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친환경항만정책과 시사점

        최석범(Seokbeom Choi),남정우(Jungwoo Nam)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7 No.3

        최근 세계 각국은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저탄소 사회구축을 통해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녹색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항만과 항만할동과 같은 다양한 발생원으로부터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고 있다. 또한 항만은 해운·철도·도로를 연결하는 물류의 중심을 담당하고 있는 부문이기 때문에 항만에서의 성공적인 탄소삭감은 다른 운송분야게서의 온실가스 배출삭감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한국은 교토의정서에 의거한 1차 감축대상국가에서는 제외되었지만 2013년부터는 의무감축 대상국가가 되는 것이 예상된다. 한국은 경제에서 무역비중이 높고 특히 수출입 화물의 99.8%가 항만을 통해 운송되고 있다. 그러므로 항만운영의 친환경정책은 한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일본은 가장 개선된 항만오염규제를 도입함으로써 친환경항만에 대한 신속한 조치를 취하여 왔다. 또한 한국과 같이 경제에서 무역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의 친환경 항만정책과 활동을 한국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부분이다. 본 논문은 포스트교토체제하에서 온실가스배출을 감축하여야 하기 때문에 한국이 배출을 감축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본의 친환경 항만정책과 그 시사점을 검토한다. Recently, international society strongly concerns global green house effect. As a result each nation introduces green policy for their econom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emissions of carbon dioxide come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ports and port activities. Especially, port is a logistics hub for shipping, road and railways. Therefore, successful reduction of emissions in the port may encourage other transportations to reduce emissions. Korea as developing country is excused from Annex I countries which committed themselves to reduce four greenhouse gases. However, Korea is going to be placed in Annex I countries in 2013. Korean economy is heavily dependent on international trade and especially. 99.8% of its international trade cargoes is transported through the ports. Therefore, Eco-por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future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By introducing the most advanced port pollution regulations, Japan has taken a immediate step for Eco-port policy. International trade is very significant in Korea as well as in Japan, both nations have similar industrial structure. Therefore, Korea should pay attention to japanese Eco-port policy and activities. This paper examines Japanese Eco-port policy and its‘ implications in order for Korea to find the most efficient way to reduce the emissions as Korea should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pnt kyoto system.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친환경 항만정책의 도입 중요도 순위에 대한 연구

        이현정 ( Lee¸ Hyeon-jung ),이정욱 ( Lee¸ Jung-wook ),이향 ( Lee¸ Hyang-sook ) 한국물류학회 2020 물류학회지 Vol.30 No.6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기오염물질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고 있다. 선진국의 항만들은 항만에 기인한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도입해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친환경 항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항만에서의 대기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한 친환경 정책의 중요도 순위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AHP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학계, 하역사, 항만공사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하였다. AHP 구성요소는 선행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4개의 대요인, 16개의 세부요인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대요인의 우선순위는 선박정책, 하역정책, 트럭정책, 항만운영정책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 집단별로 구분할 경우 학계, 하역사, 항만공사 모두 선박정책을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였으나, 2순위 요인부터는 인식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요인의 우선순위는 선박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도입, 환경선박지수 도입, LNG선박 보급 및 벙커링 구축, LNG 트럭 전환사업 순으로 선박정책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친환경 항만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가장 먼저 시행되고 개선해야 할 정책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이다. 앞으로 국내 항만들은 친환경 정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해외 선진항만 사례 벤치마킹, 이해관계자 간 협의 등을 통해 항만 내 대기질을 모니터링하고, 오염원을 규제할 수 있는 다양한 친환경 정책을 개발하며, 정책을 지속적으로 평가 및 보완하기 위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air pollutants has been rising around the world. Ports in advanced countries have introduced various policies to reduce air pollution caused by ports and interest in green ports has recently been on the rise. This study evaluates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policies to encourage Korean ports to apply proper and necessry policies. AHP methodology was employed and survey was conducted for different groups like academic circles, loading and unloading companies and port authority. AHP components consisted of four great factors and 16 detailed factors through prior research and expert interviews. As results, the priorities of major factors were ship policies, loading and unloading policies, truck policies, and port operation policies. All groups answered that ship policies were the most important, however differences occurred in perception of the second-highest factor. The priority of detailed factors was relatively high in ship exhaust post-processing system, followed by environmental ship indices, LNG ships and bunkering, and LNG tru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eco-friendly port policies and guidelines for identifying which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and improved. In the near future, ports will need systems to monitor port air quality, develop various eco-friendly policies that can regulate pollutants, and continuously evaluate and supplement policies through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policies, benchmarking overseas advanced ports, and consultation among major stakeholders.

