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목표의 한문(漢文) 교과서 적용 양상 연구

        김연수 ( Yeon Soo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한문과 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고시된 제3차 교육과정부터 현재까지 한문과 교육과정 내용을 살펴볼 때 2007 개정 및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상당히 혁신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전 제6차와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과 체재와 내용 면에서 현격히 구별된다. 한문과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열망이 담겨있고 새로운 변화를 추동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새로 설정한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는 목표에 그러한 열망과 변화의 의지가 담겨 있다. 이 목표는 기존한문과 교육과정과는 다른 차원으로 한문과 교육의 의미와 목표를 설정한 것으로 주목을 요한다. 본 연구는 2007 개정 및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새로 설정한 목표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먼저 살펴보고, 이 목표가 중등학교 『漢文』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그 구체적인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설정한 목표 ‘비판적 이해’와 ‘심미적 향유’가 한문 교과서 적용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漢文』교과서 13종과 고등학교 『漢文Ⅰ』 교과서 10종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단원 학습 목표및 학습 내용 선정과 학습 활동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비판적 이해’와‘심미적 향유’라는 목표가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을 거의 반영된 경우, 부분적으로 반영된 경우, 아예 반영되지 않은 경우로 분류하였다. 중등학교 『漢文』 교과서의 분석결과를 통해 동일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개발한 교과서라도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실행하는 정도와 양상은 교과서마다 매우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문과 교육과정이 『漢文』 교과서를 비롯하여 한문과 수업 현장에 온전하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한 학계와 학교 현장의 지속적인 소통과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irst looked into what``s the meaning of the goal newly set in the Chinese Classics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2009;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ritically understand and aesthetically appreciation various types of Chinese Classics" and then analyze its detailed aspects of how this goal is reflected in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books. For critical understanding of Chinese Classics materials, learners should be able to evaluate & accept the contents & values of the materials in a critical way from learners`` perspective after they grasp their contents & stylistic features according to writing types. Results of analysis on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books showed that Chinese Classics textbooks revised in 2009 and high school textbooks; Chinese Classics Ⅰreflect the goals of the newly set curriculum more than those revised in 2007 &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 books do. It``s also found that the most idealistic is to connect previously set goals of textbook units to related learning activities and that how much a curriculum is performed depends upon the quality level of its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후보

        第7次中等學校漢文科敎育課程의 運營實態와 改善事案 : 大田廣域市敎育을 中心으로 Focusing on the education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宋永日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5 漢字 漢文敎育 Vol.14 No.-

        中等學校 漢文科 敎育은 國家單位 敎育課程의 범주에서 학교의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교과학습의 한 영역이다. 2001년 중학교부터 실시된 第7次 敎育課程은 현재 모든 中等學校에 적용되고 있으며, 2005년은 그 4~5년째를 맞고 있다. 그 시작 초기부터 많은 비판과 문제점이 제기되었던 제7차 교육과정은 漢文科 敎育에도 적잖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敎育課程의 문제는 國家單位의 制度的 事案인 동시에 敎科 內的 問題로, 실제적으로는 그 교과 責任者의 敎育課程 設定과 運營에 대한 문제로 歸着된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중등학교 漢文科 敎育을 중심으로 2002년과 2005년 敎育課程에 대한 學校級別 편성 사항을 살펴보고, 그 運營實態와 문제점과 改善 事案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이 같은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에 대한 國家的 次元 制度的 改善 요구와, 또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새 漢文科 敎育課程案에 대한 연구에 있다. 논의된 주요 사안을 제도적 측면과 교과 내적 문제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제도적 측면> 첫째, 국어 교과의 종속적 범주에서 벗어나야 한다. 둘째, 한문을 국민공통기본 교과에 포함시켜야 한다. 셋째, 교육용기초한자나 全敎科의 주요 漢字語를 수록한 한자 교과를 신설해야 한다. 넷째, 전통문화와 인성교육을 위한 한자?한문 혼용 교과를 개설해야 한다. 다섯째, 한문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정책을 범국가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교과 내적 문제> 첫째, 제7차 교육과정의 성격?목적?목표 등에 대한 실천과 반성의 기회를 가져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부터 한자?한문교육의 당위성을 입증할 연구 자료가 구비 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용기초한자와 모든 敎科의 漢字語를 다룬 교재를 개발하여야 한다. 넷째, 인성교육?전통문화 교육 중심의 한자?한문 혼용 교재를 개발한다. 다섯째, 한문교육의 과제를 연구하고, 그 필요성을 홍보할 단체를 운영해야 한다. 지금까지 論議한 漢文科 敎育課程에 대한 제반문제는 國家的 課題인 동시에 漢文科 교육이 해결해야 할 事案이다. 그러므로 새 교육과정이 논의되기 전에 漢文科 敎育課程의 편성?운영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앞서 논의한 여러 事案의 前轍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 미래 漢文科 敎育의 成敗는 敎育課程의 배치파 운영에 있다 할 수 있으므로, 漢文科 교육은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함께 최적의 대안을 찾아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미래 韓國敎育을 先導하는 새로운 誕生이 되어야 할 것이다.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in a secondary school is the field of curricula studying which is being done under the guidance of a school in the category of curriculum of a unit of country. The 7th curriculum, which started from the middle school in 2001, is being applied to every secondary school, and 4-5years have passed since it started. There were lots of criticism and problems in the 7th curriculum from its beginning, and it has caused many problems to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Problems of curriculum, which are internal problems of subjects as well as systemic matters of a unit of country, practically come to problems on the operation and creation of curriculum of persons in charge of the subject. On this study, focusing on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in a secondary school, Daejeon Metropolitan City, contents composed by classes of schools on curriculum of 2002 and 2005 are reviewed, and actual conditions, problems and matters to be improved of it ar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k for the systemic improvement at the level of nation on curriculum and to study the new programs of curriculum of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to realize that. If the major cases discussed are arranged by the systemic point of view and the internal problems of subjects, they are as follows. <The systemic point of view> First, it must get out of the subordinate category of subject of Korean language. Second, Sino - Korean shall be included in the basic and common subject of people. Third, subject of Hanja including basic Hanjas for teaching and major Hanjas of every subject shall be created. Fourth, the subject using Hanjas together with Sino - Korean shall be introduced to teach traditional culture and humanity. Fifth, educational policy to enforce teaching of Sino - Korean shall be nationwide propelled . <The Internal Problems of a subject >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the opportunity to practice and reflect the character ? object ? goal of the 7th curriculum. Second, research materials to prove the necessity of teaching of Hanja Sino - Korean shall be equipped from the elementary school. Third, teaching materials dealing with basic Hanjas for teaching and Hanjas of every subject shall be developed. Fourth, the subject using Hanja together with Sino - Korean focusing on teach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humanity shall be developed. Fifth, organizations to study the tasks of teaching of Sino - Korean and to publicize its necessity shall be operated. The whole problems on the curriculum of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discussed until now are tasks of nation as well as matters to be resolved in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And therefore, unless systemic research on the organization ? operation of the curriculum of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is done in advance before the new curriculum is discussed, the matters discussed before shall be repeated. As the success and failure of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in the future is up to the arrangement and operation, the optimal substitutes shall be found out with thorough analysis on the 7th curriculum of subject of Sino - Korean education, and in the end, it shall be reborn to lead the education of Korea in the future.

