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 漢字敎育의 位相과 漢字敎育硏究의 動向

        박세진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日本에서 漢字는 가나(仮名)와 더불어 중요한 표기수단으로서 국어의 일부로 그 위상을 확립하고 있다. 일본어에서 漢字는 가장 중요한 요체이며 문장을 이루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日本의 漢字敎育은 국어의 일부로써 言語敎育이며 文字敎育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日本의 漢字敎育은 學校敎育뿐만 아니라 일반 언어생활에서의 平生敎育으로 이어지고 있다. 학교에서는 교육과정인 학습지도요령을 기반으로 소·중·고 국어교과서에서 체계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상용한자를 두어 각 학년 학년별 배당한자를 중심으로 나선적이며 반복적으로 학습되고 있다. 이처럼 일본에서의 한자교육은 언어생활에서 국어의 필수적인 사양으로 평생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다. 논고는 우선 일본 한자교육의 위상과 그 실제를 파악하기 위해 교육과정과 상용한자, 학교교육에서 한자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에 일본의 한자교육의 기반이 되고 있는 교육과정인 학습지도요령과 상용한자에 관한 사항이 상당히 바뀌었다. 현행 교육 정책은 기존의 여유 있는 교육을 시정하고 기초학력을 중시하도록 바뀌었으며, 수업시수도 증가시켜 언어 능력을 육성하도록 강조하였다. 또한 정보화 시대의 변화에 상응하여 상용한자를 대폭 개정하였다. 기존의 상용한자 1945字에서 196字를 추가하고 5字를 제외시켜 총 191字가 늘어난 2136字를 상용한자로 재정립하였다. 학교교육에서는 새로운 학습지도요령을 기반으로 한자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國語科 안에 漢字에 관한 사항을 따로 만들어 실시하고 있으며, 그 안에 상용한자(학년별 배당한자)에 관한 사항도 포함되어 있다. 개정된 학습지도요령에서의 특이사항은 학년별 配當漢字를 중심으로 한자 학습에 관한 내용에 다소 변화를 가져왔다는 점과, 고등학교 국어과목의 敎科名 체제도 상당히 바뀌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렇듯 학습지도요령을 기반으로 학교교육에서 실시되고 있는 한자교육은 체계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교육정책의 변화로 더욱 국어 교육을 중시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다음은 현재 일본의 한자교육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漢字敎育硏究의 動向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일본의 言語敎育과 文字敎育으로써 한자교육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고에서는 1990년대 이후의 한자교육에 관한 연구를 몇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일본의 실정에 맞게 한자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자국의 문자(仮名)와 관련하여 발생된 특유성으로 인한 한자교육에 관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자를 쉽게 익히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일본 한자교육의 위상과 그 실제를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교육과정과 학교교육에서의 한자교육의 실태를 살펴보고, 현재 일본의 한자교육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漢字敎育硏究의 動向을 검토함으로써 일본한자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In Japan, Chinese characters, along with Kana are establishing its position as part of Japanese as an important means of representation. In Japanese, Chinese characters are the most important substance and an important component forming sentences. Therefor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of Japan can be seen as Japanese education as part of Japanese and character education. Thi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Japan is leading to school education as well as lifelong education in general language life. Based on instructional tips, curriculum, it is systematically conducted in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 in schools and learned spirally and repeatedly focusing on Chinese Characters allocated by grade by determining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s. Like thi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Japan is an essential specification of Japanese in the language life and is being done throughout life. First of all, to identify the phase and realit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Japa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s, and curriculum. Recently, the matters on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s and instructional tips, education curriculum which becomes the found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Japan have significantly changed. Current education policy was changed to correct existing free education and value much of basic academic ability and emphasize to foster language abilit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lasses. Also,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s were significantly revised 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Information Age. 2136 characters that total 191 characters are increased were reestablished as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s by adding 196 to existing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s 1945 characters and excluding 5 characters. It could be seen tha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systematically performed in school education based on new instructional tips. The matters on Chinese Characters are separately made and conducted in the department of Japanese and the matters on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s(Chinese Characters allocated by grade) are included in it. Unique things in revised instructional tips are that the contents on Chinese Character learning around Chinese Characters allocated by grade were changed a little and subject name system of high school Japanese subject was considerably changed. As shown above, it can be seen tha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eing conducted in school education based on instructional tips is being carried out systematically and Japanese education is being more emphasized due to the change of education policy. Next,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the trend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education to see how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of Japan is going on at present. Various studies were conducted abou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s Japanes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of Japan.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fter 1990s by classifying it into several areas. It turned out that since in particular, Chinese Characters are used according to the state of Japan, the studies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due to uniqueness caused in connection with characters of their own countries are in progress variously. Also, the studies on how to learn and use Chinese Characters easily are discussed active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that it gives implications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Japan by examining the realit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and curriculum as part to identify the phase and reality of Japanes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by reviewing the tren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of how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of Japan is going on at present.

