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말 의병사 연구에 있어서 용어 사용 및 시기구분 문제와 중등교과서의 서술체계

        홍순권 한국역사교육학회 2014 역사교육연구 Vol.- No.20

        한말 의병에 대한 연구는 1960년대 들어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져 그동안 많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왔다. 그러한 학계의 연구 성과는 대학의 교양 과목을 포함하여 일반 한국사 개설서는 물론 초중등 교과과정에도 반영되었다. 이로 인하여 한말 의병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확대된 측면이 있지만, 각 시기 의병의 활동과 의병의 성격에 대해서는 외견상 여전히 좁혀지지 않는 인식의 격차가 존재한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한말 의병 활동에 대한 용어 사용이나 시기구분 방법에서 두루 나타나고 있다. 한말 의병들의 활동을 일컫는 용어로 의병운동, 의병전쟁, 의병투쟁, 의병항쟁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정확한 개념 규정 없이 편의에 따라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또 한말 의병에 대한 시기구분도 12간지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사건의 발생 순차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 등으로 구분하는 등 연구자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역사 연구에서 특정한 사건을 지칭하는 용어는 그 사건의 성격과 의미를 규정하는 만큼 매우 중요하다. 시기구분 또한 그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말 의병 연구가 시작된 지 반세기에 이르도록 아직 이러한 것들에 대한 적극적인 문제제기가 부족했다. 이러한 국내 학계의 문제점은 중등교육과정의 교과서 서술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역사교육의 현장에 자칫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 글에서는 한말 의병에 관한 연구사적 검토를 통해서 종래 쓰여 오던 ‘의병운동’을 ‘의병전쟁’의 개념으로 대체하려는 경향이 있음과 더불어 그에 대한 정확한 개념 규정은 여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병전쟁’이라는 술어을 사용하는 연구자들은 당시에는 일제 침략에 항거한 의병운동이 민족운동의 주류를 형성했으므로 의병운동을 민족의지를 표현한 성격의 호칭인 ‘의병전쟁’으로 호칭할 것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수사적 표현으로 어법상 정확한 과학적 술어라고 보기 어렵다. 또 연구자들 가운데는 한말 의병 활동에 대해서 그 성격을 ‘의병운동’으로 규정한 경우도 많다. 그리고 ‘의병운동’이라는 술어는 지금도 학계 내에서 여전히 널리 통용되고 있다. 이처럼 의병운동과 의병전쟁이라는 용어 선택을 놓고 연구자들이 고민하는 가운데 중립적인 용어로 의병항쟁, 의병투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예도 적지 않다. 한말 의병 활동에 대한 연구자들의 다양한 용어 사용은 중등학교 교과과정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말 의병사의 시기구분 방법에 있어서는 여전히 간지를 사용하여 시기를 구분하는 경우가 많지만, 운동의 발생 순서를 드러내어 전기, 중기, 후기 등 3시기 또는 4시기로 구분하는 경우가 점차 대세를 이루고 있다. 양자를 혼용하는 경우도 흔히 있다. 반면에 또 국권상실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전 후 2시기로 구분하는 방법도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기구분에 대한 기준과 원칙은 아직 명확하게 세워져 있지 않다. 시기구분을 하는 이유가 사건의 발생 원인과 성격, 그리고 각시기 변화의 흐름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그 핵심이 있다면, 이를 기준으로 각 시기구분 방법의 장단점을 정확히 짚어보아야 한다. 그리고 관련 학계에서 이를 하나의 통일된 역사용어로 정리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한말 의병의 시기구분 역시 학계 내에 통일된 견해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현행 검정 한국사 교육과정에서... A lot of researches on the ‘Uibyong’(Righteous army) have been accumulated since the 1960s. Their academical results have been reflected by the history textbooks in secondary school or the cultural studies in college. They deepened the historical recognitions of the public on the ‘Uibyong’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But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earchers’ recognitions on the ‘Uibyong’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We can find such a difference in their choice of words or periodization about the ‘Uibyong’ activities. There are a few words as technical terms such as movement, war, struggle and resistance using now when they are alluding the ‘Uibyong’ activities as a historical event. But the choice of words is optional. There is no strict or scientific definition of such technical terms. The choice of historical words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y prescribes the meaning of the historical event. Therefore the optional usage resulted from the insufficient examination of the terminology may confuse the education of history, specially in the secondary school when it influence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ical textbooks. Nowadays there is a tendency to replace the ‘Uibyong movement’ with the ‘Uibyong war’. The user of the ‘Uibyong war’ explain that ‘Uibyong’ is the main stream of the national movement against Japanese invasion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and that we can name the historical event the ‘Uibyong war’ to express the national will of the ‘Uibyong’ activities. But this expression is a kind od rhetorics. It is hard to say that it is a scientifically defined historical term. There are many researchers using the ‘Uibyong movement’ for the ‘Uibyong’ activities as yet. I think that this traditional usage is more reasonable and could be more scientifically defined. Some other researchers prefer to use the ‘Uibyong’ struggle or the ‘Uibyong’ resistance, because they want to avoid the possibly wrong option between ‘war’ and ‘movement’. We can find such a confusion also in the past and present textbooks of secondary education. The confusion of periodization of the ‘UIbyong’ activities could be found in the researchers’ papers and textbooks of secondary educationas well. Some researchers use the sexagenary cycle, such as ‘Uilmi(乙未) Uibyong’, ‘Uilsa(乙巳) Uibyong’, ‘Byong-o(丙午) Uibyong’, or ‘Jengmi(丁未) Uibyong’. Some people prefer to phase of time, such as ‘earlier Uibyong’, ‘middle Uibyong’, and ‘later Uibyong’ or such as ‘first Uibyong’and ‘second Uibyong’. I think that we should examine deliberately and take the causes and the background of the beginning of uprising, the changes of joining groups and leader groups, and the phase of the situation etc. into consideration. This is our present task. So I suggest we use the ‘Uibyong movement’ as a historical term of Uibyong activities and the two period periodization of Uibyong activities, such as ‘earlier Uibyong’ and ‘later Uibyong’ which has four stages in the development of Uibyong activities. I hope futhermore discussions of my view afterward.