      • KCI등재

        차기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요구 읽기-전국한문교사모임 연구모임의 논의를 중심으로

        정효영 한국한문교육학회 2020 한문교육논집 Vol.54 No.-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ntention of reflecting opinions of field teachers in next curriculum development.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o belong to Group of the Hanmun Teachers' Association held research meeting under the theme of ‘Preparing Alternatives for the Next Curriculum’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From the 3rd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 examined the changes in the curriculum of Hanmun. Moreover, we discussed in depth which contents should be applied with ‘maintenance’, ‘modification’, ‘complementation’, ‘deletion’ and ‘additional’ in the next curriculum. Regarding the achievement criteria of ‘Chinese characters and vocabulary’, there were suggestions about separating the shape of Chinese characters, sound of Chinese characters, and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lower the entry barrier of Hanmun learning in middle school level. It was discussed that the achievement criteria should be presented by paying attention to how to find Chinese character information rather than the Chinese character radical, and that the required stroke order of Chinese character should be deleted from Hanmun in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There were opinions to express Chinese character system as principle by which Chinese characters were created to clarify its meaning, and to delete the term ‘word’ because its concept is confused with the term ‘vocabulary’. It was discussed that the current presenting method is the best unless real word and fake word were moved to achievement criteria of ‘Reading Chinese Characters’ and use of word class was deleted.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Reading Chinese Characters’ was added with the phrase ‘∼using this to understand sentences’ to show reading of Chinese characters more clearly, and the achievement criteria related to reading were integrated. In addition, as the current curriculum provides very concise criteria for reading Chinese characters in percentage of Hanmun curriculum, so it was presented in detail to enrich the content related to reading Chinese characters. Everyday terms, learning terms, and idioms focused on usage, and we required to present a list of terms and idioms to be learns in Hanmun curriculum. The achievement criteria of ‘Chinese characters and personalities’ were expressed ‘diverse’, ‘present value’ rather than ‘wholesome’ and ‘desirable’, and ‘Hanmun culture’ was described as a universal culture that is still acceptable to the present. In addition, the next curriculum proposed the development of courses that are easy to understand in the field, courses that have no ambiguous expressions, courses that clearly articulate the concept of terms, and courses that actively reflect teachers’ opinions. 본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발에 현장 교사의 의견이 반영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진행되었다. 전국한문교사모임의 연구모임에 소속된 중고등학교 교사들은 2019학년도 2학기에 ‘차기 교육과정의 대안 마련’이라는 주제로 연구모임을 진행하였다. 3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한문과의 교육과정 변천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차기 교육과정에서 ‘유지’, ‘수정’, ‘보완’, ‘삭제’, ‘추가’되어야 할 내용에 대하여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한자와 어휘’ 성취기준에 대하여는 중학교 수준에서 한문과 학습의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하여 성취기준에 한자의 모양, 한자의 음, 한자의 뜻을 분리하여 제시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한자의 부수보다는 한자 정보를 찾는 방법에 주목하여 성취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한자의 필순은 학습 수준에 맞추어 고등학교 한문Ⅰ에서는 삭제하여야 함을 논의하였다. 한자의 짜임은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로 표현하여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고자 하였으며, ‘단어’라는 용어는 ‘어휘’와 개념에 혼동을 주기 때문에 삭제하자는 의견이다. 실사와 허사는 ‘한문의 독해’의 성취기준으로 옮기며, 품사의 활용은 삭제하지 않는다면 현재의 제시 방법이 최선임을 논의하였다. ‘한문의 독해’ 성취기준은 ‘∼이를 문장 풀이에 활용한다.’라는 문구를 추가하여 한문 독해를 더욱 명확하게 보여주고자 하였으며, 읽기와 관련한 성취기준을 통합하였다. 또한,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한문 독해 관련 성취기준이 한문과 학습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하여 매우 소략하게 제시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한문 독해 관련 내용을 풍성하게 하고자 하였다. 일상용어, 학습 용어, 성어는 활용에 초점을 두었으며, 한문 교과에서 학습하여야 할 용어 목록, 성어 목록을 제시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한문과 인성’ 성취기준은 ‘건전한’, ‘바람직한’보다는 ‘다양한’, ‘현재적 가치’ 등으로 바꿔 표현하였으며, ‘한문과 문화’는 현재에도 수용 가능한 보편적 문화에 대한 내용으로 서술하였다. 또한, 차기 교육과정에서는 현장에서 이해하기 쉬운 교육과정, 모호한 표현이 없는 교육과정, 용어의 개념을 명확히 밝힌 교육과정, 교사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교육과정 개발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기조 발표(基調 發表) : 한국(韓國)의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敎育課程)