      • KCI등재

        한국어교육 제도와 정책에 관한 비판적 검토-한자·한자어교육과 관련하여-

        김우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3 漢字 漢文敎育 Vol.32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ystem and political matters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to success or failure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s some right direction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reviewing Korean basic Law and enforcement decree, it is necessary to includ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pecialists for division of language policy and literary norms of the National Language Deliberation Council which deliberates establishment of ‘korean language development master plan’ and the elements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literary norms. Furthermore, as target and scope of the business are not clearly identified, some overlapping issues in businesses such as text books and curriculum development, teacher training and supports for korean language distribution were found. Thus, roles and function of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Sejong-Hakdang Foundation shall be clearly identified, and als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esignated as a compulsory course. Then the level of chinese character text books will be improved and the awareness and capability of the teachers would be raised. Subsequently, supervis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reinforced and only capable specialist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related subjects. Example subjects play important roles as this shows what korean language teacher should possess. Thus, chinese characters related subjects should be included in example subjects. And also, chinese characters related subjects shall be included in the reeducation proces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Efforts to change the attitudes tha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nonessential shall be conducted as well. It is significant to have more chances to have interactions and mutual understandings from the view of the academic world to adopt chinese characters as a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글은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한자․한자어교육의 성패와 직결된 제도와 정책적 사항들을 점검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우선 국어기본법 및 동법 시행령을 살펴본 결과, 국어발전기본계획의 수립, 어문규범의 제정 및 개정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국어심의회의 언어정책분과와 어문규범분과에 한자․한자어교육 전문가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사업 대상과 영역이 명확히 구별되지 않아 교재 및 교육과정 개발, 교원 양성, 한국어 보급지원 등의 사업에서 중복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립국어원과 세종학당재단의 역할과 기능을 분명히 구별하여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한편 한자․한자어 교육을 필수이수과목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이렇게 되면 한자․한자어 교재의 수준도 향상되고 교원들의 한자․한자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능력도 제고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어교원 양성기관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역량 있는 전문가로 하여금 해당 과목을 담당하도록 하여야 한다. 예시과목은 한국어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적 전공능력이 어디에 있는지를 가리킨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크다. 따라서 한자․한자어 관련 과목이 예시과목에 반드시 포함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한국어교사들에 대한 재교육과정에 한자․한자어 관련 과목을 수강하도록 제도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한자․한자어교육을 불요불급하게 여기는 인식을 바꾸기 위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한자․한자어교육을 한국어교육의 일부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학계 차원에서 서로 교류하고 소통하는 기회를 자주 갖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후보

        第7次中等學校漢文科敎育課程의 運營實態와 改善事案 : 大田廣域市敎育을 中心으로 Focusing on the education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宋永日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5 漢字 漢文敎育 Vol.14 No.-

