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의대생의 한의학 신뢰도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한예진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7

        본 연구는 한의대생이 가지고 있는 한의학에 대한 신뢰도를 조사하고, 한의학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총 372명의 설문조사 응답을 바탕으로 한의학에 대한 신뢰도, 집단에 따른 한의학 신뢰도 차이, 한의학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변수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한의대생의 약 60%는 한의학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한의대생의 약 40%는 한의학에 대한 신뢰도가 보통이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학년, 한의대진학결정시기, 타학교경험, 교육목표인지에 따라 한의학 신뢰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교육환경 만족도와 교육 전체 만족도가 한의학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의대생의 한의학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육적 차원에서 밝히고, 한의학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의학교육의 발전을 위해 한의대생의 한의학 신뢰를 제고하는 이론적 및 실천적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medical students‘ trust in Korean medicine and exa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rust in Korean medicine. Based on a total of 372 survey responses, the study examined trust in Korean medicine, differences in trust in Korean medicine between groups, and educational variables that affect trust in Korean medicine.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60% of Korean medical students had high level of trust in Korean medicine, but about 40% of Korean medical students had middle or low level of trust in Korean medicin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ust in Korean medicine according to gender, grade level, decision time to enter the university of Korean medicine, experience with other university, and awareness of educational goals.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overall education were found to be th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Korean medicin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factors that affect Korean medical students’ trust in Korean medicine at the educational perspective and suggested specific strategies to increase the trust in Korean medicine.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ies that raise Korean medical students’ trust in Korean medicine among will be encouraged for developing Korean medical education.

      • KCI등재

        한의학 분야 번역의 현황과 과제

        오준호(Oh, Junho),권오민(Kwon Ohmin) 한국고전번역원 2013 民族文化 Vol.41 No.-

        본 연구는 한문으로 작성된 동아시아 전통의학 문헌들이 한국에서 어떻게 번역되어 왔는지를 거시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토대로 한의학 분야 번역이 지향해야할 향후 과제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한의학은 인간의 질병과 치료를 다루고 있는 실용 학문이다. 따라서 한의학 분야 번역은 특히 지식 인프라로서의 속성이 강하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정밀한 번역이 수행되어야 한다. 모호한 표현일수록 자세한 고증으로 독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해 주어야 하며, 적절히 번역되지 않는 곳은 알 수 없다고 인정하는 용기도 필요하다. 한의학 분야에서 오역은 곧바로 잘못된 시술이나 투약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간 한의학 분야 번역은 한의계 내부의 역량을 주축으로 이루어져 왔다. 60년대 『동의보감』이 초역된 이래로 70년대 중요 원전 의서와 임상의서가 번역되었다. 80년대와 90년대에는 대상 서적의 범위가 확대되고 학생들까지 번역에 참여하면서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2000년대 이후로는 전문역자 계층이 성장하고 한의학 번역의 질적인 반성이 이루어지는 등 중요한 변화를 겪고 있다. 한의학 분야 번역은 한의학 전공자가 같은 한의학 전공자를 독자로 상정하고 이루어졌다는 특징을 가진다. 목적에 있어서도 학교 교육이나 개인의 학습을 위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번역 대상서 역시 인지도 높은 의서를 중심으로 편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번역에서 善本 선정과 원문 교감이 간과되거나 독자층에 대한 고려 없이 기획되는 문제들은 한의학 분야 번역이 해결해야할 문제들이다. 또 번역자원이 한 쪽으로 집중되면서 다양한 번역이 제한되는 폐단도 해소되어야 한다. 앞으로 한의학 분야 번역은 학계 내외로부터 좀 더 높은 학술적인 완성도와 체계적인 효율성을 요구받을 것이다. 정보는 책뿐만 아니라 전자매체로 공개될 것이며, 더 많은 이들이 열람하고 이용하게 될 것이다. 그간 한의학계 내부 역량만으로 많은 한의서들이 번역되어 왔지만, 번역 대상서를 다양화하고 번역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한의학의 전문성은 심화시키면서도 다른 학문 분야와의 공동 번역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모해 나가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한의학 고유의 실용성을 살리기 위해 기획단계부터 번역 이후 활용 분야와의 연계에 대한 체계인 접근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issues of the modern Korean translation of medical classics written in ancient Chinese. Korean Medicine as a scholarly endeavor is a practical science that examines the body, diseases and treatments. Thus, when it comes to the transmission of its knowledge and techniques, essential is the exact translation of ancient medical books and documents into modern vernacular language. This is because incorrect translation can lead to killing or hurting innocent people. Translators should decode, interpret and transform ambiguous, abstruse or illegible words/phrases/sentences into clear meaning as well as translate them precisely into modern language. If there is a currently unsolved issue associated with translation, translators reasonably let them clearly publicized and leave them for future research. Korean Medicine doctors and scholars have mainly engaged in translating the ancient literatur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ajor medical canonical and clinically-oriented books were translated through to the 70s following the initiation of Donguibogam translation in the 60s. In the last two decades of the 20th century the scope of translated literature was enlarged and translating community extended to graduating classes of Korean Medicine colleges. Since the new millennium there are two game-changing shifts in relation to the translation of Korean Medicine’s literature: shaping of a professional translator group and resultant prioritizing of translational quality. Translation of Korean Medicine’s literature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nner members of Korean Medicine community straightforwardly transliterate it for peer members and is aimed at mentor-apprentice transmission or professional education of theoretical/practical medical knowledge and practices. Therefore, range of selected medical books is confined to popular and highly visible ones. Translators affiliated to the Korean Medicine professional community has yet to consider seriously issue of the authenticity of source-language texts and issue of readership. Call for translational integrity will intensify inside and outside of relevant professional groups, and scope of readership will diversify. New forms of communication channels such as web-based media have been employed beyond conventional paper and efforts will be made to discover useful knowledge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scientific R&D and commercialization. Future issues connected to the current status of translation in Korean Medicine are as follows. Joint or team approach where heterogeneous experts participate is needed to improve translation quality. Expansion of source texts of, and thorough planning for translation are indispensable to suit changing medical, cultural and economic environments.

