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valuation of the Physicochemical Activities of Frequently Consumed Edible Flower Teas in Korea

        In-Seo Yoo,Ji-Min Park,Ae-Jung Kim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1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9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다소비 되고 있는 20종의 식용꽃을 선정 및 제다하여 항산화 활성과 효소 활성을 측정하여 식용꽃 의 생리활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20종의 식용꽃들은 제다과정을 거친 후 항산화 활성(total polyphenol 함 량, total flavonoid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가운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식용꽃 2종을 선정하여 효소 활성(tyrosinase, elastase, α-glucosidase,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20종의 식용꽃차의 중 삼색제비꽃, 캐모마일, 금어초가 total polyphenol 함량 1-3위를 차지하였으며, total flavonoid 함량의 1-3위는 구절초, 삼색제비꽃, 금잔화가, DPPH radical 소거능은 붉은씨 서양민들레꽃, 금어초, 삼색제비꽃이, ABTS radical 소거능은 삼색제비꽃, 카네이션, 캐모마일이 차 지하였다. 이러한 항산화 활성을 근거로 삼색제비꽃과 캐모마일을 선정하여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tyrosinase, elastase, ACE 저해 활성은 삼색제비꽃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캐모마일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 20종의 식용꽃 차 중 항산화 활성과 효소활성이 종합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난 삼색제비꽃과 캐모마일을 이용한 inner beauty 제품개발도 모색되길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enzymatic activities of 20 species of the most widely consumed edible flowers in South Korea to provide basic data on their bioactivity. Methods: After the selected edible flowers were processed based on the tea manufacturing method, the antioxidant activities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evaluated. Two species of edible flowers exhibiting exceptional antioxidant activities were selected and their enzymatic activities (tyrosinase, elastase, α-glucosidase,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were assessed. Results: Among the 20 species of edible flowers used for tea manufacturing, Viola tricolor L. (V. tricolor L.) and Chamomilla recutita (C. recutita )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overall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V. tricolor L. and C. recutita were selected to determine their enzymatic activities; V. tricolor L. showed higher levels of tyrosinase, elastase,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whereas C. recutita showed a higher level of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Conclusion: Based on their exceptional antioxidant and enzymatic activities among the 20 species of edible flowers, V. tricolor L. and C. recutita are predicted to be of greater use in the development of inner beauty products.