        中等學校 漢文科 敎育은 國家單位 敎育課程의 범주에서 학교의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교과학습의 한 영역이다. 2001년 중학교부터 실시된 第7次 敎育課程은 현재 모든 中等學校에 적용되고 있으며, 2005년은 그 4~5년째를 맞고 있다. 그 시작 초기부터 많은 비판과 문제점이 제기되었던 제7차 교육과정은 漢文科 敎育에도 적잖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敎育課程의 문제는 國家單位의 制度的 事案인 동시에 敎科 內的 問題로, 실제적으로는 그 교과 責任者의 敎育課程 設定과 運營에 대한 문제로 歸着된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중등학교 漢文科 敎育을 중심으로 2002년과 2005년 敎育課程에 대한 學校級別 편성 사항을 살펴보고, 그 運營實態와 문제점과 改善 事案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이 같은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에 대한 國家的 次元 制度的 改善 요구와, 또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새 漢文科 敎育課程案에 대한 연구에 있다. 논의된 주요 사안을 제도적 측면과 교과 내적 문제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제도적 측면> 첫째, 국어 교과의 종속적 범주에서 벗어나야 한다. 둘째, 한문을 국민공통기본 교과에 포함시켜야 한다. 셋째, 교육용기초한자나 全敎科의 주요 漢字語를 수록한 한자 교과를 신설해야 한다. 넷째, 전통문화와 인성교육을 위한 한자?한문 혼용 교과를 개설해야 한다. 다섯째, 한문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정책을 범국가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교과 내적 문제> 첫째, 제7차 교육과정의 성격?목적?목표 등에 대한 실천과 반성의 기회를 가져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부터 한자?한문교육의 당위성을 입증할 연구 자료가 구비 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용기초한자와 모든 敎科의 漢字語를 다룬 교재를 개발하여야 한다. 넷째, 인성교육?전통문화 교육 중심의 한자?한문 혼용 교재를 개발한다. 다섯째, 한문교육의 과제를 연구하고, 그 필요성을 홍보할 단체를 운영해야 한다. 지금까지 論議한 漢文科 敎育課程에 대한 제반문제는 國家的 課題인 동시에 漢文科 교육이 해결해야 할 事案이다. 그러므로 새 교육과정이 논의되기 전에 漢文科 敎育課程의 편성?운영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앞서 논의한 여러 事案의 前轍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 미래 漢文科 敎育의 成敗는 敎育課程의 배치파 운영에 있다 할 수 있으므로, 漢文科 교육은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함께 최적의 대안을 찾아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미래 韓國敎育을 先導하는 새로운 誕生이 되어야 할 것이다.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in a secondary school is the field of curricula studying which is being done under the guidance of a school in the category of curriculum of a unit of country. The 7th curriculum, which started from the middle school in 2001, is being applied to every secondary school, and 4-5years have passed since it started. There were lots of criticism and problems in the 7th curriculum from its beginning, and it has caused many problems to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Problems of curriculum, which are internal problems of subjects as well as systemic matters of a unit of country, practically come to problems on the operation and creation of curriculum of persons in charge of the subject. On this study, focusing on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in a secondary school, Daejeon Metropolitan City, contents composed by classes of schools on curriculum of 2002 and 2005 are reviewed, and actual conditions, problems and matters to be improved of it ar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k for the systemic improvement at the level of nation on curriculum and to study the new programs of curriculum of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to realize that. If the major cases discussed are arranged by the systemic point of view and the internal problems of subjects, they are as follows. <The systemic point of view> First, it must get out of the subordinate category of subject of Korean language. Second, Sino - Korean shall be included in the basic and common subject of people. Third, subject of Hanja including basic Hanjas for teaching and major Hanjas of every subject shall be created. Fourth, the subject using Hanjas together with Sino - Korean shall be introduced to teach traditional culture and humanity. Fifth, educational policy to enforce teaching of Sino - Korean shall be nationwide propelled . <The Internal Problems of a subject >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the opportunity to practice and reflect the character ? object ? goal of the 7th curriculum. Second, research materials to prove the necessity of teaching of Hanja Sino - Korean shall be equipped from the elementary school. Third, teaching materials dealing with basic Hanjas for teaching and Hanjas of every subject shall be developed. Fourth, the subject using Hanja together with Sino - Korean focusing on teach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humanity shall be developed. Fifth, organizations to study the tasks of teaching of Sino - Korean and to publicize its necessity shall be operated. The whole problems on the curriculum of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discussed until now are tasks of nation as well as matters to be resolved in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And therefore, unless systemic research on the organization ? operation of the curriculum of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is done in advance before the new curriculum is discussed, the matters discussed before shall be repeated. As the success and failure of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in the future is up to the arrangement and operation, the optimal substitutes shall be found out with thorough analysis on the 7th curriculum of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and in the end, it shall be reborn to lead the education of Korea in the future.

