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海東諸國紀』의 유통과 조·중·일 관계

        허지은(Her Ji Eu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서강인문논총 Vol.0 No.52

        『해동제국기』는 신숙주가 역사, 지리, 풍속, 사신왕래의 연혁, 사신접대의 규정에 관한 舊禮를 찬술한 것이다. 신숙주는 1443년에 통신사의 서장관으로 직접 일본에 다녀온 경험과, 오랫동안 예조판서로 있으면서 축적한 외교경험을 바탕으로 조선과 일본의 과거 典籍을 참고로 하여 『해동제국기』를 완성하였다. 1471년 『해동제국기』가 편찬된 이후 조선에서는 일본의 지리, 환경, 일본인의 혈통을 파악하는데 『해동제국기』가 기본자료가 되었으며, 일본과 류큐왕국 등 외국에 대한 접대 의례의 기준이 되고 있었기 때문에 북방 야인들에 관한 책자를 만드는데 있어서도 그 참고자료로서 이용되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일본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입수하게 되면 기존의 『해동제국기』 내용에 첨부해 가는 방식으로 내용을 보완해 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사신접대와 관련하여서는 당시의 상황을 반영하여 조정해야 한다고 하는 등 그 내용을 전적으로 신뢰하지 않았고 이견도 많았다. 또한 임진왜란 시기 『해동제국기』는 명나라의 정응태가 조선을 참소하는 근거가 되기도 했다. 이 사건은 정무를 중단하는 극단적인 선택을 함으로써 조선을 무고했던 것으로 결론이 났다. 이후 명나라를 의식하여 조선에서는 『해동제국기』의 유통이 활발하지 않았다. 한편 청대 중국에서는 『해동제국기』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유통이 이루어져 일본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되었다. 일본에서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과의 원활한 외교・무역 관계의 유지를 위해 그리고 조선이 일본관련 정보를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 『해동제국기』가 유통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 결과 현재 『해동제국기』의 판본은 한국보다 일본에 더 많이 남아 있다. Hedongjegukgi (海東諸國紀) written by Shinsuk-ju (申叔舟), was a literature that delivered some practical knowledges on Japan including its history, geography, custom, envoy exchanges, and traditional etiquettes on envoy reception. Shinsuk-ju completed this volume based on his experiences to visit Japan as Seojanggwan (書狀官, Document Officer) of Joseon Tongshinsa (Envoy) in 1443, and long-term diplomatic practices as Yejopanseo (the 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 referring to prior literature on Joseon and Japan. Since Hedongjegukgi was published in 1471, it had been used as a basic reference to understand the geography, environments, and ancestry of Japan. Hedongjegukgi was also referred by those who worked for literatures on wild groups in northern regions as it provided the guidelines of reception for foreign countries like the Kingdom of Rhykyu, and its content kept being added when new information on Japan was collected. As time went by, however, skepticism or different opinions for some parts of Hedongjegukgi were growing, for instance, with the idea that envoy reception should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situational context. In addition, Ding Yingtai (丁應泰) of the Ming Dynasty in China brought a charge against Joseon to the emperor based on the content of Hedongjegukgi. Joseon took a bold reaction against it by suspending all political affairs and finally led to the conclusion that it was a false charge. This event made the circulation of Hedongjegukgi less active in Joseon. While it was difficult to have a copy of Hedongjegukgi during the Qing Dynasty in China, it was still circulated and was utilized as a source to understand Japan. Furthermore, Japan also needed to grasp the content of Hedongjegukgi to maintain the diplomatic and trade relations with Joseon recover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mjinwaeran) because Joseon used it as the guidelines for trade with Japan, and also to see to what extent Joseon understood about Japan. For those reasons, more printings of Hedongjegukgi are remained in Japan than in Korea at present.

