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等學校漢文敎科書의內容및水準問題 考察

        元容錫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3 No.-

        한문 교육이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많은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특히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연계하는 교육이 정상화되고 위계성을 갖추고자 한다면 중학교 교과서는 중학교 교과서답고, 고등학교는 고등학교 교과서다워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가 고등학교에서 교수-학습되고 평가되기에 고등학교 교과서다운가를 검토하였다. 고등학교 ‘한문’교과서는 학교 교육에서 한문교육의 주된 교재로서의 표준 저작물이며 교수-학습 과정의 중심역할을 하는 도서이다. 이 때 한문 교과서는 고등학교 ‘한문’에 관련된 표준적이고 보편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야할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 급별 교과서에 대한 표준화의 문제는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는 10종이 발간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중학교에서 제대로 한문을 이수하지 않는 학습자를 위하여 기초단원을 설정한 교과서는 6종이었다. ‘한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학습자들의 공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단원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지며 또한 중학교용 900자도 가능한 한 많이 활용할 수 있는 교과서가 되도록 배려하는 것이 보다 나은 교과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언어생활에 활용되는 생활 한자어들이 본문에서 활용된 것을 조사한 결과 6차에 비하여 7차의 교과서들은 현저하게 그 양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정상적인 한문 교육을 위한 방향이며 대세라고 여겨진다. 한문 교과서에서 가장 재미가 없고, 내용의 연관성도 적으며 단순한 암기를 할 수 밖에 없는 내용이 바로 생활 한자어이기 때문이다. 현재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서 쓰이고 있는 ‘성어 및 속담?격언?명언?명구’ 중에서 고등학교용 900자를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은 내용을 추출하여 중학교 교과서에서 쓰이고 있는 실태를 조사한 결과 상당히 많은 숫자가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문 교과서에 실려 있는 내용이 전혀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 임의적으로 누적 중복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가 쉽더라도 내용이 어려운 것은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서 활용하는 것이 마땅하겠지만, 그렇지 않는 내용들은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사용이 자제되어 자체 내용을 충실하게 확보함은 물론, 중학교 교과서와의 연계성과 위계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Several problems should be solved for the education of Chinese writing to be placed upon the right track. Especially the textbooks of Chinese writing at middle and high schools should be worthy of the names for the education to be normalized and be ranked which links middle schools to high schools. So on this study I researched how well the existing textbooks at high schools had been organized for Chinese writing to be taught, learned and evaluated. 'Chinese writing' textbooks of high schools are the standardized literary works as main texts of Chinese writing education and they are also the hook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urriculum of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education. The textbooks of Chinese writing should include the standardized and universal contents related to Chinese writing of high school.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there should be standardization on textbooks at each school level. Ten kinds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of high schools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ong them six kinds of textbooks established basic units for the students who have not completed Chinese writing properly at the middle school level.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we should establish some basic units to ensure basic understanding of 'Chinese writing' and commonness of learners. 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in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basic 900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s have to be used as many as possible for the better textbooks. According to the survey which examined how often the Chinese characters for common use in daily life are used in the texts, compared with the 6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 could see the frequency in use of Chinese characters has been decreased. This is in the right direction and it is the general tendency. In fact the least exciting part in the Chinese writing among the learners is the very Chinese characters for common use in daily life because they are the least exciting, the contents are not connected each other and most of all they have to be memorized by rot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into the actual condition that how much they are used in middle school textbooks after extracting the contents which do not include 900 Chinese characters for high schools among the idioms, proverbs, old sayings, maxims, and wise sayings, a larg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are still being used in textbooks from grade 1 to grade 3 in middle schools. It shows that the contents of textbooks in Chinese writing are not standardized at all and they are arbitrarily repeated. Therefore if Chinese characters are easy but the contents in the texts are difficult they ought to be used and taught in high school curriculum. Otherwise they should not be used in high schools. Furthermore we should establish the connection and hierarchy betwee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 KCI등재후보