      • KCI등재

        中國 漢子敎育의 歷史와 內容에 대하여

        許喆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3 No.-

        모든 다른 나라에서와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도 한자가 창조되고 사용되는 동시에 그 교육 또한 시작되었다. 문자교육은 교육의 측면에서 볼 때, 그 교육 내용은 거의 고정 불변의 것이지만, 형식과 방법, 체재 등은 그 사회가 처한 사회 상황과 교육 이상과 목표, 사회의 발전 정도, 사회 전체의 문화 환생 등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漢字는 이미 3400여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자체계이다. 이 오랜 세월동안 한자는 중국인들과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에서 정치, 경제, 문화 생활을 비롯, 사회 구성원 간의 의사 소통 역할을 담당한 문자체계였으며 동시에 교육의 중요한 영역이 되어왔다. 그러나, 한자는 그 학습의 양이 다른 문자와는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 많다는 점 때문에, 가장 체계적이고 효율적이지 못한 문자체계로 주목받고 있다. 중국에서 이루어지는 한자교육은 이러한 한자 학습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어떻게 하면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한자를 습득하게 하는가에 그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중국 한자교육의 역사에 대해서 郭洙若과 장정양은 商대로부터 이미 존재하였음을 과학적 증거를 통해 주장하였고, 『周禮』, 『說文解字』 「敍」, 『漢書』 「藝文志」를 통해 이미 오래전부터 한자학습서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여러 기록을 통해 한자학습이 당시에 얼마나 중요한 기초교육이었으며 그것을 얼마나 중시하였는지도 알 수 있다. 또 여러 기록을 통해 역사적으로 많은 한자교육서가 발간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한자학습서의 특징으로 우리는 전통적 한자 학습서들이 사회에서 常用되는 한자를 선택 정리하였다는 점과 채택한 글자의 수량이 적절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체제나 그 내용에 있어서도 이미 상당한 수준을 갖추도록 발전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한자학습은 20세기 이후 달라진 사회의 변화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통의 한자교육과는 다른 내용과 형식을 준비하고 시행해야 했다. 이를 위해 중국에서는 국가적으로 한자의 수량을 결정하고, 이체자, 간화, 표준발음, 획수, 필순, 표준자형 등의 제정 등과 같은 한자의 정리를 꾀하는 한편, 건국 이후로 7차례 발표한 <小學語文敎學大綱>을 통해 한자교육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내렸다. 이러한 어문 규정의 측면 뿐 아니라, 교육의 측면에서도 중국은 한자교육의 순서와 함께 그 구체적인 방법과 각 학년별 한자의 수량 등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제시를 하였다. 이러한 제규정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해 낸 것이 바로 소학용 어문교재이다. 중국은 현재 각 省이나 지방단체나 출판사가 각 어문규정에 맞는 교과서를 자체적으로 제작하면 그것을 심의해 주는 방법으로 사용하여 어문교재를 편찬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인민교육출판사에서 새롭게 출판된 어문 교재를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중국의 어문정책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교과서라는 틀을 통해 실현되고 있나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일련의 논의과정은 한국 한자교육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면에서 많은 시사점을 준다. 첫번째, 한자교육의 기본적 토대로 국가적인 한자 관련연구와 규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도 교육용한자, 상용한자, 인명용한자 등이 규정되었지만, 그 과학성과 대표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한자의 표준 形.音.義에 대한 규정도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이체자, 속자 등에 대한 규정, 필획과 필순의 표준, 인쇄용 표준자체 등도 명확하지 않다. 이로 인해 정확한 규범과 기준 없는 한자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물론 어떤 사항에 대해서는 한자교육 관련자들만으로 그런 규정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한자가 우리나라의 문자 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한다면 그런 규정은 국가적 주도로 이루어지고 시행령이 반포되는 한편, 일회성으로 그치지 말고 끊임없이 연구되며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자교육은 이러한 표준과 기준을 토대로 자신들의 임무인 한자 교육의 목표와 목적에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교육 활동을 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두번째는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초기 한자교육의 방향과 영역별 내용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없을 것이다. 중국에서 이루어지는 한자 교의 특징은 다양한 학습법과 함께 한자 학습의 순서를 제시함으로써 1차적인 학습의 축적으로 인한 2차적인 학습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있다는 점이다. 방법에 있어서도, 개별적인 한자를 지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림이나 운문 등을 이용하고 한자의 형성 원리에 부합되도록 한자를 지도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단어와 문장학습을 통한 자연스런 한자 학습 방법도 도입하고 있다. 전체적인 교육과정에 있어서도 체계성을 이루며 한자교육의 목표를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으면서 그 방법적인 면에서 다양한 활용을 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 하다. 이런 중국 소학어문교육의 장단점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초기 한자교육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hen Chinese character had been invented and used in China, also had been started learning chinese character. Education of character is being affected by a society's situation, aim and ideal of education and overall cultural environment in respective societies. The contents of education is still all the same. Chinese character is by far the longest history of 3,400 years. During the period it acted as communicating between people and politics, economy and cultural life and it had been a crucial factor of education. But, Chinese character is being regarded as non systemical and ineffective character cause it needs to study huge volume.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which is being educated in China is focusing on effectiveness and system which can lead to easy learning. About histor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being proved by scientific evidence which is comes from 'GWANGMARYAKGWA(郭沫若)', 'JANGJEONGNYANG(장정양)' since 'SANG(商)' dynasty and 『JURYE 周禮』, 『PROLOGUE of SEOLMUNHAEJA 說文解字 「敍」』, 『HANSEOYEMUNJI漢書 「藝文志」』 show the evidence that there was chinese education textbook from long time ago. It is good proof that fore father considere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s a really important factor. Lots of historical literatures are a proof of chinese character manual had been published. It tells that traditional educational m a d was published by selecting "publicly used" words and it's volume is appropriate. At the same time, it's standard got a good reputation.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turned into different contents arid style comparing cause society and desire were changing fast since 20th century. Chinese goverment set a regulation which was setting the standard of quantity of chinese words, differnen shape character, simply character, number of stroke, stroke order and standard character shape which arrange chinese characters. It's been more concrete by <4 course of Elementry school's chime 小學語文敎學大綱> which was published 7 times during the mordern ages in China. Not only the pont of this national education course, but also the point of education's contents, china government setted a program of learning, show a concrete plan learning Chinese character, like a each class which a number of program Now using the elementry school's text book in china from as a result of the existing and research regulation's result. In this paper, used a public education press published elementry school's textbook a subject. In progress research using this testbook we can find how can expression government's language rule and principle apply to textbook. An outcome in this whole research progress, get a two suggestions. One is like a China, Korea government have to make a rule and research progress about Chinese character in Korea. Even if we already have a some rules about chinese character, sometime we have a question about that rules get from scientific result or not, and that rules can stand for or not. Also, In korea up to now have not any rules about differnen shape character, simply character, number of stroke, stroke order and standard character shape, etc. So we alway meet a serious problem using and teaching Chinese character in this age. We need flexible rules about several parts of Chinese character from several and continued scienfic research by goverment. The other is result of this research we get a good direction and field about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 think we can using some part of China's program can apply to korea's education system.

