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핵심발생액의 시장이상현상

        백원선 ( Won Sun Paek ),최길엽 ( Gil Yeb Choi ) 한국회계학회 2011 회계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손익계산서의 영업이익을 중심으로 하여 발생액을 핵심발생액과 비핵심발생액으로 분해하고 이들 발생액의 지속성과 시장이상현상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경영자는 순이익 중에서 영업성과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가능한 한 영업이익을 높게 보고하려는 유인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업성과는 그 특성상 반복적이며 지속적이기 때문에 순이익 중에서도 영업이익에 대한 주식시장참여자들의 관심이 높다. 그런데 국제회계기준의 도입으로 영업이익에 대한 구분표시를 강제하지 않음에 따라 손익계산서 정보의 유용성이 저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발생액은 손익계산서상 영업이익보다 상위에서 발생하는 발생액(즉, 핵심발생액)과 영업이익보다 하위에서 발생하는 발생액(즉, 비핵심발생액)으로 나눌 수 있다. 핵심발생액은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것으로 반복적이며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비핵심발생액은 기업의 부수적인 영업활동으로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일시적이거나 반복적이지 않은 성격을 띤다. 따라서 차기 순이익에 대한 지속성은 비핵심발생액이 핵심발생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다. Sloan(1996)이 최초로 보고한 발생액 시장이상현상은 주식시장참여자들이 발생액의 차기순이익에 대한 지속성을 적절히 평가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지속성이 낮은 비핵심발생액이 차기 순이익에 미치는 효과를 주식시장참여자들이 왜곡하여 평가할 때 비핵심발생액의 시장이상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논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1) 비핵심발생액의 지속성이 핵심발생액의 지속성에 비하여 낮은지와 (2) 시장이상현상이 핵심발생액 또는 비핵심발생액 중 어느 것에서 두드러질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1996년부터 2006년 사이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면서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12월 결산법인(5,441개 기업-년)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가설의 예측대로, 비핵심발생액의 차기 순이익에 대한 지속성이 영업현금흐름이나 핵심발생액의 지속성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지속성이 높은 핵심발생액에 대한 주식시장의 평가는 유의하게 왜곡되지 않았으나, 지속성이 낮은 비핵심발생액은 유의하게 과대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핵심발생액의 구성요소 중에서는 비유동자산처분손익에 대한 과대평가가 가장 두드러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업이익을 중심으로 구분한 핵심발생액과 비핵심발생액에 대한 주식시장의 평가의 관점에서 주가왜곡현상을 분석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국제회계기준은 영업이익을 별도항목으로 보고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손익계산서의 보고형식을 비교적 자유롭게 허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회계기준의 도입으로 손익계산서상에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영업항목과 영업외항목의 구분이 강제화 되지 않는 신축성으로 인하여 정보의 유용성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is study examines accrual anomaly documented by Sloan (1996) by decomposing accruals into components based on their location relative to operating income. We define core (non-core) accruals as those above (below) operating income. To the extent that market participants are more interested in operating performance vis-a-vis nonoperating performance, it is of interest to examine whether core and/ or non-core accruals are equally persistent and mispriced. Under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operating income is not required to be disclosed separately on income statement. Thus,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about deterioration of accounting information due to such flexibility. Accrual anomaly is a phenomenon that market participants tend to overprice less persistent components of earnings. As Sloan (1996) documents, accruals are less persistent than operating cash flows and accruals (operating cash flows) are overpriced (underpriced). This is interpreted as market participants` failure to distinguish the differential persistence attributable to accruals from operating cash flows. Subsequent studies have attempted to identify which components of earnings drive accrual anomaly or under what context accrual anomaly is prominent. Note that core accruals located above operating income are repetitive and regular while non-core accruals are one-time and less frequently occurring in nature. It is expected that non-core accruals are less persistent than core accruals. However, it has not been well explored that market participants price adequately the difference in persistence between core and non-core accruals. Sloan`s (1996) result suggests that less (more) persistent components tend to be overpriced (underpriced). Thus, we hypothesize that non-core accruals are less persistent than core accruals and overpriced. The sample consists of non-banking firms (5,441 firm-years) with December fiscal years that are traded over Korean Stock Exchange during 1995-2005. Empirical findings generally support our expectation. First, we document that non-core accruals are less persistent than core accruals in earnings forecast regressions. Second, it is shown that non-core accruals are consistently overpriced in valuation regressions. Third, among non-core accruals, gains on disposal of noncurrent assets are prominently overprice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documenting empirically the anomaly of core and non-core accruals based on location relative operating income. Also, given that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llow firms to report income statements in a more flexible format in which even operating income is not needed to be mandatorily reported,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 what can be lost or gained from such change in policy.

