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암 종헌의 근대 불교교육과 그 의의

        황인규 한국정토학회 2023 정토학연구 Vol.40 No.-

        본고는 만암 종헌의 교육활동에 대하여 재검토한 연구이다. 근대적 학 교인 광성의숙을 건립하여 석전과 환응 그리고 만암이 학감을 맡아 백양 사와 인근 주민을 교육시켰다. 만암은 백양사에 약수심상학교(약수초)의 설립 및 운영을 하였을 뿐 아니라 광성의숙을 설립 및 운영하였다. 최근에 발견된 자료에 의하면 광성의숙은 1910년 전에 설립되어 1913년 무렵까지 운영하였으나 일제에 강제 폐교된 듯하다. 강사로는 이종근, 신현국, 김종 래, 오시마야스다로, 곡소윤 등이다. 만암은 광성의숙뿐만 아니라 강습회를 열기도 하였으며, 노동야학을 열어 문명 퇴치나 생활 개선을 위해 노력하 였다. 광성의숙 졸업생인 박장조와 김봉수 등 백양사 출신 승려들은 중앙 불교학림에 진학하고 불교청년회에 가입하였을 뿐만 아니라 중국 북경과 일본으로 유학하고 귀국후 철우회를 조직하기도 하게 하였다. 만암은 조선불교 중앙 종무원 학무부장과 교무원 이사 및 교학부장을 지내면서 현재 동국대학교 교장 등에 재임하면서 근대불교교육을 주도하 였다. 즉, 1927년부터 1935년까지 불교전문학교의 개교를 준비하여 불교전 수학교와 중앙불교전문학교 교장과 이사장, 교우회 회장 및 도서관 고문에 재임하였다. 이처럼 만암은 종단의 교육부서의 장으로서 근대 불교전문학 교의 승격을 위해 노력하여 고등전문 교육기관의 설립이 이루어지게 하였 을 뿐만 아니라 불전 교우회를 재건하였다. 만암은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1937년 무렵부터 호남불교총림을 결성 하고 해방후 실제적인 불교정화운동에 참여하면서 호남불교를 중흥시켰다. 여말선초 백양사의 전장법회의 결사 전통을 따른 것이었다. 1945⋅46년 목포의 정토진종 동본원사와 정광사에서 한글강습회를 하게 하였으며, 곧 정광학교의 운영으로 이어졌다. 우리나라 대표하는 승려 법정과 문학인 고 운, 신도 박완일과 같은 현대불교에 걸출한 인물을 양성하게 하였다. This paper is a study reexamin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Buddhist Master Manam Jongheon. Gwangseong Uisuk, a modern school, was built to educate Baekyangsa Temple and nearby residents. Master Manam not only established and operated Yaksu Elementary School in Baekyangsa Temple, but also established and operated Gwangseong Uisuk. According to recently discovered data, Gwangseong Uisuk was established before 1910 and operated until around 1913, but it seems to have been forcibly clos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this way, not only Gwangseong Uisuk but also classes were held, and labor nights were held to fight civilization and improve life. The young monks of Baekyangsa Temple not only went to the Central Buddhist School Forest and joined the Buddhist Youth Association, but also studied in Beijing and Japan and organized the Cheolwoo Association after returning home. Master Manam led modern Buddhist education, including the principal of the Modern Buddhist School, which is currently Dongguk University, while serving as the head of the academic affairs department, the director of the school affairs department, and the head of the school. As such, Master Manam tried to promote modern Buddhist schools as the head of the Buddhist education department and established a higher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 Master Manam formed the Honam Buddhist General Forest from around 1937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and promoted Honam Buddhism by participating in the actual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fter liberation. It followed the tradition of association of Daejanggyeongbeop of Baekyangsa Temple in Yeomalseoncho. In 1945 and 1946, Jeongtojinjong Dongbonwonsa Temple and Jeonggwangsa Temple in Mokpo had a Korean language lecture, which soon led to the operation of Jeonggwang School. Korea's representative Buddhist court, such as Gowoon, a literary figure, Park Wan-il, a Buddhist Jisun, and Misan, a Buddhist monk, and Park Wan-il, fostered outstanding beings not only in Honam Buddhism but also in modern Korean Buddhism.

