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현대시 교육과 중국인 학습자의 자국어 교육 경험 - 자국어 문학교육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소연(Jin, Xiao-yan)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7

        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자국어 교육 경험과 한국 현대시 읽기의 연관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자국어 교육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현대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중국인 학습자가 받은 어문(語文) 교육을 교육과정, 교재, 대학입시시험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자국어 교육 경험이 한국 현대시 읽기에 전이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해석학, 독자반응비평, 경험과 관련된 이론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문학작품 읽기와 선행 경험 간의 영향 관계를 설명하였으며, 중국인 학습자의 자국어 교육 경험이 한국 현대시 읽기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탐구하였다. 중국인 학습자가 축적한 풍부한 문학 경험은 한국 현대시 읽기의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되는 동시에 관습적 의미 구성을 양산하는 한계도 지닌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교육은 ‘중국인 학습자’라는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학습자의 교육 경험을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학습자가 한국 문학에 대한 상호문화적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는 지향을 밝혔다. 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자국어 교육 경험에 주목하여, 한국 현대시 읽기와 자국어 교육 경험의 관계를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중국인 학습자의 특수성을 반영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Chinese education received by Chinese learners and the reading of modern Korean poetry, and to indicat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modern poetry education where learners can be active in exercising the Chinese education experiences of their own. First of all, the Chinese education received by Chinese learners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curriculum, textbooks, and college entrance exams, so as to demonstrate that this experience in Chinese education can be transferred to the reading of modern Korean poetry. Then,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literary works and prior experiences was elaborated on through hermeneutics, reader-response criticism and the theories related to experience, and an exploration was conducted in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experiences gained by Chinese learners in domestic Chinese education on the reading of modern Korean poetry. The extensive literary experience accumulated by Chinese learners can be taken as a useful resource for the reading of modern Korean poetry and it has a negative impact as well. On this basis, it is proposed that the modern Korean education intended for Chinese learners shall be designed in a way that allows learners to be active in exercising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with careful consideration given to the particularity of “Chinese learn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Korean modern poetry and domestic Chinese education experience is examined from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with suggestions made on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that reflects the particularity of Chinese learners.