      • KCI등재

        UV-B 반복노출에 따른 항산화효소의 변성 및 활성저하와 RGP렌즈의 차단효과

        변현영,이은정,오대환,김소라,박미정 한국안광학회 2015 한국안광학회지 Vol.20 No.2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correlation of structural denaturation and decrease of enzyme activity when the antioxidative enzymes,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were repeatedly exposed to UV-B, and further investigate whether the denaturation and inactivation of those enzymes can be effectively blocked by using UV-inhibitory RGP lens. Methods: Each enzyme solution was prepared from the standardized SOD and CAT, and repeatedly exposed to UV-B of 312 nm for 30 minutes, 1 hour and 2 hours a day over 1, 2, 3, 4 and 5 days. Structural denaturation of SOD and CAT induced by repeat UV-B irradiation was confirmed by the electrophoretic analysis, and their enzyme activity was determined by the colorimetric assay using the proper assay kit. At that time, the change in structure and activity of the antioxidant enzymes directly exposed to UV-B was compared to the case that UV-B was blocked by UV-inhibitory RGP lens. Results: SOD exposed repeatedly to UV-B showed the polymerization pattern in the electrophoretic analysis when it repeatedly exposed for 30 min a day, however, the change of its activity was less than 10%. On the other hand, CAT repeatedly exposed to UV-B reduced size and density of the electrophoretic band which indicated a structure denaturation, and its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that the repeat exposure time was longer, CAT activity was completely lost even though some enzyme band occurred in the electrphoretic analysis. In addition, the degeneration of CAT due to UV-B irradiation was inhibited to some extent by using RGP lens with a UV-B blocking of 63.7%, however, it was not completely inhibited.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the structural denaturation of antioxidative enzymes was not perfectly correlated with the reduction in enzyme activity according to the type of enzyme. It is recommended to minimize the exposure time to UV when wearing contact lens, or wear the contact lenses having UV blocking rate of the FDA Class I blocker or the sunglasses having equivalent UV-blocking rate for reducing the damage of antioxidative enzymes induced by UV. 목적: 본 연구는 안구에 존재하는 항산화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SOD)와 catalase(CAT)가 UV-B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유발되는 구조변성 및 활성저하의 상관관계를 밝히며, 자외선 차단 RGP렌즈의 사용으로 효소의 변성과활성저하가 효율적으로 차단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SOD와 CAT의 표준품으로 각각의 효소용액을 제조하고 하루 30분, 1시간 및 2시간씩 312 nm의 UV-B에 1, 2, 3, 4 및 5일 동안 반복적으로 노출시켰다. 이 때 UVB에직접 노출시킨 항산화효소의 구조 및 활성변화를 자외선 차단기능이 있는 RGP렌즈로 UV-B를 차단시킨 경우와비교하였다. UV-B 반복노출에 따른 SOD와 CAT의 구조변성은 전기영동분석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들 효소활성은 분석키트를 이용하여 비색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UV-B에 반복노출된 SOD는 일일 30분 조사조건으로 반복노출되었을 때에도 전기영동분석에서 효소다중화(polymerization)가 관찰되었으나 활성의 변화는 10% 이내로 나타났다. 반면UV-B에 반복노출된 CAT은 전기영동 시 효소밴드크기나 진하기가 감소하여 구조변성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반복노출시간이 긴 경우 CAT은 전기영동분석에서 효소밴드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그 활성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또한 UV-B 조사로 인한 CAT의 변성은 63.7%의 UV-B 차단기능을 가진 RGP렌즈의 사용으로 어느 정도 억제되었으나완전히 억제되는 것은 아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UV-B 반복노출에 따른 항산화효소의 구조변성은 그 종류에 따라 효소활성의 감소정도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외선으로 인한 항산화효소의 손상을막기 위하여서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외선 노출시간을 최소화하거나, FDA Class I 차단제에 해당하는 UV 차단율을 가지는 콘택트렌즈를 착용 또는 이에 상응하는 UV차단율을 가지는 선글라스를 덧착용할 것을 권장한다.

      • KCI등재

        Lipoxygenase 결핍 콩 된장의 급이가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성 흰쥐의 체내 지질 개선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이수정,오수정,정종일,하은선,호문사,구옥경,성낙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5

        Lipoxygenase(LOX) 결핍 콩(05C4 및 LS, LOX2,3-free)과 일반콩(태광, LOX1,2,3-present)으로 제조된 된장의 급이가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성 흰쥐의 체내 지질성분 및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SD계 흰쥐는 정상군, 고지방-콜레스테롤 급이군(HFC),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5% 된장 분말 급이군[HFC+D1, 태광된장; HFC+D2, 05C4된장; HFC+D3, LS된장)으로 구분하여 5주간 사육되었다. In vitro에서 된장의 콜레스테롤 흡착활성은 4mg/mL 농도에서 LS된장이 태광된장 에 비해 1.5배 높았다. 식이효율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LS된장 급이군 (HFC+D3)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Rö hrer 및 T.M.지수와 체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된장 급이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특히 Lee지수 및 BMI는 LOX 결핍콩 된장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청 총 지질 및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된장 급이군 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총 콜레스테롤, HDL-, LDL-콜레스테롤 및 심혈관질환 위험지수는 LS 된장 급이군만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혈청 AST 및 ALT 활성은 HFC+D1 및 HFC+D2간에는 유의차 가 없었고, HFC+D3은 HFC+D1 및 HFC+D2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간 조직에서 총 지 질 함량은 HFC+D3이 대조군에 비해 약 25.2%의 감소되었으며(p<0.05),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HFC+D2 및 HFC+D3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분변 중의 중성지방 함량은 된 장 급이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26.2~40.3%의 증가를 보였으며(p<0.05),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LS된장 급이군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 조직 중 SOD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05C4 및 LS된장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atalase 및 GSH-px 활성은 된장 급이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UDPGT 활성은 된장의 급이 시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되었으며, 특히 LS된장 급 이군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LOX 결핍 콩으로 제조된 된장은 체내 지질 개선 및 항비만 활성에 긍정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Doenjang made with lipoxygenase(LOX)-free genotype soybean on the lipids profiles and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high fat-cholesterol diet were investigated. Sprague-Dawley rats divided into five groups for 5 weeks; normal diet(Normal), high fat-cholesterol diet(HFC), and high fat-cholesterol diet containing 5% of Doenjang powder(HFC+D1, Taekwang Doenjang; HFC+D2, 05C4 Doenjang; HFC+D3, LS Doenjang). In vitro, activity of the cholesterol adsorption in the LS Doenjang exhibited 1.5-fold increases than Taekwang Doenjang in 4mg/mL concentration. The food efficiency ratio(FER) of the HF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normal, only HFC+D3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HFC. Röhrer, T.M. index and body fat content in all groups fed Doenjang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HFC, especially Lee index and BMI value in groups fed LOX-free soybean Doenjang were significantly reduced. Serum total lipids and triglyceride level significantly reduced with all groups fed Doenjang, whereas HFC+D3 was markedly decreased serum total cholesterol, HDL-, LDL-cholesterol level and CRF value compared to HFC(p<0.05). There was no differences in serum AST and ALT activities between HFC+D1 and HFC+D2, HFC+D3 was significantly lower to that of the HFC+D1 and HFC+D2. Content of hepatic total lipids in the HFC+D3 was decreased to 25.2% to HFC(p<0.05), contents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HFC+D2 and HFC+D3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HFC. Fecal triglyceride content in all groups fed Doenjang was increased to 26.2~40.3%(p<0.05) to HFC, but total cholesterol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HFC+D3 compared to HFC. Hepatic SOD activity was higher significantly in the HFC+D2 and HFC+D3 compared to HFC, catalase and GSH-px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groups fed Doenjang. UDPGT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up to that of the Normal group, especially HFC+D3 was higher significantly to Normal.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oenjang made from LOX-free soybean may exert positively to the lipid improvement in vivo and prevent obesity.