        한일합병 전후 교과서 검정을 통한 한문과 교과서 개발 억제 실태 연구

        남궁원 ( Won Namgu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漢字 漢文敎育 Vol.17 No.-

        본고는 한일합병 전후 시기의 한문과 교과서들에 대한 탄압의 배경과 상황 그리고 탄압의 결과가 한문과 발전 역사에 끼친 부정적 영향에 대하여 고구할 목적하에 집필되었다. 처음부터 일본인들은 기본적으로 한국 학교에서의 한문과 교육을 실시하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당시 한국 내 정황상 한문과 교육이 불가피하였으므로 한문과를 독립 · 존속시키고 학부에서 한문독본용 교과서를 제작하여 보급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잠시 후 漢文科를 국어과와 통합하여 國語及漢文科로 변경시키고 활발하게 개발되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던 한문과 교과서를 대대적으로 탄압하였다. 敎科用圖書檢定規程을 발표한 시점을 전후하여 민간과 단체들이 제작하였거나 혹은 중국 등 외부로부터 수입한 교과서들의 내용을 면밀히 조사하여 교과서들의 내용이 정치적으로 일본 측에 비판적이거나 적대적인 것은 모두 사용을 금지시켰다. 한문과 교과서는 수신과, 국어과, 역사과 교과서들과 함께 집중적인 탄압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에 따라 새롭게 개발하여 사용하던 한문과 교과서는 예외 없이 사용이 금지되었다. 모든 교과서의 검정 진행 결과를 기록하고 있는 『敎科用圖書一覽』에 의하면 한일합병 직전에는 그나마 6-7종의 교과서들은 사용이 허가되었는데 이들은 전통적인 명문장들을 모은 것이거나[고문약선, 문장지남, 한문학교과서 등] 아니면 문법 교육용 교과서[초등작문법]와 기독교계 학교에서 사용하던 수입 교재[초학계제, 회도몽학과본]들에 국한된 것이었다. 통감부와 조선총독부는 이처럼 새롭게 개발된 교과서들을 철저히 탄압하는 대신 논어 맹자 등 四書類를 비롯한 전통 교재들은 모두 검정을 통과시키고 있다. 이는 한문과의 교육 내용을 다시 유교의 경전들로 회귀시킴으로써 정치적으로 지방 유림의 반발을 무마하고 한문 학습을 이용한 신지식 획득이나 정치의식 고양을 막고자 하는 일본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결국 1906년 이후 한문과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과 시대에 기여할 수 있는 교과로서의 의미를 지닌 교과로 발전해가던 한문과의 노력은 좌절되었고 한문과 교과서들이 다시 중세의 교재들로 회귀하는 형국이 되고 만 것이다. 이러한 굴절의 역사는 한문과의 정체성을 복고적인 것으로 고정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o survey banned situation of development in Chinese textbook from Japan during Korea-Japan annexation. Before Korea-Japan annexation, Japanese authorities was reluctant to permit Korea`s Chinese education to students due to social context and public opinion. Since then, they changed Chinese department into Korean including Chinese. Also Chinese department minimized and was restricted to Chinese textbook. They presented a provision of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to Korean. Systematically, they forbade Chinese textbook to provide for students. Particularly they banned textbook from China and made in publics and organization. They insisted they ban Chinese textbooks because of political threatening ideas 『Gyogwayongdoseoilram』in Joseon government-general shows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in these days. This book covered the process of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during Korea-Japan annexation. At first, they allowed textbook in private organization to use partially. After all they banned all Chinese textbooks. Instead they permitted Confucian scriptures like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Works of Mencius」 to use. This caused local Confucianists to put down against Korea-Japan annexation. After making Chinese department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1906, survey of direction in Chinese department were frustrated. Outgrowing needs in identity of Chinese department were banned. Contents in Chinese department were restored medieval scriptures. This caused publics to recognize Chinese department as a reactionary subject.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方法)의 체계화(體系化)의 방안(方案)

