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산 강일순의 사상에 있어서 해원(解冤) 개념

        김탁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1 대순사상논총 Vol.39 No.-

        해원은 화해와 상생과 통합을 지향한다. 따라서 해원사상은 이상사회를 구현하고 추구하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규범이자 원리이며 이념이다. 이러한 해원사상을 종교적 교리로 승화시키고 체계화시킨 인물이 증산 강일순이다. 증산은 한국 고유의 정서를 대변하는 원한에 주목하고, 세계 파괴의 근거와 원인으로 파악하였다. 나아가 증산은 원한을 푸는 일인 해원이라는 개념에 대한 심층적 고찰을 통해 해원을 종교적으로 재해석하여 하나의 교리체계로 완성시킨 인물이다. 증산은 우주적 차원의 해원공사를 집행하여 종교적 구원을 시도한 인물이다. 증산은 해원사상을 통해 삼계(三界)에 가득 찬 원한들을 모조리 풀어 없애 이상사회를 지상에 세워 인류 구원을 완성시킬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그는 원한의 구조적이고 본질적인 특성에 주목하여 세계 파멸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파악하였고, 해원을 통해서만이 세계 구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해원은 증산이 주장한 사상의 요체이자 핵심원리다. 그리고 해원사상은 후천선경을 건설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론이기도하다. 증산은 해원사상이라는 한국 고유의 정서를 체계화하여 자신의 종교적 행위인 천지공사의 원리로 제시함으로써 인류 구원의 방법론을 나름대로 제시하였다. 증산은 자신이 살던 당대를 해원이 되어가는 시대라고 정의하였고, 인류 역사의 처음부터 원한이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증산은 천상계, 인간계, 지하계 모두에 원한이 있다고 말했으며, 해원이 되기 위해서는 남 살리기와 은혜 갚기가 필요하며 인간의 온갖 욕망이 충족되어가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증산은 지금 현재가 해원이 진행되어가는 과정에 있다고 주장하고, 해원이 현실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Grievance-resolution pursues reconciliation, mutual beneficence, and consolidation. Accordingly, the concept of grievance-resolution is a norm, a principle, as well as an ideology that aims to realize an ideal society and satisfy human desires. Such ideological thought transcended into religious doctrine and was systemized by Jeungsan, Kang Il-sun. He focused on grudges that represented the intrinsic sentiment of Korea and apprehended that grudges are the grounds and reason for the devastation of the world. Furthermore, Jeungsan was a figure who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grievance-resolution via a religious perspective through an in-depth study which transformed into a doctrinal system. He practiced the Reordering Works of grievance-resolution on a universal dimension to religiously redeem all things. Jeungsan completely resolved all the grudges and grievances that filled up the Three Realms (Heaven, Earth, and Humanity) through the concept of grievance-resolution and emphasized that he would establish an ideal society on earth to complete the redemption of human beings. Jeungsan apprehended tha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grudges and grievances were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destruction of the world. In this regard, he insisted that the redemption of the world should be achieved through the grievance-resolution. Grievance-resolution is an essential aspect and principle of Jeungsan’s system of thought. In addition, it is a concrete approach to establish the earth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Jeungsan implemented a method to redeem humankind by systemizing the intrinsic sentiments common in Korea─ namely, the concept of grievance-resolution─ and he suggested it as a religious practice which was the principle behin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Jeungsan defined that his own era was a time of grievance- resolution. In addition, he insisted that grievances and grudges had existed from the beginning of humankind. Jeungsan also said that there were grievances and grudges in heavenly planes, human planes, and underworldly planes. It was thereby necessary to do beneficial deeds for others and reciprocate beneficence in order to resolve grievances. He emphasized that a process wherein all human desires could be satisfied was essential. Furthermore, Jeungsan stressed that this present time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grievance-resolution on a practical level.

      • KCI등재

        해원 개념의 용례와 종교적 전환

        고병철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1 대순사상논총 Vol.39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해원(解冤)의 용례를 검토하고, 그 개념적 변화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선시대(제2장)와 일제강점기의 해원 용례들(제3장), 그리고 『전경』과 주요 선행연구의 내용(제4장)을 검토하였다. 조선시대부터 대순진리회에 이르기까지 해원의 용례와 개념적 변화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원은 역사성, 사회성, 문화성을 지닌 용어이다. 이는 해원이 조선시대 이후부터, 그리고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집단적 문제를 해소하는 차원에서도 사용된 용어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문화를 집단적 의식이나 물질적 산물로 본다면, 해원은 사회적ㆍ문화적 열망을 담은 용어였다. 둘째, 해원은 역사적으로 동일한 개념이 아니다. 이는 해원 개념의 적용 범위가 문제 영역(법적 영역, 자연재해 영역, 제도 영역 등)에 따라 달랐다는 점,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일상 언어와 종교 언어로서의 해원 개념의 적용 범위가 달라졌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해원은 증산의 등장 이후에 교리 체계에 담긴 종교 언어로 전환된다. 조선시대에 해원이 주로 일상 언어로서 법적 차원에서 죽은 자와 산자의 원통함을 드러냈다면, 증산의 등장 이후에는 해원이 초인간적 존재에 의한 선천의 혼란 해소와 후천이라는 변혁된 세계의 등장을 매개하는 교리적 차원의 종교 언어가 된 것이다. 이어, 『전경』과 대순진리회의 선행연구들은 해원 개념이 교리적 차원에서 정교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해원 개념에 담긴 사유의 역사적 전환을 보여준다. 해원은 교리 체계에 포함된 종교 언어로서, 원통함을 푼다는 내포를 유지하면서도 개인과 사회를 넘어 세계라는 외연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해원 개념은 교리 체계에서 세계의 변혁을 매개하고, 이러한 변혁의 과정에서 수련과 윤리적 실천 등이 필요하다는 사유를 지속적으로 창출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conceptual changes that the notion of Haewon (解冤) has undergone by examining the evolution of the usages of Haew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 reviewed the conceptual connotations and denotations of Haewon contained in data from the Joseon Dynasty (Section 2),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ction 3), and the scriptures and major preceding research of Daesoon Jinrihoe (Section 4). The research results describ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Haewon is a term with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is means that Haewon, a term that has been used since the Joseon Dynasty, was a concept used to solve collective problems but could also be applied on the individual level. This further means that, if culture is regarded as a collective consciousness or as a collection of material products, Haewon would be a term that contained social and cultural aspirations. Second, Haewon is not a concept that has been impervious to innovation throughout its history.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Haewon’s scope of application has changed depending on the problem domain (legal, natural disasters, an institutional domain, etc.). Third, Haewon has converted into religious language a doctrinal system that came about after the emergence of Jeungsan. This means that previously the concept of Haewon was mainly used at the legal level in the Joseon Dynasty, but after the emergence of Jeungsan, it became a term in religious language and in doctrine. The materials of Daesoon Jinrihoe show that this concept of Haewon was expanded to be included at the doctrinal level. These research results show a historical shift in the ideological thought contained in the concept of Haewon. As a term in religious language that is included in a doctrinal system, Haewon has an extension of denotations that is applied to the world beyond individuals and societies, yet it maintains connotations of resolving grievances. This concept of Haewon mediates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ld and creates a rationale by which training and ethical practice are necessary components of that process of transformation.