        윤재민 ( Jae Min Yoo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韓國에서 漢文이 獨立敎科로 敎授되기 始作한 것은 1972年 2學期 以後 中·高等學校에서이다. 그 以前에는, 初·中·高等學校 共히 漢文이 國語 敎育의 一部로서 部分的으로 敎授되거나 아예 敎授되지 못하기도 하였다. 1945年 解放 以後 韓國의 公式的인 制度敎育 內 敎育課程의 制定은 美軍政廳에 依해서 이루어졌다. 漢字 敎育과 關聯하여 美軍政廳이 最初로 시행한 조처는, 軍政廳 學務局의 ``暫定的 國語 敎育의 臨時措處``로부터라고 할 수 있다. 곧 이 조처는 初等學校 國語敎科書에서 漢字와 國文의 混用 또는 欄外 倂記를 部分的으로 許容함으로써 初等學校에서 漢字 敎育이 一定하게 施行되도록 하였다. 한편 美軍政廳 編修局이 1947년 9월 1일 제정 시행한 ``敎授 要目``은 中·高等學校에서 國語科의 補充 敎材의 形式으로 漢文 科目을 選擇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1951년에 문교부는 戰時 학습방침을 수립하면서 漢字 敎育과 관련하여 劃期的이라고 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한다. 곧 이 해 9월 漢字·漢文 敎育史上 최초로 ``常用一千字表``를 제정 공포한 것이 그것이다. 이 常用漢字 1,000자는 이후 1957년 11월에 제정한 ``임시제한한자 1,300자`` 및 1972년 8월에 제정하고 2000년 12월에 이를 다시 調整 公布한 ``중·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의 선구가 되는 것이다. 1955年 8月 1日 告示된 第1次 敎育課程에서는 初等學校의 境遇에 漢字 敎育에 對한 明示的 規定을 별도로 두지 않았지만, 漢字 敎育이 如前히 施行되고 있었다. 中學校의 境遇에는 國語科 敎育課程아래에 ``漢字 및 漢字語 學習``에 대한 규정을 별도로 두어 漢字·漢文 敎育이 독립된 교과서를 갖는 하나의 과목으로 敎授될 근거를 마련해 놓았다. 高等學校의 境遇에는 역시 國語科 敎育課程아래에 ``漢字 및 漢文 指導`` 규정을 두어 選擇敎科 國語(2)의 한 領域으로 ``漢文`` 과목을 設定하였다. 1963年 2月 15日에 告示된 第2次 敎育課程에서는 初等學校의 境遇에 國語科 4學年 學年目標에 漢字 關聯 規定을 명시적으로 두어 한자 교육을 보다 강화하였다. 중·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제1차 교육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國語科 敎育 課程 속에 관련 규정을 그대로 두되, 漢字·漢文 敎育을 보다 강화하였다. 가령, 고등학교의 경우 ``國語Ⅰ``에서의 漢字 敎育 以外에도, 人文系 課程의 境遇 國語 Ⅱ의 한 科目으로 18單位(文法⑷, 漢文⑹, 古典⑷, 作文⑷) 가운데 漢文 6單位, 職業系 課程의 境遇 漢文 6單位를 履修하게 하였다. 그러나 1969年 9月 4日 改定되어 1970年1學期부터 施行된 敎育課程 部分 改定에서는 初等學校와 中學校의 國語 및 高等學校의 國語Ⅰ의 敎育課程에서 漢字 및 漢文 關聯 條項을 削除하여 漢字, 漢文 敎育을 아예 廢止하고 말았다. 다만 人文系 高等學校 國語Ⅱ에 있는 漢文의 境遇에만 單位數를 6單位에서 8單位로 增加시켜 존속시켰을 뿐이다. 中·高等學校에서 漢文 敎育이 復活한 것은 1972年 2月 28日 告示되고 이 해 2學期부터 施行된 敎育法 施行令에 依해서다. 이 施行令에 依하여 中·高等學校에 漢文 敎科가 獨立 新設되어, 이 해 2學期부터 漢文이 獨立 敎科로서 公式的으로 敎授되기 始作하였다. 中·高等學校 各900字씩 ``漢文敎育用 基礎漢字`` 1,800字를 制定하여 公布한 것도 바로 이 무렵인 1972年 8月 16日의 일이다. 1973年 8月 31日에 告示된 第3次 敎育課程에서부터 第5次 敎育課程에 이르기까지는 中·高等學校에서 漢文이 獨立 敎科로서 사실상 必修科目으로 施行 된 時期이다. 곧 中學校 漢文은 1, 2, 3學年 各其 週當1時間씩 必修 科目으로 敎授되었다. 高等學校의 境遇에는 漢文Ⅰ은 共通必修 또는 必修選擇, 漢文Ⅱ는 人文系 必修(但, 3, 4次 敎育課程에서는 課程別 必修, 5次 敎育課程에서는 課程別 選擇)로 亦是 사실상 必修 科目으로 敎授되었다. 1992年 6月 30日 告示되고 1995年부터 施行된 第6次 敎育課程 以後 漢文 敎科는 中·高等學校 共히 必須科目에서 選擇科目으로 轉落했다. 곧 第6次 敎育課程에서는 中學校 漢文이 選擇 科目으로 되었고, 高等學校 漢文Ⅰ, 漢文Ⅱ가 課程別 必修科目으로 바뀌었다. 高等學校의 課程別 必修 科目이란 市·道 敎育廳이 選擇해야 該當 敎育廳 所屬 學生들이 履修하는 選擇 科目이다. 結局 第6次 敎育課程에서는 漢文 敎科가 中·高等學校 共히 選擇科目으로 된 셈이다. 한편, 이 第6次 敎育課程에서 特記할 事項은 初等學校 漢字 敎育과 關聯한 條項을 添附하였다는 것이다. 곧 初等學校에 ``學校 裁量 時間``을 新設하면서, 이 時間에 活用할 수 있는 敎育 活動으로 漢字를 몇몇 다른 科目들과 함께 例示함으로써 制限的이나마 漢字 敎育이 可能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1997年 12月 30日 告示되고 2001年부터 施行된 第7次 敎育課程에서는 中學校 漢文이 敎科 裁量 活動 時間에 學習해야 할 選擇科目으로 되었고, 高等學校 漢文이 2, 3學年 選擇科目으로서, 一般選擇 科目群에 漢文⑹, 深化選擇 科目群에 漢文古典⑹으로 開設되었다. 2007年 改定 敎育課程에서는 中學校 漢文이 敎科 裁量 活動 時間에 學習해 야 할 選擇科目으로 되었고, 高等學校 漢文이 2, 3學年 選擇科目으로서 普通 敎科 敎養 科目群(漢文, 敎養科目群)에 漢文I⑹, 漢文Ⅱ⑹로 開設되었다. 그러나 2007年 改定 敎育課程은 얼마 施行해 보기도 전에 2009年 改定 敎育課程으로 다시 再改定되었는바, 이에 따르면 中學校 漢文은 選擇科目群의 하나로 되었고, 高等學校 漢文은 普通 敎科의 生活·敎養 敎科群에 漢文I(5), 漢文 Ⅱ(5)로 開設되어 있다. 한편 2009年 改定 敎育課程에서 特記할 事項은 初等學校 漢字 敎育과 關聯한 條項을 다시 添附하였다는 것이다. 곧 初等學校에서 漢字敎育을 關聯敎科(群)와 創意的 體驗活動 時間을 活用하여 指導할 수 있도록 하고, 또 學校 級別 共通事項으로 提示된 凡敎科 學習 主題 中의 하나에 漢字敎育을 包含시켜서 敎育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Korea, Korean Classical Chinese began to be instructed as the independent subject after the second semester, 1972 in middle·high schools. Before that, in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instructed as part of the Korean Language or never instructed. After liberation in 1945, in the formal institutional education of Korea,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iculum was done by U.S. Military Government Office. In relation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e first measure by the Office was the temporary on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d by the Education & Management Bureau. Through such a measure, in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Chinese Character and the Korean alphabet`s mingling or combined recording in the margin was partially accepted so intended to implemen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onstantly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mean time, through ``Instruction Program`` enforced by the Textbook Compilation Bureau, U.S. Military Government Office on the 1st, Sep. 1947, in the middle·high schools, it came to be possible to select Korean Classical Chinese subject as the form of the complementary teaching material for Korean Language class. In 1951, the Ministry of Culture & Education established the wartime learning policy and prepared the epoch making policy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other words, on September of the year firstly on the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t promulgated ``The Table of One Thousand Letters in Common Use``. Such one thousand Chinese Characters in common use were the initiative of ``1, 300 Chinese Characters Tentatively Limited`` enacted on Nov. 1957 and ``Basic 1,800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High School Education`` enacted on Aug. 1972 and adjusted on Dec. 2000. In the 1st Curriculum notified on the 1st, Aug. 1955. There was no explicit provision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in the elementary school but it was still enforced. In case of middle school, through preparing a provision on the ``Chinese Character & Chinese Word Learning`` under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made a foundation for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o be instructed as the subject having an independent textbook. In case of high school, a provision was a prepared on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Instruction`` also under Korean Language curriculum