      • KCI등재

        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의 양상과 의의 1

        김혜원(Kim, Hye-wo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의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이러한 현국 현대시가 사진 매체와의 통섭적 사유를 통해 모색한 시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를 확인하고 그 의의를 규명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가 사진이라는 특정 재현 매체를 빌려 모색하고자 한 시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들 현대시가 카메라와 사진 제작의 원리, 사진 이미지의 특성에 주목한 양상을 살펴보면서, 그것들이 사진 매체의 진보 과정, 사진 이미지의 의미화 과정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어온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세계를 인식하는 이들 시인의 시선은 사진 매체나 사진 이미지를 바라보는 사진 이론가들의 시선과 일정한 유대 관계를 형성하면서, 사진의 정체성이나 존재 의의를 밝히려는 여러 사진 담론을 내재화한 시로 형상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카메라의 촬영 원리를 빌려 자신의 시론(詩論)을 펼친 손택수의 「바늘구멍 사진기」 , 사진 제작의 원리를 통해 자신의 예술관을 보여준 유 하의 「사진기 속의 우주」 , 가상 세계를 디지털 영상처럼 창조한 박강우의 「합성사진 혹은 더빙」 은 사진 매체에 주목하면서 카메라와 사진 제작의 원리를 빌려 자신의 시론이나 예술관을 펼친 시편들이었다. 또한 사진의 ‘노에마’와 동일한 인식으로 자아를 성찰한 김기택의 「옛날 사진 속에서 웃고 있는」 , ‘메멘토 모리’의 의식으로 죽음과 삶을 성찰한 유 하의 「사진 속엔 그녀가 살지 않는다」 , ‘푼크툼’의 힘으로 인간사의 상처와 고통을 확인한 최영철의 「가족사진」 은 사진 이미지의 특성과의 관련 속에서 삶에 대한 성찰을 드러낸 시편들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가 사진 매체를 자신의 예술과 삶을 성찰하는 수단으로 삼아 새로운 시적 의미를 생산하고 시적 진실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개성적인 시 세계를 창조해 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았다. 또한 이러한 한국 현대시가 현대 예술을 사진 매체가 이끌게 된 매체 변동 상황과 매체 환경을 인식하고 문학예술과 사진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통섭적 사유로 한국 현대문학의 지평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았다. 나아가 한국 사진계의 창작과 연구가 주로 장르적 차원이나 미학적 층위의 예술 담론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데 비해, 오히려 이들 현대시가 예술 담론뿐 아니라 일상적 대중문화의 담론 속에서 사진 매체를 이해하고 수용하면서 특정예술 담론 영역을 문화 담론 영역으로 확대하였다는 점을 사진을 소재로 한 이들 한국 현대시가 갖는 더욱 중요한 의의로 파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poetic meaning and cultural value an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that Korean modern poems with photography as subject matters seek for with consilience thinking with photograph medium and to investigate its significance by studying the aspects of those Korean modern poems. So it analyzes the poetic meaning that Korean modern poems with photography as subject matters try to seek for adopting photography, a certain representation medium. In the process, it identifies that those modern poems have had a constant relationship with progress process of photo medium, signification process of photograph image, checking out the aspects that they have focused on principle of camera and photo production and property of photo image. Specially it identifies that those poets" gazes recognizing the world are textualized into poems in which lots of photograph discourses trying to reveal identity of photograph or significance of existence of photograph, building a bonding relationship consistently with the gazes of photo theorists looking at the photo medium or photograph image. In other words, Pinhole Camera of Son Taek-su who asserts his poetic theory using shooting principle of camera, 『Universe in Camera』 of Yu Ha who shows his view of art with principle of photo production and 『Composite Photos or Dubbing』 of Bak Gang-u who creates the virtual world as digital image are poems that show their own poetic theories or their own views of art using principle of camera and photo production, paying attention to the photo medium. Also 『Smiling in Old Picture』 of Kim Gi-taek who introspects himself with the same recognition as "noèma" of photo, 「She isn"t Living in a Picture」 of Yu Ha who introspects death and life with the concept of ‘memento mori’ and Family Picture of Choi Young-cheol who identifies injuries and suffering of human affairs with the power of "punctum" are poems that show introspection on life in the relationship with characteristics of photo image. Thus this research finds the significance in that Korean modern poems with photography as subject matters produce new poetic meaning, transfer the poetic truth effectively and manage to create characterful poetic world using photo medium to introspect art and lives of the poets. Also it finds the significance in that those Korean modern poems realize circumstances of media shift and media environments that photograph medium becomes to lead modern art, and extends horizon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rough consilience thinking to obnubilate the boundary and interact between literary art and photograph art. Furthermore, Korean modern poems with photography as subject matters have more important meaning in that those modern poems extend a field of discourse on specific art into the field of culture discourse, understanding and accepting photograph medium in the discourse of ordinary popular culture as well as art discourse, on the contrary most writing and researches of Korean photography are being accomplished in art discourse in genre dimension and aesthetic hierarchy.

      • KCI등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시조를 활용한 표현 교육

        장수현,윤향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Expression Education Using Modern Sijofor Foreign Korean LearnersSoohyun Chang & Hyanghee Yun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Korean expression education us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modern Sijo for foreign Korean learner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modern Sijo is being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what its impact on Korean language learning is, we selected Korean textbooks with high frequency of use and examined the cases of using Korean literature and discussions raised by scholars. As a result, at first modern Sijo was not used in korean educational syste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modern Sijo can interest foreign Korean learners and acquire Korean thinking and expression methods through the award development structure. The implications for the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llection of modern Sijo is required in Korean textbooks, an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modern Sijo should be reflected in Korean classes. For this, a more effective education plan can be presented if the evaluation is carried out along with the preparation of methods for teaching Korean expressions using modern Sijo. Key Words: Foreign Korean Learners, Expression Education, Korean Litera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Modern Sijo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시조를 활용한 표현 교육장 수 현*ㆍ윤 향 희** 요약: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현대시조의 형식적 특성을 활용한 한국어 표현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어 교육에서 현대시조가 활용되고 있는지, 한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 빈도가 높은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여 한국문학 작품을 활용한 사례와 그동안 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논의를 살펴보았다. 결과는 첫째, 현대시조를 활용한 한국어 표현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둘째, 현대시조의 장르적 특징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할 수 있으며 시상 전개 구조를 통해 한국인의 사고와 표현 방식을 습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 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교재에 현대시조의 수록이 요구되며 현대시조가 지니고 있는 형식적 특징을 한국어 수업에 반영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현대시조를 활용한 한국어 표현 교육의 방안 마련과 함께 평가가 진행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교육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표현 교육, 한국문학 작품, 한국어 교육, 현대시조 □ 접수일: 2022년 2월 6일, 수정일: 2022년 2월 14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수료(First Author, 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Mokwon Univ., Email: poet314@naver.com)** 충남연구원 책임연구원(Corresponding Author, Researcher, ChungNam Institute, Email: yunhyanghee@naver.com)