      • KCI등재

        UV-A 반복노출로 인한 항산화효소의 구조변성과 효소활성의 상관관계

        박미정,유효정,김종찬,김소라 한국안광학회 2015 한국안광학회지 Vol.20 No.1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anges in structure and activity ofantioxidative enzymes,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CAT) present in the eyes appeared when theywere repeatedly exposed to UV-A, and reveal the correlation of these changes. Methods: Each enzyme solutionwas prepared from the standardized SOD and CAT, and repeatedly exposed to UV-A of 365 min under thecondition of 30 minutes, 1 hour and 2 hours a day over 1, 2, 3, 4 and 5 days. Structural denaturation of SOD andCAT induced by repeat UV-A irradiation was confirmed by the electrophoretic analysis, and their enzyme activitywas determined by the colorimetric assay using the proper assay kit. Results: SOD exposed repeatedly to UV-Ashowed the polymerization pattern through the electrophoretic analysis when it was repeatedly exposed under thecondition of at least 1 hour a day however, the change of its activity was found to be less than 12%. On the otherhand, CAT repeatedly exposed to UV-A showed reduced size of the electrophoretic band which indicated astructure denaturation and its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of that the repeat exposure time waslonger, CAT activity was completely lost even though some enzyme band was shown in the electrphoreticanalysis.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the degree and pattern in structural denaturation ofantioxidative enzymes differently appeared according to the type of enzyme, and the degree of structuraldenaturation was not always consistent with the reduction in enzyme activity. 목적: 본 연구는 안구에 존재하는 항산화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SOD)와 catalase(CAT)가 UV-A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이들의 구조 및 활성의 변화가 유발되는지 알아보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방법:SOD와 CAT의 표준품으로 각각의 효소용액을 제조하고 하루 30분, 1시간 및 2시간씩 365 nm의 UV-A에 노출시키는 조건으로 1, 2, 3, 4 및 5일 동안 UV-A에 반복적으로 노출시켰다. UV-A 반복노출에 따른 SOD와 CAT의 구조변성은 전기영동분석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들 효소의 활성은 분석키트를 이용하여 비색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UV-A에 반복노출된 SOD는 일일 1시간 이상 조건으로 반복노출되었을 때 전기영동분석에서 효소의 다중화(polymerization)가 관찰되었으나 활성의 변화는 12% 이내로 나타났다. 반면 UV-A에 반복노출된 CAT는 전기영동시 효소의 밴드크기가 감소하여 구조변성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효소활성 또한 유의하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반복노출시간이 긴 경우 CAT은 전기영동분석에서는 효소밴드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그 활성은 완전히 소실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UV-A 반복노출에 따른 항산화효소의 구조변성은 효소의 종류에 따라 그 정도와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구조변성이 효소활성의 감소정도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Commonly Consumed Spring Herbs in Korea