      • KCI등재

        안중근 상관 金斗星의 실체를 둘러싼 諸說의 비판적 검토

        오영섭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5

        Kim Doo Sung, who referred to as his superior at the court, is a mysterious figure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Kim was the hidden authority that bestowed Ahn the title of "Chief of Staff" or "Commander of the Independence Army in China and Russia." The scholars have provided different arguments regarding the identity of Kim. These argument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contrasting perspectives: whether Kim Doo Sung is a pseudonym for an existing person or is a name of an actual person. There has been ceaseless controversy over Kim's identity, mainly due to lack of the related historical records. Two main theories, Fictitious Character Theory and Actual Person Theory, have been in opposition to each other regarding Kim's identity. The two most convincing theories, Yoo In Suk Theory and King Kojong's Nearby Person Theory, each display its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However, the questions presented by these theories cannot be answered at this moment simply because there is not enough sources. Hopefully, as more records are discovered in the future, the scholars will be able to come to a resolution on Kim's identity. Nevertheless, whether Kim was an actual person or Yoo In Suk, he was indubitably an influential figure who served as the "Governor-General of Independence Army in 8 Provinces." For Kim to give Ahn the title of "Chief of Staff or "Commander of the Independence Army," he needed the approval of King Kojong or his people. In other words, he needed King Kojong's approval letter that confirms the commander position of the Independence Army, either given directly from the king or his peop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Kim must have granted Ahn the position as "Commander of Independence Army" or "Chief of Staff," under King Kojong's authority. In short, whether Kim was an actual person or a pseudonym of another person, he was the personnel in charge of the Independence Army in Maritime Province. Not only that, he was the Govornor-General, the undercover controller of the Independence Army. It can be concluded that he had been given a special authority to control the area by King Kojong in Seoul or people close to the king. 안중근을 연구할 때 가장 중요한 1차 자료인 『안응칠역사』와 재판기록에 나오는 김두성은 안중근의 상관이었다. 그는 ‘8도의병의 총독’의 자격으로 안중근에게 참모중장과 의병사령관이란 직함을 주어 의병운동을 추진하게 하였다. 안중근은 김두성이 내려준 직함들에 힘입어 연해주와 중ㆍ러 국경지대에서 의병운동을 전개했다. 또 나중에는 대한의군 특파독립대의 일원으로서 하얼빈 역두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포살하는 역사적 위업을 이룩했다. 이로 인해 김두성이 누구인가 하는 문제는 일찍부터 한국근대사 연구자들에게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과제 가운데 하나로 남아 있었다. 그런데 안중근이 재판정에서 자신의 ‘상관’이라고 말한 김두성은 한말 의병운동사나 연해주 독립운동사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지 않는 미지의 인물이다. 현재 연구자들은 김두성의 실체에 대해 유인석설, 김두성설, 최재형설, 고종황제설, 고종황제 주변 인물설 등 각기 다른 주장들을 내놓고 있다. 이런 주장들은 김두성을 실존인물의 가명으로 보느냐(유인석설, 최재형설, 고종황제설), 아니면 실존인물로 보느냐(김두성설, 고종황제 주변 인물설)로 다시 크게 구분된다. 이처럼 김두성의 실체를 둘러싸고 논란이 분분한 근본 이유는 김두성 관련사료가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김두성은 안중근에게 ‘참모중장’ ‘청국과 러시아 인근의 의병사령관’이란 직함을 내려준 연해주의병의 막후실세였다. 김두성의 실체에 대해서는 가공인물설과 실존인물설이란 주장이 대립하고 있는데, 이중 가장 유력한 주장이라고 생각되는 유인석설과 고종황제 주변 인물설은 각기 그 나름의 분명한 장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단계에서는 관련자료의 부족으로 말미암아 이 문제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헤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 문제는 향후 김두성에 관한 새로운 자료가 발굴됨에 따라 해결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현재 남아있는 영성한 자료에 기대어 말한다면 김두성은 실존인물일 수도 있고, 유인석을 가리키는 것일 수도 있다. 나아가 이도저도 아니라면 최재형ㆍ이범진ㆍ이위종ㆍ김인수ㆍ기타 고종 밀지 소지자일 수도 있다. 김두성의 실체 파악과 관련하여 간과할 수 없는 중요 사실은 김두성이 실존인물이든지 유인석이든지 간에 ‘8도의병의 총독’이라는 막중한 의병총독의 자격을 지닌 인사였다는 점이다. 그런데 김두성이 안중근에게 ‘의병사령관’이나 ‘참모중장’이란 타이틀을 주려면, 한말 당시의 역사상황에서 전국 의병의 총책자임을 허여하는 고종의 밀지나 밀지에 준하는 신물(마패 등)이나 구두성 당부를 고종황제나 그의 측근들로부터 받고 동시에 대한의병의 총사령관에 해당하는 총독의 자격을 인정받아야만 했다. 따라서 김두성은 자신이 고종세력에게서 받은 고종황제의 권위를 등에 업고 안중근에게 ‘의병사령관’이나 ‘참모중장’이란 타이틀을 내려준 것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요컨대 김두성이란 인물은 가명 인물이든 실재 인물이든지 간에 연해주의병을 이면에서 총괄한 의병총독에 해당하는 인물로서, 서울의 고종세력으로부터 연해주 의병운동을 총괄할 수 있는 특별한 권위를 부여받은 인사였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한말 경남지역 의병운동과 일본군의 의병 학살