      • KCI등재

        『海東諸國紀』의 역사지리적 고찰

        엄찬호(Eom Chan-Ho) 한일관계사학회 2007 한일관계사연구 Vol.27 No.-

        통신사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한일 양국에서 많은 축적을 보아 왔는데, 그 중심이 되는 것은 역사학과 문학 분야였다. 역사학 분야에서는 주로 문화교류사에 중점을 두어, 통신사를 매개로 유학, 본초학(한의학), 서예 등을 중심으로 한 문화의 접촉, 정치적인 내막, 통신사를 매개로 한 경제유통사 등이 다루어졌다. 특히 최근에는 상류계급뿐 아니라 일반대중과의 교류, 통신사 통과지역에 남은 축제 등 민속관련 사항에도 연구 지평이 넓어지고 있다. 또 문학에서는 통신사의 사행록 그 자체나 거기에 삽입된 시문학, 일본 측 기록에 남아있는 시문의 응수 등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현재에 이르기까지 통신사에 관해서 지리학적인 고찰을 진행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해동제국기는 일찍부터 일본의 역사, 지리, 풍속, 외교 등에 관한 방대한 자료를 담고 있어 외교관계사에서 중시되어 왔으며, 언어학적으로도 귀중한 사료이다. 신숙주는 그의 견식과 경험으로서 그 당시 일본에서 전래한 문헌과 왕년의 견문과 예조에 管掌된 기록 등을 참작하여 교린관계에 대한 후세의 軌範을 만들기 위해 해동제국기를 찬술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해동제국기에 대한 역사지리적 의미를 몇 가지로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해동제국기의 서두부분에 실려있는 지도로 ‘해동제국총도’를 비롯하여 총 9점이 실려있다. 이 지도들은 삼포지도를 제외하고는 일본의 행기도를 따르고 있으면서도 최신의 정보를 수록하고 있는 점, 해로의 里程이 상세한 점, 섬들이 자세히 그려 있는 점, 대마도와 일기도가 상세히 묘사되어 있는 점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중세 일본과 관련된 지도로 가장 오래된 지도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둘째, 해동제국기는 어떠한 자료보다도 방대한 지명을 수록하고 있어 일본의 지명연구나 중세 언어연구의 큰 초석이 될 것이다. 본문에서는 조선에서 日本 및 琉球에 이르는 도로리수를 기록하며, 중요한 기착지점들을 명시하고 있고, 또 외교관계속에서의 관련 있는 각지의 지명을 기록하고 있다. 아울러 지도에도 다수의 지명이 기록되어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셋째, 해동제국기에는 본문과 지도에 각 지역간의 거리가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풍부하게 표시된 해로 교통을 중심으로 한 거리 표시는 중세의 동아시아 항로연구나 해상교역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신숙주는 日本國俗과 琉球國俗을 통하여 일본과 유구의 풍속을 다양하게 기록하였다. 특히 그는 이들 자료를 기록하며 다른 통신사행 관료들이 보인 태도와는 다르게 일본과 유구를 통교 대상으로서 객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곧 우리나라의 풍속과 다른 점이나 특이한 점을 소개하고 그들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여 수호통교에 있어 마음을 다하여 예의로 접대해야 함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해동제국기는 조선전기의 日本 및 琉球와의 관계, 그들 나라에 대한 지리적 인식, 풍속 등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인 것이다.

      • KCI등재

        『해동제국기』의 군사적 성격 고찰

        유연성 전북사학회 2021 전북사학 Vol.- No.61

        『해동제국기(海東諸國紀)』는 1443년에 신숙주가 일본을 다녀온 뒤 1471년에 왕명을 받아 편찬한 사행록이다. 일본과의 교류가 많지 않던 시기의 일본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사료이다. 조선은 일본과의 외교에서 교린체제를 유지하며, 왜구(倭寇)에 대한 통제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 와 같은 시기에 편찬된 『해동제국기』는 사행록이지만 일본의 지도와 인 문지리 정보를 수록한 지리지로 볼 수 있다. 조선 전기의 지리지인 『세종실록』「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을 통해 국가에서 중요시했던 자료이다. 지리지는 임진왜란 당시 기록을 통해 국 가 전시상황에서 정보지로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평시에 국가 통 치의 일환으로서 제작된 지리지가 전시에는 적에게 가장 큰 정보수단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동제국기』의 일본 정보는 조선의 방어 개 념 보다는, 일본에 대한 공세적 방어에 주안을 둔 기록이다. 군사적 관점 에서 『해동제국기』의 정보는 군사적 활용이 가능한 기록이다. 『해동제국기』는 외교지침서이자 군사적 성격을 가진 지리지로 볼 수 있다. The Haedongjegukgi(海東諸國紀) is a sahaengrok(使行錄) compiled by the king’s order in 1471 after Shin-Sukju visited Japan in 1443. This is a historical document that records information about Japan during a period when there was not much exchange with Japan. The Joseon Dynasty maintained its Gyorin(交隣) system in diplomacy with Japan and focused on controlling Japanese pirates(倭寇). The Haedongjegukgi, compiled during this period, is a saheangrok, but it can be viewed as a Jiriji(地理誌) containing Japanese maps and human geography information. It is a material that was regarded as important by the government through the Sejongsillok Jiriji(世宗實錄 地理志) and Donggukyeojiseungram(東 國輿地勝覽), which were the Jiriji of the early Joseon Dynasty. Record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1592) show that Jiriji was used as an information document during the national war. This means that Jiriji, which was produced as part of state rule during peacetime, can be the biggest means of information for enemies during the war. The Japanese information in Haedongjegukgi is a record focusing on offensive defense against Japan rather than the concept of defense of Joseon. From a military point of view, the information of the Haedongjegukgi is a record that can be used militaryly. The Haedongjegukgi can be viewed as a diplomatic guidebook and also as a Jiriji with a military Characteristics.

