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문법(漢文文法) 교육사(敎育史) 연구(硏究) :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敎育課程) 『해설서(解說書)』를 중심으로

        안재철 ( Jae Chul Ah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이 논문은 미군정시대의 교수요목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에 나타난 한문문법의 사적 변천과정을 연구하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되었다. Ⅰ장에서는 논문의 집필동기, Ⅱ장에서는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에 나타난 한문문법 교육의 변천, Ⅲ장에서는 각 교·육과정기 『해설서』에 나타난 중·고등학교 한문문법 교육의 내용 비교 분석, Ⅳ장에서는 위에서 논의되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결론으로 삼았고, 앞으로 한문문법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것은,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해설서』가 제5차 교육과정기에 들어서서야 발행되었기 때문에, 제5차 교육과정기부터 7차 교육과정기까지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에 나타난 한문문법의 변천과정, 각 시기별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교과 지도내용, 지도 방법 및 평가 항목 속에 나타나고 있는 한문문법의 내용 비교·분석·검토 등의 연구이다. 『해설서』에 나타난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은 ``지도 내용`` ``지도 방법`` ``평가``등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제5차 교육과정기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에서는 ``내용``영역에서 문법에 관한 교수·학습 요소들이 상세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제6차·7차 교육과정기 『해설서』에서는 ``지도 방법``과 ``평가`` 등에서 문법에 관한 사항들이 자세하게 기술되고 있다. 한문문법은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서 한문과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한 축을 구성한다. 때문에, 앞으로 좀 더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구축에 있어,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은 제5차 교육과정기의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에 제시되어 있는,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의 영역 속에,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 ``문법용어`` 사용에 관한 진술은 한문교육과 유관한 학회나 단체가 마련한 ``한문문법 통일안``에 근거한 용어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조항이, ``지도사항 및 유의점`` 속에 반드시 제시되어야만 한다. 제8차 교육과정기에는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 위에서 논의되었던, 바람직한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이 반드시 포함되어 구성되었으면 한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changes of Chinese grammar through history from the period of syllabus under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to the period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commentaries of the secondary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composed as follows. Chapter I presented motives for writing this thesis and Chapter II reviewed the changes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observed in the commentaries of the secondary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Chapter III compared the contents of secondary Chinese grammar education observed in the commentary of each curricular period and Chapter IV summarized discussions above and drew conclusions. In addition,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Key contents compared, analyzed and discussed in this study were the changes of Chinese grammar and the characters, objectives, teaching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items of the secondary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each period based on the commentaries of the secondary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during the periods of the 5th~7th National Curriculums because such commentaries began to be published from the 5th National Curriculum. The contents of Chinese grammar appearing in the commentaries were mostly presented in ``teaching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In the commentary of the secondary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during the period of the 5th National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items related to grammar are presented in detail in the area of ``contents,`` and in the commentaries during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s details on grammar are described in ``teaching methods, ``assessment,`` etc. In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grammar occupies an important part of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Accordingly, in order to edit the commentary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a more desirable way, contents related to Chinese grammar should be presented minutely in the areas of ``characters,``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assessment`` as in the commentary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the 5th National Curriculum. In particular, it should be stated clearly in ``teaching items and cautions`` that explanations on the use of ``grammatical terms`` should use terms based on ``a draft of unified Chinese grammar`` established by an association or organization related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e wish that the contents for desirable Chinese grammar education discussed above may be reflected in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of the 8th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大學의 漢文敎育科 敎育課程의 分析- 中·高等學校 漢文科 敎育과의 連繫性을 중심으로-

