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초 일제 강점기 향촌재지사족의 漢文懸吐小說창작에 대한 一考

        한의숭(Han Eui so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본고는 향촌을 기반으로 한 재지사족의 당대 현실 인식이 개인 출판물을 통해 표출되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한 자료로 20세기 초 全北 扶安에 거주하던 高濟安(1845~1927)에 의해 창작된 <神機圖>란 작품과 慶南 密陽에 거주하던 尹載禧에 의해 창작된 <太極翁傳> 두 작품을 주목하였다. <신기도>와 <태극옹전>은 20세기 초에 창작된 한문현토소설로 부안과 밀양이란 지방 향촌에 거주하던 재지사족에 의해 창작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신기도>는 1916년에 창작되어 해방 이후인 1961년에 출간된 작품으로 향촌재지사족의 현실인식과 관련하여 주목할 부분이 있다. 작중에서 강조한 '塞翁之馬'가 그것으로 일제에 의한 강제 병합의 고통이 지속적인 현실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寓意'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작품이 해방 이후 출간된 것은 작가의 서술의도에 대한 해석이 일정부분 부담으로 작용했기 때문이 아닌가 추정된다. 한편 <태극옹전>은 일제 강점기인 1935년에 출간된 작품으로 儒家와 여타 諸家의 사상 우열 논쟁을 통해 유가이상주의를 선양하는 방식으로 서술되어 있다. 이는 '유가'로 대표되는 전근대 조선의 지배계급의 시대인식이 어떠한지 그 일단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문제는 지배계급의 시대인식과 일제의 사상통치의 목적성이 상호 부합했던 까닭에 사전검열이 심했던 일제 강점기에 출간될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신기도>와 <태극옹전>은 일제 강점기 향촌재지사족의 현실 인식의 일단을 작품화 한 사례들로, 1935년과 1961년이란 출간시기에서 볼 수 있듯이 일제의 출판법에 의한 검열의 문제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이때 핵심은 현실 인식의 표출 방식이 어떻게 노정되었냐 하는 점이며, <신기도>와 <태극옹전>은 우회적으로 표출하거나, 일제에 편승하는 방식으로 작품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신기도>와 <태극옹전>은 한문현토소설이라는 언어, 문자의 방식으로 향촌재지사족이 당대를 인식하던 시각을 보여준 사례로 향후 보다 입체적으로 조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바탕으로 일제 강점기 신문, 잡지 등에 수록된 한문현토소설 전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investigates on the phenomenon of provincial novel family expressing their perception of reality through individual publications. Two pieces were chosen for this research purpose which are <Shin-Ki-Do> created by Ko-Jae-Ahn(1845~1927) who lived in Boo-Ahn, Jeon-Buk and <Tae-Keuk-Ong-Jeon> created by Youn-Jae-Hee who lived in Miryang, Kyung-Nam in early 20thcentury. Both <Shin-Ki-Do> and <Tae-Keuk-Ong-Jeon> are identified as Han-Moon-Hyun-To novel created in Miryang region in early 20thcenturies and they have in common that the authors are from provincial novel family. <Shin-Ki-Do> is created before 1914 and it got published in 1961 right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shows that the reality perception is reflected on the volumes by provincial novel family. Especially in the middle of the volume, the emphasized theme 'Sae-Ong-Ji-Ma' has very high potential to be interpreted as 'a fable' which means that the pain caused by Japanese Colonial Period would not last forever. This piece being published right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rovides enough room to have a thought of some pressure imposed on the publication process. On the contrary, <Tae-Keuk-Ong-Jeon> is published in 1935 which was still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publication chose a method to leading towards on the 'You-Ga' idealism by debating between 'You-Ga' and 'Yue-Ta-Je-Ga'. This could be considered as a way to strategically win over the 'You-Ga' which is high class in premodern ChoSun Society. Because of the strategic purpose to conciliate the class, it seems to be possible to publish the piece ev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in-Gi-Do> and <Tae-Keuk-Ong-Jeon> was outlets of expressing the reality perception by provincial novel family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ublication years have gaps as between 1935 and 1961. The inspection of Japanese's law over publication would have caused the year gap between those two pieces. The inspection seems to weight the most on the way of expressing the reality perception and there is a clear difference about the level of expressions between <Shin-Gi-Do> and <Tae-Keuk-Ong-Jeon>. As stated above, there is a clear evidence of being affected by Japan's lawful influence over publication to see one being published during the Colonial Era and the other being published right after the era ended because of the level of expressions. <Shin-Gi-Do> and <Tae-Keuk-Ong-Jeon> are very interesting pieces to study because even though both pieces started from the same base as the expression of reality perception by provincial novel family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y split into two different ways as they evolves as Han-Moon-Hyun-To novel. In the near future, It is exciting to look forward to have new perspectives on Han-Moon-Hyun-To novel covered by newspapers and magazine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선택과 배제의 문제를 통해 본 『청야담수』 편찬의 의미

