가? 그들은 제대로 교육받지도 조직되지도 않았는가? 그들은 난폭하고 폭력적이었는가? 그들의 행동은 무질서하고 비효율적이었는가? 그들은 특정 정파의 권력 장악을 위한 도구 혹은 정파 투쟁의 희생양이었는가? 그리고 ‘여성’의 조건과 지위를 개선하는 데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했는가?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y of the ‘Society of Revolutionary Republican Women’, the only women’s political club in Paris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The history of the ‘Society’, which was founded on May 10, 1793 for the purpose of arming women to defend the country,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is the period of the struggle against the Girondins, which culminated in the insurrection of 31 May to 2 June of that year. The second is the period from June to August 1793 in which, after the short honeymoon period with the Montagnards, the ‘Society’, together with Leclerc, an Enragé, demanded emergency measures, which would be realized in the ‘Terror’, and the enforcement of the new constitution. The third is the period in which the ‘Society’ was disbanded after being attacked by the Jacobins and by the National Convention in the fall of 1793. The ‘Society of the Women’s Voice’, a women’s political club which reappeared in Paris during the Revolution of 1848, did not regard the ‘Society of Revolutionary Republican Women’ as a role model for revolutionary political activities. For the ‘women of 1848’, the ‘Society of Revolutionary Republican Women’ was only part of the violent and disorderly revolutionary women’s popular movement. This article answers the following questions based on the memories of ‘women of 1848’ regarding the revolutionary women’s popular movement. What did the women of the ‘Society of Revolutionary Republican Women’ demand and how did they act? Were they not well educated and not well organized? Were they reckless and violent? Was their behavior disorderly and inefficient? Were they tools for the seizure of power by certain factions, or were they victims of the faction struggle? Moreover, did they play no part in improving the condition and status of ‘women’?

      • KCI등재후보

        중국혁명과 북·중·소 관계, 1946~1950

        한상준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4 인문학술 Vol.12 No.-

        국공내전 시기 북·중·소 관계는 밀착되었다. 중국혁명의 성공은 중공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였다. 따라서 중공은 중국혁명의 성공적인 완수를위해 소련 및 북한과의 관계를 강화시켰다. 우선 중공은 국공내전 기간 ‘소련일변도’ 정책을 추진하였다. 국공내전의 승리와 중국혁명의 성공을 위해 중국은 소련의 협조와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했기 때문이다. 1948년 이후 중국혁명 성공 가능성이 뚜렷해지자, 중공은 소련에 대한 밀착을 더욱 강하게 추진하였다.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의 탄생은 중국혁명의 성공이 맺은 결실이었다. 신중국 수립직후 마오쩌둥은 소련을 방문하여 중·소 간 새로운 동맹조약을 맺었다. 그리하여 체결된 「중소우호동맹상호조약」은 중공이 추진했던 ‘소련일변도정책’의 최종적인 완성을 의미했다. 중국혁명의 성공 여부는 북한의 생존과 안전에 관련된 중대한 문제였다. 따라서 국공내전 시기 북·중의 이해는 근본적으로 일치하였고, 북중관계는 밀착·강화되었다. 특히 중공이 북한 지역을 후방기지로 활용할 수있었던 점은 중공의 동북지역 전투 승리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그런데 정치·안보적 이유뿐만 아니라 경제적 관점에서도 북중은 서로의 협력을필요로 하였다. 한편, 1949~1950년 약 3만 5천여 명의 중국인민해방군소속 조선인 부대가 북한으로 들어갔다. 조선인 부대는 북한의 군사력을크게 강화시켰다. 그런데 중국이 조선인 부대를 북한에 보냈던 내부적 배경에는 국내 경제의 어려움에 따른 감군의 필요성도 존재하였다. 중공은 국공내전에서 승리하면서 중국혁명을 완수하였다. 중국혁명의결과 공산주의 혁명이 동아시아 주변으로 확산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 그런데 중공정권은 공산주의 혁명을 주변으로 확산시키는 데 적극적이지 않았다. 왜냐하면 중공의 성격과 당면 목표가 이전과는 달라졌기때문이다. 중국혁명 성공 이후 중국공산당은 ‘혁명정당’에서 ‘집권정당’으로 바뀌었고, 중공이 추구했던 혁명의 목표도 무력을 통한 정권 창출이 아니라 사회주의 체제의 안정적인 건설에 있었다. During the Chinese Civil War,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China, and the Soviet Union became close. The survival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depended on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Therefore, China strengthened ties with the Soviet Union and North Korea for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Chinese Revolution. First of all, China consistently pursued the policy of ‘Soviet unilateral policy’ during the civil war. This is because China absolutely needed the cooperation and support of the Soviet Union for the victory of the civil war and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As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became more certain after 1948,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ightened its ties to the Soviet Union. The birth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October 1949 was the result of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Short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China, Mao Zedong visited the Soviet Union and tried to sign a new treaty of alliance between China and the Soviet Union. The “Sino-Soviet Treaty of Friendship, Alliance, and Mutual Assistance” thus concluded meant the final completion of the “Soviet Unilateral Policy” promoted by China. North Korea’s survival and security were crucial to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As a result, North Korea’s and China’s interestsduring the national civil war were fundamentally consistent with each other, and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were strengthened. In particular, China’s ability to use the North Korean region as a rear bas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China’s victory in the battle in the Northeast region. However, not only for political and security reasons, but also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North Korea and China needed mutual cooperation. Meanwhile, a troop of about 35,000 Korean soldiers belonging to the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entered North Korea between 1949 and 50. The Korean troops greatly strengthened North Korea’s military power. However, the internal circumstance for which China sent Korean troops to North Korea was the need to reduce troops due to domestic economic difficulties. Through its victory in the civil war,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ompleted the Chinese Revolution. The Chinese revolution laid the groundwork for the communist revolution to spread around East Asia. However, the communist regime did not actively seek to spread the communist revolution. This is because the nature and immediate goal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ve changed from those in the past. After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ransformed itself from a ‘revolutionary party’ to a ‘government party’, and its goal for the revolution was not to create a regime through force, but to build a stable socialist system.