      • KCI등재

        한국어 통합교육을 위한 현대시조 활용 방안 연구

        장수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한국어 통합교육을 위한 현대시조 활용 방안 연구장 수 현*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시조를 활용한 한국어 통합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수업 사례를 통해 실효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통합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 조사의 결과를 검토하였다.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언어의 기능 영역이 상호관련성을 가져야 하며, 문학 작품을 활용한 문화 교육이 요구된다. 이에 현대시조의 형식적 특성과 내용이 한국어 통합교육에 적합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수업안을 설계하고, 적용을 통해 실효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현대시조가 지니는 형식적인 특성은 학습자가 한국어의 문형을 완성하고 사고의 정리와 확장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현대성을 주제로 한 내용은 한국의 현대 문화를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향후 현대시조가 지닌 문학 작품으로서의 예술성을 한국어 교육에 반영할 수 있는 다각적인 연구를 기대해 본다. 핵심어: 한국어 교육, 한국어 통합 교재, 통합교육, 현대시조, 문학 작품 □ 접수일: 2022년 3월 10일, 수정일: 2022년 4월 28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8일* 목원대학교 한국어다문화학과 박사수료(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Mokwon Univ., Email: poet314@naver.com)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Modern Sijo for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oohyun Ch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 using modern poetry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hrough class cases. To this e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and demand surveys conducted on learners were reviewed. For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ed on communication, the functional area of language must be interrelated, and cultural education using literary works was required. Accordingly, in order to prove that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modern poetry are suitable for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 class plan was designed and applied to prove its effectiveness. As a result,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modern Sijo allowed learners to complete Korean sentences, organize, and expand their thinking, and the content on the theme of modernity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Korean modern culture. In the future, we look forward to various studies that can reflect the artistry of contemporary Sijo as a literary wor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ey Word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egrated Korean Textbook, Integrated Education, Modern Sijo, Literature

      • KCI등재후보

        한국 현대시 교육에서 청각적 심상 활용에 대한 고찰-중국인 학습자의 읽기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왕임창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1 국어교육연구 Vol.47 No.-