        송병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0 No.-

        The ultimate goal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to train Classical Chinese teacher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n order for this goal to correspond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curricula of these two should match. The content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include Chinese characters, phrases, short sentences(including grammar), proses, poems, and practical words in Chinese characters. Currently department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establish lectures such as 'Chinese Character Science' and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for further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Other factors have their necessary lectures. Most lectures conducted in department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meet the level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It appears that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re is a very close correspondence between middle /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Lectures for subject matter and pedagogy are mostly the same as lectures for the subject matter and lectures for pedagogy. The only thing that is different is the title of the lecture. For instance, lectures have additional 'teaching method', 'education' or 'instruction' at their titles. These lectures simply apply education technology or teaching method to lectures of Classical Chinese. Consequently, these lectures do not have independent fields of study and contents. This is due to lack of pedagogy in Classical Chines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 been recently attracting people's notice. The study, however, is mostly focused on grammar and education procedure, and failed to specify various fields of subject matter. Therefore, researchers of Classical Chinese pedagogy should avoid imitating general pedagogy; they need to develop educational subjects and methods independently, based on Classical Chinese itself. 한문교육과의 궁극적인 교육목표는 ‘중등학교 한문과 교사의 양성’이다. 이러한 한문교육과의 목표가 중·고등학교 한문 교육과 연계되기 위해서는 중·고등학교의 학습 내용과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이 일치하여야 한다. 중·고등학교에서 필요한 漢文科 知識의 內容은 주로 漢字, 成語, 短文(文法 포함), 散文, 漢詩, 言語生活의 漢字語로 집약된다. 현행 한문교육과의 교육과정에서 한자의 지식과 관련된 교과목으로 ‘漢字學’ 및 ‘漢字의歷史’를 개설하였다. 성어, 단문, 한시, 산문, 소설 등에도 각각의 필요한 교과목을 개설하였다. 대학의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에 개설된 다수의 교과목은 중·고등학교 한문과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교육내용에 충분히 도달되어 있다. 따라서 중·고등학교와 대학의 한문교육과의 연계성은 매우 밀접한 것으로 드러나 보인다. 교과교육학 영역으로 개설된 과목들은 대부분 교과 관련 과목과 교육 관련 과목을 제목만 바꾸어 교과교육학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옮긴 것이다. 그 예로 교과 관련 과목들은 서예, 한자, 한문 영역에 ‘교육방법’이나 ‘지도’를 추가하거나, 한문문법, 한시, 산문, 한문소설, 한문비평, 경학 등의 전공 영역에 ‘지도’나 ‘교육’을 덧붙였다. 이들 과목은 한문학의 교과목에 교육공학이나 교육방법을 단순하게 적용시킨 것이다. 따라서 이들 교과교육 영역의 교과목은 아직 독자적인 자기 연구 영역과 내용을 갖추지 못했다. 이는 한문과 교과교육학의 부진에서 비롯한다고 볼 수 있다. 한문과 교과교육은 최근에 들어서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대부분 교육과정이나 문법 등에 그 연구가 치우쳐 있고, 다양한 교과교육 영역을 특성화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교과교육학의 연구자들은 일반 교육학의 연구 내용을 맹목적으로 따르기 보다는 한문과에 입각해서 독자적으로 교육적 주제와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師範大學 漢文敎育科 敎育課程의 改善 方向과 模型案 硏究

        宋永日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3 漢字 漢文敎育 Vol.11 No.-

        1973년에 漢文敎育科가 신설된 지 30여 년이 지났다. 漢文敎育科가 有能한 漢文敎師 養成이라는 본래의 설립 취지와 목적을 바르게 정립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할 시점이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교육에 적절한 한문과 교육과정을 (1)교과 내용학을 충실히 다루는 형태와, (2) 교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편성하는 형태, (3) 여러 교과를 통합한 통합 형태. (4) 인터넷 등 사이버 공간에서 교육할 수 있는 Cyber 中心 敎育課程 등으로 분류하여 제시해 보았다. 각 영역별 내용을 요약 정리 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내용 중심형 교육과정은 한문 원문 및 관련 자료의 이해를 기본으로 교과 내용을 세분화 한 것이다. 기초 영역은 '기초한문', '한문학 개론' 등의 교과목을 철학 영역은 한·중 순수 철학의 내용을, 역사 영역도 한·중 역사 관련 내용을 산문 영역과 한시 영역은 한·중 순수 산문과 소설 그리고 한시의 내용을 교과로 제시하였다. 종합 영역에서는 '한문 작문', '한국 한문학사', '중국 한문학사' 등 순수 한문학의 종합 교과를 설정했고, 교과 교육학에서는 한문과 교육의 기본 교과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한문교육과 교과 교육 중심형 교육과정은 한문 교육의 기본 지식 함양과 현장 교육의 실제적 적용을 중심으로 교과를 설정한 것이다. 즉 한문과의 철학 영역·역사 영역· 산문 영역·한시 영역 등 모든 영역에서 한문의 기본 지식을 근간으로 현장의 교육 방법이나 평가 등을 접목한 형태이다. 본 교육과정은 사범대학이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한 교육과정 모형이다. 셋째, 한문교육과 통합 교과 중심형 교육과정은 문·사·철의 교과 영역의 한계를 넘어 주제 또는 내용 통합 방법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려는 형태이다. 본 교육과정을 한문교육과에서 개설할 경우 한 학기 강의로 심도 있는 교과 교육이 어려울 가능성도 있으므로, 강좌를 Ⅰ,Ⅱ,Ⅲ의 형태로 운영할 필요도 있다. 넷째, 사이버 교육과정은 미래 漢文科 敎育이 기존 교육과정의 제약을 받지 않고 Cyber 공간을 통해 자유롭게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해야 주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설정한 모형이다. 本 師範大 漢文敎育科 敎育課程에 대한 模型 硏究는 궁극적으로 漢文科 교육의 質的 成長을 圖謀하기 위한 人的, 制度的 整備를 念頭에 둔 것이며, 본 연구를 계기로 새 시대에 적절한 한문과 교육과정의 수립과 질적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Departments of Sino-Korean Education have been made to foster Sino-Korean teachers in some universities since 1973. Now when 30 years gave passed since it was opene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at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ourse has been well done to establish and realize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the opening. 'Fostering Competitive Sino-Korean Teachers'. On this study, Sino-Korean and course proper to modern education are suggested by classifying into four types like followings. (1) the type to deal with the contents of subjects faithfully (2)the type to organize based on the subject pedagogy Sino-Korean Education (3)the type to integrate some subjects (4) the course to educate in the cyber space, such as Internet, and so on. An also, it is classified into the field of contents of subjects(basics, philosophy, history, prose, Chinese Poems, and generals) and the field of subject education(basics, text, method, evaluation, generals) by each field, and then the related subjects are set. The summary if the contents by field are like followings. First, the course focused on the contents of subjects is a type to sub-divide the contents of subjec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ino-Korean Text and its related data. Basic field includes subjects like basic Sino-Korea, and Introduction of Chinese Classics. Philosophy field includes the content of pure philosophy of Korea and China. History field includes the content related to the history of Korea and China. Prose and Chinese Poetry field includes the pure proses and novels of Korea and China, and Chinese poetry. The general field includes the general subjects of pure Chinese Classics of 'Korea' and 'The history of Chinese Classics of China' Subject Pedagogy includes the basic contents of subjects of Sino-Korean and Education. Second, the course focused on the subject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Sino-Korean Education is to set up the subject focused on the cultivation of the basic knowledge of Sino-Korean Education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field education. That is, in all fields, such as philosophy, history, prose, and Chinese poem of the Department of Sino-Korea, the education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field are connected on the basis of basic knowledge of Sino-Korean Writing. This course is a model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of education. Third, the course focused on the integrated subjects of the Department of Sino-Korean Education is a type to operate the course in a way to integrate subjects and contents beyond the limits of subject field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When this course is opened in the Department of Sino-Korean Education, the deep subject education as a semester lecture is likely to be difficult. So it is desirable to operate with a type of Ⅰ, Ⅱ, Ⅲ. Fourth, Cyber course is a model set to offer the various and free opportunities to the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Sin-Korean with a cyber space in the future. And the Cyber Education of Sino-Korean in the future should be a subject education in which the interesting and beneficial subject education, the mutually related to the field education, the education to cultivate the creating power of knowledge(知識 生成力) to prepare for the society based on the knowledge, and the education to integrate with emphasis on Sino-Korean Characters, and Sino-Korean are 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model of the course of the Department of Sino-Korean Educat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 is to consider the maintenance in human and system to seek the qualitative growth in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Sino-Korean ultimately. With this study as a turning point, it is expected that the establishment and qualitative growth in the course proper to the new age will be done.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한문과(漢文科)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의 내용(內容) 분석(分析)과 적용(適用) 방안(方案) 모색(摸索) ; 기조(基調) 발표(發表) : 한문문법(漢文文法) 교육사(敎育史) 연구(硏究) -한문교과서(漢文敎科書)를 중심으로-