      • KCI등재

        『海東諸國紀』의 지리정보와 李藝

        이근우(李根雨)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1 No.-

        이 글에서는『海東諸國紀』의 대마도 지도와 대마도 관련 정보를 누가 작성하였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신숙주는 ??해동제국기?? 편찬의 책임자이기는 하였지만, 그는 단 한 차례 일본에 다녀왔을 뿐만 아니라, 일본과의 외교에 깊이 간여하지도 않았다. 우선 대마도의 형태를 보면「混一彊理歷代國都之圖」의 대마도 부분과『해동제국기』의 대마도 지도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고, 그러한 형태는 일본의 고지도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이 글에서는 특이한 형태로 그려진 대마도 지도를 단서로 하여, 섬의 서쪽에 위치한 淺茅灣을 강조한 대마도의 지리정보를 가지고 있었던 사람이 바로 李藝로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1402년 8월에「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완성되기 직전까지 적어도 세 차례에 걸쳐서 이예는 대마도를 다녀왔다. 처음에는 해적 소굴인 豆地浦(豆知浦), 仁位宗氏의 거점인 和田浦(完多老浦)에 억류되어 있었다. 두 번째는 1400년에 대마도 등지의 구석구석을 다니면서 어머니의 흔적을 찾았다. 1401년 겨울에는 예물을 가지고 일기도로 가는 길에 대마도에 이르렀다. 이해부터 1410년까지 10년 동안 해마다 통신사로 三島에 왕래하였다고 하였으므로, 1402년에도 대마도에 갔을 것이다. 이처럼「혼일도」가 완성되는 1402년 8월까지 이예는 적어도 3~4차례 대마도를 다녀왔고, 왜구의 소굴이자 仁位宗氏의 거점인 淺茅灣 내부를 비롯하여 船越의 기능 등을 숙지하고 있었다. 또한『조선왕조실록』의 이예의 啓文에는 3개의 지명이 보이는데, 이 지명은『해동제국기』의 대마도 지도에 그대로 나타나며, 다른 사례와 분명하게 구별된다. 이상과 같은 사실을 종합해 보면,「혼일도」와「일본국대마국지도」상에 보이는 대마도의 형태, 기해동정 시기와 이예의 계문 및『해동제국기』의 지도에 보이는 지명의 공통성 등은 대마도에 대해서 누구보다도 자세히 알고 있었던 이예의 지리정보에 기초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해동제국기』의 대마도 부분에 관한 한 이예가 46년 동안 수집한 정보가 그대로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海東諸國紀』로 본 中世日本의 國王觀과 日本國王使의 성격

