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 콘텐츠의 한자어 오류 검출 방법 연구

        임준근(Lim, Jun-Geun)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28

        우리나라는 중국, 일본과 함께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기 때문에 인문 콘텐츠에는 많은 한자어가 포함되어 있다. 인터넷에 유통되는 콘텐츠에도 많은 한자어가 있다. 한자어는 중의성을 해소하여 의미를 분명히 하거나 인명, 지명 등의 식별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콘텐츠 생산 또는 가공 단계에서 발생한 많은 한자어 오류들이 그대로 유통되고 있다. 인터넷의 활성화로 최근 일반 이용자들이 생산하여 유통하는 콘텐츠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복사하여 붙이기(copy and paste)’를 통하여 쉽게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한자어 오류는 더 빠르고 넓게 전파된다. 따라서 인문 콘텐츠를 생산하고 유통할 때는 이러한 오류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이 글에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구축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자어 오류 검증방법을 살펴본다. 또한 민간 포털의 Open-API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 유통되는 소량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출현하는 한자어를 분석하여 오류의 유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오류의 유형에 따른 검증 방법을 연구하였다. 형태 오류를 판단하기 위하여 ① 한자-한글 음가표 기반 검증, ② 정답과 오류 한자어 사전 기반 검증, ③ 문서 간 한자어 상호비교 기반 검증 방법을 제시한다. 형태적인 오류가 없는 경우 문서 또는 문단 문맥에 함께 출현하는 한자어의 공기(co-occurrence) 한자어 말뭉치(corpus)를 구축하고 이를 적용하여 의미적인 오류를 검증하고 콘텐츠의 품질을 높이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re are many Sino-Korean words(漢字語) in humanities contents because Korea belongs to the East Asian kanji(漢字) cultural area including Japan and China. A Sino-Korean word is essential to clearly resolve the ambiguity of the korean words. However many misspelled Sino-Korean words are being created and distributed. Even the academic or research contents have too many misspelled Sino-Korean words. Because they are created through ‘copy and paste’ from the existing contents. Therefore it is urgent to correct the errors like this. For this purpose, I analysed the Sino-Korean words in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韓國鄕土文化電子大典), “Encyclopedia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專門事典) which were compil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found a way to verify the misspelled Sino-Korean. And I analyzed a small amount of contents in portal site using its Open-API in the same way. This study will help us improve the accuracy of contents.

      • KCI등재

        이음절(二音節) 한자어(漢字語) 뒤에 오는 일음절(一音節) 한자어(漢字語)에 대하여

        양명희 ( Yang Myung-hee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3

        本稿는 二音節 漢字語 뒤에 결합되는 一音節 漢字語를 분석하고자 한 논문이다. 비자립적으로 사용되는 일음절 한자어는 흔히 語根이라 칭하여 固有語와는 다른 형태적 특징을 가진 것으로 범주화하였으나, 한자어의 형태적 특징을 판별하는 기준 역시 고유어와 마찬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形態的 依存性, 結合的 制限性, 造語的 機能性, 文法的 意味性- 接尾辭的 기능을 갖는 일음절 한자어는 접미사로 판별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하여 문장에서 自立的으로 사용되는 일음절 한자어가 이음절 한자어와 결합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경우 合成語로 보고, 依存 名詞로 사용되는 일음절 한자어가 단어를 형성하는 경우 역시 合成語로 판별하였다. 비자립적이며 관형사형 뒤에도 나타나지 않는 일음절 한자어 중 造語的 機能性이 높은 ‘本, 書’ 등의 일음절 한자어는 接尾辭로 판별하여 이와 결합한 한자어는 派生語임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morphological function of one syllable Sino-Korean lexicon composed a complex word following a two syllable Sino-Korean word. It is used as a noun or a dependant noun or a root in the sentence. We try to treat Sino-Korean lexicon as native Korean vocabulary, so we suggest four criteria -morphological dependancy, restrictive combination, grammatical meaning, and productive word-formation- in order to distinguish Sino-Korean suffixes. When one syllable Sino-Korean lexicon is used as a noun in the pattern 1(Sik01(式), Geup(級), An(案), Eum(音), Pan(版)), we consider ‘two syllable Sino-Korean word+one syllable Sino-Korean lexicon as a compound word. When one syllable Sino-Korean lexicon is used as a dependant noun in the pattern 2(Sik03(式), Pyeon(篇), Jeom(點), Jo(調), Ja(者), Ja(字), Ho(號), Gun(郡), we consider ‘two syllable Sino-Korean word+one syllable Sino-Korean lexicon' as a compound word, too. In the third pattern like Bon(本), Seo(書), the Sino-Korean lexicon is used as a root, so we consider ‘two syllable Sino-Korean word+one syllable Sino-Korean lexicon' as the derived word and the one syllable Sino-Korean lexicon as the suffix.