        홍순권 육군군사연구소 2011 군사연구 Vol.- No.131

        The struggle of the Righteous Armies, which was resumed with the break out of Russia-Japan War of 1904, was at its peak in 1907 when the army of Korean Empire was dispersed. The aftermath of this patriotic militia reached Kyungsang Namdo province which was the most distant region from Seoul. This writing is aimed to comprehensively reconstruct the facts of the Righteous Army movement in Kyung-Nam province after the dispersion of Korean army in 1907 and the oppression of Japanese troops on the militia. These works were made possible by the recently discovered 『The Camp Journal of the Fourteenth Infantry』. This data is a journal written by the Fourteenth Infantry of japanese army in the form of a report. It contains the facts concerning the suppression of militia in Young-Nam and Ho-Nam province from the station of Japanese army in July, 1907 to their return in June, 1909.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journal and its major points are as follows. Right after the dispersion of Korean army in August, 1907, the Righteous Army movement was localized in adjacencies of Deok-Yoo mountain and Ji-Ri mountain. However, in January, 1909, the movement began to spread to wider regions. Henceforth, in the Kyung-Nam province, numerous militia forces were brutally massacred by the Japanese troops during the series of combats that continued for a year and a half. The militia movement after the dispersion of Korean army in Kyung-Nam province cannot called the most fierce compared to Jeon-Ra province or other southern regions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In fact, militia movement in Kyong-Nam province was initialized later than other regions and its intensity was also relatively low. There are three major reasons why the militia movement in Kyung-Nam province have such characteristics. First, the Japanese troops were stationed at open port of Busan and naval port of Jin-Hae at convenience of supervision on militia movement. Second, nationalist scholars who were the driving force of such militia movement had weak influence in Kyung-Nam province. Third, militia movement in Kyung-Nam province was largely influenced by militia forces of other regions. It is true that militia resistance in Kyung-Nam province was weaker than other regions but, as for western and eastern regions of Kyung-Nam province, the resistance was as serious as Ho-Nam province or Kyung-Book province. This localized severity of resistance in Kyung-Nam province is estimated to result from several reasons. First, after the attempt of alliance of thirteen provinces to regain Seoul failed in January, 1908, the militia forces advanced southward. Second, militia movement in Ho-Nam province near Deok-Yoo and Ji-Ri mountain escalated. Finally, due to suppression of Japanese forces, militia force of Kyung-Book receded southward. All-out suppression on Kyung-Nam militia forces of Japanese Fourteenth Infantry was carried out when militia movement