      • KCI등재

        중국의 국가핵심이익 시기별 외연 확대 특징과구체적인 이슈

        이민규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 중소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specific issues pertaining to China’s core interests, by analyzing articles published on the People’s Daily.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derived from the content analys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National Core Interest’ as a keyword, searching the entire archived texts of the People’s Daily from January 1, 2001 to October 27, 2016. First, according to the frequency-per-year of the keyword and specific issues published in the People’s Daily, it can be found that the frequency during the 10 years under the leadership of Hu Jintao is much lower compared to the frequency during the three year and 10 month period of Xi Jinping’s leadership, just until October 2016. It also shows that Xi Jinping’s relevant speeches have been quoted both indirectly and directly at a much higher rate than did those of other leaders during the era of Hu Jintao. This can lead to mean that ‘National Core Interests’ has not only become an important concept for China’s foreign policy but also that the specific issues and topic areas have been diversifying during Xi Jinping’s leadership. Second, distinguishing between general topics and specific issues by year, until 2008 the most frequent general topics were ‘National Sovereignty’ and ‘National Reunification’, of which pertaining specific issues include ‘Taiwan’, ‘Tibet’, ‘Macao’, and ‘Xinjiang’. During the same period, ‘National Security’, and ‘Territorial Integrity’ were some other frequent general topics, while the general topic of ‘Economic Advancement’ was not mentioned until 2008. From 2010, the specific issues pertaining to ‘China’s Political System Established by the Constitution and Overall Social Stability’ and ‘Basic Safeguards for Ensuring Sustainabl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have gradually begun to be mentioned. Third, the following is the list of specific issues per general topic. ①The specific issues sortable under the general topic of ‘National Sovereignty’ include ‘Tibet’, ‘Macau’, ‘Xin Jiang’, ‘Hong Kong’, ‘Independent’ and ‘History’. ②The specific issues pertaining to ‘National Security’ are ‘Airspace Security’, ‘Peaceful Country’ and ‘Korea Peninsula’. ③The specific issues pertaining to ‘Territorial Integrity’ are ‘Diaoyu Islands/Senkaku Islands’, ‘Border Rights and Interests’, ‘Maritime Rights and Interests’, ‘South China Sea’ and ‘East China Sea’. ④The specific issue pertaining to ‘National Reunification’ is ‘Taiwan’. ⑤The specific issues pertaining to ‘China’s Political System Established by the Constitution and Overall Social Stability’ include ‘Core Values’, ‘National Solidarity’, ‘National Dignity’, ‘Ideology’, ‘Falun Gong’, ‘Political Power’ and ‘Public Culture’. ⑥The specific issues pertaining to ‘Basic Safeguards for Ensuring Sustainabl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clude ‘Land’, ‘Data Sovereignty’, ‘Information Territory’, ‘National Modernization’, ‘People’s Welfare’, ‘Large Scale State-Owned Enterprises’ Core Business Secret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이번 연구는 인민일보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중국의 구체적인 핵심이익 이슈를 분석해 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국가핵심이익’을 키워드로 2001년 1월1일부터 2016년 10월27일까지의 인민일보 전문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와 구체적인 이슈들의 연도별 빈도수를 살펴보면, 후진타오 집권 10년에 비해 시진핑 집권3년10개월 동안의 빈도수가 더 높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후진타오 집권 시기 후진타오 등 주요 지도자들의 발언이 거의 인용되지 않는 것에 비해, 시진핑 집권 시기 시진핑의 국가핵심이익 관련 발언은 직․간접적으로 인용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진핑 집권 시기 중국의 대외정책에서 핵심이익이 강조되고 있음은 물론 그 구체적인 이슈와 문제들이 다양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포괄적 주제와 구체적 이슈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8년까지는 ‘대만’, ‘티베트’, ‘마카오’와 ‘신장’등 ‘국가주권’, ‘국가통일’과 관련된 이슈들이 대부분 검색이 되었다. 포괄적 주제에 속하는 개념 역시 2008년도에 거론된 ‘발전이익’을 제외하곤 ‘국가주권’, ‘국가안보’, ‘영토완정’, ‘국가통일’ 등이 주로 거론이 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2010년부터는 ‘중국 헌법이 확립한 국가정치제도와 사회의 전반적 안정’과 ‘경제사회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기본보장’ 분야의 구체적 이슈들도 거론되기 시작한다. 셋째, 포괄적 주제별 구체적 이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국가주권’ 국가핵심이익에 속하는 이슈에는 ‘티베트’, ‘마카오’, ‘신장’, ‘홍콩’ 그리고 ‘독립’과 ‘역사’문제 등이 있다. ②‘국가안보’ 국가핵심이익에 속하는 이슈에는 ‘영공안보’, ‘조국평화’, ‘한반도 문제’ 등이 있다. ③‘영토완정’ 국가핵심이익에 속하는 이슈에는‘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 ‘변경권익’, ‘해양권익’, ‘남중국해’, 그리고 ‘동중국해’ 문제 등이 있다. ④‘국가통일’ 국가핵심이익에는 ‘대만’문제가 대표적이다. ⑤‘중국 헌법이 확립한 국가정치제도와 사회의 전반적 안정’ 국가핵심이익과 관련된 이슈에는 ‘핵심가치관’, ‘민족단결’, ‘민족존엄’, ‘이데올로기’, ‘파룬궁’, ‘국가정권’, ‘대중문화’ 등의 문제들이 포함이 된다. ⑥‘경제사회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기본보장’ 국가핵심이익과 관련된 이슈에는 ‘토지’, ‘데이터 주권’, ‘정보강역’, ‘국가현대화’, ‘인민복지’, ‘중대형 국유기업의 핵심상업기밀’ 그리고 ‘과학기술혁신’ 등이 포함된다.