      • KCI등재

        漢字語 敎育의 成果와 과제

        이동재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This paper tries to devote itself to help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develop in a desirable direction by reviewing the hitherto fruits and future tasks of the education of Sino Korean wor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ortation of the education of Sino Korean words, which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among content elements in the Chinese classic subject. Sino Korean words are those lexical items generated on the basis of Chinese letters, and can be classified into Hanja, polysyllabic words and idiomatic phrases, but they generally refer to disyllables and Gosaseongeo (idiomatic phrases). As Sino Korean words are helpful to language life and learning of other subjects, and Gosaseongeo, with relevant historical events, contains importation educational contents for cultivating good personality, both account for important contents of the Chinese classic subject. Consequently, there has been much fruitful work since the Chinese classics became an independent subject in 1972. The fruitful results from the study of the education of Sino Korean words can be considered in the areas of Sino Korean lexical items and Gosaseongeo. The outcomes of the study of the education of Sino Korean lexical items include work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Sino Korean words, the development of data for Sino Korean words education, the enhancement of word power and language life applications through Sino Korean words learning, and the identification of Sino Korean words learning as having instrumental subject characteristics which are fundamental for the learning of other subjects. The fruitful results of the study in Gosaseongeo include ‘general research on the concept of Gosaseongeo among other things,’ ‘analysis of the aspects of the inclusion in textbooks,’ ‘work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Gosaseongeo,’ and ‘work related to the formation of values and the personality education’ among others. Some of the important tasks of the education of Sino Korean word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some ‘adjustment of the names of Sino Korean words and their characteristics.’ Sino Korean words are called ‘Hanjaeo(漢字語),’ ‘Gugeosik Hanjaeo(國語式 漢字語,’ or "Hanja Eohwi(漢字 語彙).’ As this diversity is due to different researchers’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Sino Korean words, a unified alternative for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range of them should be proposed for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Second, the reinforcement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hinese letters and Sino Korean words, and between Sino Korean words and Chinese classics is necessary. One can often see some discrepancies between the literal meaning and lexical semantics of Chinese letters in the current textbooks. This has resulted from the interpretation in terms not of the traditional Chinese classics but of Korean dictionaries, and in turn resulted in the lack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ir meaning in Chinese classics and their modern meaning. Third, a new plan for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s needed. Weneed a plan for th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Sino Korean words that can be helpful to the enhancement of the ability to interpret Chinese classics, which is the purpose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f the Chinese classic subject. Fourth, various and profound studies on the Chinese classics textbooks are necessary. The outcomes from the work in the education of Sino Korean words until a recent date are very trivial, and one can say that just some work in the aspects of the reception of Gosaseongeo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all. Fifth, an accumulation of work that proves the Chinese classic subject has some characteristics of an instrumental subject. So far, researchers have taken students’advancement and positive responses to questionnaires to be arguments for their claims. This is not a scientific analysis and hence a new methodology is necessary. 본고는 한문과의 내용요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 교육의 연구 성과와 앞으로의 연구 과제 등을 검토하여, 한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一助하였다. 한자어는 漢字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어휘로서 漢字, 다음절 한자어, 한자성어로 나눌 수 있으나, 주로 2음절로 된 한자어와 성어인 故事成語를 말하지만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다. 한자어는 언어생활과 타 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고, 故事成語는 典故가 있는 말로 人性을 함양하는데 중요한 교육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1972년 한문교과가 독립교과가 된 이후 많은 연구 성과가 있었다. 한자어 교육의 연구 성과는 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연구, 한자어 학습을 위한 자료 개발, 한자어 학습을 통한 어휘력 신장 및 언어생활 활용 연구, 한자어 학습이 타 교과 학습에 기초가 되는 도구 교과적 성격을 확인하는 연구 등이 있었다. 고사성어에 대한 연구 성과는 ‘고사성어의 개념 등 일반적인 연구’, ‘교과서에서의 수록 양상 분석’, ‘고사성어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가치관 형성 및 인성교육과 관련된 연구’ 등이 있었다. 한자어 교육의 연구 과제 가운데 중요한 몇 가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자어의 명칭과 성격의 정비’가 필요하다. 한자어의 명칭이 ‘한자어’, ‘국어식 한자어’, ‘한자 어휘’ 등으로 불린다. 이는 한자어의 성격이 이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달라진 것이므로, 이의 해결을 위해 한자어의 정의, 성격, 범위 등에 대한 통일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한자와 한자어, 한자어와 한문의 相關性 提高이다. 현행 교과서에 제시된 한자의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서로 불일치한 현상이 상당수 보인다. 이는 한자어의 의미를 한문식으로 풀이하지 않고 국어사전의 풀이방식을 따른 결과로써, 이는 한문에서의 의미와 현대적 의미 간에 상호 연관성의 결여를 낳고 있다. 이의 해결을 위해 교과서의 구성에 다양한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의 具案이 필요하다. 2009년 한문과 교육과정의 목표인 ‘한문 독해 능력과 언어생활의 활용능력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한자어의 교수-학습 방법의 具案이 필요하다. 넷째, 한문 교과서에 대한 다양하고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 교육의 연구 성과는 매우 소략하였으며, 단지 고사성어의 수용양상과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성과가 전부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한문이 도구 교과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연구의 축적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학생들의 성적 향상과 설문의 긍정적인 답변을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거로 삼고 있는데, 이는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분석법이 아니므로 새로운 연구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 KCI등재