      • KCI등재

        해원상생사상의 평화적 가치와 현대적 의의

        배규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2 대순사상논총 Vol.40 No.-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the value of peace conveyed by Haewon Sangsaeng,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s espoused by Holy Teacher Kang Jeungsan (姜甑山 1871~1909) and to evaluate its modern significance. To the faithful, Jeungsan is seen as the Supreme God who descended into the worl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year 1871. Until the time of His passing away into Heaven in 1909, He vastly saved the world and fulfilled the hopes of humankind by carrying out the fundamentally innovativ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1901~1909) in the Three Realms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He has thereby been appraised as a great religious figure within religious and academic circles. Jeungsan’s ideological contributions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in points. One is the concept of ‘the Great Opening and the Later World,’ which foreshadowed the liquidation of the old system of order and the arrival of a new world. The other contribution is the concept of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 fundamental principle meant to achieve human salvation and world peace. In this context, ‘the Great Opening’ is precisely a ‘positivistic religious expression of peace,’ and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is the principle by which ‘peace can be achieved in the world for all humankind.’ In particular,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is a tenet within the doctrine of Daesoon Jinrihoe, and it is the main concept that forms the basis of Daesoon Thought. It can be said to be the core current that flows through Jeungsan’s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Nowadays,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is being discussed and cited in various ways in academic fields as well as in discourse on coexistence, mutual beneficence, and peace.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is specifically based on observations of the structure of conflicts as observed throughout world history via global conflicts, regional conflicts, cultural conflicts, ideological conflicts, class conflicts, generational conflicts, racial conflicts, religious conflicts, and other such conflicts. That is why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is discussed in depth within academic settings wherein the nature of conflict-resolution is examined. Looking at the previous studies on this topic, those studies tended to focus on key concepts or concerns such as human beings, divine beings, the earth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ideal societies, world peace, new principles of order, and lasting peace. In particular,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has been presented as directly related to concepts such as love, coexistence, harmony, and peace for humankind and the world. Its significance has been applied to ethics, philosophy, order, and principles, and it has been understood as conveying values such as peace.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ideological connections to the succession and establishment of Jeungsan’s notion of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based on previous research, but further examines the value of peace communicated via the principles and ideas that pervade current discourse on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I hope to thoroughly explore Haewon Sangsaeng in regards to its modern significance to the world and to humankind. 본 연구의 목적은 강증산(姜甑山, 1871~1909) 성사(聖師)의 해원상생(解冤相生)사상에 관한 평화적 가치를 모색하고, 그 현대적 의의를 조명하는 것이다. 증산은 구한말인 1871년 탄강하여 1909년 화천할 때까지 광구천하의 인류대망을 실현하기 위해 천지인 삼계를 근원적으로 혁신하는 천지공사(天地公事, 1901~1909)를 실행한 역사적 대종교가로 관련 종교계와 학계에서는 평가하고 있다. 증산의 주장은 크게 두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하나는 낡은 질서의 청산과 새로운 세상의 도래를 예시하는 ‘후천개벽사상’이고, 다른 하나는 인류 구제와 세계평화의 근본원리인 ‘해원상생사상’이다. 여기에서 ‘개벽’은 “적극적 평화에 대한 종교적인 표현”과 다름 아니고, ‘해원상생’은 “전세계의 평화이며 전인류의 화평” 원리이다. 특히, 해원상생은 대순진리회의 종지로서 대순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주요사상이며, 증산의 천지공사를 관류하는 요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해원상생은 공존과 상생, 평화를 말하는 담론뿐만 아니라 학술의 장에서도 다양하게 논의되거나 인용되고 있다. 해원상생은 구체적으로 세계갈등, 지역갈등, 문화갈등, 이념갈등, 빈부갈등, 세대갈등, 인종갈등, 종교갈등 등과 같은 세계사적 갈등구조에서부터 현대사회에 노정된 다양한 상극적 구조와 부조화 영역에서 학술적으로 심도 있게 논의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인간, 신명, 후천선경, 이상사회, 세계평화 등의 주요한 가치에 천착하고 있으며, 실천윤리, 실천철학, 실천원리, 관계의 조화, 윤리적 이상, 새로운 질서원리, 항구적 평화 등으로 조명되고 있다. 특히 해원상생의 윤리ㆍ철학ㆍ질서ㆍ원리로서의 의의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사랑ㆍ공존ㆍ조화ㆍ평화 등의 의미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인간ㆍ신명ㆍ후천선경ㆍ이상사회ㆍ세계평화 등에서 그 가치가 발현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간의 연구를 토대로 증산의 해원상생사상의 계승과 정립에 관한 사상적 연맥을 살펴보고 그 평화적 가치를 검토해봄으로써, 오늘날 해원상생의 원리와 사상이 세계와 인류에 던지는 그 현대적 의의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무속 사상과 증산 사상의 상관성