        김재영 ( Jae Young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樣相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체계화를 위한 基準을 설정하여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類型化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에 제시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검토했으며, 한문교육 관련 학회에 보고된 연구 논문도 검토하여, 그 동안의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 현장의 한문과 교수-학습의 모습도 살펴봄으로써 기존 한문 관련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 성과를 통합하여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체계화의 기준은 ``교육 과정 영역``, ``교수-학습 형태`` 그리고 ``한문 텍스트``의 3가지 기준을 설정하여 기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들을 유형화 하였다. 그러나 체계화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이 때론 다른 방법과 엄격히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한 영역에만 적용되는 고유한 틀로 보기 어려운 것들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교수-학습 방법을 교실 현장에 실제 적용하고, 그 적용 과정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결되리라 본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그것이 교수-학습 이론으로 재투입되는 還流의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만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體系化가 더욱 탄탄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set the standards for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Classical Chinese`` for systemization and typology the methods. For this, Teaching-Learning methods provided in national-wide curriculums and articles reported to Classical Chinese related academic association were reviewed in order to understands the history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specific subject education. We also try to systemize the study results related to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by reviewing the Teaching-Learning cases of the subject in the fiel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were categorized for the systemization according to the three criteria of ``Curriculum Domain``, ``Teaching-Learning Types`` and ``Classical Chinese Text``. However, the systemized teaching-learning methods may not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methods in the rigorous point of view. Additionally, there may be some methods that cannot be considered as unique frames.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to some extent by apply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o the actual field such as classroom, observing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 process.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study results should be accumulated, and fed back to teaching-learning theory. In other words, the cycle should be continuous. Only through this circulation cycle, the systemiz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can be made.