      • KCI등재

        핵심감사제 도입효과에 관한 연구

        인창열,장석진,이용석 한국회계정보학회 2020 회계정보연구 Vol.38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key audit Matters contributed to the corporate information value and transparency of external audits in the capital market. [Methodology] For this study, we compared the companies that reported key audit matters with those that did not report key audit matters in 2018. In addition, it analyzes whether the effect of introducing the key audit matters system differs depending on th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tor. [Fin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audit time was not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y audit matters and corporate governance. On the other hand, the larger the size of the auditors, the greater the audit time of the companies reporting the key audit matters. The earnings quality showed that the companies that reported key audit matters improved significantl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arger the size of the auditors, the greater theearnings quality of companies that reported key audit matters.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 did not have a discriminatory effect on the earnings quality of companies that reported key audit matters. Information asymmetry was found to increase in companies reporting key audit matters than in companies not reporting key audit matters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auditor is larg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information asymmetry of the company reporting the key audit matters is greatly reduced. [Implications] Prior studies related to key audit matters were mainly conducted as questionnaires, and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the key audit matters introduced in Korea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find empirical studi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e follow-up study on the key audit matters in the context of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ositive effects of the key audit matters will exist by introducing the key audit matters implemented in countries with different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in Korea.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operate and settle the audit system.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핵심감사제의 도입이 자본시장에서 기업의 정보가치와 외부감사의 투명성 향상에 기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핵심감사제가 처음으로 시행된 2018년 국내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핵심감사사항의 보고여부에 따라 감사시간, 이익의 질, 정보비대칭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본다. 추가적으로 핵심감사제의 도입효과가 기업지배구조 및 감사인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분석결과에 따르면 감사시간은 핵심감사사항 보고와 기업지배구조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면에 감사인의 규모가 클수록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한 기업의 감사시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익의 질은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한 기업에서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감사인의 규모가 클수록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한 기업에서 이익의 질이 크게 향상된 것을 발견하였다. 다만, 기업지배구조의 특성은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한 기업의 이익의 질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정보비대칭은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한 기업에서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하지 않은 기업보다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사인의 규모가 큰 경우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한 기업의 정보비대칭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법과 제도적인 환경이 상이한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핵심감사제를 국내에 도입하여 핵심감사제 도입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의 핵심감사제에 대한 후속연구 및 핵심감사제의 운용·정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감사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이 주로 설문 연구로 수행되어 실증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핵심감사제의 도입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 KCI등재후보

        중국 핵심이익 연구 소고(小考)

        김흥규 ( Heung Kyu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3 동북아연구 Vol.28 No.2

        중국 ‘핵심이익’ 개념이 주목을 받기 시작한 계기는 중국 대외정책 실무분야에서 수장이라 할 수 있는 다이빙궈(戴秉國) 국무위원이 2009년 7월 제1차 미·중 전략경제대화 회의석상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부터이다. 그 이후 중국내 핵심이익을 둘러 싼 다양한 논란이 존재했다. 그러다 중국은 2011년 9월 6일 [중국의 평화발전]이라는 백서를 발간하면서 그간의 논쟁을 다음 6가지로 정리하였다. 이는 국가주권, 국가안보, 영토안정, 국가통일, 중국 정치제도와 사회의 전반적 안정, 경제사회 지속발전의 기본 보장이다. 중국의 공식적인 정의에 따르면 북한이나 한반도는 그 자체로는 중국의 핵심이익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을 개연성이 크다. 대신 핵심이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익지역에 속한다. 시진핑을 위시한 중국의 제5세대 지도부는 “핵심이익의 존중과 보호”를 각종 국제관계에 있어서 적극 내세우고 있다. 그간 중국의 핵심이익 논쟁을 놓고 평가하면, 핵심이익은 여전히 진화하는 개념이다. 국가중심적인 해석이 강화되고 있으며 그 외연을 계속 확대하고 있다. 이 “핵심이익”은 중국 시진핑 시기 10년 동안 중국 외교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될 것이며, 그 진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요구된다. China`s ‘core interests’ was paid attention in 2009 when Dai Bingguo, China`s then-State Councilor, referred it at the first U.S.-China Strategic and Economy Dialogue held in July, 2009. Since then, various debates on ‘China`s core interests’ have been erupted. Chinese government officially defined in 2011 the concept of ‘core interests’ in its white paper titled in ‘China`s Peaceful Rise’ as follows: national sovereignty, national security, territorial integrity, national unification, stability of political and social system, and consistent development of economy and society. According to the definition, either North Korea or Korean peninsula doesn`t likely belong to the range of China`s core interests. It is rather strategically important area, affecting China`s core interests. Chinese new leadership headed by Xi Jinping emphasize protection of its core national interes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However, the concept itself hasn`t yet been well defined. It is vague and evolving. State-centric interpretation of it become more popular and the range of concept extending. The evolution of the concept likely illustrates the nature of Xi`s foreign policy in the next decade and requires special attention.