        단어 형성 교육을 위한 한자어 문제 고찰

        박혜진(Park, Hye-jin)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5

        이 연구는 단어 형성 교육을 위한 한자어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자어의 형태론적 특성을 검토하는 한편,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종의 언어와 매체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한자어의 형태론적 특성을 고찰한 결과 한자어는 형태소로서, 그리고 단어 형성 요소로서 ‘비전형성, 다기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과서 분석 결과 이러한 특성이 단어 형성 단원의 각 국면에서 한자어를 배제하거나 소극적으로 제시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문법 개념은 언어 현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도구이므로 학습자는 그 개념을 적절하게 습득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궁극적인 목적은 아니다. 학습자는 획득한 개념을 스스로 확장하고 언어 현상을 해석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일상에서 만나는 다양한 언어 현상들을 주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고는 전형적 사례가 아니라는 이유로, 혹은 특정 체계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한자어 관련 내용을 무조건 배제할 것이 아니라 학습의 단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방법으로 한자어를 제시하는 것이 단어 형성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향임을 주지하였다. 그리고 단어 형성 교육을 위한 한자어 활용 방안으로 ‘교육적 수월성을 고려하여 한자어 사례를 선별적 단계적으로 제시하는 방안, 교육의 효용성을 고려하여 한자어 접사를 적극적으로 제시하는 방안, 표현 국면의 교육 내용을 설계할 시 표현 자원으로서의 한자어를 초점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finding ways to use Sino- Korean word for word formation education.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word identified in the theory of Korean word-formation were discussed, and five kinds of 『Language and Media』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word, it was confirmed that Sino-Korean word have ‘non-typicality, versatility’ as a morpheme and a word forming elem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textbook analysis,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act as a cause of excluding or passively presenting Sino-Korean word in each phase of the word formation unit. The concept of grammar is a tool to better understand language phenomena, so learners need to master the concept properly. But that is not the ultimate goal. The learner should be able to expand the acquired concept by himself and use it as a tool to interpret language phenomena. Therefore, this paper argued that Sino-Korean word should not be excluded unconditionally because it is not a typical case or because it does not fit a specific system. In addition, it was noted that presenting Sino-Korean word in an appropriate way at an appropriate time considering the stage of learning is the direction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word formation education. Finally, three ways to use Sino-Korean word for word formation education were proposed. The first is to selectively and stepwise present cases of Sino- Korean word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excellence, the second is to actively present Chinese character affixes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he third is to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Sino- Korean word as a resource for forming words.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using Sino-Korean word in the word formation unit by consider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no- Korean word and the context of educational content description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help to the subjects who design word-formation education or describe textbooks later.