        안재철 ( Jae Chul Ah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이 논문은 광복 후, 미군정시대의 敎授要目期부터 2007년 改定 敎育課程期까지, 중·고등학교 漢文科 敎育課程에 나타난 漢文文法의 내용이 각 교육과정기의 漢文敎科書에 어떻게 투영·반영되었는지를, 史的으로 변천한 것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것은, 각 교육과정기의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 반영되고 受容된 한문문법에 대한 내용의 변천과정과 각 교육과정기의 중·고등학교 한문교과서 속에 반영된 한문문법의 내용을 비교·분석·검토하는 것 등의 연구이었다. 한문문법에 대한 내용이 교육과정 속에 학습요소로 구체적으로 구현되기 시작한 것은 중·고 등 학교 똑같이 4차시기 이후이며, 5차~6차시기까지는 한문교과가 필수과목 또는 내용상 필수 과목화되어 문법적인 내용도 확대되고 심화되었다. 7차시기 이후에는 한문교과가 선택과목으로 되어 문법적인 내용도 축소되고 약화되었다. 2007년 개정기 이후에도 문법적인 내용이 축소되었지만, 교육과정에 ‘한문지식’영역이 생겨, 이전 교육과정기보다 좀 더 문법적인 내용을 많이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각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는 각 교육과정기 교육과정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각 교육과정기에 제작된 한문교과서는 각 교육과정기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 제시되어 있는 한문문법적인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즉, 한문과 교육과정이 독립과목으로 되고 필수과목으로 된 시기에는 한문문법적인 내용도 확대 심화되고, 교과서도 그대로 확대 심화된 내용을 싣고 있었다. 그러나 한문과 교육과정이 선택과목으로 된 시기에는 한문문법적인 내용도 축소 약화되어 그 변화된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었다. 각 교육과정기에 만들어진 교과서들은 대개가 문법적인 용어나 내용을 일반적인 문법 수준에서 취급하고 있지만, 몇 개의 교과서들은 일반적인 수준에서 벗어난 용어와 내용들을 사용하여 학습자들이 혼동을 가져올 수 있었겠다고 여겼다. 한문문법은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서 한문과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한 축을 구성한다. 때문에, 앞으로 좀 더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을 구축함에 있어, 한문문법에 관한 용어와 내용들이 통일될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하루 속히 ‘한문문법 통일안’이 마련되어, 그것을 근거로 교육과정과 교과서 속에 반영되어, 학습자들이 혼란을 겪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changes of Chinese textbook by the way curricula are reflected on textbook from the period of under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to the period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key research is the transition of Chinese grammar appearing in the curricula of each period and comparing, analyzing and examining the contents of Chinese grammar reflected on middle · high school textbooks of each period. Contents about Chinese grammar were embodied in the curriculum as a learning element after 4th period. Until 5th or 6th period, the Classical Chinese was a required subject, so grammatical contents were enlarged and deepened. But, after 7th period, the Classical Chinese became a selective subject, grammatical contents are weakened. After revised 7th period ``Classical Chinese Knowledge`` part has been made, so it is possible to indicate more professional grammar. The textbooks of each educational period are subject to the curricula of that time. And the Classical Chinese textbooks faithfully reflect grammatical contents indicated in each period`s curriculum. In other words, when Classical Chinese became a essential subject, grammatical contents became deepened. But in the opposite situation, the grammatical contents became reduced. The textbooks made in each educational period usually treat grammatical contents or terms as a common level. But there is possibility to confuse learners because some textbooks use contents or terms that are beyond common sense. Classical Chinese grammar is an important element constituting teaching · learning contents or methods in the curriculum. Therefore, to construct more desirable education curriculum of Classical Chinse subject, the contents and terms about grammar need to be unified. We wish that ``a draft of unified Chinese grammar`` are established and reflected on textbooks not to confuse learners.