      • KCI등재

        핵심감사제의 도입이 수주산업의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

        유서동,심충진 한국회계정보학회 2022 회계정보연구 Vol.40 No.4

        [연구목적] 핵심감사제 도입 이후 정보비대칭성의 감소와 감사품질의 증가는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핵심감사사항에 대한 투자자의 이해 부족과 회계처리 위반기업 등의 핵심감사사항은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2016년 수주산업 핵심감사제의 도입이 수주산업 기업의 이익반응계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또한 수주산업 내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한 기업과 그렇지 않는 기업 간의 이익반응계수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연구방법]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수주산업을 대상으로 핵심감사제 도입 전후 이익반응계수의 변화를 통계적으로 실증분석하였으며, 또한 2016년부터 2021년까지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한 기업과 보고하지 않는 기업 간의 이익반응계수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주산업을 대상으로 핵심감사제 도입 전후 1년, 3년, 6년으로 분석기간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핵심감사제 도입 이후 기업의 이익반응계수가 핵심감사제 도입 이전보다 작게 나타났다. 둘째,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수주산업 내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한 기업의 이익반응계수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작게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핵심감사제의 도입으로 유의적인 위험에 대한 정보가 강제로 공시됨으로써 투자자가 느끼는 기대의 차이로 인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핵심감사제 도입 이후 정보비대칭성이 완화되어 핵심감사제 도입 이전 수주산업의 시장가치는 과대평가될 수 있었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 KCI등재

        핵심감사제의 도입효과에 관한 연구

        인창열,이명곤 한국공인회계사회 2019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1 No.3

        Due to the 'accounting cliff' phenomenon of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mpany Limited in 2015, the suspicion of window-dressing accounting of the order-made production industry has become an issue, and as the 'accounting cliff' phenomenon has repeatedly occurred in other companies in the order-made production industry such as Daewo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Limited and Hyundai Engineering Company Limited, the issue of order-made production industry's accounting treatment and accounting transparency received attention. The order-made production industry generally recognizes revenues in line with the percentage of completion, and the calculation of the percentage of completion requires quite some estimation and manager's judgment. Perfect estimation is impossible. That is, if the estimation is not appropriate, the percentage of completion cannot be measured appropriately and wrong revenues will be recognized. Therefore,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has introduced the key audit matters into the order-made production industry to improve poor accounting due to such uncertainty in estimation. The key audit matters were introduced somewhat in a hurry when being prepared for introduction as the suspicion of window-dressing accounting of the order-made production industry became an issue. Therefore, negative opinions against the key audit matters were raised arguing that since the key audit matters were introduced into the order-made production industry in a hurry, the relevant costs are bigger than the effects. In addition, there are also voices of concern arguing that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key audit matters, the most core accounting information and risk factors of firms may be disclosed to investors so that side effects may appear. In addition, given that key audit matters are implemented only in a few countries such as the UK and France and have not been introduced into the US and Germany where audit environments are similar to those in South Korea, empirical evidence on whether the positive effects of the key audit matters would appear in the domestic environments is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mpirically analyze the usefulness of the key audit matter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key audit matters on audit time, the quality of earnings, and information asymmetry.