        이 연구는 한국 현대시를 읽는 중국인 학습자의 감상 양상에서 청각적 심상 인식의 특징적인 지점을 살펴 한국 현대시 이해 교육에서의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중국인 학습자의 내면에 침투하여 정서적 반응을 형성해내는 청각의 특징에 주목하여 시의 언어적 표현에 내재된 청각적 심상의 자질을 학습자가 심상 인식을 통해 소리풍경으로 형성해내는 시 수용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청각적 심상은 시적 표현 장치로써 발달되어 있는 한국어의 음성상징(音聲象徵)과 감각적 외현을 통해 시의 의미와 정서를 전달하게 된다. 본 연구는 한국 현대시 읽기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지각적 관습과 심상 기억이 한국 현대시의 청각적 심상의 이해와 체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습자가 청각적 언어 표현의 역동감과 자신의 심상을 조화하고 삼투함으로써 시적 의미와 정서를 이해하고 주체적 인식을 심화할 수 있는 것을 교수·학습 활동의 최종적인 목표로 삼는다. 본 연구는 한국 현대시 「접동새」, 「바다·1」,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에서 나타나는 청각적 심상 지각과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 학습자의 청각적 심상 특징과 수용 양상은 소리지각 형성된 청각적 심상에 대한 반사적 반응, 리듬인식 형성된 청각적 심상에 대한 정의적 반응, 시·청각적 감각 혼용에 대한 해석적 반응으로 대별되었다. 이 연구가 제안한 한국 현대시 교육 방향은 중국인 학습자의 지각 경향과 문제점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향후 한국 현대시 이해 교육 활동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that arise in the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Korean poetry texts by senior Chinese learners. The author reveals the role of sensory and cultural experience materials in Chinese poetry reading and points out the direction in which modern Korean poetry reading becomes a meaningful experience for Chinese poetry learners. As a poetic expression device, auditory psychology conveys the meaning and mood of poetry through the phonetic symbolism and sensory expression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takes into account that Chinese learners' perceptual habits and mental memory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Korean modern poetry. This study selected modern Korean poems “Jeopttongsae”, “Sea ·1”, “Me and Natasha and the White Donkey”. The reading patterns of learners are divided into reflexive responses to sound formation, definite responses to rhythm recognition and interpretive responses to audiovisual sens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comprehension characteristics of Chinese learners, and provides reference for the understanding education of modern Korean poetry in the future.

      • KCI등재

        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의 양상과 의의 2 : 사진 이미지의 용도에 주목한 시를 중심으로

        김혜원(Kim, Hyewo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의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현대시가 사진 매체와의 통섭적 사유를 통해 모색한 시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를 확인하고 그 의의를 규명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가 사진의 촬영 행위나 사용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 제도, 문화적 상황을 통해 모색한 시적 의미를 사진 이미지의 용도에 주목한 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는 증명사진, 감시와 처벌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초상사진, 정치가의 초상사진, 졸업사진에 주목한 ‘공적 사진의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시’와 일상적 대중문화와 관련하여 가족사진, 결혼사진, 영정사진, 사진관에 진열된 사진에 주목한 ‘사적 사진의 관습적 맥락과 문화적 효용 가치를 이해한 시’로 나누어 이들 현대시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제2장 ‘공적 사진의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시’와 관련하여 존 탁, 데릭 프라이스, 발터 벤야민, 존 버거의 사진사회학적 이론을 원용하였다. 제3장 ‘사적 사진의 관습적 맥락과 문화적 효용 가치를 이해한 시’와 관련해서는 패트리샤 홀랜드의 문화연구 이론을 방법론으로 원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2장 ‘공적 사진의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시’에서 근대 국가에서의 ‘공적 사진’이 어떠한 방식으로 ‘타자’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고 사회적 차이를 육화하며 그들을 훈육했는지, 어떠한 정치적 의도를 기획하고 어떻게 그것을 은폐했는지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들 현대시가 어떻게 그러한 ‘공적 사진’의 의미 생산의 원리를 파악하여 그에 저항했는지도 확인하였다. 또한 제3장 ‘사적 사진의 관습적 맥락과 문화적 효용 가치를 이해한 시’에서는 일상적 대중문화와 관련된 ‘사적 사진’이 어떠한 관습적 맥락에서 어떻게 개인·가족·공동체와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들 현대시가 어떻게 그러한 ‘사적 사진’의 의미 생산의 원리를 파악하여 그 문화적 효용 가치를 이해하고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이들 한국 현대시가 정치사회적 기획을 숨기고 사회적 차이를 육화해 온 데 연루된 ‘공적 사진’이나 우리의 일상 생활문화에 침투하여 문화적 효용 가치를 발휘하는 ‘사적 사진’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한국 현대시의 시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를 더욱 심화시키고 한국 현대시문학의 지평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photography- themed Korean poems in order to identify the meaning and cultural value as a merging different mediums in modern Korean Poetry. This paper focuses on analysis of the poetic emphasis of photographic images that photography- themed Korean modern poems seek for; the places, institution and the cultural circumstances where performance of photographing and using the images occur. This research analyses these modern poems in two perspectives, 1) poems resisting the power and ideology of public photography, which focuses on identification pictures, portraits used as a tool for surveillance and punishment, portraits of politicians and graduation pictures; 2) poems decoding conventional context and cultural utility value of private photography focuses on studio display photos depicting everyday life through examples like family pictures, wedding pictures, funeral photos. In the process of concerning poems resisting the power and ideology of public photography in chapter two, the research adopted photosociologic theories of John Tagg, Derrick Price, Walter Benjamin and John Berger. For the analysis in chapter three poems decoding conventional context and cultural utility value of private photography it adopted methodology of cultural studies of Patricia Holland. In chapter two, poems resisting the power and ideology of public photography , it identifies how a government creates and provides knowledge about the others , its use of public photography as a tool of embodying and discipline social discrimination, and how they are organized and concealed under what sort of political agenda, Furthermore, it also identifies how these modern poems decode the mechanics of meaning production of those public photography and resist to it. In chapter three, poems decoding conventional context and cultural utility value of private photography , it identifies how private photography concerning everyday popular culture relate with an individual, a family, and a community in what conventional context. It also identifies how these modern poems decode the mechanics of meaning production of those private photography and comprehend the cultural value of its utility. Thus this research finds the significance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at it intensifies poetic meaning and cultural value of modern Korean society and expand the horizon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e process of comprehending and accepting public photography in relation of being a tool of concealing political and social power that embodied social discrimination and private photography that reflected our everyday lives and culture and show its cultural value.

