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한글운동과 문맹퇴치(문자보급) 운동 연구

        허재영 ( Heo Jaeyoung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4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한글운동과 문맹퇴치(문자보급)운동의 성격과 전개 과정 등을 규명함으로써, 한글운동의 본질과 식민시대 문자보급운동이 갖는 의의를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한글`이라는 용어는 1910년 전후 주시경에 의해 만들어진 용어이다. `한글운동`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쓰인 것은 1920년대 중반 이후로 확인되는데, 이 용어가 일반적으로 쓰이기까지는 `조선문`, `언문`과 관련한 연구 및 보급 활동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연구 및 보급 활동은 시대별로 차이를 보이는데, 국권 상실기인 1910년대에는 우리글이 `국문`의 지위에서 `조선문`으로 격하되었으며, 정규 교육 차원에서 조선어 교과의 위상도 매우 낮았다. 1920년대 전반기에는 조선문 연구와 정리, 보급 활동이 출현하는데, 이 운동은 문화운동 차원에서 진행된 운동이다. 1925년 이후에는 조선농민사의 설립, 동아일보사의 한글운동, 조선어연구회의 동인지 『한글』 창간 등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한글운동이 시작되었으며, 그 가운데 하나로 `문맹퇴치(문자보급)운동`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 주목할 것은 `한글`이라는 용어가 사회 일반에 통용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며, `한글운동`이라는 용어도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일제강점기 한글보급운동은 식민 통치기 정규교육을 보완하는 차원으로 진행된 점, 그나마 총독부의 간섭과 방해가 심했다는 점 등에서 민중계몽에 필요한 지식을 전달하고 비판의식을 함양하는 데에는 본질적인 한계를 갖고 있는 운동이었다고 규정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tendency of the Hangeul Movement and the movement for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s. The Hangeul movement is different from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movement. The former meant the movement of arrangement or unification of Hangeul(the Korean alphabet), the latter meant the movement campaign to abolish illiteracy. Strictly speaking, the latter contained the former. These movements appeared during the whole period of colonial times. The term of `Hangeul` used by JU SIGYEONG(주시경) in 1910`s. This term was commonly used in the middle 1920`s. The Korean alphabet were downgrade from national letter to JOSEON`s letter(조선문) during colonial times. The Hangeul movements aim was the unification of spelling, unity of speech and writing and abolish on of illiteracy. The Hangeul diffusion movement has become active by the Farmer Organization and the Press Company in the 1926. This movement were led by the JOSEON NONGMINSA(the publisher for Korean farmers), the DONGAILBOSA and the JOSEONILBOSA(newspaper publishing company). Though this movement achieved some measure of effectiveness, the colonial government suppressed this movement continually.

      • KCI등재

        전근대 시기 한글 보급의 동인과 시대적 의미

        최경봉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동방학지 Vol.189 No.-

        본고에서는 백성의 교화를 통해 유교적 이념 사회를 구축하고자 했던 조선 왕조의 목표에 주목하면서, 전근대 시기에 이루어진 한글 보급의 특징과 시대적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한글을 공식 문자로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이를 국가 이념인 유교적 가치관을 확산하는 도구로 활용한 한글 보급 정책의 양면성에 주목하였고, 그 양면성이 ‘동문동궤(同文同軌)’로 상징되는 중화 문명의 질서 체계를 유지하면서 유교적 이념 사회를 구축하고자 했던 목표에서 비롯한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백성의 교화와 한글 보급이 긴밀히 연계되어온 상황에 주목하면서, 한글 보급과 교화의 사회적 기반으로서 향교나 서당과 같은 향촌 교육기관의 역할을 설명하였다. 3장에서는 한글 보급 정책의 양면성과 관련지어 한글 서적의 성격을 분석하였고, 이를 근거로 한글 서적의 증가가 지식의 생산과 유통 방식에 변화를 가져올 수 없었음을 지적하였다. 이 과정에서 두 가지 문제점이 부각되었는데, 첫째는 전근대 시기에 이루어진 한글 사용의 확대와 근대에 이루어진 한글 사용의 확대를 같은 차원에서 설명하는 방식의 문제점이고, 둘째는 한글 서적의 증가 현상이나 한글 담론의 출현에서 근대성의 징표를 찾으려는 논의의 문제점이었다. In this article, we noted the goal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anted to build a Confucian ideological society through the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from this point of view w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Hangeul dissemination made during the pre-modern period. In Chapter 2, we discussed the two-sided nature of the Hangeul dissemination policies, which does not use it as an official writing system, but uses it as a tool to spread Confucian ideas. And we referred to Seodang(a private school for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and Hyanggyo(a local school annexed to the confucian shrine) as a social base of Hangeul education and dissemination.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nature of books translated into Korean and pointed out that the increase in Han-geul books did not lead to changes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In this regard, we pointed out the problem of explaining the expansion of Hangeul during the pre-modern period in the same way as the expansion of Han-geul during the modern period.