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udit time was shown to have in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key audit matters. Second, the quality of earnings has improved after the introduction of key audit matters. Specifically, it was identified that after the introduction of key audit matters, the absolute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s decreased and that the conservatism of accounting treatments increased. Third, information asymmetry was shown to have de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key audit matters. That is, the volatility of daily stock returns and the volatility of unexpected returns are shown to be lower after the introduction of key audit matters.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effect of introduction of the key audit matter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key audit matters have been conducted mainly as survey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cannot be easily found. Also, negative opinions have been raised arguing that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key audit matters. In this situation, analyzing the usefulness of key audit matters should be practically and academically meaningful. In addi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issipation of negative opinions and voices of concern through empirical evidence that positive effects are generat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key audit matters. Finally, this study is judged to help improve the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and settlement of key audit matters in that it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pos... 2015년 대우조선해양의 ‘회계절벽’ 현상으로 인해 수주산업의 분식회계 의혹이 이슈화되었고, 이후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등의 수주산업에서도 ‘회계절벽’ 현상이 연이어 발생함으로써 수주산업의 회계처리 및 회계투명성 문제가 주목받았다. 수주산업은 일반적으로 공사진행률에 따라 수익을 인식하며, 공사진행률을 산정하는데 있어 추정과 경영자의 판단이 상당부분 필요하다. 만약 추정이 적정하지 않다면 적절한 공사진행률을 측정하지 못하게 되고, 잘못된 수익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금융감독원은 이러한 추정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회계처리를 개선하고자 수주산업에 핵심감사제를 도입하였다. 핵심감사제는 도입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가 수주산업의 분식회계 의혹이 이슈화되면서 다소 급하게 도입된 점이 있다. 이로 인해 핵심감사제의 효익보다 비용이 더 크다는 점, 기업의 가장 핵심적인 회계정보와 위험요인들이 투자자에게 공개되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 등의 부정적인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감사환경과 유사한 미국, 독일 등이 아직 도입하지 않고 있어 국내환경에서 핵심감사제의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인지에 대한 실증적 증거가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핵심감사제의 유용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핵심감사제의 도입이 감사시간, 이익의 질 및 정보비대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핵심감사제의 도입 이후 감사시간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핵심감사제를 도입한 이후 재량적 발생액의 절댓값이 감소하며, 회계처리의 보수성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어 핵심감사제의 도입 이후 이익의 질은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핵심감사제의 도입 이후 정보비대칭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감사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주로 설문연구로 수행되었으나, 본 연구는 핵심감사제의 도입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증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된다. 또한 핵심감사제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핵심감사제의 유용성을 분석한다는 것은 실무적・학문적으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핵심감사제의 도입으로 인해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한다는 실증적 증거를 통해 부정적인 의견과 우려의 목소리를 불식시키며, 핵심감사제의 시행 및 정착을 위한 제도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성과지표의 기업도산 예측력 비교:

