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실학자들의 新羅史 연구 방법과 그 해석

        채미하(Chai Mi-Ha)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2

        본 논문은 韓百謙, 柳馨遠, 李瀷, 申景濬, 安鼎福, 李肯翊, 韓致奫, 丁若鏞, 韓鎭書, 金正喜 등이 연구한 신라사가 근ㆍ현대 신라사 연구의 토대가 되었음을 살펴본 것이다. 다 아다시피 한백겸 이래 실학자들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疆域의 변화를 염두에 두고 신라의 역사를 서술하였다. 이러한 이해는 기왕의 史書가 시간을 軸으로 역사의 변화를 추적한 것과는 구별되는 것이었다. 실학자들은 국가의 발전과 지리는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삼국사기』 이후의 史書에서 신라를 앞세웠던 역사 서술을 극복하였고, 삼국의 성립을 고구려, 백제, 신라 내지는 고구려, 신라, 백제 順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실학자들은 국내외의 광범위한 자료뿐만 아니라 금석문 자료를 통해 신라사 내용을 보완하였다. 또한 한백겸 이후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史實 考證에 입각한 역사 기술이 강조되었다. 이에 실학자들은 사서 및 史料를 비판하였으며 사실을 고증하였는데, 안정복의 신라사 연구 방법이 대표적이며 김정희의 황초령ㆍ북한산비에 대한 사실 고증도 탁월하였다. 이상과 같은 사실 고증을 바탕으로 한 실학자들의 신라 역사에 대한 해석 중 안정복의 신라 역사에 대한 해석 뿐만 아니라 김정희가 황초령비와 북한산비를 통해 연구한 신라의 불교, 관직과 관등, 6부 및 인명에 대한 해석은 현재까지도 유효한 것이 많다고 하였다. This thesis is studying that the history of Silla studied by Hanbaekgyum, Yuseongwon, Yiik, Shinkyungjun, Ahnjeongbok, Yigeungik, Hanchiyun, Jeongyakyong, Hanjinseo, Kimjeonghee, etc. has formed basi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Silla. As we all know, Silhak scholars since Hanbaekgyum described history of Silla bearing the change of territory in mind according as the change of time. This understanding was differentiated from that the previous history book had traced the change of history centered by time. Silhak scholars had thought progress of nation and geography had close relations each other. Based on this, they overcomed describing history led by Silla since[The history records of three kindoms] and arranged the establishment of three kingdom in Goguryo, Baekjae, Silla order or Goguryo, Silla, Baekjae order. And Silhak scholars supplemented contents of Silla history by epigraph data as well as wide-ranging data both from the nation and out of nation. Also more earnest and systematic history describing based on historical investigation was asserted since Hanbaekgyum. Hereupon, Silhak scholars researched the history criticizing historical book and historical records, and the method of research on Silla history by Ahnjeongbok was representative and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of Hwangchoryeong, Bukhanmountain stone inscription by Kim jeong hee was outstanding. Among interpretations of Silla history by Silhak scholars based on historical investigation as above, the interpretation on buddism, public posts and official ranks, six- bu and person’s name by Hwangchoryeng and Bukhan mountain researched by Kimjeonghee as well as interpretation on Silla history by Ahnjeongbok still have valid contents.

      • KCI등재

        구암(久菴) 한백겸(韓百謙)의 방령(方領) 심의설(深衣說) 연구(硏究) -조선시대 심의설과 대비하여-

        ( Keum Wan Chi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4 漢文古典硏究 Vol.29 No.1