        신동규(Shin Dong-Kyu) 한일관계사학회 2007 한일관계사연구 Vol.27 No.-

        본고에서의 주된 논점은 海東諸國紀에 수록된 일본의 國王觀, 그리고 일본에 國王이라는 용어가 외교적 측면으로 정착되면, 탄생한 日本國王使라는 사절단이 海東諸國紀가 편찬된 1471년을 전후해서 과연 어떠한 성격을 가지고 변화되고 있었는가라는 것인데, 이를 몇 가지 점에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海東諸國紀에 수록된 일본의 國王이라는 용어와 국왕관에 대한 의미 부여로서 일본에서의 國王의 의미는 대외적 대내적인 양면성을 띠고 있었고, 이것은 일본의 외교적 양면성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라는 점이다. 대외적인 면에서 國王(=日本國王)을 내세워 동아시아 국제질서라는 틀 속에서 일본을 위치시키고, 대내적인(=국내적) 면에서 본다면, 天皇이라는 표면적 권위를 인정하며, 國王이라는 명칭 대신에 征夷大將軍=쇼군이라는 武威를 내세워 국내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다. 둘째, 조선 측의 입장에서 海東諸國紀의 國王觀을 본다면, 일본 ‘최고의 정치적 실력자’로서 미나모토씨(源氏)=征夷大將軍(將軍, 쇼군)=국왕이었다. 이러한 인식은 海東諸國紀가 편찬된 1471년을 전후한 중세 이후 조일관계 속에 일본의 정치권력 주체를 규정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의미가 크다. 셋째, 일본에서는 외교적인 차원에서 國王이라는 용어가 정착이 되어, 일본국왕사라는 사절단을 조선에 파견하게 되는데, 이는 1471년 海東諸國紀 편찬을 전후하여 그 성격이 크게 변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본문의 일본국왕사의 파견 목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海東諸國紀가 편찬된 1471년을 전후한 시기 일본국왕사의 목적은 왜구금압이 중요했으나, 이후부터는 무역액의 증가를 위해 일본국왕사의 명의를 사칭한 僞使가 급증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海東諸國紀에 의해서 정립된 일본국왕사에 대한 특권적인(諸巨酋使보다 실리적인 특권) 규정이 전제하고 있었으며, 결국, 이러한 특권은 사절 파견의 명의로서 일본국왕사의 가치를 높여주었고, 이것이 1470년 이후 일본국왕사 사칭의 僞使를 증가시키는 하나의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넷째, 일본국왕사의 명의로 파견된 사절 중에 僞使들이 많다는 것을 조선 정부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었으나, 이를 접대한 것은 조선의 大國觀에 의해 일본을 회유?기미하기 위한 정책의 발현이었다는 점이다. 더욱이 僞使였던 일본국왕사는 전술한 國王이라는 용어가 일본의 외교적 양면성을 설명해 주듯이, 일본국왕사 또한 표면적인 책봉국가 간에 공식적인 관계의 교린과 내면적으로 실리추구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발생하였던 것이며, 이것이 일본국왕사의 또 하나의 성격으로 규정지을 수 있겠다. The main points at issue in this writing are the view to the king in Japan, and characteristic and evolution of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both are described in Hedongjegukgi which was written around 1471. The clarifications of a few poin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terminology of king in Japan written in Hedongjegukgi, and the significance given to the view to king in Japan have both aspect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which is an example showing the dualism in the Japanese diplomacy. In the external aspect, the Japanese king was brought out to establish the nation of Japan in the international rule of the East Asia, and in the internal aspect, while the superficial authority of emperor was recognized, the tile of “Shogun” was represented instead of the tile of king to rule the nation. Second, from the view point of the Chosun dynasty to the view to king in Hedongjegukgi, “Minamoto” as the highest political influencer in Japan was the king. It has a great significance in perception that defining the main body of the political power in Japan in the rela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around 1471 in the mid ages when Hedongjegukgi was published. Third, the term of king was established in the diplomatic sense in Japan, and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as delegates was dispatched to Chosun whose characteristic was tremendously changed in 1471 when the time Hedongjegukgi was published. Therefore, as purpose of dispatch of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is reviewed, repelling of the Japanese pirates was very important to the Japanese king and number of the envoys of the Japanese king under false statement rapidly increased as the volume of trading increased. The privilege for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was premised by Hedongjegukgi, and the privilege therefore increased the value of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under the national dispatch and caused to increase the envoys of the Japanese under false statement after 1470. Four, the Chosun government also perceived a large number of the envoys of the Japanese king in false statement but they entertained for their grandeur in foreign policy and conciliation of Japan. Furthermore, as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under false statement and the term of king aforementioned had a significance in dualism in the Japanese diplomacy, the real envoy of the Japanese king also had a role for the dualism in the Japanese diplomacy of relation with a superficial installed nation, and their striving for internal interest. It is defined as an additional characteristic of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 KCI등재