        심상규(Sanggyoo Shim) 글로벌경영학회 2008 글로벌경영학회지 Vol.5 No.2

        기업의 경영성과가 기업도산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는 사실은 이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에 따라 대부분 기업도산 연구는 성과지표를 중요한 설명변수로 사용하고 있다. 초기의 연구는 전통적인 당기순이익을 경영성과지표로 사용하였다. 이후에 학자들은 발생주의 회계제도가 가지는 한계로 인해 당기순이익은 진정한 경영성과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경제적 부가가치와 초과이익을 성과지표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최근에 미국의 신용평가기관은 본업에서 창출한 손익만으로 기업의 경영성과를 측정해야 한다며 핵심이익(core earning)을 성과지표로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성과지표가 제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성과지표의 도산예측력 비교연구는 활발하지 못하며 진행된 연구도 서로 상반되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시된 성과지표들의 도산예측력을 비교한다. 연구기간은 1997년부터 2004년까지로 하되 예측력의 과대편의를 해결하기 위해 전반부 4년은 추정기간 그리고 후반부 4년은 검증기간으로 하였다. 연구표본은 도산기업과 정상기업의 비율 을 1대 3과 1대 5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1대 3 연구표본은 516개 추정표본과 216개 검증표본으로 구성되었다. 예측모형은 개별 성과지표에 총자산회전율, 레버리지비율, 이자보상배율 및 유동비율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여 로짓모형을 사용하여 구축 하였다. 검증결과에 의하면 핵심이익은 기타 성과변수보다 분류정확도가 높았지만 그 차이는 통계적 유의수준이 낮아서 예측력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제1종대 제2종 오류비용을 2대 1 또는 3대 1로 가정한 경우에는 핵심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경제적 부가 가치와 초과이익보다 높은 예측력을 보였다. 핵심이익은 당기순이익보다 낮은 예측오류 비용이 나타냈지만 그 차이는 일관되게 낮아서 예측력 우위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도산기간과 표본구성을 달리하여도 동일하였다. 이 결과는 기업의 성과지표로 다양한 측정치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적어도 기업의 도산예측에서는 전통적인 회계시스템에 의해 산출되는 당기순이익이 우월하다는 사실을 보여 주고 있 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superiority of core earning to net income, economic value added and residual income as management performance index in predicting corporate bankruptcy. According to the existing studies, company bankruptcy defines legal receivership event. We design the predicting model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neural network model, and select each performance index, turnover ratio of total capital, debt-to-equity ratio, interest coverage ratio and current ratio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estimation samples(1997-2000) were separated form verification samples(2001-2004) for reduction of statistical distortion by the instability of performance index from year to year.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core earning and net income show a higher degree of prediction ability than economic value added and residual income and the difference increases if the ratio of TypeⅠ error against TypeⅡ error is higher. core earning has a higher degree of hit ratio than net income but there is insignificant the difference between two performance indexes.