        Hee-Jae Chung,Ae-Jung Kim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1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9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다소비 되고 있는 봄나물류 8종을 선정하고 생리활성(항산화 및 효소활성)을 평가하여 우리나라 봄 나물의 우수성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8종의 봄나물을 열수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total polyphenol 함량, total flavonoid 함 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효소 활성(α-glucosidase 저해 활성,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8종 의 다소비 봄나물 중 total polyphenol 함량은 냉이, 원추리, 곰취가 1-3위를 차지하였으며, total flavonoid 함량으로 유채, 냉이, 쑥 이 1-3위를 차지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냉이, 원추리, 유채가 1-3위를 차지하였으며, ABTS radical 소거능은 냉이, 쑥, 유채가 1-3위를 차지하였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쑥, 곰취, 달래가 1-3위를 차지했고, ACE 저해 활성은 두릅, 유채, 달래 가 1-3위를 차지하였다. 결론: 8종의 봄나물 중 항산화 활성에서는 냉이와 유채, 항당뇨 활성은 쑥, 항고혈압 활성은 두릅에서 각 각의 우수한 효능이 나타나 차후 봄나물류의 현대인의 생활습관병 개선 식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superiority of Korean spring herbs by selecting eight spring herbs that are commonly consumed in Korea and evaluating their biological activity. Methods: Antioxidant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enzyme activities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the hot-water extract of the selected spring herbs. Results: In case of total polyphenol content, the shepherd’s purse, daylily, and gomchwi took first, second, and third place. In case of total flavonoid content, rape, shepherd’s purse and mugwort took first, second, and third place, and in case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epherd’s purse, daylily, and rape took first, second, and third place. In case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shepherd’s purse, mugwort and rape took first, second, and third place. In case of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mugwort, gomchwi, and wild garlic were classifi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place. Lastly, Korean angelica tree, rape, and wild garlic were classifi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 case of ACE inhibitory activity.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among the selected spring herbs, the shepherd’s purse and rape showed exceptional effects in antioxidant activity, mugwort in antidiabetic activity, and Korean angelica tree sprout in antihypertensive activity, respectivel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development of foods using spring herbs to remedy lifestyle-related diseases.

      • KCI등재

        발아 기장을 첨가한 건강 죽의 생리활성 평가

        박순화,김애정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4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2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양학적으로 균형 잡힌 기장을 발효시켜 백미와 발아 기장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면역기능이 우수한 건강 죽을 개발하는 것이였다. 방법: 기장과 발아 기장의 조건에 따른 생리활성을 비교하고자 기장을 발아시켜 기장과 발아 기장의 항산화 및 효소 활성의 품질을 평가하여 생리활성이 우수한 시료를 선정하였다. 또한, 기장과 발아 기장의 혼합비율을 각각 다르게 산출하여 죽을 제조한 후 점도, 색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추출조건에 따른 기장과 발아 기장의 추출물 샘플(PM EtOH, PM DW, GPM EtOH, GPM DW)의 생리활성을 분석한 결과, GPM EtOH에서 항산화 및 효소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아 기장을 이용한 죽 샘플(Control, GPM10, GPM20, GPM30)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 점도의 경우 기장과 발아 기장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의 경우 대조군(58.60)이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의 경우는 GPM20 (-0.29)이 가장 높았고, 황색도의 경우 GPM30 (5.6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황색도의 경우 발아기장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황색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발아 기장에서 항산화 및 효소 활성에서도 그 우수성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GPM 죽이 건강과 관련된 항산화 및 효소 활성 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GPM 30%의 건강 죽은 현대인의 항산화 및 효소 활성 관련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In this study, healthy porridge was prepared with germinated Panicum miliaceum (GPM) to increase its antioxidative and enzymatic activities. Methods: Before processing healthy porridge with GPM,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anicum miliaceum (PM) and germinated GPM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DW, EtOH). Then, porridge samples (Control, GPM10, GPM20, and GPM30)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mixing ratios of GPM, and their viscosity and color value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extracted GPM EtOH samples exhibited higher antioxidant and enzyme activities than the water-extracted samples. The viscosity of the porridge samples (Control, GPM10, GPM20, and GPM30) tended to decrease as the amount of GPM increased. For the color values of the porridge samples, the control group demonstrated highest brightness (58.60) and GPM20 demonstrated highest redness (-0.29), GPM30 demonstrated highest Yellowness (5.62). Yellowness increased as the amount of GPM increas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GPM exhibits higher antioxidative and enzymatic activities than PM. Thus, it was concluded that 30% GPM will benefit consumers in promoting antioxidative and enzymatic activities.