      • KCI등재

        임상한의학입문 역할을 반영한 원전학 수업 설계

        조나영(Jo Na-young),조학준(Jo Hak-jun)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21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4 No.2

        목적: 임상한의학 진료를 위한 준비 부족을 해결하고자 임상한의학입문 과정을 개발하고 그 역할을 반영한 원전학 수업을 설계하였다. 방법: 의학교육에 대한 가이드를 따르고 의과대학에 개설된 임상의학입문 과정을 참고하여 임상한의학입문 과정을 계획, 개발하고, 해당 과정에서 원전학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결과: 임상한의학입문은 임상한의학 실습 과정에서 부족한 교육을 나선형 교육과정의 틀에서 보충, 보강하는 것이며, 기초한의학 교육 완성 단계에서 여러 가지 평가를 통해 역량을 측정한다. 본 과정에는 한의학적 진단(辨證), 진찰(望·聞·問·切 등 四診), 한의학 진단(辨證) 체계가 반영된 환자 면담 기법, 한의학의 특성이 반영된 임상 술기, 기본 술기, 치료 계획, 환자교육 등이 포함된다. 본 과정에 기초한의학 교수들이 두루 책임 교수로 참여하며 주임교수를 선정하여 본 과정을 관리한다. 원전학의 경우, 기존의 학습성과를 임상표현에 따라 재편하고 교안(교재)에 의안(醫案) 또는 증례를 보충하고, 새로운 교육전략과 교수 방법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결론: 원전학 교과가 임상한의학입문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초한의학과 임상한의학의 연계성을 높여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Objectives : A transition course of ‘Introduction to Clinical Korean Medicine’ was developed to meet the demands for better preparation for clinical application of Korean Medicine within the curriculum. A Korean Medical Classics curriculum reflecting such demands was newly designed. Methods : Based on the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ICM)’ course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that follows the medical education guideline, the ‘Introduction to Clinical Korean Medicine(ICKM)’ course was designed and developed. The role of Korean Medical Classics was suggested in the process. Results : In the following course, Korean Medical diagnosis, diagnostics, patient intake methods reflecting the Korean Medical diagnostic system, clinical skills, basic skills, treatment planning, patient education, etc. are included. Faculty members of the basic sectors of the Korean Medical school will participate in this curriculum, of which a head will be appointed to overlook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Korean Medical Classics, previous learning outcomes need to be reorganized based on clinical expression while clinical case studies need to be added to course material. A more active approach utilizing new pedagogic strategies and teaching methods should be taken. Conclusions : The Korean Medical Classics curriculum could effectively take on the introductory role to clinical Korean Medicine, successfully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ic and clinical Korean Medicine to improve learners’ satisfaction.

