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간의 ‘ㅄ’계, ‘ㅂ’계 어두 합용병서 변화 연구

        이래호 ( Lee Rae-ho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6 No.-

        본고의 목적은 언간에 나타나는 ‘ㅄ’계와 ‘ㅂ’계 어두 합용병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판본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ㅴ’은 16세기 언간에서부터 ‘ㅴ>ㅺ/ㅲ’의 변화를 보이다가 17기 후기에는 ‘ㅲ>ㅺ’의 변화가 완성되었다. ‘ㅵ’은 16세기 언간에서 보이지 않으며 16세기부터 ‘ㅳ’으로 변화하였다가 17세기 후기 ‘ㅳ>ㅼ’의 변화가 시작하여 18세기 초 ‘ㅼ’으로의 변화가 완성되었다.언간에서 ‘ㅂ’계 합용병서는 ‘ㅳ’은 17세기 중기까지, ‘ㅶ’은 17세기 후기까지 그 형태를 유지하다가 ‘ㅳ>ㅼ’가 17세기 후기에 시작하여 18세기 초에 완성되었으며, ‘ㅶ>ㅾ’의 변화는 18세기 초에 완성되었다. ‘ㅄ’은 17세기 후기부터 일부 어휘에서 ‘ㅆ’과 혼기를 보이기 시작한다. 이를 통해 ‘ㅂ’계 합용병서의 된소리화가 17세기 후기에 시작하여 18세기 초에 완성된 것으로 판단하였다.언간과 판본에서 ‘ㅄ’계와 ‘ㅂ’계 합용병서의 변화 시기는 차이를 보이는데, 언간에서 18세기 초에 완성되었으며 ‘ㅂ’계 합용병서는 17세기까지 출현하는 데 반해 판본에서는 17세기 말까지 ‘ㅄ’계, ‘ㅂ’계, ‘ㅅ’계의 혼용이 이루어지며, ‘ㅄ’계 합용병서가 18세기 초까지, ‘ㅂ’계 합용병서들은 19세기 말까지 출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ps (ㅄ)’ and ‘p(ㅂ)’ series compound characters that appears in Korean letters in the Joseon dynasty and to study how they differ from that of the Block book.In Korean letters, among the ‘ps(ㅄ)’ series, ‘psk(ㅴ)’ was changed to ‘psk(ㅴ)>sk(ㅺ)/pk(ㅲ)>sk(ㅺ)’ in the early 17th century. ‘Pst(ㅵ)’ didn't not appear in the 16th century, but appears as ‘pt(ㅳ)’, and the change in ‘pt(ㅳ)>st(ㅼ)’ was began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was completed in the early 18th century. ‘pj(ㅶ)’ maintained its form until the late 17th century. The change in ‘pj(ㅶ)>sj(ㅾ)’ was completed in the early 18th century. Through this, I judged that the tensification of ‘p(ㅂ)’ series began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was completed in the early 18th century.The era of change in ‘ps(ㅄ)’ and ‘p(ㅂ)’ series showed a difference in Korean letters and Block books. In Korean letters, this change was completed in the early 18th century, and ‘p(ㅂ)’ series appeared until the 17th century. On the other hand, in Block book, ‘ps(ㅄ)’, ‘p(ㅂ)’ and ‘s(ㅅ)’ series were mixed and marked until the end of the 17th century, ‘ps(ㅄ)’ series appeared until the early 18th century, and ‘p(ㅂ)’ series compound characters appeared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 "ㅅ"계 합용병서의 음가에 대한 연구

        정의향(??香)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2 중국조선어문 Vol.177 No.-

        "합용병서"는 음운사연구의 중요한 론제중 하나로, 그간 많은 연구자들이 그 본질의 규명을 위해 노력해온바 있다. 본 론문은 15세기 문헌자료에 나타나는 "ㅅ"계 초성합용병서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목적으로 함으로써 "ㅅ"계 합용병서의 표기가 진정으로 무엇을 나타낸것인지 다시 확인해보았다.