      • KCI등재

        일본 슈퍼중추항만정책의 성과와 한계에 관한 고찰

        具京模(Kyung-mo Koo),吳聳湜(Yong-sik Oh) 한국항만경제학회 2010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6 No.3

        동아시아 경제의 빠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대형 국제항만에서는 화물증가가 둔화되었고, 국제경쟁력 약화로 인하여 기간항로에서 제외되며 일본 국내 화주의 물류불안을 야기해왔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2004년 이후 '슈퍼중추항만정책'이 실시되었다. 이 정책은 국제항만의 고규격 터미널을 민간기업에 의탁하여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되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제공하며, 국제항만의 코스트 절감과 서비스 향상을 달성하겠다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다양한 법적, 제도적 지원 시책에도 불구하고 슈퍼중추항만정책은 기대했던 정책성과를 달성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코스트 경쟁력을 달성하지 못하였뿐 아니라, 화물량 증가 및 환적화물 유치, 기간항로 서비스 유지 측면에서 정책기간 중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그것은 고규격 터미널의 지정 민간기업의 운영능력, 슈퍼중추항만내의 복수항만의 연계적 효율성, 항만의 집하능력 구축에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010년에는 슈퍼중추항만정책의 후속 정책인 '국제컨테이너 전략항만정책'이 등장하였고, 일본은 국제 거점항만 육성을 위한 마지막 기회를 준비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정책에서는 부산항 경유 환적화물의 탈환을 명시적으로 내세우고 있어 향후 부산항과 일본의 국제컨테이너 전략항만 간의 화물유치 경쟁이 예상된다. Japanese government has instituted and carried out Super-core Ports Policy to improve their operating efficiencies of international container ports from 2004. Despite of diverse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within this policy, this paper has assessed that they couldn't accomplished goals at the end of 2009 when the policy ended. In short, Japanese Super-core ports have explicitly lost the competitiveness for functioning as a hub-port in the East Asia region. We could find some defaults in the policy i.e. some limits of the private terminal operating units, inefficiencies in teaming between ports within Super-core port, lacking with system for collecting cargoes. In 2010, Japan is going to reinforce International Strategic Container Port Policy following Super-core Ports Policy. With this policy, they ought to prepare for the last leap on the basis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rules in international port. This new policy is particularly focused on recapturing their T/S cargo via Busan port. Regarding these changes, Busan port needs to prepare counter measurements for preserving Japanese T/S cargo firmly.

      • KCI등재

        항만역할과 정책성과에 대한 인식차이 연구

        홍종욱(Jong uk Hong),나정호(Jung ho Na) 한국국제상학회 2017 國際商學 Vol.32 No.3

        항만공간에 요구되는 역할이 다양해졌다. 전통적인 항만물류의 거점 역할을 시작으로, 해양레저산업의 거점 역할, 환경오염을 절감시키는 노력도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주된 항만이용자를 대상으로 항만의 역할변화와 항만정책성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항만운영자와 이용자의 인식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 항만의 발전방향을 제안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를 토대로 항만이용자와 운영자 집단 간 항만의 역할과 항만정책성과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한 결과 항만이용자 집단은 항만의 전통적인 물류거점 역할 관점에서 항만을 바라보고 있는 반면 항만운영자 집단은 항만물류산업 자체의 중요성과 항만공간의 변화된 수요에 대한 대응을 함께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항만정책의 성과에 대해서도 항만이용자보다는 항만운영자가 상대적으로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항만이용자와 운영자 간 항만의 역할, 정책성과에 대한 인식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항만정책수립 및 운영전략 발굴 시 이용자의 입장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Purpose : The role required for the port space has diversified. Basically, it is required to serve as a logistics hub in the port space. In recent years, port space is required to serve as a base for marine tourism and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s a green port. In this study, we try to verify the difference of port operators and users perceptions about the role of ports and the effectiveness of port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port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port users group was set up as shipping companies, global logistics providers, terminal operators, freight forwarders, shipp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The port operator group consisted of 59 port operators and 4 port authorities. The recognition difference test was conduct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T-test by SPSS 23.0. Results and Conclusions :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cognition differences of port roles and port policies performance between port users and operators were as follows. The port users were looking at the port role in terms of the traditional logistics hub. On the other hand, the port operators 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tself and the response to the changing demands of the port space. It is also shown that port operators perceive relatively good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Korean port policies rather than port users.