      • KCI등재

        근대 불교계와 만암 송종헌의 교육 활동

        한동민 대각사상연구원 2020 大覺思想 Vol.33 No.-

        Manam Song Jong-heon was a high priest who represents modern Korean Buddhist circle. He served as the head of the Jogye Order, which is representative of Korean Buddhism. He is revered as a figure who revived Baegyangsa (Temple). One of his remarkable achievements and roles in Korean Buddhism is his Buddhist educational work. Manam Song Jong-heon founded and managed Gwangseongeuisuk, a modern school at Baegyangsa in 1910. At that time, a chief Buddhist monk was Kim Hwanung, but Manam Song Jong-heon substantially led the education course as a vice principal. Gwangseongeuisuk was operat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but it produced people who had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Baegyangsa. Those graduates were the driving forces that made Baegyangsa modern. Also, after Manam Song Jong-heon became the chief Buddhist monk of Baegyangsa in 1916, he led the temple for 20 years and worked as a representative Buddhist monk of central Buddhist circle. In particular, he served as an educational leader in Buddhist circle under Japanese colonial era. This indicates that his status and role had such strengths in academic and educational aspects. Afterward, the strengths made him to assume the principal of the School to Teach Buddhism. As the principal, he publicized the school’s status by leading the promotion to the School to Teach Buddhism and publishing school magazine called “Il-gwang” and so on. He made the school to a college representing Korea through well-operated school system. He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social role of Buddhism by opposing to hand over Bo-seong High School—operated by Buddhism—to another foundation. After liberation from Japan, he opened a Hangeul (Korean alphabet) class. This was one of the quickest actions during liberation space. He figured out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permanent educational institution through the Hangeul class. This experience of the class ended up establishing schools. In other words, Jeong Gwang Middle School was established in Mokpo in March 1946 thanks to major temples in Honam Area after his suggestion. Then it moved to Songjeong-ri, Gwangju and promoted to Jeong Gwang Middle & High School. Manam Song Jong-heon's educational activitie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ircles. 만암 송종헌은 근대 한국불교계를 대표하는 고승이다.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조계종 종정을 역임하였고, 백양사를 중흥시킨 인물로 추앙받고 있다. 만암 송종헌의 불교계에서 역할과 업적 가운데 하나가 불교계 교육사업 이라 할 수 있다. 만암 송종헌은 1910년 백양사에 근대적 학교인 광성의숙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당시 백양사 주지는 김환응 스님이었지만 학감(교감)으로 실질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이끌었다. 광성의숙은 짧은 기간 운영되었지만 이후 백양사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이들 졸업생들은 활발한 포교활동으로 백양사를 근대적으로 발전시킨 주역이었다. 또한 만암 송종헌은 1916년 백양사 주지가 된 이래 20년간 백양사를 이끌며 중앙불교계를 대표하는 승려로 활동하였다. 특히 일제강점기 중앙불교계의 총무원 학무부장, 교무원 교학부장으로 활동했다. 이는 만암 송종헌의 위상과 역할이 학술적이고 교육적인 측면에 장점이 있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이러한 특장은 이후 불교전수학교 및 불교전문학교 교장으로 활동하게 만들었다. 그는 불교학교 교장시절 전문학교 승격을 이끌었고, 학교 교지 일광을 발간하는 등 학교 위상을 대외적으로 널리 알리고, 학교 운영의 내실을 통해 불교전문학교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학으로 만들었다. 또한 불교계가 운영하던 보성고등학교를 다른 재단으로 인계하는 것을 반대함으로써 교육의 중요성과 더불어 불교계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였다. 해방 후 1945년 11월부터 백양사 한글강습회를 개최하였다. 이는 해방공간에서 불교계가 보인 가장 빠른 대응 가운데 하나였다. 한글강습회를 통해 상설 교육기관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한글강습회의 경험은 이후 학교설립으로 나타났다. 즉 만암 송종헌의 발의로 호남지역 주요 사찰에 의해 1946년 3월 목포에 정광중학교를 설립하였다. 이후 광주 송정리로 이전 현재 정광중고등학교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만암 송종헌의 교육활동은 불교계 발전에 커다란 역할과 영향을 끼쳤다 할 것이다.