      • KCI등재

        로스역 한글성경의 보급과 현재 소장본에 대한 연구

        박형신(Park, Hyung Shi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2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57

        두 부분으로 구성된 이 논문은 1) 로스역 한글성경의 보급에 대하여 탐구하고, 2) 현재 소장된 판본들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급 측면에서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거나 덜 알려졌던 보급자들에 대하여 탐구하고 보급 시기에 대하여 상세한 이해를 시도하며, 보급량에 대하여 이전의 연구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추산을 시도한다. 이 연구에 따르면, 6부류의 전도자와 권서들이 만주와 한반도의 다양한 지역에서 1880년대 초부터 1900년경에 이르기까지 보급활동을 전개하였으며 보급량은 두 가지 방식을 통하여 67,000권에서 77,040권으로 추산된다. 소장본의 측면에서는, 현재 국내와 해외에 최소한 총12종의 로스역 한글성경이 소장되어 있음이 확인되었고, 그 판본들의 종류 및 소장처가 소개되었다. 판본들에 관하여 기존에 잘못 서술된 정보의 수정이 제안되었으며, 이전 연구에서 출판이 추정되었으나 소장본과 영인본이 확인되지 않던 『예수셩교셩셔말코복음』(1884, 후반기) 판본이 국내에 소장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로스역 한글성경은 다양한 형태로 기증되어 소장되어 왔는데, 영국성서공회, 스코틀랜드성서공회, 그리고 미국성서공회에서 대한성서공회에 이 성경의 일부 판본들을 기증하였다. 국내에서는, 김양선이 한국기독교박물관에 기증한 로스역 한글성경들이 백홍준이 남긴 유산으로 판명되었다. 백낙준은 자신의 소장본을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기증하였다. 한편 대한성서공회 소장본 『예수셩교누가복음젼셔』(1882)와 연세대학교 소장본 『예수셩교젼셔』(1887)는 2016년 12월 15일자로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분야의 연구는 권서들에 대한 한국 측 자료의 발굴, 여성권서에 대한 연구, 그리고 새로운 로스역 단편 성경의 발굴 또는 관련 문헌의 추가적 확보 등을 통하여 한층 더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has two goals: 1) to study the distribution of Ross’s Korean New Testament and 2) to investigate various editions of the New Testament currently in the collection. In terms of distribution, it tries to explore the distributors who have not been identified or were less known until now, to attempt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distribution period, and to make a more accurate estimate of the amount of distribution. According to this study, six types of evangelists and colporteurs operated the distribution from the early 1880s to around 1900 either in Manchuria o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amount of distribution was estimated from 67,000 to 77,040 by two types of methods. In terms of the editions in the collection, the article identifies at least twelve editions of Ross’s translation that have been kept in Korea and abroad, and introduces the details of the editions and the places where they are being preserved now. It also corrects the errors in the information on some editions. Furthermore, it shows that the Gospel of Mark (the second half of 1884), which was claimed to be published in the second half of 1884 without the original or facsimile copy, was indeed published and has been extant in Korea. Editions of Ross’s Korean New Testament have been gifted and kept in various ways. The 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 the National Bible Society of Scotland, and the American Bible Society gifted several editions to the Korean Bible Society. Several editions of the New Testament that Kim Yang-Sun gifted to the the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gsil University are identified as the legacy of Baek Hong-Jun, one of the first evangelists in Korea. Baek Nak Jun gifted his collection of the editions to the library of Yonsei University. The Gospel of Luke (1882) preserved by the Korean Bible Society and The New Testament (1887) preserved by Yonsei University were designated as National Register of Cultural Heritage as of December 15, 2016. Research in this area is expected to develop further by discovering Korean data on colporteurs, studying women colporteurs, and finding new editions of Ross’s translation or obtaining the related literature.