        본고는 조선 중기의 심의설에 대해 살펴보고, 구암의 方領深衣說을 통해 그만의 경전 해석방법과 방령 심의설의 특징 및 영향에 대해 고찰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禮記』 가운데 深衣는 역대 經學家들의 중요 연구 대상이었다. 심의는 삼국시대에 전래되어 상례 및 제례에 착용되었으나 고려 말기에 주자학이 도입된 후부터는 주자의 가례에 의거하여 冠婚喪祭의 四禮服, 사대부의 예복 및儒服으로 사용되었다. 심의에는 直과 方으로 인간의 심성을 바르게 하려는 것에서부터 만물생성변화의 근원인 陰陽의 의미가 담겨져 있다. 임란 이후 예제가 무너진 조선 중기에, 유학자들은 이러한 의미를 지닌 심의에 주목함으로써 심성을 바로잡고 세상을 교화하는 유가 예절을 심화시키려 했던 것이다. 즉 심의는 그 형태를 통해서 표현하고자 했던 철학적 의미 때문에 儒服으로 선호된 것이다. 『예기』, 「深衣」편 및 「玉藻」편에 있는 심의에 대한 내용이 간략해서 그 용어들이 뜻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정현과 공영달 등이 註와疏를 붙였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켰고, 그 결과 후대 학자들 사이에 여러 가지 해석이 생겨나게 되었는데 쟁점을 일으킨 부분은 ‘續임鉤邊’과 ‘임當旁’, ‘曲겁’ 등이었다. 구암은 서경덕의 학문을 계승하여 古禮에 입각한 예설을 주장하였다. 끊임없는 기본 경전 연구를 통해 선현들이 해석한 경전 註疏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육경 본래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구암은 심의제도가 『예기』에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어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 아닌데, 오히려 여러 註疏家들에 의해 왜곡되어 경서 본문의 의미가 흐려졌다고 하였다. 나아가 주자 만년의 설과 『주자가례』에 나와 있는 것이 같지 않다는 점에서 『주자가례』에 의문을 제기하여, 『의례』의 「상복」, 『시경』, 『이아』 등의 경전 원문을 근거로 해박한 고증을 하고, 字意를 중요시 하면서 『예기』 본문에 대한 정밀한 해석을 함으로써 새로운 심의 양식의 ‘방령 심의설’을 만들었다. 이것은 古禮에도 부합하고 착용하기에도 편리한 심의 연구에 대한 물꼬를 틔웠고, 당시는 물론 후대까지 심의설에 대한 관심과 논의를 증폭시켰다. 또한 후기 실학자들의 실용적 복식 개념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여 현실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imeuisul in middle Joseon period, highlighting Kuam`s own way of analyzing scriptures through Bangryung Simeuisul, and to inquire into the affects and special features of Bangryung Simeuisul. Among 『Yegi』, Simeuisul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 to study for many generation of confuscianists. Simeui transmitted from Samguk era, and was worn as a mourning gown or worn in sacrificial rituals, but after orthodox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in the late Koryo dynasty, it was worn as a formal dress for men of noble family according to Zhuxi`s 『Garye』 Simeui contains meanings such as ‘rectifying human nature by straight and even shapes’, and ‘Yin-Yang’, the source of changes in all creations. The contents about Simeui in 『Yegi』, 「Okjo」was so simple that Junghyun and Gongyoungdal added notes to help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words, however the notes made it more confusing. Consequently there were a lot of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Simeui between the scholars in the next generation, and the point of issue was ‘sokimgubyun’ and ‘imbangdang’ ‘gokgub’. Guam said the Simeui system was written clearly in 『Yegi』, that it is not hard to understand, but it was distorted by different annotators that the script lost its original meaning. Furthermore, Guam questioned 『Garye』 as it doesn`t say the same as Zhuxi`s ‘man nylon euisul’, and made a profound investigation based on the original script of 『Euirye』, 『Shigyung』, 『Eiah』, He also valued the meaning of the letters, and analyzed 『Yegi』 precisely to make a new system of simeui, the Bangryung Simeuisul. This started a study of simeui that is not only comfortable to wear but also corresponding to the old manners at the same time, and it amplified an interest and discussion about simeui from that time till future generations. Another meaningful thing is that it brought change to hap.p.en in real life by providing a concept of practical dressing to the post silhak scholars.