      • KCI등재

        녹색성장시대에 환경친화적 항만관리정책의 발전방향

        정봉현(Bong-Hyun Jeo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5 No.3

        본 논문은 광양항을 사례로 수송수요와 항만환경의 실태를 분석하고, 환경친화적인 항만관리정책의 방향을 항만운영과 계획 측면에서 강구하는 데 있다. 중요한 논문내용은 녹색성장과 환경친화적 항만의 개요, 광양항 수송ㆍ환경실태의 분석, 환경친화적 광양항 관리정책의 방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 광양항을 환경친화적인 녹색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항만운영ㆍ계획측면에서 합리적인 항만관리정책의 방향이 정립되어야 한다. 항만운영의 측면에서 환경친화적인 정책방향은 환경친화적 항만물류수송체계의 전환, 항만컨테이너 운영부두의 에너지 절감, 환경친화적 항만운영기술의 적용 등을 들 수 있다. 항만계획의 입장에서 환경친화적 항만정책의 방향으로는 환경친화적 항만친수공간의 조성, 해양폐기물의 환경친화적 처리와 항만환경계획의 수립ㆍ시행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는 항만과 환경의 상호간 영향에 대한 계량분석, 환경친화적 항만정책효과의 분석 등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계획과 운영 측면에서 환경친화적 항만정책의 영향평가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current conditions of transport demand and its environmental problems in Gwangyang Port(GP), and to suggest crucial directions for Gwangyang Green Port(GGP) in Korea.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main sections: concept of green growth and green port; the analysis of transport demand and environment situations in GP; policy directions for GGP. This study is mainly conducted by a literature review of related papers, an analysis of secondary data & papers, and interviews with port experts. This study presents important policy directions for successfully managing GGP in Korea as follows: modal shifts plan for green transport and logistics system in GP; energy-saving techniques in GP's berth operation;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ort operation methods in GP; construction of GP waterfront facilities; environmentally friendly disposal of maritime waste matters;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port environment master plan. This study will make a big contribution to the building of green port policy and the providing of professional informations to government officials.

      • KCI등재

        항만 민영화와 전략적 무역정책

        최강식(Choi, Kangsik),임선영(Lim, Seonyou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16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2 No.3

        두 국가에 위치한 국내 기업과 외국 기업이 경쟁하는 복점시장에서, 국가의 무역 정책에 따른 항만운영구조(국영화/민영화) 선택 전략을 분석한다. 그리고 항만 운영구조 선택에 따른 각 기업의 이윤, 항만 사용료 수준과 항만의 이윤, 사회후생을 비교분석하고, 자유무역 정책과 관세 정책의 각 균형 비교분석을 통해 최적 전략을 도출한다. 그 결과, (i) 관세 정책에서, 운송비와 상관없이 정부는 항만 국영화를 선택하는 것이 지배전략이다. (ii) 관세 정책에서, 항만은 높은 항만 사용료를 설정하는 민영화 정책의 경우 더 높은 이윤을 달성하며, 국가와 항만의 이해관계 불일치가 발생한다. (iii) 관세 정책과 상관없이 낮은 운송비 수준이라면, 정부는 항만 국영화 선택을 통해 더 높은 후생을 달성하며, 높은 운송비 수준이라면 항만 운영구조(민영화/국영화)에 상관없이 정부는 자유무역 정책의 경우가 더 높은 후생을 달성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strategic trade policy on port ownership structures (nationalization or privatization) when two firms compete with each other in reciprocal markets. Furthermore, we analyze firms profits, port charges, ports profits and social welfare when ports are privatized or nationalized under tariff regime and under free trade regime respectively. Thus, we find that (i) under tariff regime, port nationalization is a dominant strategy regardless of transport costs. (ii) the effect of high port charges brings higher port profits than the effect of high trade volume. (iii) irrespective of trade regime, when transport cost is relatively low, port nationalization increases social welfare, while two government prefer free trade agreement to tariff regime when transport cost is sufficiently high regardless of port ownership structures.