      • KCI등재

        『신소년』에서 신명균의 한글 교육과 보급

        최미선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2024 방정환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신명균이 신소년에 게재한 한글 기사를 중심으로 표음문자의 특수성과 당시의 한글 표기에서 제시되었던 문제를 고찰하면서 한글 교육과 보급 및 한글 사상에 대한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명균은 「주시경 선생」, 「지상 조선어 강좌」 그리고 [한글]이라는 표제로 연재한 인물(전설) 이야기 등을 신소년에 실었다. 우선 「지상 조선어 강좌」에서는 9품사를 일목요연하게 보여 주었는데, 이는 “쓰기에서 한자보다 혼란스러운 점이 있다”라는 당시의 문제에 대해 언어학적 이론을 근거로해답을 주는 과정으로 볼 수 있었다. ‘말글자’와 ‘소리글자’로 층위를 나누고 품사의 역할과 기능 및 의미를 설명하였고, 바른 표기 방법을 제시하였다. 발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표음문자 표기 문제를 직시하면서, 한자보다 더 혼란스러워하고 있는 당시의 문제에 대한 설명이었다. 그리고 [한글] 연재에서는 표기와 띄어쓰기 등 수정 사례 텍스트로 제시하면서 실습할 수 있도록 보여주었다는 점도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앞서 문제적으로 제시했던 ‘소리글’을 어법에 맞도록 수정하고 있는 내용이다. 또 주시경 선생의 일화를 다룬 「주시경 선생」에서는 한글의 우수성과 탁월함을 지켜낸 스승을 회고하였다. 신명균은 한글 보급과 교육에서 표음문자의 특성과 우수성에 대해 명백한 견해를 보여 주었다. 소리글자의 탁월성과 간편성을 분명하게 인지했고, 부차적인 문제로 수반되는 자의적 표기의 문제는 맞춤법이라는 어법으로 규칙을 제시한 것으로 설명된다. 이는 한자 중심에서 벗어나려는 신명균의 사상으로 볼 수 있었으며, ‘한글’에 대한 자부심이며 ‘한글 정신’으로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phonetic characters and the problems presented in Hangul notation, focusing on the Hangul article published by Shin Myeong-gyun in Shinsonyeon. In addition, it aims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Hangeul education and dissemination and Hangeul thought. First, Shin Myeong-gyun proposed the 9 parts of speech. This was a process of providing an answer based on linguistic theory to the problem that “there are more confusing aspects to writing than Chinese characters.” Additionally, This divides the levels into ‘word letters’ and ‘sound letters’, explains the roles, functions, and meanings of parts of speech, and suggests the correct writing method. And in the series of story articles called [Hangul], the content of modifying ‘sound letters’ to fit the grammar was shown. Shin Myeong-gyun showed clear views on the characteristics and excellence of phonetic characters in the dissemination and education of Hangul. This could be seen as pride in ‘Hangeul’ and ‘Hangeul spirit’.