        이영금(Yeong Geum, Lee) 한국무속학회 2014 한국무속학 Vol.0 No.28

        무속 사상과 증산 사상은 유기적(有機的) 통합체(統合體)로서의 세계 인식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즉, 신ㆍ인간ㆍ자연이 하나의 망(Web)으로 깊이 연결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무당굿은 신과 인간, 인간과 인간 간에 맺혀 있는 원한(怨恨)을 해원(解寃)시켜 상생(相生)의 세계를 열고자 하는 제의이다. 특히 무당굿은 신과 인간 사이에 얽힌 원한을 풀고 이들 간의 조화와 균형을 도모한다. 예를 들어, 억울하게 죽은 원혼신이 발생할 경우에는 씻김굿과 같은 제의적 장치를 마련하여 원혼신(?魂神)을 해원시키는 것이다. 증산은 무속과 마찬가지로 신과 인간, 인간과 인간, 자연과 인간 간의 조화와 균형을 매우 강조하고 있다. 이들 관계가 조화롭지 못해 갈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사회적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고 본다. 증산은 부조화의 원인을 원한에서 찾고 있으며, 상생의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해원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신과 인간, 인간과 인간, 자연과 인간 간의 관계에서 발생되는 원한 제거를 위해 증산이 내세운 해결책은 무속의 해원풀이 방식이었다. 『대순전경』에는 증산 부부가 무당 집단이라고 자처한 점, 이들이 행한 ‘천지굿’에 무당굿과 풍물굿이 연행된 점, 무당집에 가서 빌어야만 살 수 있다는 점 등이 강조되고 있다. 이처럼 증산은 무속의 해원풀이 방식만이 신과 인간 사이에 얽힌 원한을 풀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증산은 의식을 할 때 제단에 제물을 차려놓거나 금줄을 치기도 하고, 신장기(神將旗)를 세우거나 독경(讀經)을 읽은 후 종이를 불태우기도 했다. 특히 증산이 선호했던 해원풀이 방식은 제의적 요소와 예술적 요소를 두루 갖춘 풍물굿과 무당굿이었다. 증산은 후천선경(後天仙境) 세계를 열기 위해 마련한 ‘천지(天地)굿’에 이러한 두 장르를 적극 활용했던 것이다. 즉 인간ㆍ신ㆍ자연의 해원을 위한 천지굿에 무당굿과 풍물굿을 해원풀이 도구로 활용하였다. 이처럼 증산은 무속의 해원풀이 방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이상 세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1920년대 『증산천사공사기(甑山天師公事記)』에 나타난 해원(解冤)서사의 양상과 그 치유성 - ≪강증산 일대기≫ 서사 속 해원을 중심으로 -