      • KCI등재

        敎育課程의 變化와 漢文敎育의 正體性 摸索의 方案

        송병렬(Song Pyung Nyul)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7 No.-

        本稿는 근대 이후 한국에서의 한문의 위상 변화와 그에 따른 自己 正體性을 어떻게 추구해왔는지를 밝혔다. 또한 敎育課程 編制 變化에 따른 한문과의 위기는 새로운 正體性과 漢文文化의 新談論이 요구되고 있음을 밝혔다. 中世 東아시아에서 한문은 동아시아의 다양한 思想을 담아내는 그릇이었다. 동아시아의 근대는 동아시아의 漢文文化로 형성된 여러 價値와 思想을 밀어내는 것으로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20세기 초에 漢文廢止論으로 漢文文化를 排除하고자 했다. 이에 한문문화는 國漢文體로 대응했다. 또한 1945년 이후 語文政策에서 한글 專用論으로 漢文文化를 排除하고자 했다. 이에 國文學界는 漢文學을 '國文學 속의 漢文學'으로 定義하였다. 이는 한문을 傳統文化 繼承과 東아시아 國家 交流의 주요한 敎科로 槪念 定義하는데 중요한 影響을 미쳤다. 이에 3, 4, 5차 敎育課程에서 漢文은 中學校, 高等學校 모두 必修 敎科가 되었다. 그러나 6차 敎育課程에서 中學校는 選擇 科目, 高等學校는 課程別 必修 科目으로 되었다. 7차, 2007년, 2009년 敎育課程에서는 중학교는 裁量活動 科目, 高等學校는 選擇科目으로 되면서 계속 編制 單位 時數가 줄었다. 大學入試에서도 豫備考査ㆍ本考査, 學力考査를 치르던 시절에는 國語 敎科에 漢文 領域으로 3~10問題 出題되다가, 1990년대 초 6차 敎育課程期中 大學 修學能力試驗 3년 정도 言語 領域에 出題되다가, 이후 漢文 問項이 除外되었다. 2002년 大學修學能力試驗에 제2外國語/漢文으로 出題되면서 僅僅히 命脈을 維持해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현재 漢文 敎科의 位相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 近代 이후 漢文文化는 한국 사회에서 사회문화적으로 位相 變化를 강요받았다. 그때마다 새로운 談論과 變身으로 漢文文化의 基盤을 유지해왔다. 21세기의 東아시아는 새로운 秩序가 形成되고 있다. 東아시아의 言語와 文字의 普遍性이 다시 漢字 語彙의 側面에서 提起되고 있다. 이는 漢文文化圈의 再形成 되었음을 意味하는 것이다. 따라서 韓國 社會가 漢文文化를 바라보는 視角의 矯正이 필요하다. 이에 漢文文化에 대한 새로운 談論을 要求한다. '漢文文化 新談論'이 大衆化되면 동아시아에서 漢字와 漢字 語彙를 가지고 문화적 보편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될 것이며, 그에 따라 한자ㆍ한문 교육의 방향도 희망적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nunciated the change of the Chinese character's statue since the Modern age, and how has sought self-identity following this. Also, it says the crisis of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following the change of curriculum formation requires the new identity and discussion for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East Asia of the middle age, Chinese character was a container that holds various East Asian ideas. The Modern age of East Asia started pushing the ideas and values that formed with East Asian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Korea, Chinese character culture was intended to push as 'Chinese character abolition' in the early 20's. In response to this, Chinese character culture coped with it as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And also, since 1945, in the language policy, there was a attempt to push Chinese Classics as a theory of exclusive usage of Hangul. For this, the academia of Korean literature accepted Chinese Classics as Korean literature and defined Chinese Classics into the category of 'Chinese Classics included in Korean literature'. Thi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oncept definition of Chinese character as a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a major subject for the exchange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Accordingly, Chinese character had become the required subject in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rom the 3rd curriculum to 5th curriculum. However, in the 6th curriculum, it became an optional subject in the middle school and a required subject following each course in the high school. In the 7th curriculum, in 2007 and 2009, the formation unit hours of Chinse Character consecutively decreased, becoming a discretionary activity in the middle school and an optional subject in the high school. Even, i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while there were preliminary exam, main exam and achievement exam, Chinese character was set from 3 to 10 questions in the Korean subject. And then, in the early 1990's, on the 6 th curriculum term, it was set in the Korean subject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or 3 years, and it was excluded in the Korean subject. After that, Chinse character barely keeps itself in existence, being set as Chinese character subject of the second foreign language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2002. This situation is undermining the statue of the present Chinese character subject. Since the Modern age, Chinese character culture has forced socioculturally the change of the statue in the society of Korea. On all such occasions, it keeps the foundation of Chinse character culture as a new discourse and change. In East Asia in the 21 st century, the new order is being formed. The universality of language and character in East Asia is being brought up in terms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It means the reconstitution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sphere. Therefore, Korean society should have the new vision to see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also, the new discours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is required. If the 'new discours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become popular, the importance of cultural universality with the Chinese character and its vocabulary will be recognized in East Asia. Following this, the direction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ill be changed hopefully.