so set ``Korean Classical Chinese`` as the area of the selective subject of Korean Language(2). In the 2nd Curriculum notified on 15th, Feb. 1963, a provision was prepared explicitly on Chinese Character as the aim of the Korean Language class in the 4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s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as more intensified. In case of the middle·high schools, like the 1st Curriculum, the related provision was mai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but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even more strengthened. For example, in case of high school in addition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under Korean LanguageⅠ, among 18 units(grammar(4), Korean Classical Chinese(6), classics(4), composition(4)), six unit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completed as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Ⅱ in the general course and six unit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in the vocational course. However, through the partial amendment of the curriculum revised on 4th, Sep. 1969 and enforced from the 1st semester in 1970, in the curriculums of Korean Languag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of Korean LanguageⅠ for high school, a provision on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omitted so its education was eventually abolished. Only in case of Korean Language Ⅱ for the general course of high school, the number of unit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increased from 6 to 8 units so it was continued. In the middle·high schools, the recovery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done by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Educational Law notified on 28th, Feb. 1972 and enforced from the 2nd semester of the year. By such an Ordinance, in the middle·high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subject was newly and independently established and it began to be instructed formally as the independent subject from the 2nd semester of the year. Also, on 16th. Aug. 1972,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900 characters respectively was enacted and notified in the middle·high schools. From the 3rd Curriculum notified on 31th, Aug. 1973 to the 5th, it was periods that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required as the independent subject. In other words, in the middle school,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instructed as the required subject for 1hour per week in the 1,2,3 grade each. In case of high school, it was also instructed as the required subject, that is, Korean Classical ChineseⅠ as the required commonly or selective essentially and Korean Classical Chinese Ⅱ as the required(however, as the required by course in the 3rd, 4th Curriculum, as the selective by course in the 5th). After the 6th Curriculum notified on 30th, June, 1992 and enforced from 1995, Korean Classical Chinese subject fell from the required to the selective course in middle·high schools. In the 6th Curriculum, Korean Classical Chinese of middle school changed into the selective subject and Korean Classical ChineseⅠ, Ⅱ of high school into the required by course. In the high school, the required subject by course refers to the selective subject which city·province educational bureaus select and then students under the pertinent bureau may complete. In the end, in the 6th Curriculum, Korean Classical Chinese subject came to be the selective subject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Meanwhile, in the 6th Curriculum, what is specially noteworthy is the adding the provision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n other words, while newly establishing ``Discretionary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Chinese Character was exemplified as the educational activity to be used with several other subjects. So, though limite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ould be possible. In the 7th Curriculum notified on 30th, Dec. 1997 and enforced from 2001, Korean Classical Chinese of middle school became the selective subject to be learned in the discretionary class. And, Korean Classical Chinese of high school, as the selective subject in the 2nd, 3rd grades, was opened into Korean Classical Chinese(6) in the general selective subject group, and into Chinese Classics(6) in the further selective subject group.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Korean Classical Chinese of middle school became the selective subject to be learned in the discretionary class. And Korean Classical Chinese of high school, as the selective subject in the 2nd, 3rd grades, was opened into Korean Classical Chinese I(6), Korean Classical Chinese Ⅱ(6) in the common subject, cultural subject group(Korean Classical Chinese, cultural subject group). Howeve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as immediately re-amended in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Under this Curriculum, Korean Classical Chinese of middle school became one of the selective subject groups. And Korean Classical Chinese of high school was opened into Korean Classical Chinese I(5), Korean Classical Chinese Ⅱ(5) in the life·culture subject group among the common subjects. In the mean time,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hat is specially noteworthy is adding the provision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again. That is, it made possible to instruct Chinese Character using the related subject(group)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the elementary school including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to one of pan-subject learning themes presented as the common by class and school.