      • 한조 번역에서의 한자어 처리에 대하여

        최송월(崔松月),김희월(金姬月)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4 중국조선어문 Vol.252 No.-

        조선어의 어휘에서 한자어의 사용률은 비교적 높다. 본 연구에서는 한조 번역에서 한자어의 특성, 한자어의 처리원칙, 한자어와 독음번역법, 한자어의 평이성, 한자어와 고유어 및 량자의 취사선택 등 5개 방면으로부터 한자어 처리와 관련한 세부문제를 자상히 피력함으로써 한조 번역에 저그마한 참고가치라도 제공하고저 한다.

      • KCI등재

        초등 교과서 속 한자어 교육에 한자 지식이 미치는 영향 분석

        이건범(Lee Keon-bum)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5

        한자어를 이해하는 데에 한자 지식이 필수적이라는 믿음 때문에 한자를 둘러싼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는다. 이 연구에서는 한자어 교육에 구성 한자 지식을 이용하려는 전략이 타당한지 검토하고자 한자어와 한자지식의 상관성을 분석한다. 초등 교과서에 나오는 한자어 11,000개를 분석한 결과, ‘부모(父母)’처럼 훈과 상관성이 높은 한자어가 32%, ‘단체(團體)’처럼 훈과 상관성이 낮은 한자어가 16%, ‘비난(非難)’처럼 훈과 상관성이 없는 한자어가 6%, ‘헌법(憲法)’처럼 한자의 음과 훈이 동어반복인 한자어가 46%였다. 훈과 상관성이 높은 한자어는 구성 한자의 뜻을 모아 낱말 의미에 다가갈 수 있지만, 나머지 세 무리의 한자어는 낱말 이해에 한자 지식을 이용하기 어렵다. 한자어 교육에 한자 지식을 동원하는 전략이 어울리는 낱말은 32%에 불과하므로, 이 전략을 어휘 교육 전반으로 확대하여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더구나 한자어 교육에 필요한 한자 지식이란 글자 모양이 아니라 의미 요소인 ‘훈’이므로, 한자를 표기하거나 암기하게 할 이론적 근거는 더더욱 약하다. The controversy concerning Chinese characters doesn’t decrease because of the belief that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is indispensable for understanding Sino-Korean words (S-K words).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S-K words and ‘hun(the Korean translation of a Chinese character)’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trategy using the knowledge of component Chinese Characters is reasonable for teaching S-K word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11,000 S-K words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e words that have high correlation(ex. bu-mo(父母)) occupy 32%, low correlation(ex. dan-che(團體)) 16%, no correlation(ex. bi-nan(非難)) 6%, and the words that the hun has except but the character’s sound(ex. hun-bub(憲法)) occupy 46%. The high-correlated words can be accessed to the meaning of the words through compounding the huns of the component Chinese character, but the others can’t be. The strategy using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for understanding the S-K words is available for only 32% of them, so we can not adopt that strategy on vocabulary education in general. Furthermore,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needed on S-K words education is not the knowledge of the character’s shape but the hun, the meaning part, so there is little theoretical basis to expose Chinese characters or to make students memorize them.

      • KCI등재

        韩国汉字语与中国现代汉语词汇对比研究

        朴??(박정애) 중국어문논역학회 2006 中國語文論譯叢刊 Vol.18 No.-

        중국과 한국은 오래 전부터 많은 교류를 가져온 이웃 나라이다. 한국에 “훈민정음”이 생기기 전까지는 중국의 한자 및 한문을 유입하여 사용하였다. 언제 어떻게 유입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중국의 한자가 한국에 유입되어 사용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원래 한자 및 한자어형태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있고 또한 한국국내 필요로 자체로 만들어 진 한자 및 한자어도 생겼다. 한국에 유입된 한자 및 한자어는 중국고대 한어이기에 현재 중국에서 사용하는 현대한어와는 본질적인 차이는 없지만 1950 년대 들어서 중국에서 문자개혁을 실시했기에 고대한어와 현대한어는 한자 형태부터 차이가 있고 또한 사용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같은 한자문화권내에서 이런 차이를 나타내면서 한국과 중국 두 나라 간 공용되는 부분 외에 서로 다른 차이점을 상대국 언어를 습득하는데 어려움도 생기게 되고 심지어 때로는 오해를 일으키는 일도 피할 수 없었다. 예를 들면 同形異義 한자어나 혹은 비슷한 한자어가 나타났을 때 왕왕 자기 모국어와 같은 의미로 풀이하고 이해하기에 이런 데에서 負遷移기 생기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본고 에서는 우선 한국 한자어 來源에 대하여 종류를 분류하고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한자어의 同形異義, 同形同義, 近形同義 등 유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서로 비슷한 한자어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주된 문제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주로 한국의 고유한자어, 일본한자어(중국에서 통용되지 않는 부분), 한국식 한자어 등이었다. 때문에 상대국 언어를 습득할 때 주관적인 판단으로 추리하면 더 큰 어려움과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으니 반드시 한자의 특징에 따라 한 글자 한 글자 씩 뜻 풀이하는 기초 위에 한어와 한국어의 서로 다른 언어체계를 감안하면서 습득하면 더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은 상대국 언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 도움 주려 하며 또한 상대국 언어를 연구 비교하는데 어떤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KCI등재