      • KCI등재

        中・高 漢文敎科書 ‘漢字’ 領域 分析 및 構成 方向 摸索

        김경익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5 No.-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and roles of textbook, we need to analyze the aspect of realization of the field and explore the direction we should go.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alization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he textbook from a correlational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way to design that of ‘Chinese characters’ that will be effective in actual classroom.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several subjects for inquiry are selected. First, to analyze and review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Second, to review styl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ird, to find the way to desig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view that learners are main agents of learning. In th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I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curriculum in textbook. The transforma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reduction, expansion, supplement and deletion of the content. In the organization styl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the way how to design units was examined. In this study, I suggested several plans to desig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extbook with consideration for actual classroom and learners. A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 proposed some problems awaiting solution as regards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漢字’에 대한 지식은 한문 능력의 핵심 資質이다. 한자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부족하면 漢文 讀解나 語彙 학습의 수행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자가 지닌 본질적 가치와 더불어 학습자가 인식하는 한문 학습에서 한자 학습의 비중 또한 가볍지 않다. 학습자가 ‘한자’에 대해 지니고 있는 막연한 두려움과 학습 부담을 덜어내지 않으면, 성공적인 한문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준수하여 집필된다. 하지만 각 교과서마다 전개 방식은 다르다. 개별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실행의 大綱을 짐작할 수 있다. 교과서 구성 방식이 교수・학습 실행에 끼치는 영향은 至大하다. 한문 학습에서 차지하는 ‘한자’ 영역의 중요성과 교과서의 기능 및 역할을 고려할 때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현 양상을 분석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문과 교육과정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현을 상관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문과 교실 수업에 유효한 ‘한자’ 영역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몇 가지 연구문제를 생성하였다. 첫째, 중・고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의 상관성을 분석, 검토한다. 둘째,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한문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을 검토한다. 셋째, 한문 학습자가 한문 학습의 주체라는 관점을 토대로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성 방안을 모색한다.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의 상관성은 주로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변형되어 구현된 경우를 살펴보았다. 변형은 교육과정의 내용의 축소와 확장, 추가와 삭제로 구분하였다. 중・고 한문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은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단원 구성이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의 경우가 달랐다. 고등학교에 비해 중학교 교과서가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세분화, 구체화하여 수록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교실 수업’과 ‘학습자’를 고려한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성 방안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해당 교과서의 본문에 쓰인 한자의 뜻을 중심으로 편집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목록을 별책 형태로 제시하여, 학습 자전의 대체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습한자 구성 방식과 제시 방식에 대한 검토가 요청된다. 셋째, 한자 쓰기 활동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한자’ 영역과 관련하여 향후 과제를 생성하였다. 첫째, 한문 학습을 위한 한자 수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중・고 학습자의 한자 지식 실태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한자 습득에 대한 기초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 KCI등재

        투고논문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字形) 연구 -『강희자전(康熙字典)』 자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영옥 ( Young Og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본고는 2000년 12월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표한 <漢文 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의 字形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밝히고 나아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이렇게 조정하였습니다』(교육인적자원부, 2000)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康熙字典』에 근거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 확정의 일차적 기준은 『강희자전』의 자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강희자전』이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에 미친 영향, 그리고 『강희자전』과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에 대한 비교 검토 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강희자전』의 자형에 대해 비교 검토함으로써 그것이 어떠한 양상으로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본론에서 진행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강희자전』 자형과의 비교·검토 결과,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강희자전』 正字의 자형과 동일한 경우도 있었으나 또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강희자전』 正字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강희자전』 正字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는, 새로운 整字의 사용, 部件의 차이(부건의 위치 변화, 簡略化, 繁化, 類化), 필획상의 차이 등 세 가지 경우와 컴퓨터 글꼴에 의한 차이로 나누어 그 양상을 파악하였다. 특히 부건이 간단하거나 복잡한 부건으로 대체된 경우에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강희자전』의 이체자를 따른 경우가 많았고, 『강희자전』의 정자 중 일부 부건을 형태가 유사한 다른 부건으로 類化한 경우와 필획상 차이가 보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건에 대하여 여러 형태의 자형으로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는 한자와 한문의 교수·학습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가지는 문제점은 교수자나 학습자 모두에게 혼란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자 표준 자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어야할 것이며, 또한 한자 자형 표준화를 위한 전면적인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through examination of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urrent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n Dec. 2000, aims to disclose problems included in shapes of such Chinese characters and furthermore to seek methods for solving those problems. To do that, this paper looked into problems contained in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of 『Kangxizidian』 which is deemed to be the primary basis in deciding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rough the above-mentioned study, it would be possible to confirm features and problems of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to raise recognition of standardization of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one of methods for solving such problems.