        권기성 국제어문학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6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method and the intention of compilation, targeting the Yadam book by Cheongya–Damsoo,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written in the early 20th century. Cheongya–Damsoo is a large-scale Yadam book comprising about 200 pieces, and although it was written in a unique way with Chinese characters, i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search. According to this study, Cheongya–Damsoo contained the story of the previous Yadam without major changes, as pointed out in preceding research. However, the writer could see that, from the point of view of choice and exclusion, he excluded some of the stories that had surfaced in the context of the times. Thus, most of the stories chosen were either oriented toward Confucian values or honored in a strange world. This is quite similar to the old printed Yadam books of the time. In other words, it is read as a kind of limitation that failed to draw a new outlook on the times and sought to escape to an unrealistic world. However, if one understands that the traditional method of Yadam from that time has expired, it cannot be understood by blaming Cheongya–Damsoo alone. On the contrary, Cheongya–Damsoo has a unique feature of sticking to the traditional media method of transcription while keeping the expanded readership in mind through a new writing system known as Chinese characters. At this time, Cheongya–Damsoo’s inherent theme and the original idea of this passing through is read as a kind of instructive message in the situation of time through the summoning of an old story, and in this respect, it is understood as a form of Yadam, which existed in suppressed time. Simultaneously, the work can be read in the context of the Yadam history, which had been continuing the boundary between the former and modern Yadam, while navigating the two pillars of modern Yadam, which are lessons and entertainment. 본 논문은 20세기 초 산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야담집 청야담수를 대상으로, 서술방식의 특징과 편찬의도를 살피고자 한 것이다. 청야담수는 200여화에 해당하는 방대한 분량을 지닌 야담집이며, 한문현토본이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작성되었음에도 불구, 그간의 연구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살펴본 바, 청야담수는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것처럼 전대의 유화를 큰 변화 없이 그대로수록하고 있었다. 그러나 편찬자는 선택과 배제라는 관점에서 시대적 배경이 표면화 되어 있던 몇몇 이야기는 제외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선택된 대부분의 이야기는 유교적 가치관을 지향하거나 기이한 세계로 경도되고있었다. 이는 당대 구활자본 야담집들의 양상과 거의 동일하다. 즉 당대에 대한새로운 전망을 그리지 못하고 비현실적 세계로 도피하고자 했던 일종의 한계로 읽힌다. 그러나 당대 야담의 전통적 방식이 시효만료 된 까닭으로 이해한다면, 이를 청야담수의 탓으로만 돌려 이해할 수는 없다. 오히려 청야담수는 한문현토라는 새로운 표기 방식을 통해 확장된 독자층을 염두에 두면서도 필사라는전통적 매체 방식을 고수했다는 특이점을 지닌다. 이때 청야담수가 내재하고있는 주제적 지향과 이것이 경유하는 원관념은 고담의 소환을 통한 당대의 정세속 일종의 교훈적 메시지로 읽히는 바, 이러한 측면에서 억압된 시대를 존재했던 야담의 한 형태로 이해된다. 그리고 동시에 교훈과 오락이라는 근대 야담의두 축을 길항하고, 전근대야담과 근대야담의 경계를 이어가던 야담사적 맥락으로 해당 작품을 읽어볼 수 있다.