      • KCI등재

        주요 조선어사전을 중심으로 살펴본 일제강점기 한의학

        윤은경,김종현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23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6 No.3

        Objectives : To examine changes in Korean Medicine during Japanese occupation through major Joseoneo dictionaries. Methods : Based on the Keun Sajeon, published in 1957 by the Korean Language Society, the most recently published among the major dictionaries under Japanese occupation, key Korean Medical terminology in the Joseoneo Sajeon, published in 1920 by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and the Joseoneo Sajeon, published in 1938 by Mun Seyeong were analyzed. The differences among the dictionaries provided insight into the situation which Korean Medicine was in. Results : 1) There was a lack of consistency among Korean Medical terminology. 2) Changes in medical policies and legislation were reflected in the Korean Medical terminology without much delay. 3) Korean Medicine was distinguished as a separate category in the Keun Sajeon for the first time. 4) With the exception of Korean Medicine specific terminology, most were explained using 'modern' concepts and ontology. Conclusions : Modernization lead by the Japanese splintered many areas of Joseon society, and Korean Medicine was no exception. This transition period as reflected in the terminology within the Joseoneo dictionaries show that Korean Medicine went through a process of regulation by changes in medical policies and legislation, while new, modern studies brought in by the Japanese started replacing language and ontology of pre-occupation Joseon. A look into Korean Medicine during Japanese occupation through Joseoneo dictionaries allows us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Korean Medicine and the more broader historical context in which it was situated. Objective: 일제강점기에 일어난 한의학의 변화를 사회 전반의 보편적 지식을 담고 있는 우리말 사전을 통해 살펴본다. Method: 일제강점기에 편찬된 주요 사전 가운데 가장 늦게 간행된 조선어학회의 『큰사전』(1957)을 중심으로 조선총독부의 『朝鮮語辭典』(1920)과 문세영의 『朝鮮語辭典』(1938)에 수록된 주요 한의학 전문어를 분석하고 사전 간의 차이를 토대로 당시 한의학의 상황을 고찰했다. Result: 1) 한의학 관련 표제어 간에 일관성이 부족했다. 2)의료제도의 변화가 한의학 관련 표제어에 바로 반영되었다. 3) 『큰사전』에서 한의학 전문 분야가 처음으로 구분되었다. 4) 한의학 전문어는 한의학에 국한된 개념이 아닌 이상 신학문의 개념과 설명방식을 통해 설명되는 경향을 보였다. Conclusion: 일제 주도의 근대화 작업은 조선 사회의 기성 분야에 균열을 냈으며 한의학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 시기의 과도기적 특성을 조선어사전의 어휘와 풀이를 통해 살펴본 결과 한의학은 의료제도의 변화로 인해 그 실천 범위가 재규정되었고, 한의학의 여러 주요 개념들은 새로 유입된 근대 학문의 언어와 존재론으로 대체되어 가는 과정에 있었음을 확인했다. 우리말 사전을 통한 일제강점기 한의학에 대한 고찰은 한의학이라는 전문분야와 그것이 속한 더 거시적인 차원의 역사적 맥락과의 연결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작업이다.