        고남식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4

        오랜 역사에서 개인과 사회가 만들어 낸 적폐(積幣)와 억압(抑壓)으로 고통 받 아 원한(怨恨)이 맺힌 존재들의 억눌림과 억울함을 풀어 마음과 몸을 해방시켜 주 는 해원(解冤)은 치유(治癒)이며 치료(治療)이다. 강증산(1871-1909)은 1894년 동학 (東學)농민운동 때 황토현(黃土峴)에서 민중의 원한이 염화(炎火)처럼 타오르는 현 장을 목도(目睹)하고, 비폭력 무저항 만민평등의 공정(公正)한 화평(和平)시대를 열기 위해, 도탄(塗炭)에 빠져 신음하고 고통받는 조선 말기의 민중들의 삶의 현장 을 같이 하며 동학의 실패를 딛고 다시 일어서자는 ‘참(眞)’동학 사상으로 전 우주적 해원과 상생을 이루기 위해서 신이(神異)한 권능으로 천지공사(1901-1909)라는 일대(一大) 미증유(未曾有)의 이적(異蹟)을 실행하였다. 이에 그의 생애를 기록한 1920년대 정착한 증산천사공사기의 해원으로 상생(相生)세계를 이루려는 서사는 오랜 봉건적 조선 사회로부터 일제 강점기에 이르는 시대사 속에서 인류 최초로 약자(弱者)들에게 자유와 해방 그리고 인권이라는 판도라의 상자를 열게 하는 힘 을 준 빅 코드였다. 강증산에게 있어서 해원은 오백년 조선 역사만이 아닌,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층층이 퇴적되며 고착화된 압제와 인권 유린 그리고 천지 신 명계의 착란(錯亂)으로 부터의 책임 있는 인간 자아(自我)의 자유와 완성 그리고 상생을 이룩하는 원천이었다. 이후 강증산을 따르던 제자 종도들은 강증산이 전해 준 해원과 상생의 메시지를 점화(點火)하여, 1911년(선도교)부터 신앙적 운동을 통 해 강증산의 시루산(甑山)에서의 공부로 시원(始原)된 증산(甑山, 시루산)에 대한 신앙을 종교적인 면으로 까지 승화(昇化)시켜 나아가기도 하였다. 이글에서 살펴 본 해원서사의 치유성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해 보았다. 첫째, 개인과 사회 그리고 국가가 모두 한(恨)을 풀어나가야 한다는 서사적 맥락이 억압된 인간의 정서를 해소할 수 있다. 해원서사는 당대 조선말기 사회로부터 개 화기를 거쳐 3․1운동의 실패와 일제 강점기에 일제의 탄압이 더욱 가중되는 시대 사 속에서, 1920년대 암흑기 실의에 빠진 지식인과 대중들에게 해원을 모티프로 민족과 세계가 나아가야 한다는 새 길을 제시해주어 상생 공존의 치유적 소재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소외(疏外)된 계층들에 대한 치유적 작용이다. 지금까지 인류의 역사는 많 은 각양각색의 제왕(帝王)들과 강자(强者)들이 등장하여 주연으로 활동한 시간이 었다. 그속에서 용납될 수 있는 선양(禪讓)의 논리이긴 하지만 불초(不肖)하다는 지배자의 판단만으로 혈연에 의한 천륜적 계승을 하지 못하고 수천 년간을 역사의 음지(陰地)에 방치되어 온 제왕(帝王) 요(堯)의 맏아들인 단주(丹朱)가 가질 수 있 는 아픔을 갖고 있는, 역사 속 한 편(片)에 속한 사람들의 고통과 원통함을 뒤로 한 채 흘러온 것이다. 이들에게 1920년대 증산천사공사기에 등장하는 많은 해원서 사는 불평등과 불공정이라는 적폐의 사슬을 끊어 약자들을 해방시켜 그들이 원래 소유해야 될 자유와 공정과 공평을 찾게 하기에 충분하다. 셋째, 인간과 신의 세계를 모두 포함하는 해원의 순환적 서사 구조가 주는 치유 성이다. 증산천사공사기의 해원서사는 해원이 인간들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 나 아가 천지라는 자연도 함께 그 문제의 동궤(同軌) 안에서 순환되고 있음을 주장한 다. 인간들만이라는 관계의 틀을 뛰어넘어 우주적 차원으로 확대하여 상생의 메시 지로 전함으로써, 해원서사로 순환의 장을 증대시켜 각자의 자기서사를 더욱 건강 하고 역동적으로 변화시키게 한다. 해원서사를 통해 누구나 스스로 적폐 때문에 잃었던 자기 내면의 심령(心靈)을 바라보며, 인간이 가져야만 될 인권 그리고 천지 보다 인간이 더 소중하고 큰 존재라는 인간에 대한 최고의 예우인 인존(人尊)의 가 치를 이루어 간다는 면에서 생(生)에 대한 희망과 치유의 모티프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narrative of Jeungsan Cheonsa Gongsagi (甑山天師公事記, Records of the Holy Works of Celestial Master Jeungsan, hereinafter the “Gongsagi”), examined the types of narratives, and explored the therapeutic possibility contained in the narratives of the Gongsagi. The “Haewon” (解冤, “Resolution of Grievances”) narrative of the Gongsagi is divided into personal and social narratives, that constitute the entire Haewon narrative transmission of Kang Jeungsan (1871–1909, 姜甑山).The personal Haewon narrative was divided into Jeungsan’s personal experience, private desires, and disease relief. The social Haewon narrative was explored social problems and the natural elements of society. Through this, the narrative structure whereby the Haewon structure is organically cor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beyond the human dimension can be found in the Gongsagi. First, the narrative context of resolving grievances can solve suppressed human emotion. The Haewon narrative of the Gongsagi, which tries to resolve very mundane matters as well as matters related to life and death, can serve as a healing narrative for people living with resentment. Second, it contains the possibility of healing for marginalized classes. The object of the Haewon in the Gongsagi is mainly composed of beings who have suffered in mind and body and those who have been neglected and alienated under the ideologies of the rulers throughout history. Third is the healing potential of Haewon's circular narrative structure. The narrative of Haewon in the Gongsagi shows that Haewon does not only poses a problem for human beings, but also for society and nature. By expanding the scope beyond the framework of this relationship, it is believed that the Haewon narrative can act as a healing concept with the potential to alter an individual’s narrative oif their own self and nobility.