      • KCI등재후보

        마루야마 마사오의 〈영구혁명〉론

        노병호(Row, Byoung Ho)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3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2 No.2

        트로츠키까지의 프롤레타리아 혁명론이 혁명의 완수라고 하는 목표와 방향, 그리고 제도와 조직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고 한다면, ‘영구혁명론’은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어느 쪽에도 코미트하지 않고, 모든 사회와 제도·체제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억압과 착취의 여러 형태를 타파하려 한다. 즉 마르크시즘적인 혁명론이 어떤 한정된 혁명목표를 전제하고 있었다고 한다면, ‘영구혁명론’은 보다 장기적인 비전과 시점을 가지며, 모든 권위에 대항하는 투쟁을 호소한다는 성격을 갖는다. 이러한 ‘영구혁명론’을 계승하고 있는 마루야마 마사오의 〈영구혁명〉은 ‘이념’ · ‘운동’ · ‘프로세스’로서의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마루야마는 현실속에 존재하는 민주주의나 제도는 ‘보다’ 많은 민주주의에 불과하며, ‘민주주의’로서 존재할 수는 없다고 한다. 동시에 마루야마는 “민주정은 본질적으로 모순개념이기 때문에, 부단한, 또한 무한한 과정 혹은 운동으로서만 있을 수 있다”고도 언급하고 있다. 한편 마루야마는 ‘민주주의’란 고대 그리이스시대로부터 존재했다고 한다. 그렇게 되면 ‘민주주의’는 시간과 대상의 면에서 무한히 확대되게 된다. 즉 고대 그리이스시대로부터 존재했던 모든 정치시스템에 ‘민주주의’적인 요소가 있었다는 역설적인 논리도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마루야마의〈영구혁명〉의 문제는, 지나친 이념성과 추상성으로 인해, 또한 너무나 긴 시간과 너무나 많은 대상을 사정에 넣은 탓에 쉽게 니힐리즘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이다. In this paper, I want to pursue the relation of Maruyama Masao’s ideas about democracy and ‘Permanent Revolution’. But we must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debates associated with permanent revolution as prior condition. We can say that the debates about permanent revolution had started from Karl Marx’s ‘Permanenz’ and ‘permanent’. So to speak, there have been many conflicts about interpretation of Marx’s concepts, such as ‘progress’ · ‘institution’, or ‘way’. It was Leon Trotsky who had formalized and systemized these as ‘Progressive Revolution’. Trotsky argues that ‘democracy revolution’ is done under ‘proletariat’s dictatorship’ but grows to ‘socialistic revolution’. Meanwhile the argument about Trotsky’s Revolution has been criticized, too. The criticism’s focus was the underlying elitism in Marxism and Trotskyism. Permanent Revolution in these criticism is distinctive of doing away with suppression and exploitation in all societies without dividing capitalism and socialism. Though Marxism is characteristic of radicalism and bureaucracy, it suggests limited goals in revolution. But the final version of Permanent Revolutions has visions in the long times and resists all the authoritarianism. Maruyama Masao’s "Permanent Revolution" as Japanese postwar thought belongs to these genealogy, too. But there is a dilemma. Because it demands very long times and many objects, it is easy to fall into Nihilism.