      • KCI등재

        韓國의 漢文科 敎育課程

        윤재민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韓國에서 漢文이 獨立 敎科로 敎授되기 始作한 것은 1972年 2學期 以後 中․高等學校에서이다. 그 以前에는, 初․中․高等學校 共히 漢文이 國語 敎育의 一部로서 部分的으로 敎授되거나 아예 敎授되지 못하기도 하였다. 1945年 解放 以後 韓國의 公式的인 制度敎育 內 敎育課程의 制定은 美軍政廳에 依해서 이루어졌다. 漢字 敎育과 關聯하여 美軍政廳이 最初로 시행한 조처는, 軍政廳 學務局의 ‘暫定的 國語 敎育의 臨時措處’로부터라고 할 수 있다. 곧 이 조처는 初等學校 國語敎科書에서 漢字와 國文의 混用 또는 欄外 倂記를 部分的으로 許容함으로써 初等學校에서 漢字 敎育이 一定하게 施行되도록 하였다. 한편 美軍政廳 編修局이 1947년 9월 1일 제정 시행한 ‘敎授 要目’은 中․高等學校에서 國語科의 補充 敎材의 形式으로 漢文 科目을 選擇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1951년에 문교부는 戰時 학습방침을 수립하면서 漢字 敎育과 관련하여 劃期的이라고 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한다. 곧 이 해 9월 漢字․漢文 敎育史上 최초로 ‘常用一千字表’를 제정 공포한 것이 그것이다. 이 常用漢字 1,000자는 이후 1957년 11월에 제정한 ‘임시제한한자 1,300자’ 및 1972년 8월에 제정하고 2000년 12월에 이를 다시 調整 公布한 ‘중․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의 선구가 되는 것이다. 1955年 8月 1日 告示된 第1次 敎育課程에서는 初等學校의 境遇에 漢字 敎育에 對한 明示的 規定을 별도로 두지 않았지만, 漢字 敎育이 如前히 施行되고 있었다. 中學校의 境遇에는 國語科 敎育課程 아래에 ‘漢字 및 漢字語 學習’에 대한 규정을 별도로 두어 漢字․漢文 敎育이 독립된 교과서를 갖는 하나의 과목으로 敎授될 근거를 마련해 놓았다. 高等學校의 境遇에는 역시 國語科 敎育課程 아래에 ‘漢字 및 漢文 指導’ 규정을 두어 選擇敎科 國語(2)의 한 領域으로 ‘漢文’ 과목을 設定하였다. 1963年 2月 15日에 告示된 第2次 敎育課程에서는 初等學校의 境遇에 國語科 4學年 學年目標에 漢字 關聯 規定을 명시적으로 두어 한자 교육을 보다 강화하였다. 중․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제1차 교육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國語科 敎育課程 속에 관련 규정을 그대로 두되, 漢字․漢文 敎育을 보다 강화하였다. 가령, 고등학교의 경우 ‘國語Ⅰ’에서의 漢字 敎育 以外에도, 人文系 課程의 境遇 國語Ⅱ의 한 科目으로 18單位(文法⑷, 漢文⑹, 古典⑷, 作文⑷) 가운데 漢文 6單位, 職業系 課程의 境遇 漢文 6單位를 履修하게 하였다. 그러나 1969年 9月 4日 改定되어 1970年 1學期부터 施行된 敎育課程 部分 改定에서는 初等學校와 中學校의 國語 및 高等學校의 國語Ⅰ의 敎育課程에서 漢字 및 漢文 關聯 條項을 削除하여 漢字, 漢文 敎育을 아예 廢止하고 말았다. 다만 人文系 高等學校 國語Ⅱ에 있는 漢文의 境遇에만 單位數를 6單位에서 8單位로 增加시켜 존속시켰을 뿐이다. 中․高等學校에서 漢文 敎育이 復活한 것은 1972年 2月 28日 告示되고 이 해 2學期부터 施行된 敎育法 施行令에 依해서다. 이 施行令에 依하여 中․高等學校에 漢文 敎科가 獨立 新設되어, 이 해 2學期부터 漢文이 獨立 敎科로서 公式的으로 敎授되기 始作하였다. 中․高等學校 各 900字씩 ‘漢文敎育用 基礎漢字’ 1,800字를 制定하여 公布한 것도 바로 이 무렵인 1972年 8月 16日의 일이다. 1973年 8月 31日에 告示된 第3次 敎育課程에서부터 第5次 敎育課程에 이르기까 ... In Korea, Korean Classical Chinese began to be instructed as the independent subject after the second semester, 1972 in middle․high schools. Before that, in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instructed as part of the Korean Language or never instructed. After liberation in 1945, in the formal institutional education of Korea,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iculum was done by U.S. Military Government Office. In relation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e first measure by the Office was the temporary on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d by the Education & Management Bureau. Through such a measure, in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Chinese Character and the Korean alphabet’s mingling or combined recording in the margin was partially accepted so intended to implemen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onstantly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mean time, through ‘Instruction Program’ enforced by the Textbook Compilation Bureau, U.S. Military Government Office on the 1st, Sep. 1947, in the middle․high schools, it came to be possible to select Korean Classical Chinese subject as the form of the complementary teaching material for Korean Language class. In 1951, the Ministry of Culture & Education established the wartime learning policy and prepared the epoch making policy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other words, on September of the year firstly on the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t promulgated ‘The Table of One Thousand Letters in Common Use’. Such one thousand Chinese Characters in common use were the initiative of ‘1, 300 Chinese Characters Tentatively Limited’ enacted on Nov. 1957 and ‘Basic 1,800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High School Education’ enacted on Aug. 1972 and adjusted on Dec. 2000. In the 1st Curriculum notified on the 1st, Aug. 1955. there was no explicit provision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in the elementary school but it was still enforced. In case of middle school, through preparing a provision on the ‘Chinese Character & Chinese Word Learning’ under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made a foundation for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o be instructed as the subject having an independent textbook. In case of high school, a provision was a prepared on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Instruction’ also under Korean Language curriculum so set ‘Korean Classical Chinese’ as the area of the selective subject of Korean Language(2). In the 2nd Curriculum notified on 15th, Feb. 1963, a provision was prepared explicitly on Chinese Character as the aim of the Korean Language class in the 4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s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as more intensified. In case of the middle․high schools, like the 1st Curriculum, the related provision was mai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but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even more strengthened. For example, in case of high school in addition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under Korean LanguageⅠ, among 18 units(grammar⑷, Korean Classical Chinese⑹, classics⑷, composition⑷), six unit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completed as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Ⅱ in the general course and six unit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in the vocational course. However, through the partial amendment of the curriculum revised on 4th, Sep. 1969 and enforced from the 1st semester in 1970, in the curriculums of Korean Languag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of Korean LanguageⅠ for high school, a provision on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omitted so its education was eventually abolished. Only in case of Korean Language Ⅱ for the general course of high school, the number of unit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increased from 6 to 8 units so it was continued. In the middle․high schools, the recovery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done by the Enforcement Ordi...

      • KCI등재

        2015 개정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敎育課程)의 주안점과 특징

        장호성 ( Ho Sung Cha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이 글은 2015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의 內容을 2009 改定 敎育課程과 비교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일관성유지 및 대영역 설정의 타당성 제고, 학교급별 학습내용의 위계화에 개정의 중점을 두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식과 기능을 합쳐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문화를 비롯한 인성 및 한자 어휘 활용과 같은 내용 요소를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 ‘학년별·학교급별 학습시간과 학습발달상황을 고려하여 중학교 학습 내용 감축’, ‘학교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교수·학습 및 평가 관련 내용 강화’를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의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에서는 한문 문장의 독해력과 함께 한자 어휘 학습, 인성및 문화 소양 함양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인성 역량’, ‘심미적 감성’ 등의 다섯 가지를 한문과 교과 역량으로 설정하여 성격에 함께 제시한 것도 주목된다.‘목표’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달리 < 中學校 漢文 >과 <高等學校 漢文Ⅰ>에‘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을 별도의 세부 목표로 설정하였고, <高等學校 漢文Ⅱ>의세부 목표였던 ‘한국 한문학’ 관련 내용을 제외하였다는 점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내용 체계’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달리 ‘핵심 개념’, ‘내용(일반화된 지식)’, ‘기능’등이 새롭게 추가되었고, 독해’, ‘문화’, ‘한문 지식’의 3개 영역에서 ‘한문의 이해’, ‘한문의 활용’의 2개 영역으로 변화되었다. ‘한문의 이해’ 영역에는 교육과정 내용 중 기능적 요소를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고자 ‘한자와 어휘’, ‘한문의 독해’를 ‘핵심 개념’으로 두었으며, ‘한문의 활용’ 영역에는 한문과 수업에서 실질적으로 다루어지는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를 ‘핵심 개념’으로 두었다. 그리고 ‘기능’은 ‘읽기’, ‘풀이하기’, ‘이해하기’, ‘조사하기’, ‘활용/적용하기’를 기본으로 하되, 각 핵심 개념의 구체적 내용을 고려하여 ‘표현하기’, ‘분석하기’, ‘토의·토론하기’ 등을 가감하였다.‘성취기준’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다루기 힘든 성취기준은 제외하거나 통합함으로써 학습량의 적정화를 제고하고자 했다.‘교수·학습 및 평가’는 기존과 달리 ‘영역(성취기준 그룹)별 교수·학습 방법 및평가’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는 방식을 택했다. 먼저‘영역(성취기준 그룹)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는 각 영역 또는 성취기준 그룹에서 학습해야 할 요소를 모두 제시한 ‘학습 요소’와 성취기준 중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 진술이 필요한 항목에 한해 작성한 ‘성취기준 해설’, 선행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중 해당 영역 또는 성취기준 그룹의 내용 요소를 학습하는 데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영역 또는 성취기준 그룹의 내용 요소를 평가할 때 중점을 두어야할 사항을 중심으로 서술한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은 미시적 차원의 교수·학습 및 평가를 제시한 ‘영역(성취기준 그룹)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와 달리 한문과의 성격과 특성에 비추어 한문과 교수·학습 및 평가가 추구해야 할 철학, 가치 등과 함께 교과 역량의 계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거시적 차원의 교수·학습 및 평가 방향을 기술하였다 This article compared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of content in 2009 with 2015.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focus on content system consistency maintenance and setting the high domain of validity, hierarchic of school level of learning-content.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establish the ‘Knowledge and function’ and ‘Culture’, ‘personality’, ‘Vocabulary’, ‘considering learning of grade and progress in middle school learning content reduction’.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were reconstructed five part ‘Character’ and ‘Goal’, ‘Content system’, ‘Achievement standard’,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First, ‘Character’ goals were underlined the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in real school’ and ‘improving evaluation of content’. Second ‘Goal’ part were emphasized to the character set to Chinese curriculum and competencies of the ‘communication skills’,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creative thinking skills’, ‘ability personality’, ‘aesthetic sensibility’. Furthermore,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were changed < Middle School Classical Chinese > and <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Ⅰ > of ‘Language lives in utilization of capacity’. <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Ⅱ > part was excluded the ‘Korea Literature’. third, ‘Content system’ part were added ‘core construct’, ‘content (generalized knowledge)’, ‘function’, and changed two domain of ‘under standing of the Chinese’, ‘the use of Chinese’. Forth, ‘Achievement standards’ part were included all elements of learning in real schools, such as improving the adequacy of the amount of learning achievement standards. Finally,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part was chosen ‘domain(achievement standard group)’ and ‘direction’. ‘Domain(achievement standard group)’ were presented to suitabl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factors in phase of grade. ‘Direction’ part presented the microscopic (achievement standard group) and macroscopic (philosophy and worth) dimensions to implement the curriculum development capabilities of Classical Chinese in light of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 KCI등재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 방안