      • KCI등재

        漢文文法 敎育史 硏究- 漢文敎科書를 중심으로-

        안재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changes of Chinese textbook by the way curricula are reflected on textbook from the period of under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to the period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key research is the transition of Chinese grammar appearing in the curricula of each period and comparing, analyzing and examining the contents of Chinese grammar reflected on middle․high school textbooks of each period. Contents about Chinese grammar were embodied in the curriculum as a learning element after 4th period. Until 5th or 6th period, the Classical Chinese was a required subject, so grammatical contents were enlarged and deepened. But, after 7th period, the Classical Chinese became a selective subject, grammatical contents are weakened. After revised 7th period 'Classical Chinese Knowledge' part has been made, so it is possible to indicate more professional grammar. The textbooks of each educational period are subject to the curricula of that time. And the Classical Chinese textbooks faithfully reflect grammatical contents indicated in each period's curriculum. In other words, when Classical Chinese became a essential subject, grammatical contents became deepened. But in the opposite situation, the grammatical contents became reduced. The textbooks made in each educational period usually treat grammatical contents or terms as a common level. But there is possibility to confuse learners because some textbooks use contents or terms that are beyond common sense. Classical Chinese grammar is an important element constituting teaching․learning contents or methods in the curriculum. Therefore, to construct more desirable education curriculum of Classical Chinse subject, the contents and terms about grammar need to be unified. We wish that 'a draft of unified Chinese grammar' are established and reflected on textbooks not to confuse learners. 이 논문은 광복 후, 미군정시대의 敎授要目期부터 2007년 改定 敎育課程期까지, 중․고등학교 漢文科 敎育課程에 나타난 漢文文法의 내용이 각 교육과정기의 漢文敎科書에 어떻게 투영․반영되었는지를, 史的으로 변천한 것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것은, 각 교육과정기의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 반영되고 受容된 한문문법에 대한 내용의 변천과정과 각 교육과정기의 중․고등학교 한문교과서 속에 반영된 한문문법의 내용을 비교․분석․검토하는 것 등의 연구이었다. 한문문법에 대한 내용이 교육과정 속에 학습요소로 구체적으로 구현되기 시작한 것은 중․고 등학교 똑같이 4차시기 이후이며, 5차~6차시기까지는 한문교과가 필수과목 또는 내용상 필수과목화되어 문법적인 내용도 확대되고 심화되었다. 7차시기 이후에는 한문교과가 선택과목으로 되어 문법적인 내용도 축소되고 약화되었다. 2007년 개정기 이후에도 문법적인 내용이 축소되었지만, 교육과정에 ‘한문지식’영역이 생겨, 이전 교육과정기보다 좀 더 문법적인 내용을 많이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각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는 각 교육과정기 교육과정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각 교육과정기에 제작된 한문교과서는 각 교육과정기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 제시되어 있는 한문문법적인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즉, 한문과 교육과정이 독립과목으로 되고 필수과목으로 된 시기에는 한문문법적인 내용도 확대 심화되고, 교과서도 그대로 확대 심화된 내용을 싣고 있었다. 그러나 한문과 교육과정이 선택과목으로 된 시기에는 한문문법적인 내용도 축소 약화되어 그 변화된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었다. 각 교육과정기에 만들어진 교과서들은 대개가 문법적인 용어나 내용을 일반적인 문법 수준에서 취급하고 있지만, 몇 개의 교과서들은 일반적인 수준에서 벗어난 용어와 내용들을 사용하여 학습자들이 혼동을 가져올 수 있었겠다고 여겼다. 한문문법은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서 한문과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한 축을 구성한다. 때문에, 앞으로 좀 더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을 구축함에 있어, 한문문법에 관한 용어와 내용들이 통일될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하루 속히 ‘한문문법 통일안’이 마련되어, 그것을 근거로 교육과정과 교과서 속에 반영되어, 학습자들이 혼란을 겪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 KCI등재후보

        漢文文法 敎育史 硏究.