        일본 ‘최초의 외교사서’ 善隣國寶記 試考 - 15세기 ‘海東諸國’의 心象地理에 대한 소묘 -

        김남이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2

        In the 15th century, Korea, China, and Japan were compiling books related to their own diplomacy almost simultaneously. Those books are HaeDongJeKukGi(海東諸國記) by Joseon,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by Japan, and HwangMyeongOeYiJo GongGo(皇明外夷朝貢考) by Ming. HaeDongJeKukGi(海東諸國記) is a diplomatic guide created by Joseon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little Sinocentric world centered on its own country. Howev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position and meaning of such a world by projecting only the gaze of the interior of Joseon. In other words, a composition that can view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HaeDongJeKuk(海東諸國)' three-dimensionally is necessary. Across from such a HaeDongJeKukGi(海東諸國記) is the world of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to pay attention to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from this point of view.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compiled during the SilJung(室町) bakufu period, is regarded as 'the first diplomatic history book of Japan', which included a total of 42 diplomatic documents over 100 years from ‘DapJoseonSeo(答朝鮮書)’ sent to Joseon from Japan in 1392 to ‘GyeonJoseonSeo(遣朝鮮書)’ sent to Joseon in 1486. Compiler SeoGyeJuBong(瑞溪周鳳) professes “the history of diplomacy between China and Japan,” but in reality, the number of documents sent from Japan to Joseon were the largest as about 15, confirming that Korea was the most important object of Japanese diplomacy at the time.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is a diplomatic textbook written in Chinese for the education of Osan-zen monks, who were in charge of foreign affairs of the Sil Jung(室町) bakufu, and the intellectuals of the bakufu. It introduced Japan's identity as 'the country of Buddhism as a country of God' and presented examples of diplomatic documents, so it can be said that it contained the values ​​and knowledge necessary for those who were actually conducting diplomatic affairs in Japan at the time. SeoGyeJuBong(瑞溪周鳳) argued that Japan carried out successfully and voluntarily the fusion between Shinto, which exis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ld’ in Japan, and Buddhism, foreign ideas, thereby gaining its status as the most fundamental and ideal world-a Buddhism country among East Asian countries. Based on his own country’s view, he argued that in terms of diplomacy Japan was not settled in the diplomatic system that the Ming dynasty was building centered on its own country. However, the editor's notion does not coincide with all the documents published in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and the diplomatic direction of the SilJung(室町) bakufu. In this respect,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is an inconsistent book.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use of the era name, the expression of senders and recipients, etc. in diplomatic documents recorded in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diplomacy with Joseon in Japan was conducted in other territories outside the Ming dynasty-centered tribute-investiture system. Joseon also neither took issue with Japan's such methods formally and blatantly nor forced a unified order. In other words, the field of 'JeKuk(諸國)' diplomacy, which took place in a situation where Ming did not intervene, did not have to necessarily depend on the order of tribute-investiture established by Ming. Joseon tried to create an order of ‘HaeDongJeKuk(海東諸國)’, ‘little Sinocentrism, centered on its own country. HaeDongJeKukGi(海東諸國記) is the result of such recognition.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also shows the diplomatic territories drawn by Japan from the point of view of its own country. The Ming Dynasty tried to hierarchize neighboring countries with the so-called tribute-investiture system amid such different dreams inside the same bed and accomplish the diplomatic concept of Sadae-Gyorin(事大交隣). The world geography of the 'outer b... 15세기 한-중-일에서는 거의 동시적으로 자국의 외교와 관련된 서적이 편찬되었다. 조선의 海東諸國記 , 일본의 善隣國寶記 , 명나라의 皇明外夷朝貢考 가 그것이다. 해동제국기 는 조선이 자국 중심으로 소중화 세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만든 외교 지침서이다. 그런데 조선 내부의 시선만을 투사해서는 그 세계의 입지와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다. 즉 ‘海東諸國’의 心象地理를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구도가 필요하다. 그런 해동제국기 의 건너편에 선린국보기 의 세계가 있다. 본고는 이런 관점에서 선린국보기 에 주목한 첫 번째 연구이다. 선린국보기 는 室町막부 때 편찬된 ‘일본 최초의 외교사서’로 평가받는데, 1392년 일본에서 조선으로 발신한 「答朝鮮書」부터 1486년 역시 조선으로 발신한 「遣朝鮮書」까지 약 100여 년간 총 42건의 외교문서가 실려 있다. 편찬자인 외교승 瑞溪周鳳은 ‘중국-일본간의 외교역사’를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일본에서 조선으로 발신한 문서가 약 15건으로 가장 많다. 선린국보기 는 일본 실정막부의 五山禪僧 및 일부 관료 지식인이 공부하도록 만든 한문으로 된 외교 교과서이다. 그 내용은 ‘神國으로서 佛國’이라는 일본의 自國觀, 각종 외교 지식과 禮制, 즉 당시 일본에서 실질적으로 외교 업무를 수행하고 있던 사람에게 필요한 가치관과 지식들이다. 「善鄰國寶記序」와 본문의 비평에서 서계주봉은 명나라가 자국 중심으로 구축한 조공-책봉의 체제에 일본이 定住하지 않았음을 주장했다. 이는 선린국보기 에 수록된 외교문서의 年號 사용, 발수신자 표현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조선과의 외교는 조공책봉 체제의 밖, 다른 외교의 영토에서 이루어졌다. 조선 또한 그런 일본의 방식을 공식적으로 문제 삼거나 통일된 질서를 강제하지 않았다. 즉 명이 개입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諸國’ 외교의 현장은 명이 구성한 책봉-조공의 질서에 반드시 의거했던 것이 아니다. 조선은 자국을 중심으로 하는 ‘소중화’․‘해동제국’의 질서를 구축하려고 했다. 해동제국기 는 그런 인식의 결과물이다. 선린국보기 또한 자국의 견지에서 일본이 그린 외교의 영토를 보여준다. 명나라는 이런 동상이몽 속 주변국들을 조공-책봉이라는 체제로 위계화하고 사대교린의 외교 관념을 관철하려고 했다. 황명외이조공고 가 보여주는 ‘외이’의 세계 지리는 그런 인식의 일단이다. 그러나 이런 천하질서는 동아시아에서 고르게, 그리고 전면적으로 실행되지 않았다. 선린국보기 의 외교문서는 이를 예증한다. 향후 선린국보기 에 수록된 외교문서 자체를 고찰하고 총체적으로 선린국보기 의 성격을 규명한뒤, 조선의 해동제국기 와 선린국보기 , 그리고 황명외이조공고 를 한 시야에 넣고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海東諸國紀』지명에 반영된 한일 중세어 표기법