      • KCI등재후보

        『신소년』에서 신명균의 한글 교육과 보급

        崔美先 ( Choi Mi-sun ) 방정환연구소 2024 방정환연구 Vol.11 No.0

        이 연구는 신명균이 『신소년』에 게재한 한글 기사를 중심으로 표음문자의 특수성과 당시의 한글 표기에서 제시되었던 문제를 고찰하면서 한글 교육과 보급 및 한글 사상에 대한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명균은 「주시경 선생」, 「지상 조선어 강좌」 그리고 [한글]이라는 표제로 연재한 인물(전설) 이야기 등을 『신소년』에 실었다. 우선 「지상 조선어 강좌」에서는 9품사를 일목요연하게 보여 주었는데, 이는 “쓰기에서 한자보다 혼란스러운 점이 있다”라는 당시의 문제에 대해 언어학적 이론을 근거로 해답을 주는 과정으로 볼 수 있었다. ‘말글자’와 ‘소리글자’로 층위를 나누고 품사의 역할과 기능 및 의미를 설명하였고, 바른 표기 방법을 제시하였다. 발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표음문자 표기 문제를 직시하면서, 한자보다 더 혼란스러워하고 있는 당시의 문제에 대한 설명이었다. 그리고 [한글] 연재에서는 표기와 띄어쓰기 등 수정 사례 텍스트로 제시하면서 실습할 수 있도록 보여주었다는 점도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앞서 문제적으로 제시했던 ‘소리글’을 어법에 맞도록 수정하고 있는 내용이다. 또 주시경 선생의 일화를 다룬 「주시경 선생」에서는 한글의 우수성과 탁월함을 지켜낸 스승을 회고하였다. 신명균은 한글 보급과 교육에서 표음문자의 특성과 우수성에 대해 명백한 견해를 보여 주었다. 소리글자의 탁월성과 간편성을 분명하게 인지했고, 부차적인 문제로 수반되는 자의적 표기의 문제는 맞춤법이라는 어법으로 규칙을 제시한 것으로 설명된다. 이는 한자 중심에서 벗어나려는 신명균의 사상으로 볼 수 있었으며, ‘한글’에 대한 자부심이며 ‘한글 정신’으로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phonetic characters and the problems presented in Hangul notation, focusing on the Hangul article published by Shin Myeong-gyun in Shinsonyeon. In addition, it aims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Hangeul education and dissemination and Hangeul thought. First, Shin Myeong-gyun proposed the 9 parts of speech. This was a process of providing an answer based on linguistic theory to the problem that “there are more confusing aspects to writing than Chinese characters.” Additionally, This divides the levels into ‘word letters’ and ‘sound letters’, explains the roles, functions, and meanings of parts of speech, and suggests the correct writing method. And in the series of story articles called [Hangul], the content of modifying ‘sound letters’ to fit the grammar was shown. Shin Myeong-gyun showed clear views on the characteristics and excellence of phonetic characters in the dissemination and education of Hangul. This could be seen as pride in ‘Hangeul’ and ‘Hangeul spirit’.

      • KCI등재

        1910년대 미성년 독서물의 한글 글쓰기 양상 연구 : 신문관 발행 정기간행물을 중심으로

        구인서(Koo Yin-Seo) 우리문학회 2011 우리文學硏究 Vol.0 No.33

        근대 독자층의 형성과정은 곧 분화의 과정이기도 하다. 20세기 초를 전후하여 근대의 독자층이 분화되는 가운데, 그동안 독서 행위를 포함한 사회 · 문화 영역에서 배제되어 왔던 ‘아이’, ‘아?’가 책을 구독하는 ‘아동 독자층’으로 상정되었다. 그리고 이 미성년층을 교화하고 계몽하고자 하는 독서물이 동장한다. 출판사 신문관은 1910년대 초중반에 미성년층을 대상으로 한 일련의 정기간행물을 출간하였다. 근대 초기 조선의 문자 생활은 한문, 국한문, 일본어, 한글 등이 혼재되어 있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시기 일반대중이나 여성을 독자로 상정한 출판물은 한글을 활용한 글쓰기를 선보인다. 하지만 당시 선구적인 지식인들조차 한글 글쓰기에 대한 당위적인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을망정, 그것을 실제적인 언어공간에서 실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독 소아의 교육 분야는 ‘우리말글’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근대계몽기 이래로 끊임없이 강조되었고,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였다. 소아의 우리말글 사용에 대한 인식은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었는데, 하나는 ‘실용’의 차원이었고 다른 하나는 소위 ‘언어 민족주의’의 차원이었다. 1910년대에 신문관에서 발행한 미성년 대상 독서물은 ‘우리말글’의 사용에 대한 출판사의 의지와 실천을 보여준다. 미성년인 신세대를 독서 주체로 상정한 일련의 독서물은 당대에 규격화 되지 않았던 한글 글쓰기를 다양한 형태로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신문관이 미성년에게 적합한 글쓰기의 전형으로 제시한 한글 글쓰기의 보급과 한글 문장 표준화의 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신문관이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출간 한 『시문독본』 문장과의 비교를 통해 미성년 독서물 문장의 특징을 부각시켜 살펴본다. 신문관은 미성년에게 적합한 글쓰기로서 한글 글쓰기의 여러 모형을 제시하는 한편, 한글 글쓰기의 보급과 수정이 미성년에게 주어진 일종의 시대적 임무임을 제언하였다. In the process of divergence of modem read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publishing companies assumed the children as their readers. Then, enlightening and educating publications appeared. A publishing company, Shinmunkwan published periodical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1910s. The readings for adolescents published in Shinmunkwan in the 1910s represent the publishers’ willingness and practice of ‘Hangeul writing’. A series of readings considering their readers as adolescents, the new generation at the moment, presented various forms of Hangul writings which were not yet standardized at the time. Shinmunkwan tried to standardize Hangul sentences and to popularize Hangul composition as appropriate writing for adolescents. This paper examines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in readings for adolescents in comparison with sentences in Shimundokbon which was also published by Shinmunkwan for general readers. This paper argues that Shinmunkwan presented various forms of ‘Hangeul composition’ as appropriate writing for adolescents and claims that modification as well as extension of Hangul composition was a kind of responsibility of the generation.