      • KCI등재

        조선시대의 가야사 인식 - 조선 후기 실학자들을 중심으로 -

        백승옥(Beack, Seoung-Ok) 효원사학회 2020 역사와 세계 Vol.- No.57

        가야사 연구의 효시는 한백겸(1552~1615)으로 볼 수 있다. 그는 최치원(857~?) 이래 조선 전기까지 변한을 백제 혹은 고구려로 보는 설을 비판하고, 삼한의 위치를 한강 이남으로 비정하였다. 마한은 호남과 호서지방으로, 진한은 경상도 동북 지역으로, 변한은 경상 서남지역에 존재했던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그의 위치 비정은 논리적이면서도 다양한 고증방법에 의한 것이었다. 이후 그의 가야사에 대한 인식은 조선 후기 많은 실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유형원(1622~1673)은 한・중・일 삼국의 역사서들을 섭렵한 바탕 위에서 가야사를 인식했다. 이익(1681~1763)과 안정복(1712~1791)의 가야사 인식은 합리적이면서도 철저한 사실 고증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19세기 초 정약용(1762~1836)과 한치윤(1765~1814)・한진서(1777~?)의 시기에 이르면 가야사가 과학적이면서도 실증적 방법론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그리고 진정한 의미에서 가야사가 한국사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된것도 이 시기부터라고 할 수 있다. 한치윤의 『海東繹史』(1823)에서는 ‘加羅’와 ‘任那’를 ‘世紀’에 두고 있다. 비록 ‘諸小國世紀’ 안에 기재하고 있지만, 이는 자료의 영세성 때문이었다. 기본적으로는 삼국과 동등한 위치로 인식한 결과이다. 다만 일본 측 기록인 『日本書紀』 등을 인용하여 加羅가 日本의 附庸國이었다고 본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사료 비판에 한계가 엿보이는 것이다. Han Baek-gyeom(韓百謙; 1552 ~ 1615) can be seen as the pioneer of the history of Gaya(加耶) study. He criticized the theory since Choi Chi-won(崔致遠; 857~?) until the early Chosun(朝鮮) period, which views Byeonhan(弁韓) as Baekje(百濟) or Goguryeo(高句麗). And he revised the location of Samhan(三韓) to the south area of Han river. Mahan(馬韓) was considered to exist in Honam(湖南) and Hoseo(湖西) regions, Jinhan(辰韓)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Gyeongsang-do(慶尙道), and Byeonhan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Gyeongsang-do. His revision of location was based on logical and various historical research. Since then, his perception of history of Gaya affects many Silhak(實學)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Yu Hyung-Won(柳馨遠; 1622~1673) recognized the history of Gaya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books of the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Lee Ik(李瀷; 1681~1763) and Ahn Jung-bok(安鼎福; 1712~1791)’s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Gaya was based on rational and tho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 In the early 19th century, at the time of Jeong Yak-yong(丁若鏞; 1762~1836), Han Chi-yun(韓致奫; 1765~1814), and Han Jin-seo(韓鎭書; 1777 ~?), It can be said that history of Gaya began to be studied by scientific and empirical methodologies. And it was from this period that the history of Gaya became a part of Korean history. In Han Chi-yoon"s "Haedong-Reksa(海東繹史)", "Gara(加羅)" and "Imna (任那)" are placed in "Segi(世紀)". Although it is written in "Jesokug-Segi (諸小國世紀)", it was due to the smallness of the data. Basically, it is the result of recognizing it as the equivalent of the Three Kingdoms. However, it can be pointed out as a problem by quoting the Japanese record "Nihon-Shougi(日本書紀)" and seeing that Gara was Colony of Japan.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criticism of historical records.