        漢字語의 意味 形成 因素와 意味 演變 樣相- 국어사전의 한자어 뜻풀이 문제와 관련하여-

        조영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0 No.-

        This is an outline of studying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e do not have studying of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m is not proper. According to this situation, mistranslations and misuses of Chinese can cause serious problems as time goes by. As a part of studying Chinese characters, I would like to focus on aspects of these; how the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areestablished, and how they are changed with specific examples. Compared with meaning of Koreanand them, I would like to indicate errors of existing problems. First, I would give you semantics, morphemic, the sources, and history of the characters as structural elements of meaning of them. All of them can effect on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we cannot get proper meanings with only one element of them. The tru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can have several other meanings, and we call it changed meaning. There are dilatation, reduction, metaphor, vicissitude, and they can be mixed. The divergence from true meaning to changedone can be analogized, and according to it, it can be possible to not only understand of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but also improve logic through association and reasoning. I hope we can use Chinese characters properly by studying them thoroughly and issuing Chinese dictionaries. 이 논문은 한자어 의미 연구의 개론적인 성격을 띤다. 한자어 의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하고, 국어사전의 한자어 풀이가 불완전한 상황에서, 한자어의 誤譯과 誤用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자어 의미 연구의 一環으로, 본고는 한자어의 의미가 어떤 因素에 의해 성립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변해 가는지 實例를 들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확인된 한자어의 의미를 국어사전의 뜻풀이와 비교하여, 기존 뜻풀이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먼저, 한자어 의미 파악에 있어 선결 과제인 한자어의 本義를 바로 규정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한자어의 本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字義, 字形, 聲韻, 典故를 들었다. 본의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字義는 다시 原義, 轉義, 假借義로 구분하여, 그것이 한자어에 어떤 의미요소로 작용하는지를 살폈다. 또한 한자의 의미는 字形의 변화에 따라서도 달라지므로 의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假借字와 後起本字에 유의하여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 밖에 字義만 가지고는 풀이가 안 되는 경우로, 聲韻을 고려해야하는 한자어와 典故가 있는 한자어를 분석하였다. 성운에 관한 것은 주로 쌍성자와 첩운자, 전고에 관한 것은 주로 고사 보다는 출전이 있는 한자어를 대상으로 하여 올바른 의미를 제시하였다. 열거한 자의, 자형, 성운, 전고와 같은 因素들은 모두 한자어의 본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들이므로, 각각의 例에 따라 올바르게 접근해야 본의를 정확히 규정할 수 있다. 한자어의 본의는 여러 갈래로 파생되어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이를 轉義라고 한다. 전의의 갈래는 확장, 축소, 비유, 변전의 형태이며, 이들이 서로 착종되는 경우도 있다. 확장은 인신과 마찬가지로 점점 의미가 불어나는 것으로, 연쇄식과 방사식, 그리고 이 두 가지가 혼용되는 양상으로 전개된다. 축소는 점점 의미가 줄어드는 것으로, 한자어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字義가 소멸되거나, 비슷한 의미를 가진 말이 하나로 통합되는 양상으로 전개된다. 비유는 한자어 전체가 비유의 의미를 지닌 것과, 구성단위인 하나의 한자가 비유의 의미를 지닌 경우로 구분되는데, 비유의 대상이 되는 사물의 특징을 정확히 간파해야 올바른 의미를 얻을 수 있다. 변전은 본의와 전혀 상관없는 의미로 쓰이거나, 반대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에 해당된다. 주로 시대와 사회 변화에 따른 것이지만, 이들 중에 어떤 것은 본의를 오용하는데서 기인하기도 한다. 本義에서 轉義로의 의미 분화는 類推가 가능한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어휘를 습득한다면 한자어의 의미 파악은 물론 聯想과 推論을 통해 논리력도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어사전의 한자어 뜻풀이는 몇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우선, 한자어의 본의와 전의 파악이 분명하지 않고, 또한 둘 사이의 인과 관계를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둘째, 한자어의 상징적 의미를 효과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셋째, 한자어 표기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는 점. 넷째, 출전이 분명한 말들에 대하여 출전을 명시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앞으로 한자어 의미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들이 지속되고, 올바른 뜻풀이가 제시된 한자어 사전들이 출간되어, 피상적으로 사용하는 한자어의 의미를 보다 바르게 사용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한자어(漢字語) 교육(敎育)의 성과(成果)와 과제