      • KCI등재후보

        조선조 여성의 문자생활과 한글편지

        김무식(Kim Moo-Si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2

        종래 한글편지 자료는 텍스트 확정이라는 문제로 인해 상대적으로 국어학을 비롯하여 그 어떤 영역에서도 문헌 자료로서의 그 가치에 대해 주목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또 조선조 여성성과 여성 의식 등에 대해서도 이미 잘 알려진 문학작품이나 왕조실록과 같은 문헌자료에 의존한 것이 대부분인데, 필자는 여성에 의하여 이루어진 자료인 한글편지자료를 그 연구 대상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런 주제를 다루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본고에서는 조선조 여성의 문자생활과 성별에 따른 편지의 외형 및 주제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살펴보고 기술하였다. 본고에 따르면, 한글의 보급은 전국적으로 이미 15세기말에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한글편지는 대개 발?수신자를 고려하면 모두 여성과 관련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 성별에 따라 편지의 외형적 길이나 주제 측면에서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들 한글편지 자료가 여성성이나 여성의식 연구의 기초자료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도 밝혔다. Korean letter is not our black books till now for this material is an unreliable transcription data in a field of Korean study. Unlike an existing studies of woman's gender, I will survey a material of Korean letter as data of woman's gender and woman's consciousness. For studying this theme of woman's gender and woman's consciousness, I studied woman's life of Korean alphabet at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a traits of Korean letter, a theme of Korean letter as a preceding studies. As to this paper, the Korean alphabet 'Hunminjeongeum(훈민정음)' was here to stay to Korean women of Joseon dynasty in the end of 15th century and a material of Korean letter have a relation of Korean woman as a sender or receiver of Korean letter. Also, I searched out a variation of Korean letter length and a theme of Korean letter by the difference of gender as a sender or receiver. I concluded a Korean letter was a the base material of the woman's gender study and of the woman's consciousness study.