      • KCI등재

        구암 한백겸의 학문 태도와 그 영향

        양승이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6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ttitude towards learning of HAN BAEK-GYEOM. To achieve this, the lineage and learning of HAN BAEK-GYEOM have been analyzed and examined in the general first of all: His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the influence thereof have been studied through his friends; the distinctive aspects of his attitude towards learning have been examined through his works; and in addition, this paper covers the influence of his attitude towards learning on the later generation. First, as the results of examining his friends’ realistic evaluations about HAN BAEK-GYEOM, they had conceded and had a high opinion of his method for learning in an analytical and critical manners through historical research, which shows that he had his own attitude towards learning. Second, this paper has considered his attitude towards learning through his writings showing his characteristic theories concerning Yi-Ki Theory(理氣論), funeral rites reviewing system, etc. This paper finds that his characteristic theories came from his own ways of learning. His own attitude toward learning providing a background for his characteristic theories is not to learn through the commentary on the text of the Confucian classics as the way of the previous Confucians but learn by reading the Confucian classics personally with thinking over deeper meaning of them. Third, it is regarded that his novel attitude toward learning had exercised a far-reaching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documental archaeology and Silhak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particular the system of Well Field (井田制度) and Yi-Ki Theory(理氣說) had been a great influence on the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s appears by the articles written by YOO HYEONG-WON, a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dealing with the method for leaning, the system of Well Field (井田制度), Yi-Ki (理氣)ㆍFour Beginnings (四端)ㆍthe seven passions(七情), etc. In conclusion, HAN BAEK-GYEOM’s characteristic attitude towards learning accessing to study analytically and critically through historical research can be evaluated as gi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actical thought of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of later generation. 본고는 한백겸의 고증학적 학문 태도의 특징이 실학에 미친 영향을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한백겸의 생애와 학문에 대해 개괄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보았다. 한백겸의 학문 태도의 특징과 실학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는 먼저 동시대의 교우들의 학문 경향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그 다음으로 한백겸의 작품을 통해서 고증학적 학문 태도의 특징을 살펴 그 독특한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그의 학문 태도가 후세에 미친 영향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당시 교우들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한백겸의 분석적 비판적 고증학적으로 접근하는 학문 방법은 그 당시 교우들도 모두 높이 평가하고 인정한 것으로써 구암의 독특한 학문과 태도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백겸의 작품을 통해 그 학문 태도의 특징을 고찰하여 보았는데 이기론이나 상례의 심의제도 등에서 그 독특한 특징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독특한 학설이 도출된 배경에는 바로 비판적 고증학적 학문 태도에서 찾을 수 있었다. 여러 선유들과 같이 경서에 대한 주소를 보면서 학문을 연구한 것이 아니라 그는 직접 경서를 탐독하고 玩索하였기 때문에 새로운 학설을 내 놓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와 같이 독특한 학문 방법으로 인해 고증학과 실학사상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정전제도나 이기설은 후대의 실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실학자 유형원의 글을 살펴 볼 때 그 학문 방법이나 정전제도, 이기ㆍ사단칠정 등에서 구암이 끼친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한백겸의 학문 태도는 고증학적 분석적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그만의 독특한 학문 방법으로써 후세의 학문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백겸의 『구암유고(久菴遺稿)』에 나타난 방령심의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영주 한복문화학회 2023 韓服文化 Vol.26 No.3