      • KCI등재후보

        인간과 세계의 미래에 관한 해원상생사상 연구

        배규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8 대순사상논총 Vol.3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하나는 한국 신종교의 대표적 평화사상인 해원상생사상의 의미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해원상생과 해원공사를 후천선경 건설의 원리와 실행기제로 보고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해원상생사상에 내포된 사상적 특성으로 인간과 세계의 미래를 논리적으로 추론해 보는 것이다. 해원상생사상은 해원과 상생으로 구성되는 복합적 개념이다. 해원은 인간ㆍ신명ㆍ세계에 쌓인 원한과 원한의 구조를 풀어가는 것이고 상생은 서로 간에 잘 되게 하는 작용 또는 잘 산다는 상태를 말한다. 그래서 해원상생은 원한을 풀고 서로 잘 산다는 말이다. 대순진리회에서의 해원상생은 그 개념이 외연적으로 더욱 확대되어 나타난다. 해원상생은 전 세계의 평화이며 전 인류의 화평으로 확장된다. 선행연구의 통합적 분석과 필자의 새로운 해석에 의해 얻어진 해원상생의 가치와 의미는 원리ㆍ법리ㆍ윤리ㆍ이념으로써 공통적으로 인존, 상생, 평화, 조화, 후천, 선경 등으로 연결된다. 이것은 해원상생이 가지는 어원적 의미보다 해원상생사상이 인간과 세계와 그 미래에 관해 투영되는 가치적 의미는 더욱 깊고 넓다는 것을 말해준다. 인존과 상생, 평화와 조화, 후천과 선경이 가지는 공통의 특성은 모두 인류가 오랫동안 꿈꿔온 대망의 실현이라는 점이다. 이점이 해원상생의 가치와 의의를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이유이다. 해원공사는 상극이 지배하는 선천시대의 원한을 해소하고 상생으로 유지되는 후천세계를 건설하는 강증산의 종교적 행위이다. 그래서 해원상생의 원리는 해원공사에 의해 인간과 세계와 그 미래를 변화시키는 작용력을 가진다. 이 글에서는 해원상생이 ‘인간욕망의 충족’과 인간과 세계의 ‘상생적 조화관계’를 이룸으로써 인간은 인존(人尊)으로, 세계는 선경(仙境)으로, 미래는 평화로 변화시킨다고 추론한다. 그래서 해원상생사상은 사회-세계-우주의 변화원리로서 작용하며, 해원상생의 사회적 실현은 인존ㆍ선경ㆍ평화의 객관적 실재로서의 그 미래를 창출한다. 해원상생사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어려운 여건 속에서 소수의 학자들에게서만 진행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해원(解冤)ㆍ상생(相生)ㆍ인존(人尊)ㆍ선경(仙境)ㆍ평화(平和)를 실현하는 해원상생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더욱 더 확대되어 세계종교사상의 주요 주제로 다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re are three purposes to this study: first,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the meaning of Haewon-sangsaeng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Thought, which can be taken as representative thought regarding peace in Korean new religions. Next, Haewon-sangsaeng Thought and the works for Haewon (resolving grievances) will be examined as principles and practical mechanisms for building the paradise of the Later World and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is system of thought. Lastly, logical inferences will be made regarding the future of humanity and the world through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mplied by Haewon-sangsaeng Thought. Haewon-sangsaeng Thought contains the complicated concepts of Haewon and Sangsaeng. Haewon is the resolution of the enmity and grievances that have accumulated in the realms of humanity and deities. Sangsaeng indicates the action of mutually benefiting one another or a state wherein people live in prosperity and peace. In Daesoon Jinrihoe, the concept of Haewon-sangsaeng is expressed explicitly and has broad applications. It can be expanded for the global peace and the harmony of all humanity. As the result of an integrate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t can be stated that Haewon-sangsaeng has values and meanings in terms of principles, laws, ethics, and ideology all of which are commonly connected to Injon (Human Nobility), Sangsaeng, peace, harmony, the Later World, and paradise. This indicates that its valuable for the future of humanity and world is deeper and wider than its mere etymological meaning. The common factor among paired ideas such as human nobility and Sangsaeng, peace and harmony, and Later World and paradise is the realization of humanity’s greatest wish. This is the reason why the value and meaning of Haewon-sangsaeng can be expanded globally. The works of Haewon were a religious act of Kang Jeungsan who resolved the grievances of the Former World which was under the rule of mutual conflict and built a Later World that will operate according to mutual beneficence. Therefore, the principle of Haewon-sangsaeng has a motivative power, through the Reordering Works of the Universe, which can transform the future of humanity and the world. In this study, it can be inferred that as Haewon-sangsaeng ‘fulfills human desires’ and forms a ‘harmonious relations of Sangsaeng’ between humans and world, humans will be transformed into Injon (Human Nobility) while the world turns into a paradise, and the future turns into period of peace. Therefore, Haewon-sangsaeng Thought works as a principle that changes society, the world, and the universe. The social actualization of Haewon-sangsaeng is tantamount to bringing the future of Injon, paradise, and peace into objective reality. Previous studies on Haewon-sangsaeng Thought had been carried out under difficult circumstances by a small number of scholars. For all the above reasons, I anticipate that there will be more and more studies made on the topic of Haewon-sangsaeng Thought, which seeks the realization of Haewon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Sangsaeng (Mutual Beneficence), human nobility, paradise, and peace. I hope it will emerge as a main subject in global religious thought.