      • KCI등재

        15세기 ㅅ계 합용병서의 음가에 대한 재검토

        김정인 한말연구학회 2023 한말연구 Vol.64 No.50

        . In the early stages of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the ㅅ-clusters within morphemes can be considered as consonant clusters. However, in the late 15th century, examples of ㅅ appearing before the ㅅ-clusters ('봇ᄭᅡ',etc) suggest that the preceding ㅅ was redundant, indicating that the ㅅ-clusters in this context was a fortis [s’]. Ultimately, within morphemes, the ㅅ-clusters transitioned from consonant clusters to [s’]. In the 16th century, there is an increase in the usage of ㅅ+ㅅ-clusters which seemed not renovated form, and this increase, may be attributed to non-phonological motivation influencing the pronunciation shift of the ㅅ-clusters. Among the various instances of the s-clusters of anlaut, those changed from the forms pronounced as lenis [s] are considered fortis [s’]. In contrast, those consistently appearing as the ㅅ-clusters since the early stages of Hunminjeongeum creation are considered consonant clusters. Treating the same character in the same period as having two different underlying phonemes is cumbersome. Furthermore, assuming that these characters originally represented fortis, it is implausible that the Hunminjeongeum creator assigned the characters which included ㅅ that had not even been realized. However, if we were to consider the pronunciation of the ㅅ-clusters of anlaut from the beginning as consonant clusters,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motivation for the change.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change of the pronunciation of the ㅅ-clusters of anlaut can also be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non-phonological motivation.

      • KCI등재

        국어의 어두자음군에 대한 최적성이론의 분석

        조성문 ( Cho Sung-moo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화 Vol.0 No.46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diachronic change of `p`+consonant clusters, `ps`+consonant clusters with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Namely,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changing processes of the Korean consonant clusters, especially in word initial.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the constraints found in sequencing consonants in onset. The interesting observations concerning onset in the middle Korean are found in `p` or `ps` sequence. Such `p` or `ps` sequences have been considered an exception to the Korean syllable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analyses of `p` or `ps` sequences and to present an analysis of word initial consonant cluster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analyses. At last, I will talk about the problem that word initial consonant clusters vanish for a certain reason, and then I explain word initial consonant clusters diachronic change in Optimality Theory.

      • KCI등재

        한중록의 국어학적 고찰

        李氣銅(Lee Ki-do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연구 Vol.30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록』이라 불리는 작품의 이본인 李氣銅本과 一?本을 국어학적으로 비교하여 李氣銅本의 간행 연대를 추정하는 것이다. 『한중록』은 『한중만록』, 『읍혈록』 등의 명칭으로 불리며 지금까지 21종의 이본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원본으로 확정된 것은 없다. 본고에서는 여기에 새로운 1종을 추가하여 李氣銅本이라고 하고 이를 一?本과 비교하여 李氣銅本의 간행 연대를 추정한다. 이를 위해 두 이본 사이에서 관찰되는 연철ㆍ중철ㆍ분철, 합용병서, ‘ㅎ’종성체언, 높임법의 주격 표지, 음운변화 등의 표기 경향을 살폈다. 李氣銅本의 표기는 근대국어의 일반적 표기 경향에 가까우면서도 궁중에서 만들어진 작품이라는 성격 때문에 근대국어 이전의 표기 경향도 반영하는 보수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一?本은 근대국어의 표기경향을 따르면서도 근대국어 후기의 성격도 반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두 이본의 비교를 통해 李氣銅本이 적어도 一?本보다 앞선 시기의 작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ee Ki Dong-version Hanjungrok with the IlSa-version linguistically and to estimate the age of publication. The Hanjungrok has 21 versions and various names such as Hanjungmanrok, Uephyoelrok. But, up to now, there is no version identified as the original. In this paper one version called Lee Ki Dong-version is added to the versions of Hanjungrok and then compared with IlSa-version to estimate age of publication. For tha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notational tendency of both versions. On the one hand the notation of the Lee Ki Dong-version resembles Modem Korean notational tendency, but on the other shows the conservativeness that reflects the notational tendency of Middle Korean because of the particularity as Court literature. In comparison, the IlSa-version reflects the notational tendency of not only Modem Korean but also Late Modem Korean. As a result, the comparison between the Lee Ki Dong-version and the IlSa-version suggests that the former is earlier at least than the latter.