      • KCI등재

        해방 후 한글운동에서의 이극로의 위상

        박용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9 東洋學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a status of Lee Guk-ro in the Hangeul Movemen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 Lee Guk-ro was a nationalist and a Hangeul scholar. He and his comrades(Choi Hyunpae, Chang Jiyoung) reestablished the Korean Language Society(朝鮮 語學會). They contributed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in the language policy of the USA Military Government Office of South Korea(美軍政廳). He took an active part in the National Language Purification Committee(國語淨化委員會), and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of Hangeul textbooks, and spreaded the Hangeul script. He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compilation of Hangeul dictionary. For the purpose of the elimination of illiteracy and the recovery of the Korean language, he asserted firmly the abolition of Chinese characters. He claimed that the present is most opportune for using of Hangeul exclusively. He launched a movement for spread of Hangeul, and simultaneously started a movement for elim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A progressive nationalist Lee Gukr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Hangeul Mo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fter He stayed behind in North Korea, Choi Hyunpae led the Hangeul mo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in South Korea. 해방 후 이극로는 동지들과 조선어학회를 재건하고, 그 대표(간사장·상무이사)로 활동하였다. 초중등 교원을 양성하고자 사범 강습회를 열고, 국어 교과서 편찬에도 관여하였다. 또한 『조선말 큰사전』 1권 출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에게 말과 글은 민족의 정신과 생명이었다. 말과 글의 개선을 통해 통 일 민족국가를 건설할 수 있다고 전망하였다. 이를 관철하고자 한글전용운동과 한글보급운동을 전개하였 다. 한글전용을 위해 한자폐지회를 조직하였다. 여기서 초·중등 교과서의 국문전용을 주장하여 미군정 의 언어정책에 반영시켰다. 또한 일본말의 잔재를 청산하고자 국어정화위원회에 위원으로 참여하였다. 한글보급을 위해 한글문화보급회와 조선어학회 동학회를 결성하여 적극 활동하였다. 물론 한글운동이 순 조롭게 전개되는 배경에는 미군정에 참여한 최현배와 장지영의 활약도 작용하였다. 이들과 함께 이극로 가, 미군정이 조직한 조선교육심의회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언어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해 방 후 3년 기간에 남한의 제도권 교육에 한글전용과 한자폐지가 실시되었다. 여기에는 주시경의 노선을 계승한 이 세 사람의 공적이 가장 컸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필자는 해방 후 한글운동의 전개 에서 이극로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일제강점기 문자 보급 교재의 국어학적 고찰 ― 한글과 띄어쓰기‧문장부호를 중심으로 ―

        송미영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3

        3.1 운동 이후 농촌계몽의 일환으로 언론사 주도의 한글 운동이 시작되었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문맹 퇴치를 위한 농촌 강습회를 열었고, <新綴字便覽>이 동아일보의 부록에 실려 발행되기도 하였다. 또한 노동자와 농민을 위한 노농 운동에서 시작된 민간단체의 활동은 교재 발간으로 이어졌다. 이 밖에 일제는 산미 증식 계획에 따라 농촌 개량과 자력갱생이라는 목적하에 지방 행정기관에서 교재를 발간하여 보급하였다. 1930년대에는 언론사, 민간단체, 지방 행정기관 등에서 문자 보급 교재를 발간 및 보급하였다. 일제강점기 문자 보급 교재에는 ‘한글 자모 제시’, 효율적 학습을 위한 ‘사이 띄우기의 적용’ 등이 눈에 띈다. 이에 이 글에서는 ‘한글’ 학습 내용과 ‘띄어쓰기 및 문장부호’의 쓰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임화의 언어의식과 『현해탄』의 어문정리 실천에 관한 고찰 -서울방언을 중심으로-