      • KCI등재

        중국의 국가핵심이익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 중국의 대전략, 협소한 이익, 회색지대

        이재영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2 韓國 政治 硏究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despite the one-strong man rule and the strengthening of centralization in the Xi Jinping era, China’s national core interests are not determined only by the grand strategy, but can also be explained by parochial interests or gray zone areas according to various cases of China’s core interests. And in China’s domestic politics, issue centrality and the degree of political elite consensus (heterogeneity) determine whether a particular case is closer to core interests or important interests. The scop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nese foreign relations and domestic politics in the Xi Jinping era. Lastly, this paper will compare each case of national sovereignty,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development among the core interests of the Xi Jinping era. 본 연구의 목적은 시진핑 시대 일인지배와 중앙 집권화가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국가핵심이익은 최고 지도부의 대전략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핵심이익의 다양한 사례에 따라 협소한 이익 혹은 회색지대로도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 국내 정치에서 이슈 중심성과 정치 엘리트 합의 정도에 따라 특정 사례가 핵심이익과 중요이익 중 어느 쪽에 더 가까운지 결정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시진핑 시대 중국 외교와 국내 정치로서, 이 논문은 시진핑 시대 국가핵심이익 가운데 국가 주권, 국가안보, 국가발전의 각 사례를비교 분석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영업자산 집중도가 경영자의 이익조정방법 선택에 미치는 영향

        기도훈 ( Do Hoon Ki ),박성종 ( Sung Jong Park ) 한국회계학회 2019 회계학연구 Vol.44 No.3

        영업활동은 기업 본연의 활동으로서 경제적 성과를 창출하는 핵심적 요소이다. 따라서 투자자와 경영자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영업활동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한다. 경영자는 기업에 조달된 자본을 자산에 투자하고 이를 이용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하는데 영업자산에 투자한 비중이 높을수록 기업의 영업활동이 기업성과에 기여하는 바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업의 특성은 경영자의 이익조정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익조정에 관한 선행연구는 경영자가 이익조정의 잠재적 비용을 고려하여 이익조정방법을 선택한다는 실증결과와 실물이익조정 및 발생익이익조정이 차기이후 이익의 지속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의 영업자산 집중도가 높을수록 기업의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이익(영업이익)이 더욱 중요할 것이라는 예상에 기초하여 영업자산 집중도와 이익조정 방법간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분석결과 영업자산 집중도가 높을수록 경영자의 중단영업손익의 자의적 계정분류를 이용한 이익조정이 강하게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이는 영업자산 집중도가 높은 기업의 경영자가 차기영업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적으며 영업이익을 과대인식할 수 있는 계정분류를 이용한 이익조정을 선호한 결과로 보인다. 반대로 영업자산 집중도가 높을수록 실물이익조정과 발생액이익조정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다양한 이익조정측정치의 추정방법, 다양한 영업자산의 정의에서도 매우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이 이익을 창출하는 원천인 자산의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개별기업의 특성을 용이하게 측정하였고, 이러한 특성이 경영자의 이익조정방법 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매우 일관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이익조정에 관심있는 후속 연구자들과 외부감사인, 감독당국에 추가적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점과 공헌점이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managers consider operating assets intensity as important management costs. Because Assets are defined as sources to earn future economic utility, the higher intensity of operating assets, the more importance should be imposed on operating income by investors. Subsequently, managers are motivated to manage core(operating) earnings numbers favorable to investors. Previous studies presented empirical evidences that managers choose earnings management method depending on its potential costs. Accrual-based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subject to detecting costs, accruals reversal, negative effects on normal operation activity. However, earnings management using classification shifting causes even less costs, moreover, do not cause decrease in earnings persistence. So, we expect that managers of firms with higher operating assets intensity use more classification shifting earnings management method to manage core earnings upwards, while less accrual-based or real earnings management. We estimate operating assets intensity as industry-year decile ranks of operating assets composition ratio and find empirical results consistent with our hypothesis. Test results are very robust regardless of various earnings management measures and definition of operating assets. Our results provide implication on relations between assets composition and earnings management method.