      • KCI등재
      • KCI등재

        청산靑山-풀메-각산角山 : 국어학적 단상

        진경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8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1 No.-

        이 글은 하나의 단상이다. 굳이 단상이라 한 것은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논문의 형식을 충분히 갖추지 못했다는 의미도 있지만, 역사학 혹은 고고학을 전공하지 않 은 연구자가 자기 전공에 입각해 하나의 의견을 제출한다는 의미가 크다. 이 단상은, 오래전 어느 연구자에 의해 ‘청산(靑山)-뿔메-각산(角山)’이라고 추정된 이래 명 확한 반론이 제기되지 않은 채 이러저러한 소개와 설명에서 그 추정이 별다른 의심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는 현실에서 비롯되었다. 필자는 국어학적 견해에 입각해 이 추정의 문제점을 지적한 후에, ‘각간(角干)’을 다른 말로 ‘서발한(舒發翰) 또는 서불 한(舒弗邯)이라고 한 삼국사기의 전언, 그리고 합용병서(合用並書)의 원칙과 용례 그리고 그 음운현상 등을 고려하여 청산(靑山)은 각산(角山)이 될 수 없음을 논증하였다. This article is a certain essay. Although the term “a certain essay” means that the form of logical and systematic thesis is not sufficient, it is meaningful that a researcher who has not majored in history or archeology submits one opinion based on major. An assumption has not been raised since a long time ago by a researcher since it was presumed to be ‘Cheongsan-(BBulmae)-Gaksan’, and in such introductions and explanations there is no doubt that the assumption is accepted without any doubt. After pointing out the problem of this estimation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viewpoint, I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the word ‘Gakgan(角干)’ is used in other words ‘Seobalhan’, ‘Seobulhan’ in the Samguksagi. And considering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Habyongbeongseo’, ‘Cheongsan’ proved that it can not be ‘Gaksan’.

      • 한글확장표기법으로 성립되기 위한 조건

        김구룡 한국어정보학회 2013 한국어정보학 Vol.15 No.2

        한류문화의 세계화 단계가 예측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면서, 이제 그와 같은 한류문화의 세계화 조류에 부응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적 책무가 부여되기에 이르렀으며, 그러한 한류문화의 세계화라는 시대적 조류에 맞게 현용한글 11,172자보다 표현범위를 더 확장시 켜 한글의 쓰임새를 넓혀보자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후, 확장한글 연구자들에 의해 한글 의 표현범위를 확장하는 방법이 다종다양하게 고안되어 제안되었고, 그 다종다양한 한글 확장방안들 가운데 실제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어느 한 가지 방안을 단일표준으로 선정 해야 하는 단계를 남겨놓고 있다. 앞으로 단일표준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음성학자, 한글 서체디자인 전문가, (유니)코드 전 문가, 프로그래머 등, 분야별 전문가들에게 세부적인 검증을 받는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 다. 본 연구는 내부적 검증 단계로서, 외부 전문가 검증 단계에서 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세부 검증항목들을 미리 상정해놓고, 다양한 유형의 한글 확장방식 가운데 어느 방식이 한글 확장표기법으로서 온전히 실현-정착될 수 있을 것인지 그 가능성과 타당성을 미리 검증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한글 자모를 중간문자로 활용한 다문자 입출력 및 기능 실행방법

        김구룡 한국어정보학회 2013 한국어정보학 Vol.15 No.1

        한류문화의 세계화 단계가 예측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면서, 이제 그와 같은 한류문화의 세계화 조류에 부응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적 책무가 부여되기에 이르렀으며, 그러한 한류문화의 세계화라는 시대적 조류에 맞게 현용한글 11,172자보다 표현범위를 더 확장시 켜 한글의 쓰임새를 넓혀보자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후, 확장한글 연구자들에 의해 한글 의 표현범위를 확장하는 방법이 다종다양하게 고안되어 제안되었고, 그 다종다양한 한글 확장방안들 가운데 실제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어느 한 가지 방안을 단일표준으로 선정해 야 하는 과제를 남겨놓고 있다. 앞으로 단일표준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음성학자, 한글 서체디자인 전문가, (유니)코드 전 문가, 프로그래머 등, 분야별 전문가들에게 세부적인 검증을 받는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 는데, 본 연구는 고안자 범위의 내부적 검증 단계로서, 외부 전문가 검증 단계에서 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세부 검증항목들을 미리 상정해놓고, 다양한 유형의 한글 확장방식 가운 데 어느 방식이 한글 확장표기법으로서 온전히 실현-정착될 수 있을 것인지 그 가능성과 타당성을 미리 검증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