        The Bangryeong-Simeui (方領深衣) appeared in Joseon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and was most commonly used along with the Jikryeongsimeui (直領深衣)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Han Baekgyeom (韓百謙, 1552-1615), who first modified Zhu Xi(朱熹)'s simeui, recognized that the collar becomes a rhombic shape when wearing the Jikryeongsimui (直領深衣).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empirical restoration production of the Bangryeong-Simeui system. Han Baekgyeom raised questions about Zhu Xi's 『Garye(家禮)』, which was considered an absolute rule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A new simeui in the form of a Daegeumhyeong(對襟形) collared simeui with no overlapping squared collar simeui fastened with two pairs of knot buttons was presented in 『Guamyugo(久菴遺稿)』 through historical research on examples based on the original scripture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Sogimgubyeon(續衽鉤邊)」, 「Gokgeap(曲袷)」, 「Geo(袪)」, 「Jun(純)」, 「Buseung(負繩)」, 「Daedae(大帶)」, and 「Simeuido(深衣圖)」 which are recorded in 『Guamyugo』 were theoretically reviwed. Secon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fabric trimming method, size and a flat sketch of the simeui, and cutting size and cutting method were presented to produce Han Baek-gyeom's Bangryeongsimui shown in 『Guamyugo』. In addition,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was studied in detail. Most previous studies on simeui were focu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Jikryeongsimeui,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aralleled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Bangryeong-simeui in Daegeumhyeong by Han Baekgyeom, the first Bangryeong-simeui, as well as empirical research.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on Simeui were focu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Jikryeong-Simeui,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aralleled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Bangryeong-Simeui in Daegeumhyeong by Han Baekgyeom, the first Bangryeong-Simeui, as well as empirical research.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considering detailed composition methods related to actual production will be helpful for researchers who want to produce Bangryeongsimui and the historical research and restoration research of traditional costumes.

      • KCI등재

        근기학인近畿學人의 퇴계학退溪學 수용과 실학實學 ― 한백겸韓百謙과 유형원柳馨遠을 중심으로

        조성을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1

        First, Han Baek-kyum and Lyu Hyung-won as Practical Learning scholars, both were versed in Neo-Confucian Philosophy. Their philosophies experienced three phases of development (1)Theory of Principle- Matter Oneness based on Only-Matter Theory, (2)Reception ofPrinciple-OrientedToegye'sphilosophy(3)TheoryofPrinciple- Matter Oneness based on Only-Principle Theory. This development is a kind of dialectical process. Secondly, Han Baek-kyum's and Lyu Hyung-won's Practical Learning were philosophically on the foundation of Theory of Principle- Matter Oneness based on Only-Principle Theory. Thirdly, the Practical Truth in Lyu Hyung-won consists in all aspects of Nature and Man. Fourthly, the difference between Neo-Confucianism lies in the fact that the latter receives the limitations by real world much and the former pays much attention to ideal world Fifthly, the birth of Practical Learning is not attributed only to Theory of Principle-Matter Oneness based on Only-Principle Theory. The currents of social reform thoughts since the end Koryo dynasty also contributed to the birth of Practical Learning. Lastly, it was not Philosophy itself but social changes from late 16th until early 17th century that most basically influenced on the birth of Practical Learning.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백겸韓百謙과 유형원柳馨遠은 매우 깊은 성리학적 토대를 갖고 있었으며 두 사람 모두 대체로 ①도기일체론적道器一體論的 기일원론氣一元論- ②리理의 수용(퇴계학의 수용)- ③도기일체론적道器一體論的 리일원론理一元論의 단계를 겪었다(한백겸의 경우 뒤의 두 단계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있음). 둘째 이러한 도기일체론적 리일원론은 리理라는 원칙을 끝까지 견지하면서 이것을 구체적으로 현실 속에 구현할 수 있게 하는 하려는 점에서 실학의 전개를 위한 철학적 토대로 기능할 수 있었다. 퇴계학은 실학의 철학적 토대 형성을 위한 매개적 기능을 하기는 하였으나 그 자체가 실학의 철학적 토대가 된 것은 아니다. 도기일체론적 기일원론(화담적 경향)이라는 테제가 선행하여 있었고 여기에 다시 주리적主理的인 퇴계학이라는 안티테제가 있었고 양자가 지양, 종합되어 최종적으로 도기일체론적 리일원론 철학(정명도적 경향)이 형성되어 이것이 실학의 철학적 토대가 되었다. 셋째 유형원에 대한 퇴계학의 영향을 강조하면서 더불어 “실리實理”를 『반계수록』의 철학적 토대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 자체로서는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실리는 송대 이래 성리학에서 일관되게 강조되는 것이다. 다만 유형원에게서 실리는 자연은 물론 인간의 윤리, 국가제도의 모든 측면까지 확대된, “도기일체론적 실리”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유형원에게서 실리는 모든 현상 속에 강력하게 구현되고 구현되어야 하는 것이다. 넷째 주자학과 한백겸·유형원 실학의 차이는 흔히 생각하듯이 리를 구체적인 현실의 제도로 구현하느냐, 않느냐의 차이는 아니다. 기氣에 의한 현실적 제약을 어느 정도 인정하느냐의 차이에 달려 있다. 주자 역시 조세개혁론 정도의 구체적인 국가제도 개혁을 생각하였으나 정전井田의 이상에 입각한 토지개혁은 현실적으로 시행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이것은 그가 리·기에 주목하면서도 기의 제약성을 강하게 의식하는 리기이원론적理氣二元論的 입장을 가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비하여 한백겸과 유형원은 국가제도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인 토지개혁부터 실현하여야 하다고 생각하였다. 다섯째 도기일체론적 리일원론이 그 자체로서만 실학을 낳은 것은 아니다. 이에 선행하여 여말선초 정도전鄭道傳과 같이 『주례周禮』에 입각한 총체적 국가제도 개혁론의 흐름이 선행하여 있었고 사림파 내에서도 여러 개혁론이 제기되었다. 이런 학문을 흐름이 선행적으로 있었기 때문에 실학이 가능하였다. 여섯째 보다 근본적으로는 16세기 전반 이미 조선초기의 제도가 파탄된 상황에서 임란과 호란에 따른 전국토의 황폐화와 인민의 참상이라는 현실과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욕구가 강하여져서 실학을 탄생하게 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구체적 현실의 여러 모순과 문제가 먼저 있고 이에 대한 강한 개혁 의지가 생겨났으며 이런 가운데 새로운 철학적 모색이 치열하게 진행되어 새로운 철학이 정초되었고 이와 관련하여 정합적‧총체적으로 국가제도 개혁론을 추구한 것이 바로 『반계수록』이다.