        조해옥 ( Cho Hae-ok )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7 No.-

        서울 출신 시인 임화의 시에는 서울방언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1938년에 발간된 임화 시집 『현해탄』에서만 특이하게도 서울 방언이 나타나지 않는다. 본고는 시집 『현해탄』이 가지는 표기상의 특이점, 즉 표준어법에 따라 표기된 배경에 대해 살펴본 논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현해탄』 이전에 발표되었다가 『현해탄』에 다시 실린 시작품들을 텍스트로 하여 동일 작품의 원문과 『현해탄』 게재 작품의 표기법 수정 사례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한글맞춤법통일안』의 규정을 찾아서 『현해탄』의 표준어화 근거를 제시하였다. 『현해탄』에서의 어문정리 양상을 보면, 임화의 시 원문에 쓰인 서울방언‘ㅓ>ㅡ’가 『현해탄』에 다시 실리면서 ‘ㅡ>ㅓ’로, 움라우트 ‘ㅏ>ㅐ’ 현상이 ‘ㅐ>ㅏ’로, ‘ㅡ’ 보수형이 ‘ㅣ’로 수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같은 모음 변화외의 서울방언과 서울방언 외의 어휘들도 『한글맞춤법통일안』의 규정을 따르고 있음이 『현해탄』에서 확인된다. 구체적인 비교 사례로 「네街里의 順伊」 시원문과 『玄海灘』의 「네거리의 順伊」의 표기를 대조해 보았는데, 전자에는 문장부호가 없는 데 비해 후자에는 문장 부호 ‘。/ , / ! / ?’ 등이 나타난다. 이는 『한글맞춤법통일안』의 ‘附錄 二 文章 부호 ‘ 。/ , / ! / ?’ 등에 관한 규정과 일치한다. 또 전자에는 長音 부호 ‘―’가 사용된 반면에 후자에는 장음 부호가 소멸되어 있다. 이는 『한글맞춤법통일안』의 ‘附錄 二 文章 부호’ 항목에서 “長音 符號를 特別히 表示하지 아니함을 原則으로 하고”를 따른 것이다. 그밖에도 『玄海灘』의 표기는 『한글맞춤법통일안』의 ‘附錄 一 標準語 八’에서 “다음의 말들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甲만 取하고 그 밖의 말들은 다 버린다。”라는 규정을 지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第三項’의 된소리, ‘第五節’의 받침, ‘第四十四項’ 두음에 관한 규정도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글맞춤법통일안』이 제정되었지만, 아직 표준어가 상용화 되지 않은 시점에서 시집 『현해탄』은 ‘통일된 민족어’의 실현을 갈망한 시인 임화의 언어의식이 반영된 시집이라는 의의를 획득하는 한편 조선어학회의 한글보급운동의 실천이 반영된 표준어화 된 시집의 발간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Lim Hwa, a poet from Seoul, constantly used the dialects of Seoul in his poems and but only 『Hyeonhaetan』, a book of poetry published in 1938, did not use any dialects of Seoul. In the original texts of Lim Hwa's poems, the vowels representing the dialects of Seoul, such as ‘ㅗ>ㅜ’, ‘ㅓ>ㅡ’, ‘ㅏ>ㅐ’, ‘ㅏ>ㅓ’, and conservative ‘ㅡ,’ were used frequently. When the same pieces were republished in 『Hyeonhaetan』, those dialects were corrected into standardized languages and other vocabularies were also standardized. Considering the practices of literary arrangement in 『Hyeonhaetan』, it was found that ‘ㅓ>ㅡ’ in the original text of Lim's poetry was replaced with ‘ㅡ>ㅓ’ in 『Hyeonhaetan』, the umlaut ‘ㅏ>ㅐ’ with ‘ㅐ>ㅏ’, and the conservative ‘ㅡ’ with the standardized languages. Other dialects of Seoul besides the use of vowels and other vocabularies were also corrected to follow the standards in the 『Guidelines for Uniform Use of Korean Language』. For specific comparison of original text and rewritten text in 『Hyeonhaetan』, I examined 「Suni at the Intersection」. The former contained no punctuation, while the latter used ‘。/ , / ! / ?.’ This follows the regulations on the use of ‘ 。/ , / ! / ?’ in Appendix II: Punctuation of the 『Guidelines for Uniform Use of Korean Language』. Also, the original text used the long sound symbol ‘―,’ whereas the latter did not use it. This follows the part that states, “The long sound symbol should not be used in principle...” in Appendix II: Punctuation of the 『Guidelines for Uniform Use of Korean Language』. Also, the use of languages in 『Hyeonhaetan』 follows the regulation that “The following word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but only the first should be used,” in Appendix I: Standard Languages VIII of the 『Guidelines for Uniform Use of Korean Language』. Other regulations on ‘Section III: Fortis', ‘Part 5: Consonants on the Bottom', and ‘Section XLIV: The Initial Sounds.' However, other poems released after 『Hyeonhaetan』 was published used the dialects of Seoul again. Those dialects of Seoul were also found in 『Munjang』, a periodical published between 1940 and 1940 after the ‘Guidelines for Uniform Use of Korean Language’ were presented. As standardized language was not used in everyday life even after the 『Guidelines for Uniform Use of Korean Language』 were released, 『Hyeonhaetan』 reflected the linguistic awareness of Lim Hwa, who longed for the realization of ‘a uniform national language’ as a standardized book of poetry that practiced Joseon Language Society's Hangeul Promotion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