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인문ㆍ사회 도서의 중국어 번역 출판 현황과 전망

        왕단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8 No.-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고 문화적으로도 서로 통하는 부분이 많아 예로부터많은 분야에서 활발하게 교류해 왔다. 특히, 문화 교류의 중요한 부분인 중한 두 나라간 도서의 번역·출판은 1992년 중한 수교 이래 활발하게 진행해 왔다. 하지만 괄목할 만한 성과를거둔 도서의 번역·출판 실정에 비해 한국 도서의 중국어 번역·출판의 전체적인 흐름과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상태이다. 특히 모든 학문의 기초인 인문학과 한국의 현실 문제를 다룬 사회학 분야 관련 도서의 번역·출판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고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 나갈 것인지 등의 내용을 다룬 연구성과는 아직까지 전무한 상태이다. 한중간의 광범위하고 깊이 있는, 그리고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교류를 지향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아직까지 많은 관심을 끌지 못한 언어, 문학, 철학·종교, 역사, 정치, 경제, 법학 등을 포함한 인문, 사회 분야 한국 도서의 중국어 번역·출판에 주목했다. 논문의 2장에서는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학 관련 한국 인문, 사회 도서의 중국어 번역·출판의 발전 맥락을 통시적으로 고찰해 보았고 3장에서는 현 단계의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보았으며 4장에서는 한국 인문, 사회 도서의 번역·출판을 보다 활발하게진행하기 위한 몇 가지 발전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China and South Korea are close to each other in geographical location and cultural traditions, and have enjoyed a long history of cultural exchanges. As an important form of cultural exchange, book translation and publication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has developed rapidly since the two countries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Compared to the fast growth of these practices, ver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regard to the trend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Korean books in China. In particular, there are virtually no existing studies that can shed light on the historical trajectory, current development, and future direction of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books. As an attempt to fill this academic gap and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Sino-Korean cultural exchanges,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in China of Korean book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cluding fields like linguistics, literature, philosophy, religion, history, politics, economics, and jurisprudence, among others. Chapter 2 reviews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books in China since the 1980s. Chapter 3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se practices, based on which Chapter 4 proposes several improvement pla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books.

      • KCI등재

        논문(論文) : ≪사고전서(四庫全書)≫와 ≪존목(存目)≫에 수록(收錄)된 한국인(韓國人) 저작(著作)과 그 문화의의(文化意義)

        김호 ( Ho Kim ) 한국중문학회 2010 中國文學硏究 Vol.40 No.-

        目前爲止, 國內有關≪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的韓國人著作的數量問題, 沒有得到一致的看法。而且國外學者亦對於此問題的看法, 因爲篇幅的關係, 難免有所簡略, 加上學界對於≪四庫各省採進書目≫收錄的韓國人著作問題、≪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的韓國人著作之文化內涵等, 均沒有進行討論。鑑於前人硏究的不足, 本文擬要對這些問題, 進行一番探討。本文經過一番討論,得到以下幾點結論: 第一、當編纂≪四庫全書≫時,向中央政府進程的韓國人著作共有五種, 就是≪朝鮮史略≫、≪朝鮮志≫、≪高麗世系≫、≪朝鮮國志≫、≪徐花潭集≫。第二、≪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的韓國人著作共有六種: ≪朝鮮史略≫、≪朝鮮志≫和≪武英殿聚珍版程式≫三種收錄於≪四庫全書≫; ≪高麗史≫、≪朝鮮國志≫和≪徐花潭集≫三種收錄於≪存目≫。第三、≪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韓國人著作的原則, 可分爲「以資參考」、「以資考證」、「取技能」和「表彰儒術」等。第四、≪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韓國人著作有其獨特的文化內涵。首先,幾種韓國人著作收錄於≪四庫全書≫的事實可證明韓、中兩國的書籍交流倂不是只從中國流入韓國的單方面的,而是雙方面的。其次, 幾種韓國人著作收錄於≪四庫全書≫及其≪存目≫,這意味著幾種韓國人的著作引起傳統中國知識分子的關注,這種現象甚値得予以重視。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