        김경익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4 No.-

        이 글의 목적은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고려해야 될 점과 실행의 곤란 요인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실행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실행의 전제를 고찰해 보고, 단위 학교에서 개정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해 학생 관련 자료를 어떻게 수집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라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고,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변인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의 활성화는 교수․학습 관련 개념의 정립, 다양한 사례 연구, 내용 영역별 교수․학습 모형 및 방법의 개발을 구체적으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관련 변인은 교육과정 자체, 학습자 변인, 교사 변인, 텍스트 변인, 상황 맥락을 제시하였다. 이 중 교사는 교육과정 전달자로서 교육과정 성공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한문과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학습 곤란 요인을 파악은 실행의 기초작업이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검사와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학생들은 한문 독해의 기초 능력이 부족하며 그 원인은 문맥에 따른 한자의 뜻 파악 능력 부족, 직역 능력 부족 등이었다. 또한 한문 학습에 대해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학생은 한문 학습에 동기부여가 이루어지지 않고, 한문 교과를 他者化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런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수․학습 전략을 수정․보완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searching for a solution to implement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I looked for Points to consider in detail and Difficulty factor of Korean classical Chinese Learning. To this end, I looked up the prerequisites of running. And I run training courses in schools with students how to gather the relevant data were reviewed.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a Teach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eaching - learning related research should be activated. And the first professor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learning-related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ts activation is prerequisite. That teaching - learning related to formulation of the concept, and various case studies, information, domain-specific teaching - learning models and method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teaching - learning process itself is an education-related variables, learner variables, teacher variables, text variables, the situation is the context. The teacher of the course content based on student learning should be reconstructed. Student learning and learning difficulties identify the factors is the execution of the basic tasks. The researchers conducted tests and questionnair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Result, students lack basic skills in reading Korean classical Chinese. The cause of the Chinese characters mean in the context of lack of understanding, lack of reading skills and so on.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do not feel interested in learning about the motivation of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were weak.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researchers, teaching - learning strategie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nd given a task.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漢文科) 교과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윤재민 ( Yoon Jae-mi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7 No.-

        교과서의 편찬은 교육과정의 요구, 한문교육 연구자의 요구, 교사의 요구, 학습자의 요구, 시대의 요구 및 기타 사회 각계의 요구 등 여러 관련 주체들의 요구와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이 논문은 이들 여러 요구 중 교육과정의 요구를 중심으로 몇 가지 문제를 살펴본 것이다. 교육과정의 요구는 보통 교육과정의 내용 그 자체 및 특히는 교과서 편찬을 담당하는 정책 당국이 제시하는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또는 인정) 기준`에서 우선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내용이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교과용도서 편찬의 기본 방향을 `교육과정을 충실히 구현하는 교과용도서`, `바른 인성과 창의융합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적합한 교과용도서`, `일상생활과 연계되어 이해하기 쉽고 흥미를 유발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과용도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적합하며, 핵심역량 함양을 도모하는 실생활 중심의 교과용도서 개발`로 제시하였다. `창의융합형 인재`나 `바른 인성과 창의융합적 사고력`은 언뜻 보면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내세우는 `창의·인성 교육`과 같은 맥락에 있는 용어로 보인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주요 내용으로 제시하는 `바른 인성과 창의융합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적합한 교과용도서`는 이번에 새롭게 내용이 보완 강조되어 제시된 것이다. 인성의 내용이 보다 구체화되고 다양화되었다. 창의의 내용이 `창의성`으로만 제시되던 데에서 `지식의 창조 및 융합 능력`으로, 그리고 `인문·사회·과학기술 기초 소양`, `교과 역량`, `융·복합적 사고력과 통찰력` 등으로 그 세부 내용이 보다 구체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교과서의 검정기준 또는 인정기준은 교육과정의 요구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내용들이라 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인정 기준의 심사 영역 및 항목들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내용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심사 영역의 하나로 새롭게 추가 제시하였다는 것과 일상생활과의 연계 및 교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 내용이 심사 항목에 새롭게 포함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이들 내용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강조하는 내용들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漢文科 교과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가 오늘의 학술대회의 주제이다. 이 주제는 크게 다음의 두 가지 연구 주제를 아우르고 있다. 하나는 漢文 교과서에 관한 일반론적 연구이며, 다른 하나는 당면한 한문 교과서 편찬이라는 실용적 실천적 목적을 전제로 하는 특수적 연구이다. 그 동안의 한문 교과서 연구는 주로 후자의 측면에서 수행되어 왔고, 전자의 측면 또한 통상 후자를 매개로 수행되어 왔던 게 사실이다. 오늘의 학술 대회 또한 여기서 예외가 아니다. 모쪼록 오늘의 학술대회가 보다 나은 한문 교과서의 편찬 및 한문 교과서 연구의 심화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the acknowledge of the fact that the publication of textbook can`t be independent of the demand of various related subjects, like curriculum, academics, teachers, students and any other social groups, this thesis focuses on the demand of national curriculum on editing classical Chinese textbook, implied in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itself and specifically in Note on Editing Course Book and Qualification of Textbook Authorization by the authorities. The Education Ministry and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suggest the basic concept of course book in 2015 Revised Curriculum as “Textbook as Embodiment of Curriculum”, “Textbook for Cultivating Competent Individuals with Thinking Power of Creation-Convergence and Moral Character” and “Textbook for Learners Related to Daily life and Easy to Learn.” Even though the expression of “Competent Individuals with Thinking Power of Creation-Convergence” or “Moral Character” seems repetition of “Education of Creation and Morality” in 2009 Revised Curriculum, the 2015 version consists of newly added and strengthened contents. Not only what “morality” means becomes diverse and specified, “creation” is variously defined as “the ability of creation and convergence of knowledge”, “background knowledge of humanity, society and scienc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nd “thinking power of creation-convergence and insight.” Qualification of textbook authorization also shows the demand of curriculum directly. Among criterions of textbook authorization,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relation with daily life and improving key competencies is emphasized in 2015 Revised Curriculum. Under the main theme of today`s conference, Desirable Directions of Course Book according to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there are two main perspectives regarding the matter. One is a broad study of course book of Classical Chinese, and the other is practical approach of editing the course book. Most studies about Classical Chinese textbook have been categorized the latter, and studies that can be categorized the former also have been conducted via the latter approach, as you can see in today`s conference. Let`s expect today`s event will help editing and studying of Classical Chinese course book.