        安載澈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1 No.-

        이 논문은 미군정시대의 교수요목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의 사적 변천과정을 연구하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되었다. Ⅰ장에서는 논문의 집필동기, Ⅱ장에서는 중·고등학교 한물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 교육의 변천, Ⅲ장에서는 각 교육과정기에 나타난 중 ·고등학교 한문문법 교육의 내용 비교 분석,耐장에서는 위에서 논의되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결론 으로 삼았고, 앞으로 한문문법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분야로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기까지중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의 변천과정, 각 시기별증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교과 지도 내용,지도 방법 및 평가 항목 속에 나타나고 있는 한문문법의 내용 비교·분석·검토 등의 연구이다, 이 논문의 중요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 교육의 변천 교육과정기의 일정한 싸이클이 중 고등학교에 똑같이 형성된 것 같다. 대체로 교수요목기와 제1·2차 교육과정기는 한문 문법 교육의 '맹아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고, 제3차 교육과정기는 우리 한문과가 독립되어 한문문법 교육이 실시되는 터전을 마련하여 웅비하고자 하는 '개화기'에 해당한다고 볼수 있다.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문문법 교육이 체계화·조직화되고 펼쳐져 나아가는 '발전기'로 여겨진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더욱 문법교육이 정비되고 다져져서 가장 발전되고 심화된 '융성기'로 볼 수 있으며, 제6차시기는 한문교과가 필수에서 선택 과목(재량과목)으로 되어, 5차보다는 문법교육이 좀약화되었지 만, '난숙기'라 생각된다. 7차 교육과정기는 '국민 공통기본 교육과정'에 한문과목이 필수 과목에서 제외되고, 문법교육도 6차보다 더욱 약화된 내용일 수밖에 없어, '노쇠기'에 해당한다 하겠다. 2.각 교육과정기에 나타난 한문문법 교육의 내용 비교 분석중 고등학교 공히 제3차 교육과정기에 들어서 교육과정의 각 영역들이 구체화되기 시작한다.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은 '지도 내용' '지도 방법' '평가' 등의 영역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제4차·5차 교육과정기에서는 '내용'영역에서 문법에 관한 교수·학습 요소들이 상세하게 제시되고 있고,제6차·7차 교육과정기에서는 '지도 방법'과 '평가' 등의 영역에서 문법에 관한 사항들이 자세하게 진술되고 있다. 한문문법은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서 한문과 교수 학습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한 축을 구성 한다. 좀더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의 구축에 있어,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은 제4차 5차 교육과정기의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한문문법에 준하는 정도의 내용구성은 되어야 한다. 즉,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의 영역 속에,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문법용어' 사용에 관한 진술은 한문교육과 유관한 학회나 단체가 마련한 '한문문법 통일안'에 근거한 용어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조항이, '지도사항 및 유의점' 속에 반드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한문문법은 문장 독해를 원활히 하는데 도움이 되는 범위 내에서 예를 통하여 지도하되, 이에 필요한 문법 용어는 '한문문법통일안'에 제시된 용어에 따르도록 한다.'정도의 내용은 제시되어야 한다. 제8차 교육과정기에는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 위에서 논의되었던, 바람직한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이 반드시 포함되어 구성되었으면 한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ransition processes of Chinese grammar curriculum for Chinese classics subject from 'the era of teaching guideline'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high school. This thesis consisted of 4 chapters. In Chapter 1 writing motive was presented. Transition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which appeared in each National curriculum period for middle·high school were explained in Chapter 2. Each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period comparative analyzed in Chapter 3. Finally conclusion was made by arranging the contents discussed above and proposal for Chinese grammar education's ideal direction was suggested in Chapter 4. In this thesis, I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on transition processes of Chinese grammar curriculum for Chinese classics subject from 'the era of teaching guideline'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high school and characteristics, goals, instructive methods, contents in Chinese grammar etc. The important matters are summarized below. 1. Transition of grammar education in curriculum of Chinese classics subject It seems to be formed constant cycle of the curriculum similarly in middle·high school. The period of 'the era of teaching guidelines' and the 1st·2nd National curriculum corresponded with the 'beginning age'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generally. The period of 3rd National curriculum is regarded as 'enlightened age' from preparing operation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through separation. The period of 4th National curriculum is considered as 'growing age' for being systematic and expanded. The period of 5th National curriculum is seems to be more improved and most developed so it regarded as 'flourishing age. In the period of 6th National curriculum this subject changed from required to elective therefore grammar education had weaken than before but it considered as 'high time'. Therefore, in the period of 7th National curriculum subject was excepted from 'national common fundamental curriculum' due to be an elective subject and then it is took as 'senile age'. 2. Comparative analysis on grammar contents of each curricula period Each area of curriculum concretized on the 3rd National curriculum generally. Contents about grammar appeared in 'instruction substance' 'instruction method' 'evaluation' area mostly. In the 4th·5th National curriculum teaching/study items were presented fully on 'contents' area. Items about grammar were explained in full on 'instruction method' and 'evaluation' area in the 6th·7th National curriculum. Chinese grammar is a important axis to construct methods and instruction contents in Chinese classics curriculum. For making more ideal curriculum, contents structure should be accord with the one which suggested in the 4th·5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at least. That is contents on grammar should be presented in curricula area of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s' 'methods' 'evaluation'. In notes for instruction and attention Grammar terms usage should be presented as an article that terms based on 'chinese grammar unification proposal' by organization or society concerned with Chinese education by all means. e.g. it should be presented at least that instruct the Chinese grammar with examples for comprehension in helpful range, however grammar terms had better to comply with 'chinese grammar unification proposal' I hope that the curriculum for Chinese classics in the 8th National curriculum will reflect the above points for the effective grammar education certainly.