      • KCI등재

        箕田 논의에 대한 고찰

        변은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41 No.-

        평양에는 箕子墓, 崇仁殿, 箕子井, 그리고 箕田 등 箕子와 관련한 유적이 많이 있다. 각각의 장소는 저마다 가진 장소로서의 특성 외에도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받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기자묘와 숭인전은 세종 때 倪謙 등의 명나라 사신이 참배하고 詩賦를 짓는 곳으로 사용한 이후로 조선과 명나라 간의 책봉 관계를 드러내 보이는 장소로서 기능하였다. 箕田이 장소성을 부여받는 과정은 하나의 장소를 새롭게 인식하는 것이 그 시대의 중심 화두와 어떻게 밀접한 관련을 맺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구암 한백겸이 기전이라는 장소에 처음으로 특정한 장소성을 부여한 이후로 기전 논의가 여러 학자에 의해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기전의 구획 주체를 기자로 인식하는지에 대한 문제부터 기전이 『맹자』의 井田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기전의 구획 형태가 현실의 井田制에 적용될 수 있는지의 문제까지 광범위한 담론이 생성되었다. 본고에서는 하나의 장소가 특정한 상징성을 지닌 장소로 인식되고 부각되는 과정, 그리고 그 장소성에 대한 여러 異論의 대립, 그 異論의 전개 과정에서 보이는 각 학자의 논지 전개 방식에 주목하여 箕田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In Pyongyang, there are many places related to Kija, such as Tomb of Kija, Temple of Kija, Well of Kija, and Well Fields of Kija. Each of these places not only served the function assigned as a location but also acquired its own placeness. For example, Tomb of Kija and Temple of Kija, notably used by Ming envoys during the Sejong period for worship and writing poem and rhapsody, functioned as places revealing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osŏn and Ming dynasty. The process by which Well Fields of Kija gained its own placeness clearly illustrates how recognizing a location anew can be closely related to the central issues of that era. Since Han Baek-kyum(韓百謙) first attributed specific placeness to Well Fields of Kija, discussions about Well Fields of Kija have evolved diversely among various scholars. These discussions range from issues like whether the designer of Well Fields of Kija is Kija or not to how Well Fields of Kija is connected to the Well Fields in the Mencius (孟子), and even to the broader discourse on whether the form of Well Fields of Kija could be extended to the well-field system in real life.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a location is recognized and highlighted as having specific symbolism, the various opinions regarding that symbolism, and the argumentative approaches of scholars in the development of those opinions.