      • KCI등재

        불륜의 토포스와 윤형방황 -홍상수의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을 중심으로-

        김경은 한국극예술학회 2013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41

        Hong Sang Soo is an auteurist film director who built up his firm world in Korean film community and secured the thick support layer after he published fourteen long films in total from <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in 1996 to <Nobody's Dauther Haewon> in 2013. Through consistently concentrating on relation, he is tenaciously searching for one world, elucidating a human being and bringing his works to completion. His flims, as arranged into 'man, woman, bed, alcohol', dubbed as 'the theory of four elements of desire', have stereotypical frames and are raising reference examples on his prior works, the more his works added. In other words, his works are ones that fall into ingwanderung, between the definate frame and theme lying ahead. For instance, enhencing the weight of in-a-dream-sequence in <Nobody's Daughter Haewon> reinforces the subjectivity of narrative and that, after returning to <The Power of Kangwondo Province>, embodies the sufferings of heroine Jisook. Haewon is wandering in searching for the flag which materializes her love but troubled with the unseizable substance. Feeling a death impulse, she flees into a dream and falls into ringwanderung. In a dream, she removes her lamentation after she meets a climber who knows of her love, but the possibility she can escape out of the veinly persuing desire gets away. The moment the flag becomes desire, the flag serves as the visualization of desire, not the materialization of love. Hong Sang Soo, who firmly established the world of his works, and audiences are the flag relation to each other. But if he persues the flag beyond her lamentation-removing, not Haewon beyond the flag, the relation would assume stereotypicality. He desires Haewon and finds out a new flag by trying to twist with strengthening in-a-dream-sequence. That is, though Hong Sang Soo's works handles the same theme and returns repeatedly, the places are not those of the same. Accordingly, the flag acquiring is impossible, and amid her flag-persuit continues, the flag becomes the signifier of ringwanderung. The solitude of nearby Haewon who goes onto the secluded death would come back with confirmed features when Haewon stands up as an independent main body, and the flag turn into the another name of solitude leading forward at the moment it hangs in the air. The spirally repeating ringwanderung goes to shape the main body amid the desire moves infinitely over again. 1996년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부터 2013년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까지 총 14편의 장편영화를 발표하면서 한국영화계에 확고한 자기세계를 구축한 홍상수는 두터운 지지층을 확보한 작가주의 감독이다. 그는 일관되게 관계, 특히 ‘불륜’에 집중해 하나의 세계를 집요하게 탐색해가면서 인간을 해명하고 작품세계를 완성해 나가고 있다. ‘남자, 여자, 침대, 술’이라는 ‘욕망의 4원소론’으로 정리될 만큼 그의 영화는 상투적 틀을 갖고 있으며 작품을 더해갈수록 전작 참조 사례가 늘고 있다. 이를 다르게 말하자면 그의 작품들은 한정된 틀과 주제를 놓고 그 사이에서 윤형방황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에서 해원의 꿈속 시퀀스 비중을 높인 것은 내러티브의 주관성을 강화시키며 <강원도의 힘>으로 돌아가 주인공 지숙의 고통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해원은 자신의 사랑을 실체화시켜줄 깃발을 찾아 헤매지만 잡히지 않는 실체에 힘들어한다. 그녀는 죽음의 충동을 느끼며 꿈속으로 도망가고 윤형방황 한다. 꿈속에서 해원은 자신의 사랑을 알아주는 등산객을 만나 해원(解寃)하되 헛된 욕망 추구의 덫에서 빠져나올 가능성으로부터는 멀어진다. 깃발이 욕망이 되는 순간 깃발은 사랑의 실체화가 아닌 욕망의 가시화 기능을 하게 된 것이다. 자신의 작품세계를 확고하게 구축한 홍상수와 그를 지지하는 관객은 서로에게 깃발관계이다. 그러나 깃발 너머의 해원(海原)이 아니라 해원(解寃) 너머의 깃발을 추구한다면 관계는 상투성을 띠게 될 것이다. 한편 현실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불륜’은 해원(海原)으로 추방되고 이상으로 귀환하여 홍상수의 욕망을 대변할 자격을 얻게 된다. 그는 해원을 욕망하며 꿈 속 시퀀스 강화로 비틀기를 시도함으로써 새로운 깃발을 발견한다. 즉 홍상수의 작품은 같은 주제를 다루며 반복적으로 돌아오지만 그 자리는 같은 자리가 아니다. 따라서 깃발 획득은 불가능하고 깃발 추구가 지속되는 가운데 깃발은 윤형방황의 표지가 된다. 고립된 죽음으로 나아가는 해원 곁의 고독은 해원이 독립된 주체로 설 때 좀 더 확고한 모습으로 귀환할 것이며, 깃발은 공중에 달리는 순간 앞으로 나아가도록 이끄는 고독의 다른 이름이 된다. 욕망이 무한반복 운동하는 가운데 나선형으로 반복되는 윤형방황은 주체를 형성시켜간다.

      • KCI등재

        대순사상(大巡思想)의 윤리문제에 관한 연구

        김의성(金義性)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2 No.-

        대순사상에서 ‘해원상생’의 이념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면서 윤리적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인간은 ‘원(冤)’을 담지하고 있고 이것은 ‘해원’의 필요성으로 드러난다. 여기서 ‘원’은 본질적으로 인간의 욕구로부터 출발하는 상태와 감정으로 이해된다. 욕구는 욕구의 해소와 결핍의 두 가지 상태를 수반한다. 욕구가 결핍되었을 때는 원한의 감정을 맺게 되며 ‘원’의 상태가 축적되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 이것은 대순사상에서 세상의 문제를 진단하는 중요한 관점이다. 그에 따라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천지공사(天地公事)’의 작업에는 욕구의 해소라는 측면에서 ‘해원’의 원리가 작용하여 해결의 방법이 나타나고 있다. ‘해원’의 원리 속에서 윤리적 참여는 ‘보은(報恩)’이라는 이념과도 관계되면서 전개된다. 이것은 ‘보은’의 내용을 함축하고 있는 ‘해원’의 내용을 보여준다. 그러나 ‘해원’은 그것으로써 윤리적 가치를 드러내지 않고 그 방향성이 ‘상생(相生)’을 지향할 때 선(善)의 가치를 지닌다. 이와 같은 ‘해원상생’의 윤리적 내용들은 그것이 그대로 ‘훈회(訓誨)’의 윤리 규범 속에서 다양한 측면으로서 표현된다. 대자적(對自的)인 문제로서 마음은 ‘양심(良心)’을 통해서 ‘해원상생’의 윤리적 주체가 되며 “마음을 속이지 말라”는 덕목으로 표현된다. 마음은 대타적(對他的)으로 언어와 행동으로 드러나게 되는데 말에 있어서는 “언덕(言德)을 잘 가지라”는 덕목이, 구체적인 ‘해원상생’의 일반적 행위로서는 “척(慼)을 짓지 말라”는 덕목이 있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은혜를 저버리지 말라”는 맺은 척을 풀라는 것과 같은 의미로, “남을 잘 되게 하라”는 내용은 은혜를 베풀라는 의미로서 모두 ‘보은’이 전제된 ‘해원상생’을 실천하는 소극적 행위와 적극적 행위로서 의미가 있게 되는 것이다. The idea of ‘Haewon Sangsaeng(解冤相生: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which is expressed as an ethical principle in Daesoon thought, imparts an important ethical view and is the view toward humans and the world. As the idea regards human beings to bear ‘Won(冤: grievances)’or resentments, it reveals the necessity for all humans to ‘Haewon(解冤: Resolving Grievances)’grievances. Here, the ‘Won’are intrinsically understood as the phenomena and emotions coming out from human desires. Desires are accompanied by the two phenomena : the resolution and deficiency of desires. The deficiency of desires results in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bearing and accumulating grudges and resentments. This becomes an important viewpoint for diagnosing the world-wide problems in Daesoon thought. According to the diagnosis that the world is full of grievances, ‘Cheonji Gongsa(天地公事: Reordering Work of the Universe)’solves the worldly problems based on the principle of ‘Haewon’to resolve all grievances systematically and individually. The ethical practice of the principle of ‘Haewon’involves the practice of the idea of ‘Boeun(報恩: Repaying Favors)’. It shows that the idea of ‘Boeun’implies the idea of Haewon, or Resolving Grievances. However, the idea of ‘Haewon’cannot be an ethical value and express the good unless its practice is aimed for ‘Sangsaeng(相生: mutual beneficence)’. The ethical aspects of ‘Haewon Sangsaeng’are presented in various ways of practices in the Precepts of Daesoon Jinrihoe. As an issue about the self, the first precept reads “Do not deceive yourself.”Here, human mind becomes the subject that practices ‘Haewon Sangsaeng’by not deceiving one’s mind and preserving his or her conscience. The state of human mind is expressed in one’s speech and behavior. As an issue of the others, the second and third of the Precepts states “Practice virtuous speech”and “Do not provoke Cheok(慼: emotions of grudge against others) in others”. The former indicates the virtue of speech and the latter indicates that of behavior. The fourth precept “Do not disregard the beneficence others bestow upon you”has the same meaning as resolve ‘Cheok’you caused to others. The fifth precept “Promote the betterment of others”means to heap favors to others. They both have their meanings in practicing the idea of ‘Haewon Sangsaeng’in passive and active lines.