      • KCI등재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의 性格, 目標, 內容의 問題點

        안재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4 No.-

        This is a thesis that roughly points out the problems that the 7th revised Chinese Education Course has into 'Character', 'Purpose', and Contents'. 1. The 'Character' of Chinese Education Course needs to develop and suggest a character which only Chinese Class has. 2. The 'Purpose' of Chinese Education Course needs to re-suggest about tightening up the usage of vocabulary of Chinese for communication. 3. Below is a matter of 'Contents' distinguished into 'Chinese' and 'knowledge of Chinese'1)In part of 'Chinese', there are matters of Name Calling, 'Reading and 'Comprehension', a character of 'Culture' and contents. 2)In part of 'Knowledge of Chinese', there are matters of 'Vocabulary' of terms and including contents, 'Complement', standard of setting up 'a Form of Sentence, classification of word class and contents, range of rhetoric and contents etc. If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re reflexed to the education course - 1. by revising or supplementing and applied to the form of Chinese education 2. Also undergoing the process of being applied - the appropriate Chinese education course will be made. 이 논문은 우리가 지금 시행하고 있는 제7차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성격’, ‘목표’, ‘내용’ 등으로 나누어 개략적으로 지적한 논문이다. 1.교육과정의 ‘성격’은 한문 교과만이 고유하게 가지는 성격도 개발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2.교육과정의 ‘목표’는 한자 어휘의 언어생활의 활용에 관한 강화 문제도 다시 제시할 필요가 있다. 3.교육과정의 ‘내용’에 대한 문제는 ‘한문’과 ‘한문지식’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한문’ 영역에서는 ‘한문’ 영역의 명칭문제, ‘읽기’와 ‘이해’의 포함문제, ‘문화’의 성격 및 내용문제 등이 있다. 2) ‘한문지식’ 영역에서는 ‘어휘’에 관한 용어 및 내용포함 문제, ‘보어’의 문제, ‘文形(Sentense Form)의 설정 기준 및 내용문제, ’품사‘의 분류 및 내용문제, ’수사법‘의 범위 및 내용 문제 등이 있다. 위에 제시되고 있는 문제점들이 수정‧보완되거나 해결되어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다시 다양한 한문교육의 양상에 적용되어 또 다시 교육과정에 투입되는 과정을 거치면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이 만들어 질 것이다.

      • KCI등재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목표의 한문(漢文) 교과서 적용 양상 연구

        김연수 ( Yeon Soo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한문과 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고시된 제3차 교육과정부터 현재까지 한문과 교육과정 내용을 살펴볼 때 2007 개정 및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상당히 혁신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전 제6차와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과 체재와 내용 면에서 현격히 구별된다. 한문과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열망이 담겨있고 새로운 변화를 추동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새로 설정한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는 목표에 그러한 열망과 변화의 의지가 담겨 있다. 이 목표는 기존한문과 교육과정과는 다른 차원으로 한문과 교육의 의미와 목표를 설정한 것으로 주목을 요한다. 본 연구는 2007 개정 및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새로 설정한 목표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먼저 살펴보고, 이 목표가 중등학교 『漢文』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그 구체적인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설정한 목표 ‘비판적 이해’와 ‘심미적 향유’가 한문 교과서 적용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漢文』교과서 13종과 고등학교 『漢文Ⅰ』 교과서 10종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단원 학습 목표및 학습 내용 선정과 학습 활동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비판적 이해’와‘심미적 향유’라는 목표가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을 거의 반영된 경우, 부분적으로 반영된 경우, 아예 반영되지 않은 경우로 분류하였다. 중등학교 『漢文』 교과서의 분석결과를 통해 동일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개발한 교과서라도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실행하는 정도와 양상은 교과서마다 매우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문과 교육과정이 『漢文』 교과서를 비롯하여 한문과 수업 현장에 온전하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한 학계와 학교 현장의 지속적인 소통과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irst looked into what``s the meaning of the goal newly set in the Chinese Classics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2009;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ritically understand and aesthetically appreciation various types of Chinese Classics" and then analyze its detailed aspects of how this goal is reflected in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books. For critical understanding of Chinese Classics materials, learners should be able to evaluate & accept the contents & values of the materials in a critical way from learners`` perspective after they grasp their contents & stylistic features according to writing types. Results of analysis on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books showed that Chinese Classics textbooks revised in 2009 and high school textbooks; Chinese Classics Ⅰreflect the goals of the newly set curriculum more than those revised in 2007 &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 books do. It``s also found that the most idealistic is to connect previously set goals of textbook units to related learning activities and that how much a curriculum is performed depends upon the quality level of its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글로벌 시대의 국가경쟁력과 한문교육의 위상