      • KCI등재후보

        漢文文法 敎育史 硏究.

        安載澈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1 No.-

        이 논문은 미군정시대의 교수요목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의 사적 변천과정을 연구하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되었다. Ⅰ장에서는 논문의 집필동기, Ⅱ장에서는 중·고등학교 한물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 교육의 변천, Ⅲ장에서는 각 교육과정기에 나타난 중 ·고등학교 한문문법 교육의 내용 비교 분석,耐장에서는 위에서 논의되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결론 으로 삼았고, 앞으로 한문문법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분야로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기까지중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의 변천과정, 각 시기별증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교과 지도 내용,지도 방법 및 평가 항목 속에 나타나고 있는 한문문법의 내용 비교·분석·검토 등의 연구이다, 이 논문의 중요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 교육의 변천 교육과정기의 일정한 싸이클이 중 고등학교에 똑같이 형성된 것 같다. 대체로 교수요목기와 제1·2차 교육과정기는 한문 문법 교육의 '맹아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고, 제3차 교육과정기는 우리 한문과가 독립되어 한문문법 교육이 실시되는 터전을 마련하여 웅비하고자 하는 '개화기'에 해당한다고 볼수 있다.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문문법 교육이 체계화·조직화되고 펼쳐져 나아가는 '발전기'로 여겨진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더욱 문법교육이 정비되고 다져져서 가장 발전되고 심화된 '융성기'로 볼 수 있으며, 제6차시기는 한문교과가 필수에서 선택 과목(재량과목)으로 되어, 5차보다는 문법교육이 좀약화되었지 만, '난숙기'라 생각된다. 7차 교육과정기는 '국민 공통기본 교육과정'에 한문과목이 필수 과목에서 제외되고, 문법교육도 6차보다 더욱 약화된 내용일 수밖에 없어, '노쇠기'에 해당한다 하겠다. 2.각 교육과정기에 나타난 한문문법 교육의 내용 비교 분석중 고등학교 공히 제3차 교육과정기에 들어서 교육과정의 각 영역들이 구체화되기 시작한다.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은 '지도 내용' '지도 방법' '평가' 등의 영역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제4차·5차 교육과정기에서는 '내용'영역에서 문법에 관한 교수·학습 요소들이 상세하게 제시되고 있고,제6차·7차 교육과정기에서는 '지도 방법'과 '평가' 등의 영역에서 문법에 관한 사항들이 자세하게 진술되고 있다. 한문문법은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서 한문과 교수 학습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한 축을 구성 한다. 좀더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의 구축에 있어,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은 제4차 5차 교육과정기의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한문문법에 준하는 정도의 내용구성은 되어야 한다. 즉,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의 영역 속에,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문법용어' 사용에 관한 진술은 한문교육과 유관한 학회나 단체가 마련한 '한문문법 통일안'에 근거한 용어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조항이, '지도사항 및 유의점' 속에 반드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한문문법은 문장 독해를 원활히 하는데 도움이 되는 범위 내에서 예를 통하여 지도하되, 이에 필요한 문법 용어는 '한문문법통일안'에 제시된 용어에 따르도록 한다.'정도의 내용은 제시되어야 한다. 제8차 교육과정기에는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 위에서 논의되었던, 바람직한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이 반드시 포함되어 구성되었으면 한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ransition processes of Chinese grammar curriculum for Chinese classics subject from 'the era of teaching guideline'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high school. This thesis consisted of 4 chapters. In Chapter 1 writing motive was presented. Transition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which appeared in each National curriculum period for middle·high school were explained in Chapter 2. Each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period comparative analyzed in Chapter 3. Finally conclusion was made by arranging the contents discussed above and proposal for Chinese grammar education's ideal direction was suggested in Chapter 4. In this thesis, I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on transition processes of Chinese grammar curriculum for Chinese classics subject from 'the era of teaching guideline'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high school and characteristics, goals, instructive methods, contents in Chinese grammar etc. The important matters are summarized below. 1. Transition of grammar education in curriculum of Chinese classics subject It seems to be formed constant cycle of the curriculum similarly in middle·high school. The period of 'the era of teaching guidelines' and the 1st·2nd National curriculum corresponded with the 'beginning age'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generally. The period of 3rd National curriculum is regarded as 'enlightened age' from preparing operation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through separation. The period of 4th National curriculum is considered as 'growing age' for being systematic and expanded. The period of 5th National curriculum is seems to be more improved and most developed so it regarded as 'flourishing age. In the period of 6th National curriculum this subject changed from required to elective therefore grammar education had weaken than before but it considered as 'high time'. Therefore, in the period of 7th National curriculum subject was excepted from 'national common fundamental curriculum' due to be an elective subject and then it is took as 'senile age'. 2. Comparative analysis on grammar contents of each curricula period Each area of curriculum concretized on the 3rd National curriculum generally. Contents about grammar appeared in 'instruction substance' 'instruction method' 'evaluation' area mostly. In the 4th·5th National curriculum teaching/study items were presented fully on 'contents' area. Items about grammar were explained in full on 'instruction method' and 'evaluation' area in the 6th·7th National curriculum. Chinese grammar is a important axis to construct methods and instruction contents in Chinese classics curriculum. For making more ideal curriculum, contents structure should be accord with the one which suggested in the 4th·5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at least. That is contents on grammar should be presented in curricula area of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s' 'methods' 'evaluation'. In notes for instruction and attention Grammar terms usage should be presented as an article that terms based on 'chinese grammar unification proposal' by organization or society concerned with Chinese education by all means. e.g. it should be presented at least that instruct the Chinese grammar with examples for comprehension in helpful range, however grammar terms had better to comply with 'chinese grammar unification proposal' I hope that the curriculum for Chinese classics in the 8th National curriculum will reflect the above points for the effective grammar education certainly.