      • KCI등재

        중국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중국에서 출판된 문학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이명봉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2

        본 연구는 중국에서 최근 10년간 출판된 9종의 문학교재를 선정하여, 각 교재에 실린 한국 현대시 연습문제의 설정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현대시 교육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한국 현대시 교육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시 교육은 학습자들 자기 자신의 맥락에서 능동적으로 시 텍스트 의미를 구성하기보다는 아직 신비평적으로 시 텍스트를 분석하고 시인의 의도 등을 찾는 데 집중한다. 시를 인지적으로 이해하는 데 집중하여 학습자들이 시적 정서를 체험하는 연습 문제가 부족하다. 그리고 연습 문제들이 주로 수용의 측면에 주안점을 두어 생산 활동이 부족하다. 이상과 같은 한국에서의 한국 현대시 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바람직한 현대시 교육 방향을 제시한다. 우선, 학습자 중심, 과정 중심, 활동 중심의 연습 문제를 많이 제작해야 한다. 학습자들이 자신의 맥락에서 시 텍스트 의미를 구성하고 사실적 지식보다는 방법적 지식을 많이 가르쳐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개별적인 활동뿐만 아니라 소집단 토론 등의 사회적인 활동을 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정서 체험 활동을 많이 해야 한다. 학습자들이 시에서 형상화된 정서를 느낄 뿐만 아니라 자신이 그 정서를 수용하여 내면화하고 자신의 삶에 활성화시켜야 한다. 셋째, 생산 활동을 많이 하도록 해야 한다. 감상문이나 비평문 쓰기 등의 생산 활동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개작과 모작 등의 창작 활동도 많이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창작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시를 더욱 잘 이해하고 문학 경험을 확대시킬 수 있다. This paper selects nine kinds of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over the last 10 years, and critically analyzes the modern Korean poetry exercises in these textbooks. The study finds some deficiencies in the teaching of modern Korean poetry, and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this a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modern Korean poetry education in China is still in the traditional teaching stage of cramming, allowing the student analyze new criticism of poetic structure, rhetoric, image, etc. and find the poet's writing intention—but constructive student-oriented thought is not yet. These exercises primarily let the students cognitively understand and analyze a poem, but they lack the kinds of activities that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the poetry emotionally. Moreover, the practice exercises in these textbooks concentrate primarily on acceptance of the poetry and In light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teaching of domestic modern Korean poetry, this paper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poetry education that will overcome these problem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tudent-oriented reading, process-oriented reading, and activity-oriented reading. Let the students construct the meaning of a poem by themselves, and teach them rather than factual knowledge. This will allow not only individual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students, but also group discussions and other social activities. Second, students should carry out more activities in which they experience emotions. Students can experience the image of emotion in the poetry and also accept the feelings, to enrich their own lives. Third, there should be more writing and other activities. Through these activities,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poetry more deeply and expand their literary experience.