      • KCI등재

        에스니시티와 민족의 거리

        이양숙(Lee, Yang-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8

        본고에서는 김만선 소설 속 주인공들이 갖는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시기에 따라 차츰 변화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일제말기에 등단하여 작품활동을 할 수 없었던 김만선이 만주로 이주할 때의 의식은 ‘망명자’에 가까운 것이었다. 그러나 만주에서 오족협화를 이루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대자적인 민족의식을 드러낼 수 없었다. 김만선 소설 속 주인공은 이와 같은 의식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중국적?, ?압록강?, ?한글강습회? 등에는 에스니시티로서의 공동체의식을 갖고 있던 주인공이 해방된 민족의 일원이자, 해방조국의 국민이 될 것이라는 기대로 민족의식을 회복하는 과정이 잘 드러나 있다. 그러나 ?귀국자?에 이르면 재만지식인의 기대가 막연한 것이었음이 밝혀진다. 주인공 혁은 조선에 귀환한 후 자신이 조선 민족의 외부에 있다는 자각에 이르는데, 이 자각은 만주에서의 삶과 조선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지 못하는 삶이 동일하다는 난민의식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이들 작품에는 귀환자들이 겪는 정체성의 혼란과 내적 갈등이 사실적으로 드러나 있다. 당시 에스니시티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있던 재만조선인이 민족국가의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특정의 정치적 입장을 선택하는 일이 통과의례처럼 주어졌다. 김만선은 귀국 직후 〈조선문학가동맹〉에 가입하여 활동하면서 점차 ‘인민’의 노선에 충실한 작품을 창작하였다. 그러나 이들 작품에서는 그의 장점인 충실한 체험의 형상화에 실패하는데 그 이유는 그가 작품으로 형상화할 만큼 이념을 체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김만선 소설에서 난민의식이 인민의식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매우 급격하게 이루어진다. 이것은 그가 활동했던 시기에 문인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해야 했던 현실이기도 했으나 짧은 시간 동안 에스니시티로서의 공동체 의식을 대자적 민족의식으로 또 다시 인민의식으로 바꾼다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었다. 이것은 자신의 정체성을 철저하게 재구성하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김만선 소설은 민족국가건설 시기 ‘민족/국가’의 매혹과 억압을 동시에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문학사적 의의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Kim, Mansun became a writer by a prize-winning entry of a spring literary contest sponsored by Chosun-ilbo in 1940. He wanted to write varied and freely, but it was impossible for the Japan"s militarism and censorship. As a result he went to Manjuria. Working as a journalist in Mansun-ilbo at Manjuria, he wrote several novels but they were not published due to the pre-censorship. The early days in Manjuria he thought he was an exile, but he could not develop national consciousness because he must exist in Manjuria under the banner of five.race harmony. 〈Double identity〉, 〈Amnokgang〉, 〈A course of Hangeul〉the sense of community as a ethnicity was quite well exposed. But in 〈Returnees〉 a vague expectation which Koreans in Manjuria had been kept gradually disappeared. The main character Hyuk realized that he was lying on the outside of the Koreans, and that awareness was connected with the consciousness of refugees in Manjuria. Koreans from Manjuria had to choose a certain faction in order to go into the interior of the na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It was essential for the returnees to participate in a faction just like a rite of passage. Only after political determination he could decide a residential district. Kim, Mansun participated in <Chosunmunhakgadongmang> in 1945, and then he wrote several novels reflecting the ideals of the ‘people’. But in these novels he could not make his presence felt because he did not create characters concretely. In his novel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the consciousness of refugees to the consciousness for the people was achieved suddenly. In this sense his novels showed the fascination and the suppression of the nation-state.

      • KCI등재

        8·15 해방 직후 조선어학회의 활동 -1945. 8. 15~1946. 2-

        정재환 ( Jae Hwan Jung ) 수선사학회 2012 史林 Vol.0 No.41

        The Korean Language Society(Joseoneohakhoe), which stopped its activities due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Incident on October 1, 1942, reestablished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in August, 1945. This society opened an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 and reorganized the society on August 25, 1945. The society immediately set to work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language and the re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Society not only took steps to the Korean alphabet(Hangul) lessons for the public but also to the training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addition, the society published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were compiled by the society, and distributed them in the cooperation with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Also the society launched to put together the Korean dictionary again. The leaders of these activities in the society were Lee Geuk-ro, Choi Hyeon-bae, Lee Hee-seung, Jeong Yin-seung, Jeong Tae-Jin, Kim Yoon-gyeong, and other people who had ever been imprisoned because of Korean Language Society Incident. Many members including Kim Byeong-je, Lee Joong-hwa, Jeong Yeol-mo, Bang Jeong-hyeon participate in the society`s activities positively. The society changed the regulations of the society and reorganized the leadership in its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 on February 3, 1946. As all of 7 directors who were Jang Ji-yeong, Lee Geuk-ro, Choi Hyeon-bae, Lee Hee-seung, Jeong Yin-seung, Kim Byeong-je remained in office in the regular general meeting in September, 1946, they took the lead in the activities of the society until September, 1949. The work for keeping and propagation of the Korean language might have been punished as ante-nation during the colonial times of 35 years, however the society launched putting together the Korean dictionary to preserve Korean language, made a draft for unified spelling system and an orthography of adopted words, and screened a standard Korean language. The society has ever been scattered because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Incident which Japanese imperialism invented to oppress, but the devotional efforts and academic fruits of the society which preserved the Korean brothers and hoped to restore Korea could be immediately put to practical use as important resource to build modern nati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s the draft for unified spelling system of Korean language already was made, Korean alphabet(Hangul) could be propagated a systematically and the textbook could be written under consistent standard. With the beginning of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s rule in September, 1945, the military government took charge of reconstruction of education officially, but the Korean Language Society played the leading part in urgent pending requests like writing textbooks, training teachers, abolition of Chinese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