      • KCI등재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오계란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활성

        하유진(Yoo Jin Ha),지중구(Joong Gu Ji),유선균(Sun Kyun Yoo) 한국유화학회 2017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4 No.3

        식물 및 동물성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형태의 단백질 가수 분해물들은 항산화, 고혈압 완화, 면역조절, 진통완화 및 항균작용 등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6가지 프로티아제를 이용하여 오계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생산하고, 생산된 펩타이드의 항산화 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가수분해도의 최대값은 protamex(46.3%)이고, DPPH 라디칼 소거능 최대값은 bromelain(57.23%),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능 최대값은 alcalase(30.21%),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 최대값은 alcalase(58.07%), Fe²⁺ 킬레이션 능력 최대값은 alcalase(72.06%)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효소별 항산화 저해 능력 IC₅₀ 평가하였다. 그 결과 alcalase에 의한 최대값은 금속 킬레이션 눙력(IC₅₀, 1.24 mg/mL)이고, bromelain에 의한 최대값은 DPPH 소거능(IC₅₀, 2.46 mg/mL)이고, flavourzyme에 의한 최대값은 금속 킬레이션 능력(IC₅₀, 1.25 mg/mL)이고, neutrase에 의한 최대값은 DPPH 소거능(IC₅₀, 3.64mg/mL)이고, papain에 의한 최대값은 DPPH 소거능(IC₅₀, 3.82 mg/mL)이고, protamex에 의한 최대값은 DPPH 소거능(IC₅₀, 1.93 mg/mL)이었다. 따라서 protease를 이용하여 오계란 단백질에서 추출한 펩타이드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할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Protein hydrolysates derived from plants and animals having antioxidant, suppression of hypertension, immunodulatory, alleviation of pain, and antimicrobial activity has been known as playing important role like hormon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hydrolysis of Ogae egg white protein using the six proteas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roduced peptides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maximum value of hydrolysis was protamex(46.3%), DPPH radical scavenging was bromelain(57.23%), hydroxy radical scavenging was alcalase(30.21%),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was alcalase(58.07%), and Fe²⁺ chelation ability was alcalase(72.06%). Furthermore, the antioxidant Inhibition concentration (IC₅₀) of peptides was evaluated for each enzyme. As a result, the maximum value of alcalase was Fe²⁺ cheating ability(IC₅₀, 1.24 mg/mL), bromelain was DPPH radical scavenging(IC₅₀, 2.46 mg/mL), flavourzyme was Fe²⁺ cheating ability(IC₅₀, 1.25 mg/mL), neutrase was DPPH radical scavenging(IC₅₀, 3.64 mg/mL), papain was DPPH radical scavenging (IC₅₀, 3.82 mg/mL) and protamex was DPPH radical scavenging(IC₅₀, 1.93 mg/mL). Therefore, we expect that peptides produced from Ogae egg white protein using protease enzyme are useful as an antioxidant functional food ingredients.

      • KCI등재

        호박 흰가루병 발병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유기와 항산화효소의 활성화

        황미란,김희은,박동금,허윤찬,이희주,강남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1

        Powdery mildew (Sphaerotheca fuliginea Pollacci) is one of the most serious fungal diseases encountered in greenhouse-grown Cucurbita plants. To determine whether antioxidant enzyme systems were related to induction of oxidative stress induced by infection of powdery mildew. The initial response to infection of powdery mildew in the leaves of C. plants was genera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superoxide anions. Although the overall banding patterns of SOD and HPX were different between the C. maxima and pepo plants, the band profiles were characterized by high densities in the infected leaves. In the infected leaves of C. maxima, two major isozymes of HPX at the relative mobility (Rm) values of 0.46 and 0.55 were newly expressed at 20 days after inoculation. The overall banding patterns of APX were similar in the C. maxima and pepo plants. The gel activities of APX were activated in the infected leaves. 록흰가루병은 호박 시설재배 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병원균 중의 하나이다. 본 실험은 흰가루병 발병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흰가루병 발병과 더불어 과산화수소와 환원산소종의 생성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SOD와 HPX 밴드 패턴은 서양계 호박과 페포계 호박간에 다르게 나타났지만, 겔 활성은 흰가루병이 발병된 잎에서 높았다. 특히 서양계 호박에 있어서 relative mobility(Rm)이 0.46과 0.55인 밴드는 발병된 잎에서만 존재하였다. APX 밴드 패턴은 서양계 호박과 페포계 호박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발병된 잎에서 활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호박 흰가루병 발병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유기와 항산화효소의 활성화