      • KCI등재

        한국현대시문학사 이해를 통한 한국문화교육의 전망과 과제

        박윤우(Park, Yoon-woo)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0 No.-

        본 연구는 ‘문학사 교육’의 측면을 기본 토대로 삼아, 한국현대시사상의 교육정전으로서 시텍스트가 그 현실적 활용태로서 한국문화교육의 목표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를 모색하는 한편, 중국내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교육의 현실적 동향을 바탕으로 한국현대시사 텍스트의 이해와 수용을 통한 동시대 한국문화교육의 실제와 그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기존에 한국 문학교육의 지식적 배경을 형성해온 한국현대문학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어떠한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작용해 왔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며, 아울러 실제 문학교육 현장에서 한국현대시 텍스트가 해석, 수용되는 양상을 분석하고 동시에 그것이 중국내 한국문학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국문화의 이해와 소통의 가능성을 창출하기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해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oetry text as a practical us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can be realized as the educational blackout in Korean modern poetry based on the aspect of Based on the realistic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will explore the realities and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educ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modern Korean texts. For this purpose, I will critically examine what sociological and historical contexts have been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which has already formed the knowledge background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addition, And analyze how they are accepted, and at the same time, how it affects Korean literary education in China, and explore ways to create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ng Korean culture.

      • KCI등재

        기독교세계관으로 씌여진 문복희의 한국현대시조 연구

        서성철 한국기독교철학회 2024 기독교철학 Vol.39 No.-

        시조는 한국문학의 핵심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문학적 흐름 속에서 문복희의 한국현대시조를 고찰하여 그 중심 내용이 무엇인지를 밝혀내었다. 문복희 시조의 현대적 문학성과 종교적 이념과 사회적 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그의 작품 시조집 6권 475편을 분석한 결과 “기독교세계관에 바탕한 정형시조”인 동시에 “전통 운율을 계승한 정통시조”이다. 그의 작품에 들어있는 모든 주제와 소재와 내용들에는 성경말씀에 근거한 하나님 사상이 기본적으로 바탕에 깔려 있으며, 한국의 전통 운율을 현대적으로 정착시킨 3장 6구 45자 내외의 글자수로 정형화 되어 있다. 이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 두 가지 특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문복희 시조의 첫 번째 특징은 기독교세계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서로 다른 세 개의 세계관이 각각의 중요한 메시지인 동시에 서로간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고 있다. 셋 중에서 제일 먼저가 믿음의 세계관이다. 문복희는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고 인간에게 복 내려 주고 또 보호하며 인도해 주심을 절대적으로 믿고 있다. 그는 믿음의 세계관에다 문학적 상상력과 기교를 융합시켜 현대한국시조를 창작해 내었다. 다음으로 그는 사랑의 세계관을 시조 작품 속에 많이 담아 내고 있다. 하나님이 세상을 사랑하신 것처럼 그의 작품에는 인간을 사랑하고 자연을 사랑하며 우리 삶과 일상 생활에 사랑하는 마음과 시선을 가득 담아 작품으로 만들어내었다. 마지막으로 그는 믿음의 세계관을 인간 삶의 목적과 목표로 삼아 시조 작품에 그려내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구원받아야 하며 궁극적으로 하나님나라천국에 들어가야 한다는 기독교세계관이 그의 작품에 다 들어있다. 두 번째로 문복희 시조의 특징은 우리나라의 전통운율을 계승한 정통시조라는 점이다. 고시조에 나타난 구지가로부터 현대까지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우리의 전통 운율이 문복희 작품 속에 안착되어 있다. 현대시조에는 거의 정착되어 있는 3-4, 3-4/ 3-4, 3-4/ 3-5, 4-3/의 45자 내외의 글자수는 문복희 시조 전반에 적용되어 있으며, 문학적 은유와 비유의 기교를 사용한 한국현대시조로 창작되었다. 그리고 이것을 대학생과 일반인들에게 교육하며, 해외 대학교와 학생들에게도 알리고 보급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세 번째로 문복희 시조는 한국현대시조를 세계화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문복희는 대학교에서 수강하는 중국 일본 몽골 등의 유학생들에게 시조를 지도하고 특별관리하는 것은 물론 외국 대학에서 초청받아 한국시조를 강의하고 발표하고 작품집 발행하는 등 세계화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문복희의 한국현대시조를 집중 분석하고 연구하여 그 특징을 발견해 낸 결과 그의 모든 작품들은 기독교세계관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다양한 소재와 주제의 속에는 믿음의 신앙과 문학의 상상력과 우리나라 전통적 운율을 온전하게 융합시키고 있다. 