      • KCI등재

        『주역』에 담긴 한의학의 이치와 맹아 고찰 - 윤창열의 『醫易學』과 이준천⋅소한명의 『醫易會通精義』를 중심으로

        이난숙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1 No.-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the logic of Oriental medicine’ and ‘the sprout of Oriental medicine’ contained in Zhouyi(周易) revealed by a scholar who studies the study of medicine-Yi Jing(醫易學) in Korea and China. The study focused on Korean China medicine scholar Yun Chang-yeol's The study of medicine-Yi Jing as Korean data, and Li Jun-chuan(李浚川) and Xiao Han-ming(蕭漢明)’s The essence of medicine and Yi Xue Correlation(醫易會通精義) (Translation name is The thought of the study of medicine-Yi Jing(醫易學 思想) ) as Chinese data. Both books Both books are literature that studied ‘the study of medicine-Yi Jing’, also ‘the study of medicine-Yi Jing’ and Yi Xue(易學) and Oriental medicine are discussed as fusion and compound theories. Specific considerations include, first, the concept of ‘Medicine and Changes sharing the same origin(醫易同原)’ and ‘Confucian doctor(儒醫) and its meaning in ‘the study of Medicine-Yi Jing’, second, 'the logic of Oriental medicine' and its content argued by Yun Chang-yeol through 39 hexagrams of Zhouyi , third, ‘the sprout of Oriental medicine’ and its content argued by Li Jun-chuan and Xiao Han-ming through 5 hexagrams of Zhouyi』.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Scholar of Oriental medicine, the contents of understanding the book of changes as the study of medicine-Yi Jing were compared and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medicine-Yi Jingare the ‘'the logic of Oriental medicine’, the human body, the physiological phenomena of humans, anatomical knowledge, corpses, deaths, diseases, preventive medicine, curing methods, pregnancy and childbirth, acupunction and moxibustion(灸鍼) through Zhouyi』. In The essence of medicine and Yi Xue Correlation , they argued that the letters ralated to in the formation process of Yijing』 through Exgesis and textual research. Among the five hexagram of Yijing』, namely, hexagram Bo(剝卦) hexagram Yu(豫卦) hexagram Cui(萃卦) hexagram Gun(艮卦) hexagram xian(咸卦) there are included pathogeny, diagnostic treatment, Psychology, curing, the sprout of Needle-stone technique. However, the meanings of 'the logic of Oriental medicine' and 'the spout of Oriental medicin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two books above, also there are also many differences in the number and content of the quoted Yijing hexagram. Because, Yun Chang-yeol examined the principles of Yi Xue included in Oriental medicine and the contents of the body's anatomical knowledge and the harmony of physiology, disease, and mind, On the other hand, Lee Jun-cheon and Xiao Han-ming mainly considered the contents related to pathogeny, diagnostic treatment, psychology, curring, and the sprout of needlestone techniques in ancient Oriental medicine. Overall, both literature have an academic meaning that considered the study of the principles of “Medicine and Changes sharing the same origin(醫易同原)” by studying the logic of Oriental medicine and the sprout of Oriental medicine in 『Zhouyi』. and it is considered a good example of fusion and compound research of philosophy and Oriental medicine. However, from a professional and balanced perspective, it is hoped that the fusion and compound research of Oriental medicine and Yi xue will proceed in the future, and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study of medicine-Yi Jing’ will be more and the discourse will be activated. 이 글은 韓⋅中 한의학자가 저술한 醫易學 문헌에서 『주역』에 담긴 ‘한의학의 이치’와 ‘한의학의 맹아’라고 주장된 내용과 의미를 고찰한 논문이다. 의역학은 역학과 한의학이 융복합된 의학 분야이다. 중심 문헌은 한국 윤창열(尹暢烈)의 『醫易學』과 중국 이준천(李浚川)·소한명(蕭漢明)의 『醫易會通精義』(번역서 『醫易學 思想』)이다. 고찰한 내용은 첫째, 의역학의 사상적 토대인 ‘醫易同原’과 ‘儒醫’의 의미. 둘째, 윤창열이 『주역 39괘에 담겼다고 주장한 ‘한의학의 이치’ 셋째, 이준천·소한명이 『역경 5괘에 담겼다고 주장한 ‘한의학의 맹아’이다. 이로써 한의학의 이치와 맹아와 관련된 『주역 에 관한 두 문헌의 의역학적 인식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의역학은 역학과 의학의 근원이 동일하다는 ‘醫易同原’을 주장했고, 儒醫 개념을 통해 유학과 더욱 밀접하게 확장되었다. 또한 역학의 사상과 이론은 의학이론의 정립에 적극 활용되었다. 윤창열의 『의역학』에서는 한의학의 이치로서 『주역』에 포괄된 천인 사상과 인간의 생리현상, 해부학적 지식 및 시체, 죽음, 질병, 예방의학, 그리고 양생법, 임신, 출산, 鍼灸 등을 고찰하였다. 그 주장을 근거로 필자가 상세한 내용을 고찰해 보았다. 이준천·소한명의 의역회통정의』에서는 훈고와 문헌 고증을 토대로 『역경』 剝卦, 豫卦, 萃卦, 艮卦, 咸卦의 5괘를 의학적으로 해석하고, 여기에 病因, 診斷治療, 心理, 養生, 鍼石術의 맹아가 포함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종합적으로 두 문헌을 통해 살펴본 한의학의 이치와 한의학의 맹아가 담긴 괘의 수와 내용에는 많은 차이점이 있다. 괘는 3괘만이 일치할 뿐이고, 그 내용도 역시 다르다. 이러한 차이점은 윤창열이 『주역』에 포함된 역철학적 원리와 해부학적 지식 및 생리, 질병, 정신의 조화 등 모든 관련 내용을 찾은 반면, 이준천·소한명은 고대 한의학에서의 훈고를 근거로 『역경』을 재해석해 병인, 진단치료, 심리, 양생, 침석술의 맹아를 발굴했기 때문이다. 두 의역학 문헌에서 주장된 『주역』에 포함된 한의학의 이치와 맹아가 많은 차이점이 있지만 모두 ‘醫易同原’이라는 의역학적 관점의 『주역』 연구라는 의의와 공통점이 있다. 그렇더라도 두 문헌에서 주장된 많은 이론적 차이점과 확장된 이해는 수용되기 어려운 점도 있기 때문에 앞으로 한의학과 역학의 전문가로 이루어진 융복합 연구를 활성화하여 보다 보편성을 지닌 의역학 이론 연구로 보완되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국제 학제비교를 통한 한의학의 경쟁력 파악과 과제