        황미란,김희은,박동금,허윤찬,이희주,강남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1

        흰가루병은 호박 시설재배 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병원균 중의 하나이다. 본 실험은 흰가루병 발병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 다. 흰가루병 발병과 더불어 과산화수소와 환원산소종의 생성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SOD와 HPX 밴드 패턴은 서양계 호박과 페포계 호박간에 다르게 나타났지만, 겔 활성은 흰가루병이 발병된 잎에서 높았다. 특히 서양계 호박에 있어서 relative mobility(Rm)이 0.46과 0.55인 밴드는 발병된 잎에서만 존재하였다. APX 밴드 패턴은 서양계 호박과 페 포계 호박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발병된 잎에서 활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Powdery mildew (Sphaerotheca fuliginea Pollacci) is one of the most serious fungal diseases encountered in greenhouse-grown Cucurbita plants. To determine whether antioxidant enzyme systems were related to induction of oxidative stress induced by infection of powdery mildew. The initial response to infection of powdery mildew in the leaves of C. plants was genera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superoxide anions. Although the overall banding patterns of SOD and HPX were different between the C. maxima and pepo plants, the band profiles were characterized by high densities in the infected leaves. In the infected leaves of C. maxima, two major isozymes of HPX at the relative mobility (Rm) values of 0.46 and 0.55 were newly expressed at 20 days after inoculation. The overall banding patterns of APX were similar in the C. maxima and pepo plants. The gel activities of APX were activated in the infected leaves.

      • KCI등재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성장기 쥐에서 꾸지뽕잎이 혈중 지질 농도 및 항산화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박은혜(Eun-Hye Park),최미자(Mi-Ja Choi) 한국차학회 2020 한국차학회지 Vol.26 No.4

        꾸지뽕잎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성장기 수컷 쥐에서 혈중 지질 농도와 간 지질 함량 및 항산화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다. 평균 식이섭취량은 고지방군이 대조군과 고지방+꾸지뽕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체중증가량도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식이효율은 고지방군, 고지방+꾸지뽕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혈중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은 고지방+꾸지뽕군이 고지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혈중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는 고지방, 꾸지뽕 섭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의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은 고지방, 꾸지뽕 섭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 조직의 MDA 함량은 고지방군과 고지방+꾸지뽕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간 조직의 SOD 활성은 고지방+꾸지뽕군이 대조군과 고지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GSH-Px 활성, CAT 활성은 고지방, 꾸지뽕 섭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고지방을 유도한 성장기 쥐에게 꾸지뽕잎 10%(100 g/kg dry diet) 첨가식이를 섭취시켰을 때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L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낮았고, 간 조직의 SOD 활성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꾸지뽕잎은고지방을 섭취한 성장기 수컷 쥐에게 혈중 콜레스테롤 및 간 조직의 SOD 활성에 개선 효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on serum lipids and antioxidant enzymes in growing rats fed a high-fat lard diet for six weeks. Twenty-four male Sprague-Dawley rats (body weight 50-60 g)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high-fat diet (lard at 200 g/kg), and high-fat diet + Cudrania tricuspidata (lard 200 g/kg + Cudrania tricuspidata 100 g/kg).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mean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for subjects in the high-fat diet group than for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high-fat + Cudrania tricuspidata group. Body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fat die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high-fat diet + Cudrania tricuspidata group. The food efficiency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fat diet and high-fat + Cudrania tricuspidata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fat diet + Cudrania tricuspidata group than in the high-fat diet group.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s and HDL cholesterol, and the atherogenic index (AI)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he groups. The levels of liver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high-fat diet and the Cudrania tricuspidata-supplemented diet. The concentration of lipid peroxidation by measuring malondialdehyde (MD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igh-fat diet group and in the Cudrania tricuspidata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tioxidant enzymes in liver tissue,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fat diet + Cudrania tricuspidata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high-fat diet group.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nd catalase (CA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lard-only diet and the Cudrania tricuspidata-supplemented diet.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hat Cudrania tricuspidata-supplemented diets may produce positive results on serum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antioxidant enzymes (such as SOD) in liver t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