      • KCI등재

        中・高 漢文敎科書 ‘漢字’ 領域 分析 및 構成 方向 摸索

        김경익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5 No.-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and roles of textbook, we need to analyze the aspect of realization of the field and explore the direction we should go.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alization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he textbook from a correlational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way to design that of ‘Chinese characters’ that will be effective in actual classroom.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several subjects for inquiry are selected. First, to analyze and review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Second, to review styl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ird, to find the way to desig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view that learners are main agents of learning. In th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I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curriculum in textbook. The transforma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reduction, expansion, supplement and deletion of the content. In the organization styl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the way how to design units was examined. In this study, I suggested several plans to desig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extbook with consideration for actual classroom and learners. A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 proposed some problems awaiting solution as regards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漢字’에 대한 지식은 한문 능력의 핵심 資質이다. 한자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부족하면 漢文 讀解나 語彙 학습의 수행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자가 지닌 본질적 가치와 더불어 학습자가 인식하는 한문 학습에서 한자 학습의 비중 또한 가볍지 않다. 학습자가 ‘한자’에 대해 지니고 있는 막연한 두려움과 학습 부담을 덜어내지 않으면, 성공적인 한문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준수하여 집필된다. 하지만 각 교과서마다 전개 방식은 다르다. 개별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실행의 大綱을 짐작할 수 있다. 교과서 구성 방식이 교수・학습 실행에 끼치는 영향은 至大하다. 한문 학습에서 차지하는 ‘한자’ 영역의 중요성과 교과서의 기능 및 역할을 고려할 때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현 양상을 분석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문과 교육과정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현을 상관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문과 교실 수업에 유효한 ‘한자’ 영역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몇 가지 연구문제를 생성하였다. 첫째, 중・고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의 상관성을 분석, 검토한다. 둘째,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한문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을 검토한다. 셋째, 한문 학습자가 한문 학습의 주체라는 관점을 토대로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성 방안을 모색한다.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의 상관성은 주로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변형되어 구현된 경우를 살펴보았다. 변형은 교육과정의 내용의 축소와 확장, 추가와 삭제로 구분하였다. 중・고 한문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은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단원 구성이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의 경우가 달랐다. 고등학교에 비해 중학교 교과서가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세분화, 구체화하여 수록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교실 수업’과 ‘학습자’를 고려한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성 방안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해당 교과서의 본문에 쓰인 한자의 뜻을 중심으로 편집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목록을 별책 형태로 제시하여, 학습 자전의 대체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습한자 구성 방식과 제시 방식에 대한 검토가 요청된다. 셋째, 한자 쓰기 활동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한자’ 영역과 관련하여 향후 과제를 생성하였다. 첫째, 한문 학습을 위한 한자 수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중・고 학습자의 한자 지식 실태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한자 습득에 대한 기초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 KCI등재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김왕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6 No.-