      • KCI등재

        한자어(漢字語) 교육(敎育)의 현황(現況)과 언어교육(言語敎育) 지평(地平)의 확장(擴張) 모색(摸索)

        김창호 ( Chang Ho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이 글은 語彙敎育으로서의 漢字語敎育의 위상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언어 생활과 학문 영역에서 한자어 교육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언어교육 지평의 확장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한자어 교육은 국어교육, 그 가운데에 어휘 교육의 일부이다. 문장이나 담화 가운데 핵심 개념이 한자어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高級敎養, 專門分野로 갈수록 주요 개념이 한자어에 집약되어 있다. 국어 어휘 교육의 면에서 한자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指示的의미가 분명하다. 둘째, 抽象的의미를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다. 한자어는 추상적인 개념을 명확하게 반영하고 이해하게 함으로써 글의 의미가 모호해지거나 부정확하게 되는 것을 막아준다. 셋째, 한자어는 풍부한 言語文化的환경을 함의하고 있으며, 특유의 사회문화적인 성격을 반영하고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넷째, 인간의 고등 사고를 언어로 표현함에 있어서 생산이 용이한 기호 체계이다. 한자어 교육의 현황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글 전용 정책이 지속되면서 한자어의 한글 표기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둘째, 한글 표기 한자어에 대해 각각 다른 방식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어교육 분야에서는 사전적·문맥적으로, 한문교육 분야에서는 의미해석적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셋째, 공교육권의 한자어 교육이 방임상태에 놓이면서, 이것을 사교육권의 결과 중심 교육이 대체하고 있다. 넷째, 한자어 교육에 관한 체계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한자어 교육을 통해 다음과 같은 방면에서 언어교육 지평의 확장을 모색할 수 있다. 먼저 실제적 언어생활에 기여하는 한편 언어 사용의 質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한자어 학습 과정이 곧 형태론적 정보의 축적 과정이라는 점에서, 학습자의 어휘량을 증대하고 스키마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연속성·위계성을 고려한 교육 내용의 설계가 요구된다. 그리고 점차적으로 연구 성과를 축적하며 활용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어휘 교육 상황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오류 사례에 주목해야 하며, 한자어가 기반하고 있는 특유의 언어 문화적 전통, 사회 문화적 함의 및 관련 소양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한자사용권 국가인 韓·中·日세 나라의 한자어에 대한 비교 연구에도 보다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extend the range of language education by discussing the status and role of the Sino-Korean words education in area of language life and academy. The present conditions are as below; Firstly, writing in Korean about Sino-Korean words is usual as the policy of exclusive use of Korean has been maintained. Secondly, the perspectives on Sino-Korean word are different. The approach is dictionary and contextu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other one is semantic analytic approach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irdly, The Sino-Korean words education in school isn`t interfere, so private education substitutes the roles. Lastly, the systemic studies are insufficient about Sino-Korean words education. Sino-Korean education could extend the range of language education in some points.; 1) The nature of Sino-Korean words education that is contribution to real use of language has to be emphasized. 2) The Sino-Korean education can enlarge schema and increase the mount of vocabulary. For this,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designed with considering consistency and sequence. 3) The achievements of studies on Sino-Korean education are needed and the basis for using has to be set. For this, many studies have to focus on error cases in learning, specific linguistic-cultural tradition, and sociocultural literacy. 4) Comparative studies about Sino-Korean words education are necessary in Korea-China-Japan.