        진재교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9 No.-

        This paper pointed out the wrong direction of the Chinese Classics in school education and the collapse of the eduation of Chinese Classics caused by this wrong direction, and proposed a way of the restroration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in school. From enforcing the core curriculum in school education,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became an elective subject and the subject's status nosedived. As a result, various problems and harmful consequece caused by the change of the status of the Chinese Classics hindered the reinforment of the publich eduation and did not meet the social expection. Thus, during the past 3 years, the number of studens who took the courses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has decreased and the number of teachers has shrunken comparing to the number of teachers in other subjects. This paper pointed out that this situation happened right now is basically caused by the reason that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is is excluded as the reuqired subject of national college enterence exam. As this dilapidated Chinese Classics in school education is the result of the wrong educational policy, the Eudcation Minstry have to reform the Chinese Classics in the school educational system. In addition, the insolvency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in school does not match for the social request to reinforce the eud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diminishes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is paper claimed an alternative and proposed a way of the reinforment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이 글은 현행 학교 현장에서 한문교과 운영의 파행성과 위상, 그리고 그것에 따르는 한문교육의 황폐화를 제시하고, 그것을 정상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집중 이수제 이후 학교 현장에서 한문교과가 기타과목으로 위상이 추락되면서 생긴 문제점과 그 폐해는 결국 공교육의 정상화를 방해하고, 사회적 요구에도 부응하지 못한 모순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최근 3년 동안 한문교과목의 이수학생이 줄어든 것은 물론 교사의 수도 다른 과목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한문교과가 대학입시와 무관하기 때문에 나타난 것임을 지적하였다. 학교 현장에서 한문교육의 황폐화는 기본적으로 잘못된 교육정책 시행의 결과라는 점에서 그 해결 역시 교육부의 의지와 관련되는 문제이다. 더욱이 한문교육의 부실화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한문교육의 강화요구와도 배치된다는 점에서 국가경쟁력의 약화와도 관련이 깊다. 이를 위해 현행 교육과정 범위 안에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한문교육의 강화 방안을 서술하였다.