        유근춘 ( Gun-chun Ryu ),이한울 ( Han-wool Lee ),오성종 ( Sung-jong Oh ),박철진 ( Cheol-jin Par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保健社會硏究 Vol.25 No.2

        본고의 목적은 우리 나라 한의학과 이에 해당하는 중국과 일본의 한의학 그리고 미국의 대체의학의 분야에서 교육과정 그리고 연구와 보건의료산업의 연계라는 두 가지 측면을 비교하여 우리 나라 한의학의 국제적 경쟁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교육과정 비교는 한의학 관련 의료시장의 개방과 진출을 위한 협상에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즉 개방과 진출협상의 출발점이 기본적으로 교육과정의 동등성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우리 나라의 한의학은 현대서양의학에 버금가는 독립성과 체계성을 가지고 있고, 이는 서양의 국한된 치료에 한정되는 대체의학과는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우리 나라 한의학의 독특한 지위와 상대적으로 우수한 교육과정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예를 들면 본 연구의 교육과정 비교)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외국의 의료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한의학고유의 체계를 계속 발전 시키면서 그 우수성을 객관적 자료를 가지고 입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 나라 한의학 시장의 개방과 관련하여서는 상기한 것처럼 우리 나라 한의학에 버금가는 중의약을 이수한 경우와 국한된 치료에 한정되는 대체의학을 구분하여 협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 나라도 후자의 대체의학 치료자들의 범주를 법률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의 사의 해외진출을 위해서는 먼저 중의약학을 받아들인 나라를 중심으로 비교전략을 통해 하는 것도 좋은 출발점이다. 보건의료산업 시장규모는 현재도 크고 성장가능성도 크므로 한의학의 연구를 통한 보건 산업에의 진출은 상기한 한의사 인력진출과 함께 중요한 문제이다. 서구근대의학이 한계와 부작용을 보이는 분야에서 더욱 유망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대표적인 연구소 비교를 중심으로 한 제한적인 분석의 결과이긴 하지만 우리 나라는 중국, 미국 그리고 일본에 비해 인력과 재정의 규모에서 훨씬 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나라도 한의학 관련 보건의 료산업에 비교우위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집중적인 투자를 하여 그 효과를 보는 방안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과정에서 우리 나라의 우수한 한의사 인력을 잘 활용하고 상대적으로 한정된 재원을 선별적으로 부가가치가 높고 우리 나라의 여건에서 보아 성공확률이 높은 쪽으로 유도하는 전략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paper evaluates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rough comparison of its curricula and research with the corresponding parts of China, Japan and the U.S., and seeks to give advices for Korea. The curricula are important because they are the starting point of the negotiation for opening Korean traditional medicine manpower markets. The curricula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make it comparable to western medicine in that they are independent from those of the western medicine but cover almost all the areas of health. In this point the curricula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ern alternative medicine that have only restricted capacity to handle the health problems. In contrary to the western alternative medicine the Chinese medicine is also as comprehensive as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erefore we must consider this distinction when we think of the opening Korean traditional medicine manpower market or the making inroads into foreign health care manpower markets. Korean traditional medical doctors are encouraged to exploit their comparative advantage in curricula when they penetrate foreign health care manpower markets. If they can present the objective evidence for comparative advantage of better curricula, they will have more chance to enter into foreign health care manpower market with better conditions. Korean traditional doctors can also enter the foreign health care manpower market easier, if there the Chinese traditional doctors are already accepted. That is, they can make use of the fact that the curricula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are as comprehensive and good as those of Chinese medicine and even better. For the western alternative medicine Korea must consider that its curricula are not so comprehensive as the curricula of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erefore there must be a legal category for the western alternative medicine in order that the proper negotiation for the opening health care manpower market is possible. Korea has invested in Korean medicine research and its link with the health care industry not so much as China, Japan and the U.S.. But Korean traditional medicine manpower has good qualit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Korea invest in this area intensively and selectively.