      • KCI등재

        企劃主題(기획주제) :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위상 정립과 방안 연구의 필요성한국어교육 제도와 정책에 관한 비판적 검토 -한자,한자어교육과 관련하여-

        김우정 ( Woo Jeong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3 漢字 漢文敎育 Vol.32 No.-

        이 글은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한자·한자어교육의 성패와 직결된 제도와 정책적 사항들을 점검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우선 국어기본법 및 동법 시행령을 살펴본 결과, 국어발전기본계획의 수립, 어문규범의 제정 및 개정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국어심의회의 언어정책분과와 어문규범분과에 한자·한자어교육 전문가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사업 대상과 영역이 명확히 구별되지 않아 교재 및 교육과정 개발, 교원 양성, 한국어 보급지원 등의 사업에서 중복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립국어원과 세종학당재단의 역할과 기능을 분명히 구별하여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한편 한자·한자어 교육을 필수이수과목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이렇게 되면 한자·한자어 교재의 수준도 향상되고 교원들의 한자·한자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능력도 제고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어교원 양성기관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역량 있는 전문가로 하여금 해당 과목을 담당하도록 하여야 한다. 예시과목은 한국어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적 전공능력이 어디에 있는지를 가리킨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크다. 따라서 한자·한자어 관련 과목이 예시과목에 반드시 포함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한국어교사들에 대한 재교육과정에 한자·한자어 관련 과목을 수강하도록 제도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한자·한자어교육을 불요불급하게 여기는 인식을 바꾸기 위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한자·한자어교육을 한국어교육의 일부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학계 차원에서 서로 교류하고 소통하는 기회를 자주 갖는 것이 중요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ystem and political matters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to success or failure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s some right direction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reviewing Korean basic Law and enforcement decree, it is necessary to includ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pecialists for division of language policy and literary norms of the National Language Deliberation Council which deliberates establishment of ‘korean language development master plan’ and the elements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literary norms. Furthermore, as target and scope of the business are not clearly identified, some overlapping issues in businesses such as text books and curriculum development, teacher training and supports for korean language distribution were found. Thus, roles and function of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Sejong-Hakdang Foundation shall be clearly identified, and als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esignated as a compulsory course. Then the level of chinese character text books will be improved and the awareness and capability of the teachers would be raised. Subsequently, supervis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reinforced and only capable specialist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related subjects. Example subjects play important roles as this shows what korean language teacher should possess. Thus, chinese characters related subjects should be included in example subjects. And also, chinese characters related subjects shall be included in the reeducation proces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Efforts to change the attitudes tha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nonessential shall be conducted as well. It is significant to have more chances to have interactions and mutual understandings from the view of the academic world to adopt chinese characters as a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한국(韓國) 한자교육연구(漢字敎育硏究)의 동향(動向)과 과제(課題)

        허철 ( Chul Heo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주지하듯 한자는 한 국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전통의 동아시아 국가 뿐 아니라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신한자문화권에서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문자이다. 한자의 사용과 더불어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한자교육이다. 본고는 우선 한국 한자교육의 성격을 한자문화권의 다른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한자교육과 어떤 차별성을 지니는지를 보편성과 특수성의 원리에서 규명해 보았다. 이후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한자교육이 근대 교육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위상 변화를 하였는지 통시적으로 점검하고, 교과 교육으로서 지니고 있는 한자 교육의 특수성과 보편적인 면을 구체적인 연구 방법과 적용 사례 등을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검토 결과 현재까지의 연구를 소재별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통시적으로 살펴보면서 연구 소재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의 한자교육 연구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그 연구 영역을 확대하였고, 긍정적인 연구 성과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시대적 흐름에 따른 작용과 반작용의 결과로 도출되고 있는 한계에서 벗어나 보다 더 미래지향적이고 충분한 교육적 당위성과 독자적인 연구 영역, 연구 방법의 확충을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 성과를 좀 더 심화하여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연구 성과와 이론화를 꾀해야 할 때이다.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Han Character is not monopoly Character system by one nations or one people, commonly using in Character system which in the oldest East-Asia Countries, also use in the new make Han Character culture circle in the world. Using some character have to need learn Character education. In this view, this paper have a three step find out Research trends and issues about "Han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1. review meaning why we need "Han Character education", 2. look find out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compare with other countries "Han Character education". 3. review through time how and what change in the field of study theme. 4. research trends and issues changes meaning. Research about "Han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time spread and find out new issues, but mostly change trend history is the role of reaction about the time`s issue.