        심보경(Shim Bo-Kyung) 한일관계사학회 2007 한일관계사연구 Vol.27 No.-

        『海東諸國紀』는 신숙주가 1443년 일본에 서장관으로 방문하여 기록했던 日本國, 九州, 壹岐, 對馬島, 琉球國의 자료를 성종 2년(1471)에 간행한 책으로, 199여개의 지명 자료는 국어사 연구 및 한일 중세어 표기법 연구에 중요하다. 『海東諸國紀』의 일본 지명은 15세기 한국 한자음을 원용하여 漢字借字表記法 중 音借 表記와 訓借 表記로 기록한 것으로, 대부분의 지명은 음차 표기이지만 ‘訓羅串(훈라곶)’의 ‘串’과 ‘五時浦(오시개)’ ‘時多浦(시다개)’의 ‘개(浦)’는 훈차 표기로 나타났다. 『海東諸國紀』〈對馬島之圖〉와 海東諸國紀 대마도 본문 지명을 대조해 본 결과 9곳의 지명이 다르게 표기되었으며, 海東諸國紀 지명에 반영된 일본 지명 표기음이 대부분 그대로 현재 일본 지명에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Haedongjegukgi, a book written by SukJoo Shin under the king’s command, recorded 日本國, 九州, 壹岐, 對馬島, 琉球國 and its 199 place names has high importance in the study of language history and Middle Korea-Japanese notation research. Place names in Haedongjegukgi is the record of Japanese place names of that time in 15th-century Korean in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Although most of the place names are umcha notation, ‘串’ in ‘訓羅串(훈라곶)’, ‘五時浦(오시개)’, ‘時多浦(시다개)’ and ‘개(浦)’ are the exceptions which are in huncha notation. Also an investigation on the map of Haedongjegukgi and its place names revealed there are nine unmatching places between the Chinese character notation in the map and the notation in its text.

      • KCI등재

        『해동제국기』의 일본국 · 유구국 지도에 대하여

        이근우(Rhee, Kun Woo)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59 No.-

        이 글에서는 먼저 『해동제국기』의 「일본본국지도」가 道安이 가지고 온 지도로 생각되며, 종래의 행기식 지도와 일정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항로의 표시와 항로 상의 중요한 경유지를 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대적인 행기도로부터 중세적인 지도로 변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주 지도는 지명의 표기 양상으로 보아 역시 일본에서 입수한 지도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 중에서도 1453년 道安이 가져온 일본지도의 일부일 가능성이 크다. 도안이 가져온 지도는 행기식 지도에서 한 단계 진전된 것으로, 구주 지역 전체의 윤곽도 상대적으로 실상에 가까워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항로 상의 중요한 포구, 섬, 곶 등이 표시되어 있으며, 지도 작성 당시의 해당 지역 유력 무사 가문의 이름도 보인다. 또한 『해동제국기』의 일기도 지도가 대마도 지도와 마찬가지로 조선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지명 표기를 통하여 추론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위치를 비정하지 못하였던 仇老沙只(黑崎)와 訓乃古時(船越)를 찾을 수 있었다. 「유구국지도」 역시 道安이 가져온 지도이며 일부 내용을 수정하여 『해동제국기』에 수록한 것으로 보인다. 「유구국지도」와 동일한 계통의 사본이 오키나와현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처럼 해동제국기의 지도는 조선이 제작한 「일본국대마도지도」와 「일본국일기도지도」를 비롯하여, 일본에서 제작된 지도에 조선이 획득한 정보 혹은 관심을 가진 정보를 추가한 「일본서해도구주지도」, 조선의 관심밖에 있는 정보로 대체하거나 생략한 「일본본국 지도」 · 「유구국지도」의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이들 지도는 일본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일본의 중세지도들이다. This article aims to survey the maps in Chronicle on the Countries in the East of the Sea (海東諸國紀). Among them, the complete map of Japan has been regarded as a map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ancient period. That map is known as Gyokizu (行基圖). But the map is different from the Gyokizu with respect to geological information, including sea route lines, distances, and important ports. Gyokizu was made mainly for administrative inform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units, such as the seven circuits (七道), provinces (國), and land routes. The Kyushu map, assumed to have been obtained in 1453 from Doan (道安), who was a Japanese merchant and monk, is also different from Gyokizu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sea routes, islands, ports, and daimyo. This map, revised according to Joseon"s interests, has geological information of Matsuura pirates who frequently invaded Joseon or interacted with Joseon. The map of Ikinoshima was also made by Joseon, judging from the transcription of place names by phonetic values. At the level of cartography of that period, the map of Ikinoshima, including geographical and hydrographic information, was detailed and accurate. The Map of Ryukyu is a copy of the original map obtained from Doan, who came to get another reprographic example of the original Ryukyu map, which is now possessed by the Okinawa Prefecture Museum. By comparing that map, some contents of the Map of Ryukyu were revised according to Joseon"s viewpoint.