      • KCI등재

        漢文 散文을 활용한 ‘事例-過程中心의 自己紹介書’ 글쓰기 교육 -고등학교 한문과 교과서를 中心으로-

        이미흔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6 No.-

        現 중・고등학교 현장의 한문과 내용체계에서는 ‘한문 산문을 활용한 글쓰기’ 영역이 따로 편성되어 있지 않다. ‘글쓰기’란 ‘읽고’, ‘이해’하기 다음 단계로 ‘고도의 사고활동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대학입시에 급박하여 작성되는 ‘일회성 자기소개서’가 아닌 자신만이 쓸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정체성을 구축해 나가는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 교육과정이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를 어떤 방법을 가지고 한문과 교육과정에 접목 시켜 학생들에게 투입시킬 수 있겠는가?본고는 학생들에게 자기소개서라는 결과물만을 얻고자 하는 실용적 글쓰기에 그 목적이 있지 않다. 과거의 자신과 현재의 모습과 미래의 나는 사전이나 검색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나이테만큼 자아도 성장했는지? 자신이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자신이 가장 관심 있어 하는 분야는 무엇인지? 자신만의 반성적 성찰 방법은 무엇인지? 독창적인 언어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지? 과거의 자신과 현재의 자신은 어떻게 변화 되었는지? 다른 사람의 삶에 대해 궁금해 본 적이 있었는지? 내가 하고 싶은 일과 내가 잘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해 봤는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미래의 자신을 예견하며 상상해 본적이 있는지?를 고민해 보며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본다. 본고의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란 선현들이 수천 년 동안 쌓아온 생활 속의 정서, 지혜, 사상이 담긴 한문산문을 감상하고 이해하여 자신만의 자기소개서를 구체적 또는 점진적 과정을 거쳐 작성해 보도록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간접체험을 바탕으로 직접 실천한 사례들을 발표・토론함으로써 극복방안을 찾아보도록 한다.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는 대학입시 수시전형의 서류로 제출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일반전형 심층면접에 까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처럼 자기소개서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본고에서는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 글쓰기 방법을 모색하고자 ‘讀盈反切’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讀盈反切’ 전략이란, 讀書尙友・盈科而後進 成章而後達・反求諸己・切磋琢磨의 첫 字를 취하여 ‘讀盈反切’ 전략을 구안했다. 2007・2009개정 한문교과서에 제시된 ‘金得臣傳’, ‘看書痴傳’, ‘李安訥傳’의 작품을 활용해 대교협 공통양식에 의거하여 자기소개서 글쓰기 교육을 실시한다.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 글쓰기 교육’이 지니고 있는 가치는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 주는 교육적 활동이 될 것이다. 또 본고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4년 4월 15일)에 발표된 ‘대교협 自己紹介書 공통양식’을 바탕으로 ‘자신에게 묻는다! <부록 1> 100문 101답’ 문항을 만들어 학습자들이 쉽고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자신의 성장과정을 한눈에 확인해 볼 수 있는 간단한 방법(체크리스트□)이 될 것이다. 자기소개서 글쓰기는 학습자들 간의 개인차를 극복하기는 힘들 것이다. 하지만 투박하고 서툴더라도 대필과 표절이 아닌 자신만의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작업은 분명 한 인간을 성장 발전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 글쓰기’는 두 영역을 융합시켜 교수하였기 때문에 창의적 ... ‘Writing utilizing Chinese prose’ is not separately organized in contents system of classical Chinese class of existing middle⋅high school field. I think ‘writing’ is ‘reading’; ‘understanding’; and next, ‘process of high-degree thinking activity’. It is required to have a curriculum of ‘examples- and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to establish identity through specific examples instead of a ‘one-time self-introduction letter’ prepared on the verge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recently. How is it possible to graft self-introduction letter utilizing Chinese prose onto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order to input to students?This study does not aim at practical writing for students to get results of self-introduction letter only. My former self, present appearance and my future cannot be known through a dictionary or a search. Agonizing over following questions, I attempt to write an ‘examples- and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whether self has been developed as much as one’s own growth rings? Who I am and how I will live? In which field I am most interested? What is my own reflective introspection method? Can I express myself in creative language? How did my former self and present life change? Have I wondered about other people’s life? Have I agonized over what I wanted to do and what I could do well? Have I looked back upon life and then, forecasted and imagined my future?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Chinese prose containing emotion, wisdom and thoughts in life accumulated by ancient sages for thousand years, we attempt to prepare my own ‘examples- and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through specific or gradual process. And, learners will try to find out the solution through presentation⋅discussions of direct practiced examples based on indirect experience. A ‘self-introduction letter’ utilizing Chinese prose can be submitted as a document for nonscheduled admission of university examination and furthermore, it will also be a help to in-depth interview of regular admission, I think. As self-introduction letter is of great importance, this study suggest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Dokyeongbanjeol’ to seek a writing method of ‘examples- and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Dokyeongbanjeol’ strategy was made by the initial letter of Dokseosangwoo, Yeonggwaeehuzin, Seongjangeehudal, Bangujeogi, and Jeolchatakma. Utilizing works of Kimdeuksinjeon, Ganseochijeon, and Eeannuljeon included in 2007⋅2009 revised Chinese writing textbook, writing education of a self-introduction letter is conducted according to KCUE’s common modality. Value possessed by ‘writing education of examples- and process- 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utilizing Chinese prose’ will be an educational activity to give a new opportunity to learners. In addition, this study created item of ‘Ask you yourself! 100 questions and 101 answers’ on the basis of ‘KCUE's common modality’ announced by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April 15, 2014) in order for learners to be prepared easily and systematically. This will be a simple method (checklist) to check one’s own growth process during high school days at a glance. It will not be easy to overcome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 in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However, it will be a great help to develop a person if one prepares one’s own self-introduction letter, rough and poor, instead of ghostwriting and plagiarism. It is expected that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utilizing Chinese prose’ will make creative and peculiar outcome because it fuses two fields for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