        이 글은 제5회 漢字・漢字 敎育 國際 學術 大會(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n Characters Education and Research)의 주제 발표의 하나로, 韓國의 한자 교육 연구의 動向을 紹介하는 연구 과제로 企劃되었다. 한자 교육 연구의 동향과 성과는 範疇에 따르는데, 한자 교육 연구의 범주와 구분에 앞서 한국에서 한자 교육의 位相과 性格을 座標로 提示한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몇 가지 次元에서 논의될 수 있는데, 한문(과) 교육, 국어(과) 교육, 그리고 중국어, 일본어 교육을 포함한 漢字文化圈 次元으로 收斂된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학교 교과교육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의 핵심 내용 가운데 한 분야이다. 그리고, 한국의 지리적・언어적・문화적 조건에 의해,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국어교육 혹은 한국어 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한편,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대만, 홍콩 등은 역사적으로, 또한 동시대적으로 ‘한자’를 自國 文字로, 혹은 表記의 수단으로 활용했다. 이른바, ‘漢字文化圈’을 말하는데, 비록 <그림 1>에서 표시하지 않았지만, 외곽 點線으로 作用한다. <그림 1>에서 세로축을 기준으로 보면, (가), (나) 영역에 속하는 한자는 일상 언어 생활이나 국어사전 登載 어휘 가운데 ‘高頻度’ 군에 속하는 한자다. 造語力과 常用度 혹은 活用度가 높다. 한문 교육 차원, 곧 가로축을 기준으로 생각해 보면, (가), (다) 영역에 속하는 한자가 漢文 典籍에서 높은 빈도를 갖는다. 座標가 스스로 밝히듯이, (가) 군에 속하는 한자들이 국어 교육과 한문 교육에서 모두 학습의 轉移 및 相互 作用 效果가 높다. (가), (다)에 속하는 한자군이 바로 현행 ‘漢文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의 字種이다. 한편, 한자 교육의 위상과 성격에 대한 연구 문제는, 1972년 이래 국어교과의 附庸으로부터 독립한 한문과의 위상이 외형적으로 좋아진 듯하지만 其實은 孤立無援으로 불안정하게 된 현실을 따져보면서, 한문과 국어의 連繫 내지 統合과 관련지어 조심스럽게 논의되어야 할 과제로 판단된다. 한국의 한자 교육에 대한 연구 현황과 성과를 범주별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漢文科 敎育課程 : 현재,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일차적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가운데, 교과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으로 機能한다.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가운데, 한자 교육 관련 영역에 대한 검토가 집중적으로 遂行되었다. 교육과정에 기술된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한자 읽기 교육, 한자 筆順과 관련된 성과가 提出되었고, 특히 韓國漢文敎育學會는 2013년 ‘초・중・고 한문 학습 字典의 현황과 編纂 방안’을 주제로, 한문 학습 자전에 대한 종합적 연구 결과를 報告하였고, 2013년 ‘한문 교육과 創意・人性 敎育’을 주제로, 한문과에서 遂行 可能한 창의・인성 교육을 提案하였다. • 漢文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 : 2000년에 새롭게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가 調整된 이후,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史的 考察, 字義 선정, 字形 고찰, 교과서 활용 방안, 형성자의 音價 변화, 의미 통일화 방안 등 제반 분야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를 포함한 교육용 한자의 字量, 字種, 水準,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 방법 측면에서 최근 컴퓨터와 코퍼스언어학의 발달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이 분야를 개척한 연구 결과가 注目되는데, 한문교육용 基礎 漢字 선정, 한자 造語 능력, 한자 活...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and to consider the latest achievement of researches on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To accomplish the intended goal of this study, I focused on three main problems. First, I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Second, I considered the latest achievement of researches on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by category. Third, I left many subjects more to be investigated and answered. To summarize, in the present paper, several results were explored as follows.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can be discussed from three points of view,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First of all,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is one of the key parts of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An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is closely connect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educatio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y geographical, linguistic and cultural conditions. Meanwhile, Chinese character was historically and contemporarily used as their own character in Korea, Japan, China, Taiwan, and Hong Kong. It is the so-called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It occupies the outline shown in dotted line of <FIGURE 1>.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 The current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contains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The key achievement, out of the curriculum, is the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reading, stroke of Chinese character, a dictionary for learners of classical Chinese, and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Newly adjusted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announced in 2000. By recent advances in computational linguistic, various achievements, such as selection of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hinese characters’ ability to coin, util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selection of a basal vocabulary and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at elementary school, were reporte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 Out of recent investigations on Chinese characters, there is much attention towards a lot of useful discussion about standardization of the shape of Chinese characters. These investigations has been pursued by maki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type of four countries, Korea, China, Taiwan, and Japan.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educatio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 Out of previous achievement of researches, connection, dichotomy and unific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were reported. Meanwhile, study in the academic world has been focusing on the correlation of educatio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ith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 It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among stakeholders related to language policy,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it relates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centural theme of the issue has been abou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the present condition, the curriculum, aim of a lesson and a key characteristic of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 These are surely some of the most practical fields of studies on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Various subjects of study, such as origin of characters,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retrospect,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assessment of the ability to understand Chinese characters and teaching materials in Korea, China and Japan, etc., have been addressed. The reason why the situ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cluding education in Chine...

      • KCI등재

        ‘전공 역량’ 기반의 한문교육과 전공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白光鎬 ( Baek¸ Kwang-ho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8

        본고는 중등학교 한문 교육의 변화를 앞두고 한문교육과의 전공 교육과정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라는 고민에서 출발한다. 이는 어느 한 학과의 문제가 아니기에, 한문교육과의 구성원들과 이 고민을 나누고, 현장 교사는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공유하고 싶다. 한문교육과에서 길러야 하는 능력은 무엇일까? 독해력, 즉 한문을 능숙하게 풀이하는 능력인가? 아니면 교수 능력, 즉 한문을 잘 가르치는 능력인가? 이 글에서는 이것을 ‘전공 역량’이라는 용어로 지칭하고자 한다. 그래서 재학생 및 졸업생 의견을 청취하고 현장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한문교육과에서 길러야 하는 ‘전공 역량’을 선정하고 각각의 역량에 대한 정의를 내린다. 이 연구에서 ‘전공 역량’을 내세운 취지는 지금의 전공 교육과정이 한문 독해에 다소 치우쳤음을 지적하고, 전공 교육과정에서 키울 수 있는 학생들의 역량에 관심을 기울이자는 것이다. 중등학교 한문 교육의 변화에 따라 한문교육과의 전공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자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지만, 그렇다고 하여 당장 강좌를 폐지·신설하거나 강좌 명칭을 변경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예비 한문 교사가 수강하는 각 강좌에서 다룰 수 있는 ‘전공 역량’에 초점을 둔다. 본고는 교육부에서 2021년 7월에 발표한 ‘교원양성체제 발전 방안[시안]’에 대비할 수 있는 한문교육과의 전공 교육과정 및 운영 방안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이제는 한문 독해력보다는 다양한 상황에서 한문을 기반으로 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중심으로 전공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 하는 때이다. This paper starts from the problem on how to change the Major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for the training of Preparatory teacher in anticipation of changes in secondary school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is problem is not an issue in any of the departments, so I wanted to share this topic and how the teachers in the field think, with members of the department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What does it take to become a Chinese Classics teacher? Reading comprehension, that is, the ability to interpret Chinese classics proficiently? Or is it the teaching ability, that is, the ability to teach Chinese classics well?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use the term "major competency". Now is the time to restructure the specialized curriculum centered on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based on Chinese Classics in various situations rather than reading comprehension of Chinese Classics.