      • KCI등재

        영국 스마트 항만 개발 정책 분석과 한국의 대응 전략

        조성우 ( Cho Sung Woo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4 지역산업연구 Vol.47 No.2

        본 연구는 체계적으로 로드맵까지 제시된 영국의 스마트 항만 관련 정책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정책과 비교를 통해 시사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 항만 개념을 정리하였고, 스마트 항만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영국의 스마트 항만 개발 정책을 핵심적인 보고서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화(Digitalisation), 탈탄소화(Decarbonisation), 사람(People), 전체적인 협업(Holistic Collaboration) 네 가지 측면에서 개념, 문제점, 주요 과제, 권장 사항을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의 스마트 항만 개발 정책을 검토하였고 최근 3년의 정책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거시적인 관점과 미시적인 관점으로 구분하여 시사점 및 개선 사항을 제시하였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면 영국은 비전, 미래 항만의 특성, 관련 연구 주제, 로드맵을 도출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수행한 것이 특징이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 스마트 항만 개발 정책은 사회 변화에 따른 새로운 정책 방향은 잘 반영되고 있지만 과정의 체계성, 일관성, 투명성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스마트 항만 개발 정책에 대한 비전, 세부 과제, 로드맵을 체계성을 갖추어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미시적인 관점에서 보면 한국의 스마트 항만 정책은 대부분의 정책이 인프라 구축,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개발 등의 기술적인 측면에 치우쳐 있다. 환경적인 측면의 경우 구체적인 로드맵이 부족하고, 아날로그 방식에 익숙한 항만 인력이나 소규모 항만은 어떻게 디지털 전환하는데 도움을 줄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필요하다. 데이터 수집 및 공유에 대한 내용도 조금 더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가 필요하고, 인력 관련하여 조직 문화에 대한 이해, 재정 지원 문제, 교육에 대한 문제 등의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인식 개선을 위한 지원,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인센티브를 포함한 행정적·재정적 지원, 거버넌스 구축, 성공 사례발굴 및 분석 활동도 고려해야 할 과제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UK's smart port-related policies that have even presented a roadmap and suggest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rough comparison with Korea's polici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of smart ports was organized and the standards for smart ports were presented. The UK's smart port development policy was summarized by analyzing key reports. In Chapter 4, Korea's smart port development policy was reviewed, and the policies of the last three years were closely analyzed. In the conclusion, implications and improvements were presented by dividing a macroscopic perspective and a microscopic perspective. From a macro perspective, the UK is characterized by systematically carrying out the process of deriving a vision, characteristics of future ports, related research topics, and a roadmap. On the other hand, Korea's smart port development policy appears to be well reflecting the new policy direction according to social changes, but it is judged to be somewhat lacking in the systematicity, consistency, and transparency of the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re-establish the vision, detailed tasks, and roadmap for the smart port development policy. From a micro perspective, most of Korea's smart port policies are focused on technical aspects such as infrastructure construction, software development, and platform development. In the case of the environmental aspect, there is a lack of a specific roadmap, and concrete measures are also needed on how port personnel or small ports familiar with analog methods can help with digital transformation. Data collection and sharing needs to be discussed in more diverse aspects, and with regard to human resources,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issues such as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culture, financial support issues, and education issues.

      • KCI등재

        국제항만 친수공간의 개발유형 설정과 정책방향

        정봉현(B. H. Jeo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08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4 No.3

        본 논문은 동북아의 국제항만인 광양항을 중심으로 항만친수공간의 개발정책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항만친수공간의 기본이론 검토와 개발사례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광양항에 항만친수공간을 개발하기 위한 유형을 결정하고,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계획ㆍ정책의 관점에서 강구하는 것이다. 논문의 중요 내용은 항만친수공간의 기본이론, 항만친수공간의 개발사례와 문제점 분석, 광양항만 친수공간의 개발유형 및 정책방향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제적인 광양항만 친수공간의 대상지는 컨테이너항 지구와 묘도지구이다. 컨테이너 항만부지에는 쾌적한 녹지공간의 조성과 항만 친수공간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묘도지구는 소실된 자연생태계를 복원하여 자연친화적인 지속가능한 자연의 이용방안의 하나로 해양생태공원을 조성한다. 광양항만 친수공간의 개발전략들에는 항만시설의 개방과 홍보활동의 강화, 신항만 개발과 항만재개발시 친수공간 의무확보제, 항만친수공간 관련제도의 보완, 항만친수공간 기본계획의 수립, 항만친수공간 지구의 지정, 항만친수관련법규의 정비 및 항만친수 행정조직의 설립 등으로 제시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waterfront development in Gwangyang Port (GP), Kore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waterfront development type and suggest its policy direction of international GP, Korea. It consists of three main sections: basic theory of port waterfront development, analysis of the experiences in port waterfront development, and the type and its policy directions of waterfront development in GP. This research is mainly based on a review of current reports / papers, an analysis of secondary data and a consultation with related experts. Port waterfront is an important area for increasing Gwangyang's attractiveness and strengthening its competitiveness. Considering port function in urban area, Gwangyang should thus implement the comprehensive plan for the port waterfront.