        이동재 ( Dong Jae Le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본고는 한문과의 내용요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 교육의 연구 성과와 앞으로의 연구 과제 등을 검토하여, 한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一助하였다. 한자어는 漢字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어휘로서 漢字, 다음절 한자어, 한자성어로 나눌 수 있으나, 주로 2음절로 된 한자어와 성어인 故事成語를 말하지만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다. 한자어는 언어생활과 타 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고, 故事成語는 典故가 있는 말로 人性을 함양하는데 중요한 교육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1972년 한문교과가 독립교과가 된 이후 많은 연구 성과가 있었다. 한자어 교육의 연구 성과는 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연구, 한자어 학습을 위한 자료 개발, 한자어 학습을 통한 어휘력 신장 및 언어생활 활용 연구, 한자어 학습이 타 교과 학습에 기초가 되는 도구 교과적 성격을 확인하는 연구 등이 있었다. 고사성어에 대한 연구 성과는 ``고사성어의 개념 등 일반적인 연구``, ``교과서에서의 수록 양상 분석``, ``고사성어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가치관 형성 및 인성교육과 관련된 연구`` 등이 있었다. 한자어 교육의 연구 과제 가운데 중요한 몇 가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자어의 명칭과 성격의 정비``가 필요하다. 한자어의 명칭이 ``한자어``, ``국어식 한자어``, ``한자 어휘`` 등으로 불린다. 이는 한자어의 성격이 이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달라진 것이므로, 이의 해결을 위해 한자어의 정의, 성격, 범위 등에 대한 통일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한자와 한자어, 한자어와 한문의 相關性 提高이다. 현행 교과서에 제시된 한자의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서로 불일치한 현상이 상당수 보인다. 이는 한자어의 의미를 한문식으로 풀이하지 않고 국어사전의 풀이방식을 따른 결과로써, 이는 한문에서의 의미와 현대적 의미 간에 상호 연관성의 결여를 낳고 있다. 이의 해결을 위해 교과서의 구성에 다양한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의 具案이 필요하다. 2009년 한문과 교육과정의 목표인 ``한문 독해 능력과 언어생활의 활용능력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한자어의 교수-학습 방법의 具案이 필요하다. 넷째, 한문 교과서에 대한 다양하고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 교육의 연구 성과는 매우 소략하였으며, 단지 고사성어의 수용양상과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성과가 전부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한문이 도구 교과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연구의 축적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학생들의 성적 향상과 설문의 긍정적인 답변을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거로 삼고 있는데, 이는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분석법이 아니므로 새로운 연구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This paper tries to devote itself to help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develop in a desirable direction by reviewing the hitherto fruits and future tasks of the education of Sino Korean wor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ortation of the education of Sino Korean words, which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among content elements in the Chinese classic subject. Sino Korean words are those lexical items generated on the basis of Chinese letters, and can be classified into Hanja, polysyllabic words and idiomatic phrases, but they generally refer to disyllables and Gosaseongeo (idiomatic phrases). As Sino Korean words are helpful to language life and learning of other subjects, and Gosaseongeo, with relevant historical events, contains importation educational contents for cultivating good personality, both account for important contents of the Chinese classic subject. Consequently, there has been much fruitful work since the Chinese classics became an independent subject in 1972. The fruitful results from the study of the education of Sino Korean words can be considered in the areas of Sino Korean lexical items and Gosaseongeo. The outcomes of the study of the education of Sino Korean lexical items include work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Sino Korean words, the development of data for Sino Korean words education, the enhancement of word power and language life applications through Sino Korean words learning, and the identification of Sino Korean words learning as having instrumental subject characteristics which are fundamental for the learning of other subjects. The fruitful results of the study in Gosaseongeo include ``general research on the concept of Gosaseongeo among other things,`` ``analysis of the aspects of the inclusion in textbooks,`` ``work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Gosaseongeo,`` and ``work related to the formation of values and the personality education`` among others. Some of the important tasks of the education of Sino Korean word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some ``adjustment of the names of Sino Korean words and their characteristics.`` Sino Korean words are called ``Hanjaeo(漢字語),`` ``Gugeosik Hanjaeo(國語式 漢字語,`` or "Hanja Eohwi(漢字 語彙).`` As this diversity is due to different researchers``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Sino Korean words, a unified alternative for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range of them should be proposed for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Second, the reinforcement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hinese letters and Sino Korean words, and between Sino Korean words and Chinese classics is necessary. One can often see some discrepancies between the literal meaning and lexical semantics of Chinese letters in the current textbooks. This has resulted from the interpretation in terms not of the traditional Chinese classics but of Korean dictionaries, and in turn resulted in the lack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ir meaning in Chinese classics and their modern meaning. Third, a new plan for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s needed. Weneed a plan for th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Sino Korean words that can be helpful to the enhancement of the ability to interpret Chinese classics, which is the purpose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f the Chinese classic subject. Fourth, various and profound studies on the Chinese classics textbooks are necessary. The outcomes from the work in the education of Sino Korean words until a recent date are very trivial, and one can say that just some work in the aspects of the reception of Gosaseongeo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all. Fifth, an accumulation of work that proves the Chinese classic subject has some characteristics of an instrumental subject. So far, researchers have taken students`advancement and positive responses to questionnaires to be arguments for their claims. This is not a scientific analysis and hence a new methodology is necessary.