      • KCI등재

        조선후기 남북국론(南北國論) 형성의 논리적 과정 검토

        허태용 ( Tae Yong Huh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0 동방학지 Vol.152 No.-

        This article is written to examine the logical origin and lineage of Nambukgukron by Yu Deuk-Gong (柳得恭, 1748~1807). Balhae, which had been ruled out from category of Dongguk history (東國史) after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was renoticed by some ruling-class figures because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made the ruling class figures realize the necessity of strenuous military efforts. For example, Han, Baek-Gyeom (韓百謙, 1552~1615) thought that the basic cause of the frequent invasions by foreign countries come from the loss of Goguryeo`s northern Manchuria territory in the 7th century; he wrote that Goguryeo`s northern Manchuria territory was succeeded to Balhae. This means that there was intimate connection between Goguryeo and Balhae in terms of territory, in contrast to the notion of the ruling class figures in the first half of Joseon period, who thought that Goguryeo`s northern territory did not include Manchuria. Furthermore, Han Baekgyeom organized Dongguk history into two courses, the first was a northern course which unfolded in the old Joseon (古朝鮮) territory, and the second was a southern course which unfolded in the Samhan (三韓) territory. Academic descendants who accepted Han Baek-Gyeom`s notion of Dongguk history sought to bifurcate the two streams, one focused on the southern course, and the other focused on the northern course. Yi Ik (李瀷, 1681~1763) and An Jeong-Bok (安鼎福, 1712~1791) stressed the southern course, as they thought the blood descendants of Gija (箕子), the historical symbol of Sino-centrism, were linked with the southern kingdoms of Mahan (馬韓) and Unified Silla (統一新羅). In this sense, they did not include Balhae in Dongguk history. On the other hand, Yi Jong-Hwi (李種徽, 1731~1797) stressed the northern course, as he thought the territory descendants of Gija were Balhae as well as Goguryeo. In this thinking, he not only esteemed Balhae in terms of Confucian virtue but also regarded Balhae as a lesser version of Zhonghua (中華) whereas he rated Silla poorly. Yu Deukgong`s Nambukgukron could be designed by converging these two types of historical notions. He inherited the historical notion of stressing the northern course from Yi Jong-Hwi and admitted the traditional historical notion of stressing the southern cours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근기학인近畿學人의 퇴계학退溪學 수용과 실학實學