      • KCI등재

        대순진리의 해원(解冤)사상에 대한 해체(解體)론적 이해 :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론을 중심으로

        김대현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1 대순사상논총 Vol.39 No.-

        ‘Déconstruction’ is a system of thought that induces the emergent property that characterizes contemporary philosophy. The tradition of ancient Greek philosophy evolved over and over again, giving rise to the Renaissance and Enlightenment. It seemed to have reached its end under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modernity. However, contemporary philosophy wanted to see more possibilities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modern philosophy. If modern philosophy dreams of a strange cohabitation between God and man with the humanistic completion of Plato’s philosophy, modern philosophy rejects even that through deconstruction. Although Plato’s classical metaphysics is a stable system centered around the absolute, it is ultimately based on God and religion. Under that system, human autonomy is only the autonomy bestowed by God. Contemporary philosophy is one of the results of efforts that try to begin philosophy from the original human voice through deconstruction. Instead of epistemology dependent on metaphysics, they wanted to establish epistemology from human existence and realize the best good that would set humans free through deconstruction. As such, it is no mistake to say that deconstruction is also an extension of the modern topic of human freedom. Deconstruction and human freedom act as one body in that the two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Oddly enough, Daesoon Thought, which seems to have religious faith and traditional conservatism as main characteristics, has an emergent property that encompasses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e period of Korea, when Kang Jeungsan was active and founded Daesoon Thought,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those who have a keen view of history. Such individuals likely think that they have found a valuable treasure. This is because that period was a time when ideological activities were conducted due to an intense desire to discover the meaning of human freedom and envision a new world without copying the ways of the West. Instead they looked to face internal problems and raise people’s awareness through subjectivity. In other words, the subtle ideas created by Korea’s self- sustaining liberalism often take the form of what is commonly called new religions in modern times. Among these new religions, Daesoon Thought, as a Chamdonghak (true Eastern Learning), aims to spread a particular modern value beyond modern times through the concept of Haewon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that was proclaimed by Jeungsan. The Haewon espoused in Daesoon Thought is in line with the disbandment of modern philosophy in that it contains modernity beyond modern times. First, Haewon means to resolve the fundamental resentment of human existence, which arose from Danju’s grievance. Secondly, Haewon in Daesoon Thought encompasses the Haewon of the Three Realms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centers on a Haewon-esque style of existence called Injon (Human Nobility). Haewon in Daesoon Thought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Derrida’s philosophy of Deconstruction. Modern deconstruction attempts to expose the invisible structures and bonds within human society and attempt to destroy them. In a similar way, Haewon endeavors to resolve the conflicts among the Three Realms by releasing the bonds of fundamental oppression that hinder the Three Realms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해체(解體, déconstruction)’는 현대철학을 특징짓는 속성의 하나인 창발성(創發性, emergent property)을 유도하는 개념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의 전통이 탈피를 거듭하여 개체의 자유와 평등에 대한 열망을 낳고 이로부터 르네상스와 계몽주의에 이르러 근대라는 역사적 방점 하에 철학의 종지부를 찍는 듯했다. 하지만 철학은 근대마저도 그러한 해체를 통해 그 이상의 가능성을 바라보고자 했다. 근대철학이 플라톤 철학의 인문적 완성으로 신과 인간의 묘한 동거를 꿈꾼다면 현대철학은 해체를 통해 그마저도 거부한다. 플라톤류의 고전적 형이상학은 절대자를 중심으로 순치된 안정된 체계이기는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신과 종교를 토대로 할 수밖에 없고 인간의 자율성 또한 신 아래의 자율성일 뿐이다. 현대철학은 해체를 통해 인간 본연의 목소리로부터 철학을 시작하고자 한 노력의 결과 가운데 하나이다. 형이상학에 종속된 인식론이 아닌 인간 실존으로부터의 인식론을 구축하고 자유라는 말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선을 해체를 통해 실현하고자 했다. 그렇듯 해체 또한 인간의 자유라는 근대적 화두의 연장선에 있다고 해도 틀리지 않다. 해체와 인간의 자유는 결국 서로 떼어낼 수 없는 하나의 몸인 것이다. 묘하게도 종교적 신앙성과 전통적 보수성을 주된 색채로 할 것만 같은 대순사상은 현대적 창발성을 가지고 있다. 대순사상을 창시한 증산이 활동하던 한국의 시기는 역사를 해석하는 예리한 시각이 있는 이들에게는 보물과 같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외세에 의한 답습이 아닌 주체적 문제의식 가운데 새로운 세상과 인간의 자유의 의미를 발견하려는 강렬한 염원에 의한 사상적 활동이 펼쳐진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한국의 자생적 창발성이 낳은 비권력적 사상이 바로 흔히 말하는 한국 근대의 신종교인 셈이다. 그 가운데서 대순사상은 참동학으로서 증산의 명맥을 잇고 증산이 남긴 해원의 개념 속에서 근대를 넘은 현대의 가치를 현실 가운데 펼치고자 한다. 대순사상의 해원은 근대를 넘은 현대성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철학의 해체와 상통한다. 해원은 첫째로 단주로부터 발현된 인간 실존의 원초적 억압에 따른 근본 원(冤)의 해소를 의미한다. 두 번째로 대순사상의 해원은 인존이라는 해원적 실존을 중심으로 천지인 삼계의 해원을 아우른다. 데리다의 해체가 인간과 사회 내부에 잠재된 보이지 않는 구조와 속박의 틀을 드러내고 그것을 파기하는 것으로부터 억압을 풀고 인간의 근본 자유를 실현하고자 한 것은 대순사상의 해원이 천지인 삼계를 휘감고 있던 근본 억압을 풀어 삼계의 대립을 상생으로 개방하고자 한 점과 동일한 맥락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원귀 서사에 나타나는 해원과 애도의 구조, 그 의미와 한계