      • KCI등재

        韓國 初ㆍ中ㆍ高等學校의 漢字ㆍ漢文 敎育 現況

        윤재민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한국의 初等學校에서 漢字, 漢文 교육은 1945년 이후 1969년까지만 하더라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줄곧 시행되어 왔다. 초등학교에서 漢字 교육이 폐지된 것은 1969년 9월 개정되어 1970년 1학기부터 시행된 교육과정 부분 개정에서부터이다. 이후 현재에 이르도록 초등학교에서의 漢字, 漢文 교육은 정규 교과로는 더 이상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1992년 고시되고 1995년부터 시행된 제6차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에 ‘학교 裁量 시간’을 신설하면서, 이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 활동으로 ‘漢字, 컴퓨터, 勞作 등의 활동’을 예시함으로써 제한적이나마 漢字, 漢文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1997년 고시되고 2001년부터 시행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 예시 조항을 다시 삭제함으로써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초등학교에서의 漢字, 漢文 교육은 교육과정 상의 어떠한 근거도 없이 일부 지역 교육청이나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파행적으로 시행되거나 私敎育 市場에 맡겨지고 있는 형편이다. 한국의 中學校에서 漢文이 독립 교과로 교수되기 시작한 것은 1972년 2학기부터이다. 그 이전에는, 漢文이 국어 교육의 일부로서 부분적으로 교수되거나 아예 교수되지 못하기도 하였다. 처음으로 ‘漢字 지도 要綱’이 제시된 것은 1951년 2월에 발표된 文敎部의 ‘戰時 學習 指導 要領’이다. 여기서 문교부는 일상생활에 긴요하다고 인정되는 漢字 1,000자를 골라서 國民學校 4ㆍ5학년 각 300자, 6학년 400자로 配當하여 가르치도록 하고, 이 1,000자의 制限 漢字를 中學校에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후 1955년 8월 고시된 제1차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속에 ‘중학교의 漢字 및 漢字語 학습’ 사항을 포함시켜 漢字, 漢文 교육을 국어과 교육과정의 하위 內容 領域 가운데 하나로 기술하였다. 1963년 2월 15일에 고시된 제2차 교육과정에서도 漢文은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속에 포함되어 중학교 국어과 內容 領域의 하나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1969년의 교육과정 부분 개정에서는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漢字 및 漢文 指導’ 조항을 삭제하여 중학교 한문 교육을 아예 폐지하고 말았다. 그러다가 1972년 2월 고시된 교육법 施行令에 의하여 漢文 교과가 독립 新設되어, 이 해 2학기부터 漢文이 독립 교과로서 공식적으로 교수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73년 8월 고시된 제3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제5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중학교 漢文은 1, 2, 3학년 각기 주당 1시간씩의 必修 科目으로서 교수되어 왔다. 그러나 1992년 6월 고시되고 1995년부터 시행된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漢文이 선택 과목으로 되었고, 이후 이러한 사정은 크게 변하지 않은 채 오늘날에까지 이르고 있다. 한국의 高等學校에서 漢文이 독립 교과로 교수되기 시작한 것은 중학교 漢文과 마찬가지로 1972년 2학기부터이다. 그 이전에는 國語 교육의 일부로서 고등학교 漢文이 교수되어 왔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漢字, 漢文 교육을 폐지한 1969년의 교육과정 부분 개정 때에도 고등학교 漢文은, ‘國語Ⅰ’에서 漢字 교육 부분을 삭제하는 대신 인문계 고등학교 ‘國語Ⅱ’에 있는 漢文을 6單位에서 8單位로 증가시켰는바, 역시 國語 교육의 일부로서 漢文을 敎授하였던 것이다. 이후 1972년 敎育法 施行令에 의하여 漢文 교과가 독립 신설되고, 1973년 고시된 제3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제5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고등학교 ... Since 1945, in the Korean elementary schools,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d been performed through the various methods till 1969. In the elementary schools, abolition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resulted from the partial revision of the curriculum which revised on Sep.,1969 & executed from the 1st semester in 1970. Since then,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n’t been performed till now as the regular course in the elementary schools. However, ‘School Discretionary Activities’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 6th curriculum, notified in 1992 & executed from 1995, and ‘Activities including Chinese Characters, Computer & Elaboration’ were exemplified as the educational activities to be used. So, though restrictively,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me to be possible. But. in the 7th curriculum, notified in 1997 & executed from 2001, such exemplification provision was again deleted. So, till now, in the elementary schools, it’s the situation that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being executed creepingly at the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or a schoolmaster’s discretion without any base on the curriculum or being put on the markets of private education. In the Korean middle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began to be instructed as the independent subject from the 2nd semester in 1972. Before then, Korean Classical Chinese had been instructed partially as the part of Korean Language or never instructed. Firstly, ‘Korean Classical Chinese Guidance Principle’ was presented from ‘Learning Guidance Principle in the Wartime’ of The Ministry of Culture & Education', announced on Feb. 1951. And then, The Ministry of Culture & Education selected 1,000 Chinese Characters recognized as necessary in the everyday life, allotted 300 Characters for the 4th․5th grade in the Elementary each, 400 Characters for the 6th grade, and made such restrictive Chinese Characters of 1,000 letters apply to the middle schools. And then, in the 1st curriculum notified on Aug., 1955, ‘Chinese Characters & Chinese Character Words 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was co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s, and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described as one of the sub contents area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also in the 2nd curriculum notified on 15th, Feb., 1963,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co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and described as one of the contents areas of Korean Language. However, in the partial revision of curriculum in 1969, provision of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Guidance’ was deleted from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so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abolished completely in the middle schools. And then, by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Educational Act notified on Feb.,1972, a course of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newly & independently established, so it began to be instructed officially as the independent course from the 2nd semester of the year. Since that, from the 3rd curriculum notified on Aug., 1973 to the 5th, in the middle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instructed as the required subject for 1 hour a week in the 1st, 2nd, & 3rd grade each. However, in the 6th curriculum notified on June, 1992 & executed from 1995, in the middle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became an optional course, and such a situation has continued till now without great changes. In the Korean high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began to be instructed as the independent course from the 2nd semester in 1972 as the same as in the middle schools. Before then, high school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instructed as the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ven in the partial revision of curriculum in 1969 which abolished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