        조성을(趙誠乙)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1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백겸韓百謙과 유형원柳馨遠은 매우 깊은 성리학적 토대를 갖고 있었으며 두 사람 모두 대체로 ①도기일체론적道器一體論的 기일원론氣一元論- ②리理의 수용(퇴계학의 수용)- ③도기일체론적道器一體論的 리일원론理一元論의 단계를 겪었다(한백겸의 경우 뒤의 두 단계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있음). 둘째 이러한 도기일체론적 리일원론은 리理라는 원칙을 끝까지 견지하면서 이것을 구체적으로 현실 속에 구현할 수 있게 하는 하려는 점에서 실학의 전개를 위한 철학적 토대로 기능할 수 있었다. 퇴계학은 실학의 철학적 토대 형성을 위한 매개적 기능을 하기는 하였으나 그 자체가 실학의 철학적 토대가 된 것은 아니다. 도기일체론적 기일원론(화담적 경향)이라는 테제가 선행하여 있었고 여기에 다시 주리적主理的인 퇴계학이라는 안티테제가 있었고 양자가 지양, 종합되어 최종적으로 도기일체론적 리일원론 철학(정명도적 경향)이 형성되어 이것이 실학의 철학적 토대가 되었다. 셋째 유형원에 대한 퇴계학의 영향을 강조하면서 더불어 “실리實理”를 반계수록의 철학적 토대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 자체로서는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실리는 송대 이래 성리학에서 일관되게 강조되는 것이다. 다만 유형원에게서 실리는 자연은 물론 인간의 윤리, 국가제도의 모든 측면까지 확대된, “도기일체론적 실리”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유형원에게서 실리는 모든 현상 속에 강력하게 구현되고 구현되어야 하는 것이다. 넷째 주자학과 한백겸·유형원 실학의 차이는 흔히 생각하듯이 리를 구체적인 현실의 제도로 구현하느냐, 않느냐의 차이는 아니다. 기氣에 의한 현실적 제약을 어느 정도 인정하느냐의 차이에 달려 있다. 주자 역시 조세개혁론 정도의 구체적인 국가제도 개혁을 생각하였으나 정전井田의 이상에 입각한 토지개혁은 현실적으로 시행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이것은 그가 리·기에 주목하면서도 기의 제약성을 강하게 의식하는 리기이원론적理氣二元論的 입장을 가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비하여 한백겸과 유형원은 국가제도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인 토지개혁부터 실현하여야 하다고 생각하였다. 다섯째 도기일체론적 리일원론이 그 자체로서만 실학을 낳은 것은 아니다. 이에 선행하여 여말선초 정도전鄭道傳과 같이 『주례周禮』에 입각한 총체적 국가제도 개혁론의 흐름이 선행하여 있었고 사림파 내에서도 여러 개혁론이 제기되었다. 이런 학문을 흐름이 선행적으로 있었기 때문에 실학이 가능하였다. 여섯째 보다 근본적으로는 16세기 전반 이미 조선초기의 제도가 파탄된 상황에서 임란과 호란에 따른 전국토의 황폐화와 인민의 참상이라는 현실과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욕구가 강하여져서 실학을 탄생하게 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구체적 현실의 여러 모순과 문제가 먼저 있고 이에 대한 강한 개혁 의지가 생겨났으며 이런 가운데 새로운 철학적 모색이 치열하게 진행되어 새로운 철학이 정초되었고 이와 관련하여 정합적?총체적으로 국가제도 개혁론을 추구한 것이 바로 『반계수록』이다. First, Han Baek-kyum and Lyu Hyung-won as Practical Learning scholars, both were versed in Neo-Confucian Philosophy. Their philosophies experienced three phases of development (1) Theory of Principle-Matter Oneness based on Only-Matter Theory, (2) Reception of Principle-Oriented Toegye"s philosophy (3) Theory of Principle-Matter Oneness based on Only-Principle Theory. This development is a kind of dialectical process. Secondly, Han Baek-kyum"s and Lyu Hyung-won"s Practical Learning were philosophically on the foundation of Theory of Principle-Matter Oneness based on Only-Principle Theory. Thirdly, the Practical Truth in Lyu Hyung-won consists in all aspects of Nature and Man. Fourthly, the difference between Neo-Confucianism lies in the fact that the latter receives the limitations by real world much and the former pays much attention to ideal world Fifthly, the birth of Practical Learning is not attributed only to Theory of Principle-Matter Oneness based on Only-Principle Theory. The currents of social reform thoughts since the end Koryo dynasty also contributed to the birth of Practical Learning. Lastly, it was not Philosophy itself but social changes from late 16th until early 17th century that most basically influenced on the birth of Practical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