      • KCI등재

        홍길동전에 대한 이보상(李輔相)의 보수적 인식과 개작

        이대형 ( Lee Dae-hyung ) 한국고소설학회 2018 古小說 硏究 Vol.45 No.-

        In 1926 Keimyung(啓明) No. 15 and 16, Lee Bo-sang transferred Hangul edition of Honggildong-jeon to Hangul-suffixed-Chinese -story. Lee Bo-sang's Honggildong-jeon was based largely on the Gyeongpan(京板) edition, and contains criticisms of the existing Honggildon-gjeon. It is unique that Jeong Do-jeon(鄭道傳) is to blame for the discrimination of legitimate children and illegitimate children, caused by the writer's historical consciousness, but the story is no different from the previous Honggildong-jeon. From 1939 on to 1940, Lee Bo-sang translated Honggildong-jeon into a new series, which was published 242 times in Maeilsinbo(每日申報) under the title ‘Chokgyuwha’(蜀葵花) which means hollyhock. Chokgyuwha critically inherited the existing Honggildong-jeon and was adapted into a full-length novel that had many fantastic elements which was influenced by Fengshen-yanyi(封神演義). One way Lee Bo-sang has expanded into a feature novel is to add several episodes. Some of them criticize the powerful in the rural communities, but some of them are significantly weakened by the controversial issue of the ruling order compared to the existing Honggildong-jeon. Lee Bo-sang only carries a critical message to the extent that Hong Gil-dong, the child of a concubine can’t call his gather and that put corrupt persons to shame.

      • KCI등재
      • KCI등재

        <龍飛御天歌>와 <月印千江之曲> 비교연구 -양층언어현상(Diglossia)을 중심으로-

        정소연 우리어문학회 2009 우리어문연구 Vol.33 No.-

        This study based on the view point of Diglossia that the role and position of Chinese writing and Korean writing were not equal in Chosun Dynasty in Korea. Namely, Chinese writing was High Variety for Men and the high class and Korean writing was Low Variety for women and low class especially in 15th century. So I tried to study how the difference of two languages influenced in <Songs of Moon Illuminating on Thousand Rivers> and <Songs of Flying Dragons>. The preceding articles regarded the two literature works with same character, but I established the different things of them through this article. The results are showed in three points-the reading public, creation reason, view-point and style. First, transcription of Chinese characters was not in <Songs of Flying Dragons>. The song was translated in Chinese poetry and explanatory note was in Chinese. Because it is for King(man) and high class. But, in <Songs of Moon Illuminating on Thousand Rivers>,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ere noted by Korean characters which were in front of Chinese characters for Queen and Buddhist monk. Second, There were Confucian view-points and formal idea in <Songs of Flying Dragons>, Buddhism and private idea-consolation of losing wife and mother in <Songs of Moon Illuminating on Thousand Rivers>. Third, the difference of two language influenced in style and structure of text. <Songs of Flying Dragons> intends to poetry by literacy and <Songs of Moon Illuminating on Thousand Rivers> intends to song by orality. 본고는 조선시대 한문과 국문의 지위가 동등하지 않고 상ㆍ하층, 남성과 여성에 따라 구별되어 사용된 양층언어적 상황에 기반해 두 언어의 이러한 차이가 국문이 창제된 당시의 작품인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 연구이다. 두 작품은 기존논의에서 국문가사로 된 악장문학으로 같이 분류되어 공통점에 기반해서 연구되었지만, 본고에서는 한문과 국문의 표기상황이 달라 그 차이점이 어떠한지 비교하여 대상독자층, 창작동기 및 다루는 세계관, 나아가 문체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용비어천가>는 한자어에 대해 국문음을 표기하지 않았고, 한역시와 한문주해가 병기되어 있다. 반면 <월인천강지곡>은 국문앞세움 표기를 통해 한자어에 국문음 표기를 하였고 국문가사만 존재한다. 이는 대상독자층이 <용비어천가>는 왕을 비롯한 사대부남성을, <월인천강지곡>은 소헌왕후라는 여성 및 追薦儀式에서 이를 부르는 승려, 나아가 일반 백성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이다. 둘째, 두 언어표기의 차이는 다루는 내용 및 세계관과 밀접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용비어천가>는 건국의 정당성을 위한 공식적 목적에서 유교적 세계관 및 군신관계를 다루고 있는 반면, <월인천강지곡>은 개인적인 슬픔을 위로받기 위한 비공식적 목적에서 출발하여 불교적 세계관과 신앙심의 전파 등을 다루고 있다. 셋째, 두 언어표기의 차이는 통사구조 및 텍스트구조에 영향을 미쳐 문체의 차이를 가져왔다. 이를 통해 <용비어천가>는 국문의 문자언어로서의 기능이 강해 詩로서의 성향이 강하고, 상대적으로 <월인천강지곡>은 국문의 구두언어로서의 기능이 강해 노래로서의 성향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