      • KCI등재

        교육용한자 선정을 위한 말뭉치 구축의 필요성

        김대희 ( Dae Hee Kim ),이현진 ( Hyun Jin Lee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5

        이 연구는 언어교육적 관점에서 교육용 기초한자의 선정을 위해 고려할 원리들을 고찰함으로써 말뭉치 중심의 기초한자 선정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용 기초한자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원리를 고려 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째, 어휘의 사용 빈도이다. 이는 교육용 기초 어휘를 선정하는 가장 일반적이 기준이다. 둘째, 모국어 학습자의 어휘 자산과 상관성이다. 교육용 기초한자가 학습자의 어휘 자산과 높은 상관성을 지녀야 하는 이유는 어휘의 의미 해석에 부담이 없고, 학습된 한자의 활용 폭이 크기 때문이다. 셋째, 기초어휘와 교육용 어휘를 구분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현재는 한문교육적 관점으로 기초어휘와 교육용 어휘를 동일 개념으로 간주하고 있지만, 수준과 활용도 면에서 기초어휘와 교육용 어휘를 구분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원리에 입각하여 교육용 기초한자를 선정하는 여러 가지 기준 중 빈도에 의한 방법의 하나로 말뭉치 구축을 통한 기초한자 선정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한자 선정을 위한 말뭉치는 가능한 한 많은 자료를 확보해야 하고, 문어 자료뿐만 아니라 구어 자료도 포함해야 하며,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자료여야 한다. 또한 교육용 기초한자를 위한 말뭉치는 현대의 언어생활을 반영한 자료여야 하고, 글자가 가진 의미의 빈도도 고려해야 한다는 전제이다. 말뭉치 구축을 통한 교육용 기초 한자의 선정은 한자 학습의 정당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말뭉치 구축을 통한 교육용 기초한자의 선정은 학습의 수월성과 효율성을 담보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기에 유의미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cessity of corpus construction by considering some principles to choose ‘The basic Chinese character’ in the perspective of teaching language. This study suggest some principles to choose ‘The basic Chinese character’ as below: 1) Considering the frequency; This is the most general criteria to choose the basic vocabulary for study. 2) Reflecting the correlation with vocabulary asset; The basic Chinese character should to high correlation with vocabulary asset about mother language. Because the correlation brings decreasing the burden of semantic analysis and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studied character. 3) Dividing the basic Chinese character from the Chinese character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e basic Chinese character is regarded as the Chinese character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But the basic Chinese character should to be divided from the Chinese character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for efficiency and utilization.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corpus construction to set the basic Chinese character as a way of the frequency. The corpus for setting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 needs to some premises. The corpus should to secure lots of data as many as possible, involve the oral language data besides the written language data, and accept the learner`s needs. In addition to the corpus has to reflect the present language culture and consider the semantic frequency of a Chinese character.