      • 해동제국기의 역사지리학적 연구

        손승철(Son Seung-Cheu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江原人文論叢 Vol.15 No.-

        『海東諸國記』는 일본의 지세ㆍ국정ㆍ풍속ㆍ來朝記事 및 朝聘應接紀 등을 기록한 것으로, 1471년에 申叔舟에 의해 편찬되었다. 이글에서는 『해동제국기』의 「日本國紀」와 「琉球國紀」에 수록된 내조기록을 중심으로 『해동제국기』의 역사지리학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日本國紀」〈天皇代序〉에는 8건의 기사가 있다. 320년 백제에서 일본에 사신을 파견하는 것부터 시작되며, 고대 삼국과의 교류는 백제, 신라, 고구려 순으로 전개된다. 이 점은 종래 405년을 전후해 일본에 파견된 王仁博士에 의해 유교 및 백제문화가 전수되었다는 기존학설과는 사뭇 다른 견해를 보여준다. 〈천황대서〉에서는 단 8건의 기사만 기록했는데, 그 이유는 한반도와 일본열도가 우호교린을 해야 한다는 기본입장에서, 교류의 시원이 한반도로부터의 사신파견과 문화전수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을 강조하려 했던 것은 아닐까. 〈八道六十六州〉의 내조기사는 기내 5주에 거주하는 幕府將軍 이외의 8명의 영주들이 巨酋使의 대우를 받으며 내조한 내용이다. 최초의 내조는 1408년부터지만, 대부분은 1460년대부터 1470년의 기록이다. 조선에서는 이들 내조자들에게 線布ㆍ正布ㆍ쌀과 콩을 주었고, 이들은 특산물로 구리ㆍ염료 등을 가져왔다. 8도 가운데는 지금의 규슈지역이 제일 많았다. 하카다[博多]를 중심으로 번성했던 동아시아 해역의 국제무역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8도의 내조자 가운데 특이사항으로는 觀音菩薩 現身을 치하와 對馬島主 宗貞國의 역할이 있다. 세조의 왕권강화책과 그것을 역이용하는 내조자들과 대마도주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다. 〈對馬島〉의 내조기사에서는 수직인과 수도서인, 세견선약정과 세사미에 대해 상세히 기술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완전히 종속되어 있는 대마도의 모습을 상세히 기술했다. 또한 대마도내의 모든 내조자가 거주하고 있는 浦口 및 戶數를 상세히 기록했고, 특히 왜구와 관련해서는 海賊大將이나 魁首라는 표현을 썼다. 倭寇에 대한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해동제국기』의 내조기사를 통해, 당시 조선에 온 일본인들이 어느 지역에서 어떤 사람이 왔고, 또 무슨 목적에서 어떻게 내왕했는가를 일목요연하게 분석할 수는 좋은 사료이다. 『Haedongjegookgi(海東諸國紀)』 recording Japanese physical features, political affairs, customsㆍthe arrival of foreign envoy(來朝記事) and invitation and reception of Joseon(朝聘應接紀), was compiled by Shin, Sook Joo〈申叔舟〉 in 1471. This study attempted a historical, geographical analysis of Haedongjegookgi focusing on the arrival of foreign envoy contained at 「Ilbongookgi(日本國紀)」 and 「Yoogugookgi(琉球國紀)」 in 『Haedongjegookgi』. There are 8 articles in 〈Cheonwangdaeseo(天皇代序)〉 in Ilbongookgi 「日本國紀」. It started from Baekje dispatching envoy to japan in 320, and the exchange with ancient three countries is developed in the order of Baekje, Shilla and Goguryo. This aspect shows quite different opinion from the existing theory that about 405, Wanginbaksa(王仁博士) dispatched to Japan, Confucianism and Beakje culture were transmitted. 〈Cheonwangdaeseo〉 recorded only 8 articles, the reason for which may have stressed that the exchange was originated from the envoy dispatch and cultural transmission from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basic situation that the Peninsula and Japanese Islands should form a friendly relation. The arrival article of foreign envoy in Paldoyookshipyookjo(八道六十六州) is the content that other 8 lords than military generals residing at 5 local states arrived treated as a Geoyoosa(巨酋使). The initial arrival began from 1408, but most of which was written from the 1460s till the 1470s. Joseon gave to these envoys cotton cloth, fine cloth, rice and bean, and instead they brought copper, and dyestuffs as special products. Among the 8 provinces, current Kyushu was the most. It can be conjectured of the international trading circumstances thriven focusing Hacada[博多]. The special matter of envoys from the 8 provinces is the rule of Gwaneumbosal, Hyunshin(觀音菩薩 現身) and role of Jongjeonggook, Daemadojoo(對馬島主 宗貞國). It can be certified of the royal centralization of King, Sejo, and the role of envoys and Daemadojoo making a reverse use of it. The arrival article of Thushima(對馬) minutely described Soojikin, Soodoseoin, Segyunseon convenant and Sesa rice, by which explained the picture of Daemado economically completely subordinated. Also it recorded the ports(浦口) all envoys resided in Daemado and number of houses, especially, in regard to Japanese pirate raiders, it used the term of commander of pirate raiders(海賊大將) or head(魁首). It does not reduce tension. In this respect, the arrival article of Haedongjegookgi 『해동제국기』 is a good data to plainly analyze where Japanese coming to Joseon were from, for what they came.