of western Kyung-Nam province reached its peak. The Fourteenth Infantry landed at Busan right before the dispersion of Korean army in 1907 and in that same year they established regiment headquarters in Daegu as well as military operation to devastate militia forces in Young-Nam and Ho-Nam provinces. Japanese forces reinforced pressure on militia forces in the area by dividing defense districts under the Fourteenth Infantry into three districts: Daegu defense district, Gwangju defense district, and Kyungju defense district. The Fourteenth Infantry, especially focused on suppressing militia forces near mt. Ji-Ri, changed Gwangju defense district into Jinju defense district and transferred the Second battalion to Jinju on April of the same year in order to begin a full-fledge suppressing attack on militia forces in western Kyung-Nam province. After suppression on militia movement under the three defense districts system, which continued until November, the militia movement in western Kyung-Nam province was significantly weakened... 1904년 러일전쟁을 계기로 다시 일어난 의병들의 투쟁은 1907년 대한제국 군대의 해산을 계기로 절정에 달해, 그 여파는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경상남도 지역에까지 이르렀다. 이 글은 1907년 대한제국 군대의 해산 이후 경남지역에서 일어난 의병운동의 실상과 이에 대한 일본군의 탄압 과정을 종합적 으로 재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작업은 최근 발굴된 보병제14연대 진중일지 때문에 가능하게 되었다. 이 자료는 일본육군 보병제14연대가 기록한 일종의 전투보고서 형태의 일지로 1907년 7월 한반도 주둔 이후 1909년 6월 본국 귀환까지 영남과 호남지역의 ‘의병토벌’에 관한 사실들을 기록한 것으로 본 연구는 이 자료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1907년 8월 대한제국 군대의 강제해산 직후만 해도 경남지역 의병들의 활동은 덕유산과 지리산에 인접한 일부 지역에 국한되었을 뿐, 실제 의병운동이 좀 더 광범위한 지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1908년 1월에 이르러서였다. 이후 경남지역에서는 서부경남 일원을 중심으로 약 1년 반 동안 의병과 일본군 사이에 수많은 접전이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많은 의병들이 일본군에 의해 무참히 학살되었다. 한반도 남부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특별히 치열했다고는 할 수 없다. 오히려 전체적으로는 경남지역 의병운동은 다른 지역에 비해서 늦게 본격화되었으며, 저항 강도도 상대적으로 약했다. 경남지역 의병운동이 이러한 특성을 지니게 된 원인으로는 첫째, 개항장인 부산과 군항인 진해 등에 일찍부터 일본군이 주둔하여 의병세력의 동태에 대한 감시가 용이했다는 점, 둘째 척사파 유생층의 기반이 상대적으로 약해 의병운동을 촉발시키는 내부적 기제가 미약했다는 점, 셋째, 따라서 외부지역 의병세력의 영향이 컸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비록 전체적으로 경남지역 의병세력의 저항이 타 지역에 비해서 약했다고는 하지만, 경남 서부지역과 동부지역에서만큼은 호남지역이나 경북지역 못지않게 의병투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이러한 경상남도 내 의병운동의 지역적 편중은 1908년 1월 13도연합의군의 서울 진공 실패 이후 의병세력의 남하, 덕유산과 지리산 인근 호남지역 의병운동의 발전, 일본군의 ‘토벌’ 공세로 인한 경북 의병세력의 남진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군 보병제14연대가 경남지역 의병세력에 대한 본격적인 ‘토벌’ 공세에 나선 것도 경남 서부지역 의병운동의 고조 시기와 거의 때를 같이 한다. 1907년 군대해산 직전 부산에 상륙한 이후 보병제14연대는 동년 9월 이후 대구에 연대본부를 설치하고 영호남지역의 의병세력을 초토화하기 위한 군사작전을 전개하였다. 일본군은 1908년 2월부터 보병제14연대 관할 내 수비지를 3개의 수비구(대구수비구,광주수비구, 경주수비구)로 나누어 영호남지역 의병세력에 대한 압박을 강화해 나갔다. 특히 지리산 인근 의병세력의 진압에 심혈을 기울이던 동 연대는 동년 4월에 이르러 종전의 광주수비구를 진주수비구로 바꾸고 제2대대본부를 진주로 옮겨 경남 서부지역의 의병세력에 대한 본격적인 ‘토벌’ 행동에 돌입하였다. 대구-진주-경주수비구 체제하에서 동년 11월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된 일본군의 토벌작전 결과 경남 서부지역에서 의병활동은 현저히 약화되어 사실상 의병세력이 거의 자취를 감출 지경에 ...