그래서 문복희 시조는 한국 현대시조에 전통적 운율을 올바르게 장착하고 있어 “기독교 정신으로 씌여진한국현대 정통 시조”의 표본이라 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문복희는 한국현대시조를 국내외에 적극 알리고 보급하며 세계화시켜 나가는 데 앞장서고 있다. Sijo occupies a key position in Korean literature.This paper examines Moon Bok-hee’s modern Korean poetry within this literary flow and reveals its central content.In order to analyze the modern literary value, religious ideology, and social activities of Moon Bok-hee’s sijo, we analyzed 475 poems in volume 6 of his sijo collec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he is “a typical sijo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nd at the same time an “orthodox sijo that inherits traditional meter.”All the themes, materials, and contents in his works are based on God’s thoughts based on the Bible, and are standardized in 3 chapters, 6 phrases, and a character count of about 45 characters, which is a modern adaptation of Korea’s traditional rhyme..If we look at this in more detail, it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wo characteristics.The first characteristic of Moon Bok-hee’s sijo is that it is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If you look closely at the contents, the three different worldviews each have important messages and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The first of the three is the worldview of faith.Moon Bok-hee absolutely believes that God created heaven and earth and blesses, protects, and guides humans.He created modern Korean sijo by combining literary imagination and technique with a worldview of faith.Next, he embodies the world view of love in many of his sijo works.Just as God loves the world, his works are filled with love for humans, love for nature, and love for our lives and daily lives.Lastly, he depicts the worldview of faith as the purpose and goal of human life in his sijo works.The Christian worldview that one must believe in Jesus Christ to be saved and ultimately enter the kingdom of heaven is reflected in his works.Second, the characteristic of Moon Bok-hee’s sijo is that it is an authentic sijo that inherits Korea’s traditional rhyme.Our traditional rhyme, which has been maintained for a long time from the Guji family in Gosijo to modern times, is established in Moon Bok-hee’s works.The character count of around 45 characters, such as 3-4, 3-4/ 3-4, 3-4/ 3-5, and 4-3/, which are almost established in modern sijo, is applied throughout Moon Bok-hee’s sijo, and is used as a literary metaphor and It was created as a modern Korean sijo using the technique of metaphor.And we are taking the lead in educating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about this and disseminating it to overseas universities and students.Thirdly, Moon Bok-hee’s sijo is being used to globalize modern Korean sijo.Moon Bok-hee is leading globalization activities by teaching and specially managing sijo to international students from China, Japan, and Mongolia taking classes at universities, as well as lecturing and presenting Korean sijo at foreign universities and publishing collections of her works.As a result of intensive analysis and research on Moon Bok-hee’s modern Korean sijo and discovering its characteristics, all of his works are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nd in various materials and themes, faith in faith, literary imagination, and Korean traditional rhyme are fully integrated.I am ordering it.Therefore, Moon Bok-hee’s sijo can be said to be a model of “Korean modern orthodox sijo written in the spirit of Christianity” as it correctly incorporates the traditional rhyme of modern Korean sijo.In addition, Moon Bok-hee is taking the lead in actively promoting, disseminating, and globalizing Korean modern sijo at home and abroad.