      • KCI등재

        해방 후 한의학의 재건과 한의사제도의 성립

        박윤재 ( Yun Jae Park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1 동방학지 Vol.154 No.-

        국민의료법 논의과정에서 한의학은 논쟁의 중심에 있었다. 보건부가 제헌국회에 제출한 ``의사 및 치과의사법``은 한의사를 배제하였다. 보건부는 한의학이 경험의학이고, 따라서 과학적 의학으로 평가하기 어렵다는 입장이었다. 보건부안이 법률로 채택될 경우 한의학은 사라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한의학을 지지하는 여론에 힘입어 보건부안은 폐기되었고, 대신에 문교사회위원회가 자체적으로 입안한 ``의사 및 의업(醫業)법``이 상정되었다. 한의사들은 이 안이 한의사를 포함하고 있는 점에서는 평가를 하였지만, 자신들을 서양의사와 동등한 의료인으로 인정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불만을 토로하였다. 제2대 국회로 이월된 의료법 논의에서 한의학의 과학성 여부는 다시 토론의 핵심이 되었다. 비판자들에게 한의학은 서양의학의 기초 분야를 포함하지 않은 비과학적 의학이었다. 하지만 반대 의견 역시 강했다. 수천 년을 이어진 한의학의 역사가 거론되었고, 일제의 탄압 대상이었던 만큼 민족 부활의 상징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한의학의 실용성도 지목되었다. 한약은 국가와 국민 경제에 이익이 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한의학에 가장 우호적인 요인은 부족한 의료현실이었다. 서양의사들이 대도시를 중심으로 개업하고 있고, 한의사들이 농촌지역의 주요 의료인력으로 활동하고 있는 현실은 한의학에 우호적인 여론을 낳는 배경이 되었다. 무의촌 해결이 가장 중요한 의료문제로 대두되는 상황에서, 더욱이 국회의원들이 자신의 지역 이해를 대변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한의학 배제는 추진하기 힘든 시도였다. 결국 제2대 국회는 1951년 의사와 치과의사를 제1종, 한의사를 제2종, 보건원, 조산원, 간호원을 제3종 의료업자로 나눈 국민의료법을 통과시켰다.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National Medical Act, at the heart of the debate was Oriental Medicine. "The Medical Doctor and Dentist Law" 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to the National Assembly denied the professional legitimacy of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s. The Department of Health was critical of Oriental Medicine, believing it to be empirical medicine; thus, Oriental Medicine struggled to be seen as scientific medicine. Had the plan of the Department of Health been adopted, Oriental Medicine would have disappeared. However, the plan of the Department of Health failed due to public opinion supporting Oriental Medicine, and instead of the plan, the Educational Affairs and Society subcommittee submitted "the Medical Doctor and the Medical Profession Law," which they had drafted autonomously.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s welcomed the latter plan because it included them, but they also complained that it did not recognize them as health care providers on par with Western medical practitioners. In the debate over the National Medical Act, which progressed on to the second National Assembly, at the heart of the discussion was whether or not Oriental Medicine was scientific. For critics, Oriental Medicine was unscientific medicine that did not include the basics of Western medical science. However, opposing views were also strong. Supporters of Oriental Medicine drew attention to its thousands-year-old history, some suggesting that because Oriental Medicine had been an object of oppression under Japanese rule, it had to be developed as the symbol of national resurrection. The practicality of Oriental Medicine was also mentioned, as herbal medicine could serve to the benefit of the national economy. However, the poor medical service environment was the most favorable factor for the continuation of Oriental Medicine. The reality that Western medical practitioners were practicing medicine in big cities like Seoul, leaving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s to treat people as the main medical human resources in agricultural districts, made public opinion to be in favor of Oriental Medicine. As decreasing the number of doctorless villages was emerging as the most urgent medical issue, and moreover as most congressmen had to represent the interests of the electorate, it was impossible to eliminate Oriental Medicine. Ultimately, the second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National Medical Act in 1951, which presented Western medical practitioners and dentists with a Type 1 license;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s with Type 2; and health nurses, midwives and nurses with Type 3.