      • KCI등재

        신북방정책을 대비한 서산 대산항의 발전 전략

        이태휘(Tae-Hwee Lee),김성국(Sungkuk Kim),윤경준(Kyong Jun Yun) 한국항만경제학회 2019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5 No.2

        한국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러시아, 몽골, 유라시아 등의 북방 경제권에 진출하는 것이 역대정부의 일관된 정책이다. 북방경제는 에너지 수요가 많고 산업이 발달한 우리나라와 상호보완적 경제구조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러시아 신동방정책, 중국 일대일로, 몽골 초원의 길 이니셔티브 등 중국-러시아-몽골 경제회랑이 가속화되는 기회가 만들어지고 있다. 한국 정부는 역대 정부가 추진하였던 북방정책을 계승하고 그간 미진하였던 북한을 포함하여 경제협력과 평화구축이라는 목표를 달성시키기 위한 신북방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제적인 경제협력을 위해서는 필연적인 운송이 수반되기에 육로보다 유리한 해상운송의 수요가 증가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해상운송의 결절점인 항만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의 항만도시는 신북방정책에 대비한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시대의 서산 대산항을 장기적인 발전을 기획하면서 신북방정책에 맞추어 북한의 개방발전 방안을 고민하였다. 정부간 및 지방도시간의 국제협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서산시의 전향적인 태도와 함께 항만운영체와 협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응을 적극 이행한다면 현재 액체에너지화물 중심항만의 서산 대산항이 신북방정책의 거점이 될 수 있으며 한반도에서는 서산 대산항이 명실상부한 서해안평화경제 허브로서 입지를 다지는 기회가 될 것이다. To ensure that Korea continues to grow, past governments have been consistent in following a policy of advancing into Russia, Mongolia, and Eurasia. The northern economy can expect to achieve synergistic growth because its economic structure complements that of Korea, which has high energy demand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ere is also an opportunity to accelerate the growth of the China-Russia-Mongolia economic corridor, which is based on Russia"s Look East Policy, China’s One Belt One Road, and the Mongolian Steppe Road initiative. The Korean government is pursuing a New Northern Policy to achieve the goal of economic cooperation and peace building with other nations, including North Korea; this policy succeeds the Northern Policy pursued by the previous government. As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require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e demand for shipping, which offers more advantages than road and rail transportation, will increase; thu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it. Korea’s port cities, which have a port that serves as the nodal point for maritime transportation, need to prepare for the New Northern Policy. In this paper, the long-term development of Seosan-Daesan port in the was planned and the North Korea’s opening-op plan was considered in accordance with the New Northern Policy. Because international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ovincial cities is required, cooperation with the Port Authority is needed, along with the proactive attitude of Seosan City, Chungcheongnam-do. The Seosan-Daesan port, which is the center of the liquid energy cargo center, can become the base of the New Northern Policy Region; further, the port can b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its position as a peaceful economic hub on the west coast of Korea.

      • KCI등재

        해운항만조직 구성원들의 정보보안정책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다연(Dayeon Kang),장명희(Myunghee Cha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12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8 No.1

        정보기술의 발전은 기업에게 많은 이익을 가져다주었지만, 정보유출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정보보안을 위해 정보보안정책을 수립하고 조직구성원들이 정보보안정책을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운항만조직 구성원들의 정보보안정책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분석 하기 위해 정보보안인식, 정보보안태도, 자기효능감, 규범신념, 사회적 영향들을 영향요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해운항만조직 구성원들의 정보보안인식과 정보보안태도와의 관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정보보안태도와 정보보안정책 준수와의 관계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정보보안정책 준수와의 관계, 사회적 영향과 정보보안정책 준수의 관계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규범신념과 정보보안정책 준수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유출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해운항만조직의 구성원들이 정보보안정책의 준수사항을 어느 정도로 받아들이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해운항만조직에서 정보보안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has brought many benefits to businesses, but at the same time, businesses are facing serious problems caused by its use such as information leakage. In order to cope with problems, companies have established information security policies, demanding workers of a company to be compliant with the policies. This study proposes a research model that includes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 self-efficacy, standard belief and social influences as factors that affect the compliance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mong the workers of shipping and port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not only between the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nd the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 but also between the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 and th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mong the workers of shipping and port organiz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the compliance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nd between the social influence and the compliance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standard belief and the compliance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This study examined to what extent the workers of shipping and port organization that have a high possibility of the information leakage were compliant with th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Th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organizations of shipping and port who attempt to establish strategies related to information secu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