        서유석(Seo, You-Seok)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옛이야기에 나타나는 대부분의 원귀는 자신의 원한이 해결된 이후 현실에서 사라진다. 하지만 <신거무 전설>과 <의적 강목발>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두 존재는 자신의 원한을 직접 해결한 뒤에도 다시 현실 세계에 나타나 그 원한에 대한 복수를 지속하기 때문이다. 두 이야기는 배경이 되는 시대와 지역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원한으로 죽임을 당한 자의 아버지가 아들의 시신을 꺼내 매질한다는 공통의 화소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신거무 전설>이 이유 없이 지속되는 끝없는 복수를 보여주는데 비해, <의적 강목발>은 복수가 지속되지 않고 해원이 어느 시점에서 이루어진다는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이렇게 공통점과 차이점이 분명한 두 원귀 서사의 해원과 애도의 구조와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적 연구방법론, 그 중에서도 라캉의 이론에 기대고 있다. 실재계와 충동(Drive, 욕동)이라는 개념을 중시하는 후기 라캉의 이론은 상징계와 실재계를 넘나드는 원귀의 해원 구조를 좀 더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거무의 원귀는 원한을 가질 수 없는 존재이기에 신거무의 원귀를 사실 원귀라고 부르기도 쉽지 않다. 이유 없이 원귀가 된 신거무의 원귀는 그 원한의 이유를 알 수 없기에 해원이 불가능하고, 애도 작업도 불가능하다. 원한을 풀어낼 수 없기에 <신거무 전설>의 결말은 이유 없이 이어지는 끝없는 죽음만 남아 있을 뿐이다. 즉 신거무의 원귀는 충동 주체이며 실재계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의적 강목발>의 해원구조는 <신거무 전설>과 달리 상징계적 질서에 놓여 있다. ‘아버지의 이름’으로 상징되는 지방 수령을 직접 해원의 방식으로 복수함으로써 당대 사회가 가지고 있는 모순을 공박하지만, 그 남근의 거세로 인해 오이디푸스 컴플렉스가 소멸되어 이야기의 향유 주체는 오히려 소외된다. 즉 강목발 이야기의 직접 해원 구조는 다시 ‘아버지의 이름’과 당대 사회의 문화적 질서를 재구축하는 것이다. 두 이야기가 보여주는 이러한 차이점은 현실의 모순을 드러내어 공박하는 원귀 서사가 지금까지 끊임없이 반복되는 이유이다. 원귀 서사는 현실 세계 전복 가능성의 안팎을 끊임없이 넘나들고 있을 뿐이다. In old stories, most vengeful ghosts resolve their grudge and then disappear from the real world. However, such tendency is not observed in the stories of Legend of Singeomu and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The two beings directly resolve their grudge yet remain in the real world to continue exacting their vengeance based on their grudge. Despite their different backgrounds, including times and regions, the two stories have a common plot in that the father of the person who was killed by the grudge pulls out his son’s body from the coffin and whips them. Yet, while Legend of Singeomu shows continuing vengeance for nothing,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does not continue with the act of vengeance but rather releases the grudge at a certain point, thus making the two storie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grudge-releasing and mourning of the two vengeful-ghost narratives with distinctiv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To confirm this structure, this study applied the theory of Lacan, one of psychoanalytic research methodologies, that emphasizes the concept of real world and drive, which has the potential to explain more clearly the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the vengeful ghost that crosses the symbolic world into the real world. Because Singeomu’s vengeful ghost is a being that cannot bear a grudge, it cannot be essentially called a vengeful ghost. Singeomu’s vengeful ghost, which has become a vengeful ghost without a reason, can neither release an unjustified grudge nor perform an act of mourning. Since the grudge cannot be released, the ending of Legend of Singeomu is only an endless death that continues without reason. In other words, the vengeful ghost of Singeomu is a driven subject and is seen existing in the real world. The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is in line with the symbolic world order, unlike that of Legend of Singeomu. The vengeful ghost refutes the contradiction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by avenging the local governor, symbolized by his father’s name, in a grudge-releasing fashion. However, the Oedipus complex is destroyed by the castration of the penis, and the entity of the story is alienated. In other words, the direct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the Gang Mok-bal story is to reconstruct the “father’s name” and the cultural order of the then society. Such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ories is that the vengeful-ghost narrative, which reveals and contradicts the reality’s contradictions, is constantly repeating so far. The vengeful-ghost narrative only constantly crosses into and out of the possibility of the real-world overthr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