      • KCI등재

        한의학산업의 혁신 저해요인

        구남평(Nam-Pyong Ku),설성수(Sung-Soo Seol) 한국기술혁신학회 2015 기술혁신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업종별 혁신체제론의 입장에서 한의학산업을 보지만, 한의학산업의 혁신체제 자체가 아니라 혁신체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인 서양의학과의 갈등을 중심으로 살펴 본 것이다. 한국의 의료시스템은 서양의학과 한의학을 이분법 체계로 구분함에도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의료행위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판례로 두 의학이 구분되는데, 의료시스템에서도 또한 약제시스템에서도 서양의학의 의료행위를 너무 강하게 설정해 한의학의 혁신을 저해하고 있다. 한의학산업에서는 첫째, 현대 의공학의 발전으로부터 도출된 대부분의 의료기기를 사용할 수 없다. 이 의료기기들은 대부분 서양의학의 학문적 뿌리에 기원하고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둘째로, 한의학적인 기반을 가지고 개발된 천연물 신약도 허가를 받는 순간 한의학산업에서는 처방할 수 없다. 셋째로, 한의학 기반 약제가 가진 안전성 문제는 약재 자체의 오염문제가 있고, 처방된 한약의 간 독성 문제가 있다. 전자는 재배과정이나 수입과정에서의 품질 및 안전검사로 해결될 문제이지만 후자는 서양의학쪽의 일방적인 매도라는 것이 한의계의 지적이다. The study examined the Korean medicine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novation system theory of each business, while it concentrated on the conflict betwee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which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innovation system of Korean medicine industry, rather than the innovation system itself. The Korean healthcare system is a dual system of Western and Korean medicine, yet the definitions of Western medical practices and Korean medical practices are ambiguous. Thus the distinction of dual system depends on judicial precedents, and the innovation of Korean medicine has been inhibited due to the excessive emphasis placed on the Western medical practice in both healthcare system and pharmaceutical system. First of all, the usage of most medical devices derived from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al engineering is not permitted in the Korean medicine industry, on the basis that most of the medical devices were originated from the Western medicine field. Secondly, new drugs using natural substances, once approved by the drug administration, cannot be prescribed by the Korean medicine industry although they are developed based on Korean medicine. Thirdly, the major safety issues on herbal medicine are about hazardous materials in medicinal herbs and liver toxicity of prescribed herbal medicine. The problem of hazardous materials can be solved by appropriate quality and safety tests in the cultivation and importation process. Whereas the Korean medicine circles points out that the liver toxicity issue is only a unilateral condemnation by the Western medicine circles.