      • 과학혁명과 神과학(God Science)

        김진춘 통일사상학회 2018 통일사상연구 Vol.15 No.-

        쿤(T. Kuhn)은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패러다임’이란 용어를 소개하면서 과학은 혁명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에 의하여 발전한다는 이론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혁명을 3단계 관점에서 살펴본다. 1차 과학혁명은 현대과학에 의한 혁명이다. 1차 과학혁명은 현대과학을 대표하는 양자론과 상대론을 통해 고전과학의 에너지, 물질, 시간, 공간에 관한 혁명적인 변화 를 초래했다. 2차 과학혁명은 新과학(New science)에 의한 혁명이다.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新 과학은 현대과학으로부터 또다른 혁명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新과학은 향도파와 토션장・토션파에 기초하는 정보파동・정보장을 중심한 과학이다. 3차 과학혁명은 神과학(God science)에 의한 혁명이다. 神과학은 하나님을 중심한 과학이며, 하나님 관점에서 본 과학이다. 또한 神과학은 하나님을 위한, 하나님을 향 한 과학이다. 神과학은 제3축복의 과학이며, 창조원리에 입각한 과학이다. 그리고 神 과학은 천주적인 과학이고, 이상세계를 향한 과학이다. 과학은 현대과학→新과학→神과학으로 발전되고 있음을 주목한다. 인류의 구세주・메시아・재림주・참부모가 현현하여 복귀섭리완성과 창조이상실현이라는 근본 문제에 대한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 문제가 온전히 완결하기 위해서는 하나님 중 심한 神패러다임(God paradigm)의 도래가 요청되고 있다. 神패러다임은 神과학을 넘어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문화, 체육 등 모든 분야에 적용되어야 하는 궁극적인 패러다임이다. T. Kuhn introduced “paradigm” in his famous book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He claimed that science has proceeded by means of revolutionary paradigm shifts. I will discuss about scientific revolutions in three steps. The first scientific revolution was brought about by modern science. This revolution brought revolutionary change through quantum theory and relativity theory in our understanding of energy, matter, time and space based on classical science. The second scientific revolution is being brought about by new science. This revolution based on information is developing new features of energy, matter, time and space. New science has been studied through pilot waves, information waves and field, torsion field and waves, etc. The third scientific revolution is being realized through God science. God science is a science centered on God and a science in view of God. Also God science is a science for God and toward God. It is a science of the third blessing and a science based on the principle of creation. And it is a science of a cosmic dimension and a science for the ideal world of God’s creation. We claim that science has unfolded from classical science, through modern science, new science, and eventually to God science. Since the Messiah, Savior, LSA, and True Parents of humankind came on earth and have established a solid foundation for completing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and God’s ideal world of creation, we need a God paradigm. God paradigm will be extended to every area beyond God science.