      • KCI등재

        제도로서의 기구 ; 특집논문 : 1950년대 후반 시단의 재편과 현대시 개념의 논리 -<한국시인협회>(1957~1962)를 중심으로-

        박연희 ( Youn Hee Park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3

        이 논문은 조지훈을 중심으로 <한국시인협회>(이하 시협)가 구성되는 과정을 통해 1950년대 후반 독자적인 시단(詩壇)의 재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지훈은 ``예술원 파동`` 이후 문단이 분열되거나 전문 분과 기구의 창설이 증가하는 등 문화계의 전환기적 흐름과 맞물려 시협을 구상하고 결성하였다. 특히 시협은 해방후 이른바 ``문협 정통파``가 주도하던 전통서정시의 계보에 포함될 수 없었던 모더니스트들을 그 운영조직과 기관지의 지면을 통해 적극적으로 제도 안에 편입시켰다. 전통시와 모더니즘시가 대립되는 시단의 구도를 염두에 볼 때 이는 전통시와 모더니즘시를 포괄하는 새로운 한국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조지훈은 무엇보다 ``한국적인 것``의 특수성을 강조하며 ``서정시``로 대변되는 현대시 개념을 설정하였다. 이는 모더니즘시를 타자화하여 전통서정시의 외연을 확장하려는 문학권력의 또 다른 제도화, 이념화의 산물이다. 이처럼 서정시의 미학성과 정치성을 논리로 삼았던 조지훈의 현대시 개념은 김수영의 제1회 ``시협작품상`` 수상이라는 제도화 과정을 통해 본격화되었다. 시협은 문단이력, 문학성향, 세대 등 작품 외적 요소를 배제한 범문단적인 문학상을 표방하면서 세련된 방식의 시 전문단체를 지향하였다. 따라서 제1회 시협상은 현대시의 전범이 될 만한 작품을 선정함으로써 전통시와 현대시의 논쟁을 불식시키고자 했던 그 입장이 충분히 반영될 수밖에 없었다. 김수영의 시는 195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자주 언급되지 않았으며 최일수가 독특한 모더니즘시로 평가했을 뿐이었다. 김수영의 수상은 「눈」이 인간, 자연, 동양이라는 전통서정시의 표상에 근접하여 이에 대한 각론이 활발하게 진행되던 시기와 겹친다. 다시 말해 김수영의 수상 작품은 전통과 현대의 통합 가능성을 시사한 텍스트로 독해되었고 조지훈의 현대시 개념의 논리를 이행하는 데 활용되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independently reorganizational aspects of the Korean poetical circles in the late 1950s through the process of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n Poets Association (Si-Hyup hereinafter) with Cho Jihoon as a central figure. After the ``shock of the art academy (the Yesul-won)``, Cho Jihoon planned and organized the Si-Hyup following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Korean cultural circles such as the division of the literary circles and the increasing establishment of the special sub-committees. Particularly, the Si-Hyup, after the Korean Liberation, actively incorporated the modernism writers who could not be included in the traditional epic poem`s genealogy that has been dominated by ``the orthodox writers of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into its new organization through their appearance on the literary magazine and the operational activities within the organization.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the poetical circles had been in confrontation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ism poetry, this shift suggests the new possibility of Korean poetry embracing the traditional and modernism poetry. Above all, by emphas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ness, Cho Jihoon set up the notion of the modern poetry represented as the ``lyric poetry``. This is the product of another institutionalization and idealization to extend the denotation of the traditional lyric poetry with making the modernism poetry into the Other. The Cho Jihoon`s conception of the modern poetry which was based on the logic of the aesthetics and politics of the lyric poetry began to appear in earnest when Kim Suyoung was rewarded the first Si-Hyup Best Writing as the course of the institutionalization. The Si-Hyup claimed to stand for the pan-literary awards which excluded the external aspect of the works, such as the literary careers, literary tendencies and kinds of generation, and moved toward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of poetry with the sophisticated style. Therefore, the first award of the Si-hyup could not but to fully reflect the Cho Jihoon`s position that tried to calm controversy between the traditional and modern poetry by selecting the exemplary works of the modern poetry. The poems of Kim Sooyoung were not mentioned frequently in the poetical circles until the mid-1950s and only a literary critic, Choi Ilsoo put a high valuation on his uniqueness of modernism poetry. The Best Writing Award of Kim Sooyoung matched up the period that his poem Non has come to close to the symbols of traditional lyric poetry, that is, human, nature, and the East, and an active itemized discussion on each subject was taking place within the literary world. In other words, his works for best writing award were appreciated as the text that implied the integrating possibility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sm, and used for fulfilling the logical conceptions of the modern poetry in Cho Jiho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