      • KCI등재

        『高麗史』 속의 한자어

        김양진 국어사학회 2015 국어사연구 Vol.0 No.21

        『高麗史』 속에 포함된 한자어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중요한 양상은 『高麗史』의 한자어가 크게 고려시대 전기의 다양한 경로로 유입되던 시기의 한자어와 원나라 이후 몽골어 및 원대 漢兒言語에 의해 유입된 한자어로 크게 구별된다는 점이다. 고려시대의 한자어는 크게 훈차 한자어와 음차 한자어로 유형화되는데, 훈차 한자어에는 다시 고려계 한자어(=한국한자어), 중국계 한자어, 인도/범어계 한자어(불교 용어)로 나뉘며 음차 한자어 역시 고유어계 음차어, 몽골어계 음차어, 여진어계 음차어, 범어계 음차어 등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에서 고려계 한자어에는 고려에서 조어된 한자어와 당시 고려어를 훈독한 훈독 한자어가 포함되며 중국계 한자어에는 漢代, 唐代, 宋代, 遼代(거란), 金代(여진), 元代 한자어 등 다양한 시대의 한자어들이 포함되었거나 포함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가운데 특히 한자어의 주류를 이루는 한국 한자어와 중국계 한자어의 제 양상을 『高麗史』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This thesis introduces the forms of various sino-Korean word which was contained in Koryeo-sa(『the history of Koryeo』).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re are two types of sino-Korean word in Koryeo-sa(『the history of Koryeo』):one is the sino-Korean word which was influxed in the early time of Koryeo Dynasty and the other one is Mongolian after Yuan Dynasty and the sino-Korean word in Yuan Dynasty introduced by northern Chinese language. In Goryeo Dynasty, there were two types of sino-Korean word which included sino-Korean word in semantic loanword and sino-Korean word in phonetic loanword. The sino-Korean word in semantic loanword was divided into sino-Korean word on Koryeo, sino-Korean word on China and Indian Chinese (Buddhism Chinese). While sino-Korean word of phonetic-loanword was divided into phonetic-loanword in proper word, phonetic-loanword in Mongolian , phonetic-loanword in Jurchen, phonetic-loanword in Sanskrit, sino-Korean word on Koryeo contained sino-korean word appeared in Goryeo Dynasty and sino-Korean word in semantic reading loanword. While sino-Korean word on China included sino-korean word appeared in Han, Tang, Song, Liao, Jin and Yuan Dynasties. This study will concentrate on the sino-Korean word on Korea and sino-Korean word on China used in Koryeo-sa(『the history of Korye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