      • KCI등재

        혁명의 거리, 정동하는 신체들 - 4월혁명 재현 서사를 중심으로 -

        이시성 ( Lee Si-seo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1

        최근의 4월혁명 문학에 대한 연구들에서는 작가 혹은 작품 속 주체가 가진 편향된 이데올로기로 인해 4월혁명 문학이 혁명의 진정한 주체였던 민중의 모습을 제대로 재현해내지 못했음이 지적되었다. 본 논문도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으나 문학이 본질적으로 불충분한 재현물임을 인지하고, 그 한계를 문학적 형태를 통해 보완할 수 있다는 피에르 마슈레의 말을 빌려와 4월혁명 문학에 내재된 문학적인 방식의 답변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주목한 것은 정동 개념으로, 마주침에 의해 발생하지만 곧 휘발되어 버린 후 잠재성으로만 남아 언제고 다시 도래할 때를 기다리는 정동의 속성은 혁명의 그것과 무척 닮아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4월혁명 문학을 정동을 통해 다시 보면서 주체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전유되지 않는 혁명의 원동력이 무엇이었는지 정동과 신체를 키워드로 탐색해보았다. 혁명이 일어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발표된 작품들 속에서 정동은 주로 혁명에 대한 신체적 반응으로, 시위대열 안에서 신체가 느끼는 감각으로 드러난다. 그리하여 정동될 수 있는 신체를 가졌다는 최소한의 조건에 의해 혁명의 대열에 속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혁명으로부터 시간이 지나고 정동이 휘발된 상황에서 이러한 신체적 감각은 사라지고, 문학은 새로운 이행의 방식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이때 문학이 혁명을 기억하며 어떻게 새로운 혁명적 정동을 창안하는 장(場)으로 역할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Recent studies on the literature of the April Revolution point out that the literature of the April Revolution did not properly represent the publi c, which was the real subject of the revolution, due to the biased ideolo gy of the writer. This paper also shares the same opinion. However, I wanted to take a look at the literary form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 ons of April Revolution literature, referring to Pierre Macherey's discuss ion that literature is inherently insufficient but its limitations can be sup plemented through literary itself. What I noticed was the concept of affect. This is because the properti es of affect is very similar to the properties of revolution. Therefore, in this paper, I explored what was the driving force of the revolution by re -examining the literature of the April Revolution through the concept of affect. The central keywords for this work are affect, and the body. In addition, after time passed and the revolutionary affect disappeared, I loo ked at how literature remembered the revolution and created a new revo lutionary affect.

      • KCI우수등재

        베버, 뒤르케임, 슈츠, 그리고 2016~2017년

        김광기(Kwang-ki Kim)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2

        대한민국은 2016~2017년 사이 정권을 무너뜨리고 새 정권을 수립한 역사적 대변혁을 이루었다. 그 시기 대통령을 탄핵하고 새 정권을 탄생시킨 과정은 가히 혁명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는 격동기였다. 그래서 일반 시민들은 그것을 촛불혁명으로 부른다. 이 논문에서는 촛불혁명을 엄밀한 의미에서 학문적으로도 혁명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고 판단하고 이 역사적 사건에 주목해 그 특징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를 함에 있어 본 논문은 사회학의 거장들인, 베버와 뒤르케임 그리고 슈츠를 함께 거론하고 있다. 얼핏 보면 이들은 혁명론의 선두주자라 할 수 있는 마르크스와 비교해 볼 때 혁명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이들로 간주되어 왔다. 그렇지만 필자가 볼 때 그들의 사회사상과 이론에는 우리의 촛불혁명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을 받을 부분이 충분히 녹아 있다고 판단되기에 그들의 사회학이론을 준거로 우리의 촛불혁명을 다루려고 한다. 물론 이들에 집중하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계급갈등과 투쟁에 기초한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설파한 마르크스는 제외했다. 요약하면 본 논문에서는 급격한 사회변동, 특히 혁명을 다루는 데 필수불가결한 세 가지 요소인 베버의 카리스마와 뒤르케임의 집합적 흥분, 그리고 슈츠의 일상생활세계의 자연적 태도(의 취약성)와 그 초월에 대해 상세히 다루고, 우리의 촛불혁명을 고찰함에 있어 그것들의 적용가능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베버와 뒤르케임 그리고 슈츠의 사회학 이론을 통해 촛불혁명을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The year between 2016 and 2017 in South Korea was the time for the historical and catastrophic change where the existing regime collapsed and a new political administration was brought by the raging citizens. The whole process of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and establishment of the new regime was definitely a revolutionary event without any bloodshed or forms of violence, thus enough to be called as ‘Candle-light Revolution’ by the vast majority of Korean citizens including scholars. Considering the Candle-light Revolution a revolution from scholastic aspect as its entitlement by the mas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is historical event. To do so, this paper addresses Weber, Durkheim, and Schutz’s sociological insights regarding revolutions, and scrutinizes the Candle-light Revolution in the light of the three great thinkers’ ideas. These three sociologists, unlike Marx, have been found irrelevant to the notion of revolution, although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ir idea and theories do show essential connections to a revolution; however, those offer enough insights for comprehending and analyzing the Candle-light Revolution in part. Since the Candlelight Revolution was not brought due to the class conflict and struggle, rather than bridging the Marxist view to the analysis, this paper projects an analysis mainly focusing on Weber’s theory of charisma, Durkheim’s collective effervescence, and Schutz’s natural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