      • KCI등재

        『海東諸國紀』의 사료적 가치

        손승철(Son Seung-Cheul) 한일관계사학회 2007 한일관계사연구 Vol.27 No.-

        『海東諸國紀』는 일본의 지세?국정?풍속?來朝記事 및 朝聘應接紀 등을 기록한 것으로, 1471년에 申叔舟에 의해 편찬되었다. 이 글에서는 『해동제국기』의 〈日本國紀〉와 〈琉球國紀〉에 수록된 내조기록을 중심으로 해동제국기 의 사료적 가치를 재조명했다. 「日本國紀」〈天皇代序〉에는 8건의 기사가 있다. 320년 백제에서 일본에 사신을 파견하는 것부터 시작되며, 고대 삼국과의 교류는 백제, 신라, 고구려 순으로 전개된다. 이 점은 종래 405년을 전후해 일본에 파견된 王仁博士에 의해 유교 및 백제문화가 전수되었다는 기존학설과는 사뭇 다른 견해를 보여준다. 〈八道六十六州〉의 내조기사는 기내5주에 거주하는 幕府將軍 이외의 8명의 영주들이 巨酋使의 대우를 받으며 내조한 내용이다. 최초의 내조는 1408년부터지만, 대부분은 1460년대부터 1470년의 기록이다. 조선에서는 이들 내조자들에게 綿布?正布?쌀과 콩을 주었고, 이들은 특산물로 구리·염료 등을 가져왔다. 〈對馬島〉의 내조기사에서는 수직인과 수도서인, 세견선약정과 세사미에 대해 상세히 기술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완전히 종속되어 있는 대마도의 모습을 상세히 기술했다. 또한 대마도내의 모든 내조자가 거주하고 있는 浦口 및 戶數를 상세히 기록했고, 특히 왜구와 관련해서는 海賊大將이나 魁首라는 표현을 썼다. 倭寇에 대한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있다. 『Haedongjegookgi(海東諸國紀)』 recording Japanese physical features, political affairs, customs·the arrival of foreign envoy(來朝記事) and invitation and reception of Joseon(朝聘應接紀), was compiled by Shin, Sook Joo(申叔舟) in 1471. This study attempted reexamin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for Haedongjegookgi focusing on the arrival of foreign envoy contained at 〈Ilbongookgi(日本國紀)〉 and 〈Yoogugookgi(琉球國紀)〉 in Haedongjegookgi . There are 8 articles in 〈Cheonwangdaeseo(天皇代序)〉 in Ilbongookgi 「日本國紀」. It started from Baekje dispatching envoy to japan in 320, and the exchange with ancient three countries is developed in the order of Baekje, Shilla and Goguryo. This aspect shows quite different opinion from the existing theory that about 405, Wanginbaksa(王仁博士) dispatched to Japan, Confucianism and Beakje culture were transmitted. The arrival article of foreign envoy in Paldoyookshipyookjo〈八道六十六州〉 is the content that other 8 lords than military generals residing at 5 local states arrived treated as a Geoyoosa(巨酋使). The initial arrival began from 1408, but most of which was written from the 1460s till the 1470s. Joseon gave to these envoys cotton cloth, fine cloth, rice and bean, and instead they brought copper, and dyestuffs as special products. The arrival article of Thushima minutely described Soojikin, Soodoseoin, Segyunseon convenant and Sesa rice, by which explained the picture of Daemado economically completely subordinated. Also it recorded the ports(浦口) all envoys resided in Daemado and number of houses, especially, in regard to Japanese pirate raiders, it used the term of commander of pirate raiders or head. It does not reduce tension. In this respect, the arrival article of Haedongjegookgiis a good data to plainly analyze where Japanese coming to Joseon were from, for what they c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