      • KCI등재

        한문교과 인지영역 요소의 서술방법과 내용에 대한 고찰 -한자(漢字) 영역을 중심으로

        허철 ( Chul Heo ) 東方漢文學會 2009 東方漢文學 Vol.0 No.40

        본고는 교육의 내용요소를 인지영역적 요소와 정의 영역적 요소로 구분하여, 이를 한문교과에서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현재 나타난 문제점과 대안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교육활동에서 인지영역과 정의영역의 구분은 그 교과의 내용을 체계화하고, 이를 통해 교과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구성하고 인지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방법론이다. 또한, 실제 교육활동은 인지영역과 정의영역의 요소들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복합적이고 다단적인 활동이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 교과의 교육적 목표에 맞도록, 그 교과 내용을 피교육자의 심리적, 정신적, 지적 능력의 발전 단계에 맞도록 배치하고 구성하는 것은 교육과정 설계의 처음이자 끝이라고도 할 수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 교육과정들에 비해 이러한 인지와 정의적 영역의 구분을 시도하고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하려고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실제 내용 체계표를 통해 볼 때 아직까지 인지와 정의 영역이 혼재 되어 있거나, 혹은 오해의 소지가 있는 진술이 있다는 점은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개선시켜 나가야 할 점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7차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서술의 문제점과 그 내용을 살펴 본 후, 그 실제가 드러나고 있는 교과서의 한자영역을 중심으로 인지영역의 요소가 어떻게 서술되어지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본고를 통해 살펴 보았든 한자의 인지적 요소 서술에서만도 많은 오류가 발견되어지고 있으며, 한자 영역의 인지적 요소 즉 지식요소가 앞으로 더욱 확충되어지고 체계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인지적 요소가 어떻게 구성되고 그 내용과 진술이 어떤가하는 점은 바로 그 교과의 특성을 보여주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실제 한자영역을 중점적으로 연구 대상으로 한정하였으나, 필자는 이러한 서술이 단지 한자영역에만 국한되어져 나타나는 문제가 아닐 것이라고 예상한다. 특히, 교과서의 검토를 통해 보여지듯 각 급 교과서에서는 한자나 한자어, 한문 등 기본 어휘에 대한 논술이나 설명이 집필자에 의해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내용에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할 주요 개념어에 대한 서술과 내용이 빠져 있다는 점, 교육목표와 필요성에 대한 서술의 부재, 내용 체계표와 그 내용 진술에 인지영역요소와 정의영역요소의 혼재와 더불어 인지영역과 정의영역의 요소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 등은 이런 문제를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 현재 드러나고 있는 이런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첫째, 교과의 필요성과 목적이 내용 체계와 내용 서술에 포함되어야 하며 둘째, 개별 개념어와 내용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의와 내용을 공동 연구하고 적용할 것 셋째, 현재의 교과서 구성 방식인 주제별 묶음이 아닌 지식체계별 묶음으로 전환할 것 넷째, 한문교과의 소재의 범위를 확대시켜 재고려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주지하듯 한문교과는 다른 교과와는 다른 한문교과 나름의 성격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격과 특징은 연구자들의 많은 노력과 시행착오를 통해 교육목표의 설정으로부터 시작하여,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체계화, 조직화된 교육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교과서라는 교육 매체를 통하여 피교육자들에게 교육이 되며, 이러한 교육을 통해 한문교과가 바라는 교육 목표를 성취할 수 있어야 한다. 한문교과의 입지가 좁아지는 이유 중 하나는 한문교과의 내용적 요소를 어디까지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담론이 부족한 것도 한 이유이다. 한문교과는 이제 지금까지의 노력과 역사를 거울삼아, 스스로 제자리를 찾고 그 제자리 속에서 자신의 교과적 특성에 부합하는 역량을 준비해야 한다. 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내용을 체계화, 위계화하기 위해서 한문교과교육관련 연구자들의 공동의 연구와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은 재삼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Education learning in action can divide to Cognitive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This paper is based on this point, research how apply this two area and how describe in Sino-korean education in Korea. To find their problem and make a some suggestion for reduce problem to reach subject learning aim. Revised Curriculum system in 2007, is applied this two area, Cognitive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to Sino-korean education. But, through research we can find some problem. 1. some of part in Information system and structure, due to mixed two concept or ambiguous their own area. 2. misunderstanding information and describe about some knowledge item. 3. lack of essential element. Cause of this problem, we can find more problem about describe and information in the textbook. To resolve this problem suggest this four point. 1. add Sino-Korean subject`s needs and objectives into Cognitive domain. 2. have to rebuild essential element and define their meaning what Researchers Joint research will be applied to education work. 3. have to change from topics collection and divide to knowledge collection system in the textbook`s organization and structure. 4. reconsider Sino-Korean education`s identity and expand a subject matter for successful education act. Exactly for develope and normalization Sino-Korean education in Korea, most of all we have to researchers shared their research and consensus what we teach and how can realize Sino-Korean subject`s learning a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