      • KCI등재

        러일전쟁 전후 한인의병운동에 끼친 ‘러시아적 요소’와 한인의용군 창설계획

        심헌용 ( Sim Heon Yong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42 No.-

        This research is focusing on the 'Russian Factors in the Korean Righteous Movement in the end of the Great Han Empire(韓未 韓人義兵運動, KRM in the end of GHE), illustrating the background of the Korean Volunteer Army(韓人義勇軍, KVA) Organization designed in the period of the Russian-Japanese War and its nature. The KVA, which was prosecuting the cooperative military operation forming a combined military unit, was composed of irregular righteous volunteers from various classes. The rise of the Righteous Armies in the late Korean Empire developed into a movement for restoration of its sovereignty after the Russian-Japanese War. Though the War was between the two imperial nations, Russia and Japan, Korean people took part in the battle front as a participant, not as an onlooker, as Korean peninsular became the battlefield itself and the fate of Korean peninsular was at the mercy of the outcome of the battle. It was naturally a front against Japan and its main field of activity was the north part of Korean peninsular and Manchuria and Primorye. Up to now, researchers have enriched the contents of their studies, concentrating on the KRM in the end of GHE. They have studied on the systematical classification of the specific periods and explored different themes. Many findings on the officers1 activities in the Manchuria and Primorye with the expended activities of righteous army to the foreign lands have come out. But the majority of the researches were emphasizing on the individual righteous officers and they were no other than the studies on the expanded sphere of the righteous army's activity in Korea. This research is concentrating on the fact that the righteous activity was developed as a shape of united military operation or international linkage with the Russian army. Russia gave a great effect on the KRM in the end of GHE in that the two nations have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each other, historical background of military relation and the necessity of military strategy required in the war-time. I referred to these as 'Russian Factors' and explored the organization background of the KVA as a concrete illustration or international military activities and its substance and value on the basis of data of the State Military Historical Archives of Russia(軍歷史文書保管所).

      • KCI등재

        초등학교 지역지리학습교재 개발 사례 연구: 광주광역시 어등산의 한말의병운동을 중심으로

        송하인(Song, Ha-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1

        본 연구는 한 초등교사가 1년 동안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지리학습교재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새롭게 알 게 된 점을 밝혀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어등산 한말의병운동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오래된 지역의 사건에 대해서 자료를 보관하지 않아 자료수집이 어렵다는 것과 그것을 학생들 수준에 맞게 조직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 자신이 지역에서 일어난 사건에 대해서 자세히 알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항상 그 자리에 있었던 한 공간이 나에게 의미 있는 장소로 인식되었다. 또한 한편의 논문을 쓰는 과정을 통해 교사의 지리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신장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의 지리교육에 관한 실천적 지식을 지향하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서 교육청, 학회 등에서 교사가 교재개발을 하기 위해서 어떤 지원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작은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the difficulties of developing regional geography learning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a year faced by a teacher and relevant outcomes. To this end, the Righteous Army Movemen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t Mountain Eodeu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as presented as a case. The results showed that it was challenging to collect data on past regional events because of inadequate data storage and reorganization fit to the level of students. Despite such difficulties, the author learned more about the local events on the occasion of this research, and a place was considered as personally invaluable. Additionally, teacher expertise in geography education improved while writing a dissertation.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focused on practical knowledge on geography education attain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Last, the useful findings can facilitate how educational offices and academic society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mainly led by teachers.

      • 청말(淸末) 중국(中國)의 무장호국운동(武裝護國運動) -한말(韓末) 의병운동(義兵運動)과의 비교(比較) 시론(試論)-

        金鍾健 ( Kim Jong-geon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08 지역문화연구 Vol.7 No.-

        The period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 was an age of great renovation in which the change of traditional order was caused by foreign power's invasion. Not only western civilizations penetrated into Korean society in large scale through opened door, but the change in conventional values, the attempt of political reform and radical social changes were occurred. Above all, the encroachment of country by foreign powers were the most painful. The invasions by foreign powers into the country were very shocking to our country as well as to China. And various ways of responses to the invasions were tried and made, such as reform movement for modernization, sense of crisis that even all nation might be plundered, and righteous army movement by volunteers to resist militarily against the foreign invasions. In China, besides modernization movement modeling on western civilizations, there were also developed conventionalist resisting movement against western powers after door was opened by the Opium War in 1840. When there were western military invasions, military resistances were made not only by official army but also by peoples of volunteer armed for themselves. People's movement is generally named 'righteous uprising(起義)' in China. And there are plenty of cases which can be called righteous army movement among righteous uprisings in China in late 19th century.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righteous army movement of late Han Korea and armed defense movement of late Ch'ing China, which can be said to result from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differences between two nations. On the contrary, the similarities between two movements are more meaningful, considering the background, historical situation, catch phrases and the purpose, leading powers and features of members, and chronical procedures of movement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