      • KCI등재

        2009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 ‘漢字’ 領域의 內容 分析과 向後 課題

        김경익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한문교육논집 Vol.39 No.-

        As part of improvement on the previous work,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09 was amended.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specific content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and examine the application and future tasks. New curriculum, just the same with the previous one, establishes ‘grammatical knowledg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Chinese as a language. The intermediat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subdivided into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nd sentence, is also equal to the previous one, provided that it applies principle that learning content should be reduced and revised. Part of history of Chinese character is included in the characteristic of Chinese character, or its learning content is adjusted by the academic year. The keys to revise are to state learning content by standards of achievement, rationalize learning content, and retain the hierarchy of learning. The standards of ‘grammatical knowledge’ embraces the standards of ‘Chinese character’ as it is said to be based on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 The standards of learning content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are subdivided into several items which could be achieve the standard of the domain of grammatical knowledge. The number of the standards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is down two in middle school, from 8 to 6; two at Classical Chinese Ⅰ, from 7 to 5; one at Classical Chinese Ⅱ, from 2 to 1. Reduced content is suggested by adjusting the academic year or integrating with existing one. Retaining the hierarchy of learning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is performed by two criteria, the scale of basic Chinese character used for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and intensification of the same learning content. Attention and a task are as follows. First, effective plan for dealing with learning basic Chinese character used for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prepared. Second, we should seek for solution to connect learning achievement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with that of the other domains. Third, foundation for hierarchy and systematization of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in the respective domains should be reasonably suggested. 2009 교육과정의 총론 개정 작업의 일환으로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글은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대영역 ‘한문지식’의 중영역의 하나인 ‘한자’ 영역의 구체적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학교 현장 적용과정에서의 유의점 및 한자 영역의 향후 과제를 점검한 것이다. 새 교육과정은 이전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한문 교과의 언어적 특질을 고려하여 한문에 대한 문법적 이해 측면을 대영역 ‘한문지식’으로 설정하였다. ‘한문지식’ 영역의 중영역 또한 ‘한자’, ‘어휘’, ‘문장’으로 구분하여 이전 교육과정과 동일하다. 단, 학습내용을 감축․수정하여 제시한다는 원칙에 따라 ‘한자의 역사’는 ‘한자의 특징’에 그 내용이 일부 포함되거나 해당 학습 내용의 수록 학교급을 조정하였다. 새 교육과정 개정 방향의 핵심은 학습 내용의 성취기준 식 진술, 학습내용의 적정화, 학습의 위계성 확보 등이다. ‘한문 지식’의 영역 성취 기준에서는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라는 진술로 ‘한자’ 영역의 성취 목표를 포괄하였다. ‘한자’ 영역의 ‘학습 내용 성취 기준’은 상위 성취 기준인 ‘한문 지식 영역 성취 기준’을 달성할 수 있는 사항으로 구체화 되었다. ‘한자’ 영역의 학습 내용 성취기준의 수는 이전에 비해 중학교 ‘한문’은 ‘8개→6개’, ‘한문Ⅰ’은 ‘7개→5개’, ‘한문Ⅱ’는 ‘2개→1개’로 감축되었다. 감축된 내용은 학교급이 조정되거나 다른 내용과 통합되어 제시되었다. ‘한자’ 영역에서의 ‘학습의 위계성’ 확보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하나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범위이며, 다른 하나는 동일한 학습 내용의 심화이다. ‘한자’ 영역의 실행상의 유의점과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학습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한자’ 영역의 학습 성과를 다른 영역과 연계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영역별 학습 내용 선정, 조직에 있어 위계화와 계열화를 위한 근거가 타당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 KCI등재

        2015 改定 敎育課程 내에서의初等學校 漢字敎育 方案 摸索

        한은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4 No.3

        There is institutional standard tha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an be made through ‘subject’ class 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time in 2017 at a time when 2015 revised curriculum is applied.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no content related to ‘Chinese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except for description above. For the contents suggested in the introduction of curriculum to be taught and learnt, ‘organization and time allocation standard’ must be set together with curriculum per subject. But, there is no content related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organization and time allocation of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a systematic condition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in the defined curriculum of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it is found to be possible to provid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revising the introduction of curriculum or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by using Chinese character used textbook as an organization operation guideline of curriculum and by distribut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to perform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faithful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teacher development course so that teachers in schools may equip ability for teaching Chinese character. People misunderstand tha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may be vitalized if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determined to keep Chinese character in parallel with Korean, but the conditions in and out of school to exercise normal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re very poor. The greatest problems are lack of educational method and lack of teaching conditions due to lack of national level education curriculum. Besides, it is required to prepar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schools and teachers and problems of Chinese character parallel entry method and there are also many more issues to solve. There are much more issues that are not discussed here which include content system and composition of national level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election of basic Chinese characters and basic vocabularies for elementary school,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development of standardized Chinese character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and evaluation issue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As the activation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is an important issue, it is important to develop environment of education and to accumulate research to solve such problems one by one. 이 연구는 2015 改定 敎育課程의 실시를 앞두고 교육과정 내에서 初等學校 漢字敎育을 실시할 수 있는 制度的 與件을 探索한 연구이다. 그 결과 교육과정의 總論이나 國語科 敎育課程을 개정하여 한자교육을 실시하는 방법, 교육과정의 編成 運營 指針으로 漢字 倂記 교과서를 사용하도록 하고 이에 따른 敎授․學習用 資料를 보급하여 한자교육을 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예시 자료를 밝혔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한자교육을 충실히 수행하려면 敎師養成機關인 敎育大學校의 敎育課程에서 豫備敎師들이 ‘漢字敎育’, ‘漢字指導’, ‘敎育漢字’ 등과 같은 필수적 교과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人文素養敎育을 편성할 것을 促求하였다. 2015 改定 敎育課程이 公布된 그대로 실행될 때 초등학교에서 正常的인 한자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여건은 너무 부실하다. 國家水準 敎育課程의 不在에 따른 敎育 方法의 不在 및 敎授與件의 未備, 학교나 교사의 한자교육을 위한 準備, 효과적인 한자 학습을 위한 漢字 倂記 교과서의 개발 등의 문제도 그 해결방안의 마련이 時急한 과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