      • KCI등재

        미․중 간 장기 협력관계의 형성과변화에 대한 변증적 고찰: 인식의 전환과 핵심 국가이익의 재정의를 중심으로

        이상만,김동찬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 중소연구 Vol.41 No.2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 fundamental basis of continued cooper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was the accordance of core national interests before 1989 and compromise of core national interests after 1992 respectively. The primary cause of détente was the need to confront the threat from the Soviet Union. And after the Cold War ended, the U.S. still implemented the engagement policy toward China. That’s why China did not challenge to the international order led by the United States. Besides, China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to pursue economic development and national modernization. Because the foundation of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s so solid, though there are various frictions and contradictions between them, they could maintain cooperative partnership. However, with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as a watershed, great changes have taken place. The United States recognized China as an obvious competitor and implemented “Rebalancing Towards Asia” policy. With the change of perception toward China, the core national interests of the U.S. are also redefined. As a response, China proposed “new type of major power relationship” without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great powers. But, at the same time, China also redefined the core interests in line with China’s current overall national strength and demanded the United States to respect its core interests. Consequently, contradic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increased radically, especially in the realm of the core interests of the U.S. such as security, economic prosperity and ideolog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is only slim chance to achieve new basis for cooperation by adjusting core national interests of both countries, rather, the possibility of conflicting core interests becomes larger and larger. 미․중 관계를 장기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면 협력 지속의 근본 토대가 양국 간 핵심적 국가이익의 일치인지, 타협인지에 따라 1989년 이전과 1992년 이후로 나눌 수 있다. 즉 미․중 데탕트의 근본 원인은 양국이 공동으로 소련의 위협에 대항하려는 전략적 선택이었다. 또 냉전 종식 이후 미국이 대 중국 개입정책을 선택한 전략적 배경도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 구축에 대해 중국이 도전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경제 레짐에 편입하여 경제발전과 국가 근대화를 추구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협력의 토대가 견고했기에 다양한 영역에서의 양국 간 마찰과 갈등이 궁극적으로는 협력 기조 아래서 관리될 수 있었다. 그런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큰 변화가 감지된다. 미국은 중국을 확고하게 경쟁자라고 재인식하면서 “아태 재균형 정책”을 실시하고 핵심 국가이익도 재정의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중국도 “신형대국관계”를 제안하면서 여전히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에 직접 대항하지는 않지만, 종합 국력의 성장에 상응하게 핵심이익을 재정의하고 미국에게도 이를 존중해 줄 것을 요구하면서 전과는 다른 대응을 보이고 있다. 결국 안보, 경제적 번영과 가치관 확산 등 미국이 중시하는 세 가지 핵심 국가이익 영역에서 양국 간 갈등 요인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미․중 관계는 핵심 국가이익의 조율을 통한 재 타협보다는 상충의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