      • KCI등재

        한의철학의 의의와 연구과제

        정우진 한국의철학회 2012 의철학연구 Vol.14 No.-

        응용철학의 등장은 해당분야의 주류이론체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음을 알려준다. 의철학은 의학의 패러다임 전회(轉回)라고 할 수 있는 주류이론의 위기상황에서 발생했다. 때문에 의철학은 자기극복이라는 방향성을 지닌다. 이에 반해 서양의학의 등장에 의해 나타난 한의철학은 자신의 타자성을 증명해야 한다는 자기 방어적 특성을 지닌다. 타자(서양의학)에 대한 타자성 즉, 정체성을 증명해야 하는 한의철학은 동서비교철학적 관점위에 서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정체성은 관점의존적인 데다가 다양한 한의학이 공존하기 때문에, 한의학의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점을 정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한의학의 다양성과 동일성을 잡아내기 위해 ‘축적(다양성)적 전통(동일성)’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철학자는 다양한 현상 자체가 아니라, 배후에 있는 시대적 이념을 겨냥한다. 그러므로 축적은 특수한 한의학의 현상이 아니라 그 배후의 다양한 이념을, 전통은 모든 한의학을 한의학이라고 부를 수 있게 하는 한의학적 사유방식을 가리킨다.「황제내경」의 황로학, 「신농본초경」의 신선술, 「상한론」의 경험합리성, 수당대 약학의 도교적 이념, 송대이후 유의(儒醫)의 이념, 근현대 한의학의 근대성 등은 한의철학자의 연구과제다. 이런 시대적 이념은 동일한 사유방식의 시대적 발현이거나 변모라고 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시대적 이념과 더불어 한의학의 사유방식인, 세계관과 유별의 원칙 그리고 인식의 방법을 연구과제로 제안했다. 다양성과 동일성의 구도에서 바라본 한의학은, 마치 몇 개의 마디로 이루어진 대나무와 같은데, 한의학을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나무 전체와 마디 그리고 마디를 잇는 연속성을 동시에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한의학 연구동향에 대한 사회연결망분석

        권기석(Ki-Seok Kwon),이준혁(Junhyeok Yi),이주연(Juyeon Lee),채성욱(Sungwook Chae),한동성(Dong Seong Ha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2

        본 논문에서는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한의학 분야 연구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기술통계분석 결과에 의하면, 한의학분야 논문은 증가하다가 2008년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이며 논문 저자수도 이와 같은 추세를 보여 주었다. 동의생리병리학회지가 가장 많은 논문을 생산하고 있고, 핵심어의 경우 acupunture가 월등한 빈도수 차이로 1위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의 형태와 중심성 수치를 통해 네트워크의 중심과 핵심그룹을 파악하였고, 연도별 비교를 통해서 네트워크의 모습과 중심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 수 있었다. 학술지 네트워크의 경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대한한의학회지 등이 핵심적인 그룹을 형성하였고, 그 중 한의학연구원논문집이 최근에 중심적 위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관 네트워크에서는 경희대학교가 가장 중심에 있으며, 최근 한의학연구원의 중심성이 커졌다. 핵심어 네트워크를 통해 한의학 연구가 질환의 기전과 치료로 양분되어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회연결망분석의 결과를 통해 심층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어서 연구동향 분석에서 전문가 식견에 의한 동향분석 방법과 서로 연계되는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medicine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To do this, a dataset has been collected from KCI (Korea Citation Index) database. According to the results, we have identify the longitudinal trend of the number of papers, journals, organizations and key words in this field. Moreover, based on the nodes’ centrality of co-author network, we have found a core journal (i.e.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a hub institution (i.e. Kyunghee university) and two main key words (i.e. anti-oxidation and acupuncture) in the research network. In conclusion, integrating field experts’ tacit knowledge in Korean medicine studies with the results of the explicit social network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we put forward further policy implications with regard to R&D strategies in this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