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적 가치의 재정립을 위한 인문치료적 접근

        윤영돈 ( Young Don Yoon ) , 유병열 ( Byung Yul Yu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4 No.1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삶과 행동을 이끌고 규정하는 한국인의 가치관과 한국적 가치의 탐구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통시적 관점에 근거한 한국의 전통가치와 미래 한국사회에 요구되는 미래 지향적 가치를 살펴보고, 양자 간의 소통과 융합의 맥락에서 한국적인 핵심 가치의 일부를 재구성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 인문치료적 접근을 원용하였는데, 이는 한국적 가치의 원형과 변용(변형), 더나아가 왜곡된 지점을 확인하고 미래지향적인 전망 속에서 한국적 가치를 재구성 하는 데 친화력이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 일심(一心)을 한국적 가치의 원형중 하나로, 화(和)와 효(孝)와 충(忠)을 한국적 가치의 재정립 사례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인의 심층의식에 뿌리내린 ``일심``은 불성(佛性)이자 유교의 인(仁), 동학의 동귀일체(同歸一體)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그것은 한국인을 하나 되게 하는 문화적 유전자로 간주될 수 있다. ``화``의 가치는 타자와의 올바른 관계 맺기라는 원론적 의미로부터 시작하여 사회 공동체와의 관계, 더 나아가 자연과의 관계에서 상생과 조화의 원리로 기능할 수 있다. ``효``의 가치는 사회생활과 인간관계의 근본이자 공부와 학문의 출발점이며,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 원천으로서 효는 사상과 이념과 종교를 넘어선 인간관계의 근본 원리이다. ``충``의 가치는 자신에 대한성실, 맡은 일에 대한 충실, 올곧은 태도, 올바름과 공평함, 불의에 대한 저항, 나라사랑을 지향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inquiries of Korean core values which has regulated Korean thinking and conduct. In order to reconstruct Korean core values, we considered two aspects. One is Korean traditional values through diachronic perspective, the other is future-oriented values needed in Korea``s future society. Humanities therapy as methodology of this study, we think, holds effective to scrutinize prototype & transformation of Korean values, and elucidate the point of distortion in Korean values system, futhermore, reconstruct Korean core values in future prospect. This study suggested one mind(一心) as an prototype of Korean core values, and harmony(和), filial piety(孝), loyalty(忠) as examples of reconstructed Korean values. One mind(一心) rooted in Korean deep consciousness can be looked upon as immanent Buddhahood(佛性), benevolence (仁), returning to origin and becoming one(同歸一體) etc, which is a kind of cultural gene to unite Korean people. Harmony(和) enables us to make an propper relationship with others, group, society, and nature as a principle of symbiosis and coexistence. Filial piety(孝) which is the foundation of social life and human relations beyond thoughts and religions paves the path for learning and communal responsibility. Loyalty(忠) connotes integrity towards oneself, fidelity one``s duty, faithful attitude, rightness & fairness, resistance against injustice, and patriotism.

      • KCI등재

        한국기업의 조직문화

        이춘우(Choonwoo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14 인사조직연구 Vol.22 No.1

        Recently, the fast growth and global success of Korean firms has become a hot topic of management research. Prior research has focused on vertical integration and operational efficiency in explaining this rapid rise, while others suggest that Korean Chaebuls have adopted digital technology-based innovations faster than other global firms such as SONY or Motorola in making their ascent to the global leader board of companies. This study focuses on organizational culture in its investigation into Korean firms’ fast growth.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collective behavioral patterns and particular set of values common in Korean firms. Like an operating system for a computer that can run a variety of software programs, the authors view organizational culture as the core mechanism behind the various operational tools and instruments previously cited in the rapid rise of Korean Chaebuls. This study develops two conceptual models to describe Korean firm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ultural capabilities’ and ‘Shared values DNA structure’. One is a new conceptual model of organizational cultural capabilities that combines organizational culture theories, the Resource-based view, organizational competence, dynamic capabilities, and motivation theories. The second model is also a new conceptual model of Shared values DNA structure, and it combines organizational culture theories and a DNA model. These two conceptual models together provide a more powerful way to understand the culture-based growth engine mechanism behind Korean Chaebuls’ fast growth. This study evaluates extant research on Korean Management style and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Most of prior studies on the Korean corporate culture have confirmation bias to find some characteristic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such as Confucian values, familism, paternalism, collectivism, communalism, anthropocentric, assiduousness, obedience, whole-man education centric, Shinbaram, business field oriented leadership, externalism, short-term performance oriented, need for first class in the world, centralism, control oriented, stubbornness of seniors, bureaucracies, order-directed, only being a winner, conservatism, future-oriented etc. In contrast, the work of Shin, Yoo Keun (1992) suggests a comprehensive list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corporate culture. Those are ‘Anthropocentric and paternalistic corporate culture’, ‘collectivism and moral obligation-based behaviors’, ‘hierarchical order centric behaviors’. Cho, Young Ho (1995) and Cho et al.(2014) suggested that ‘dynamic collectivism’ is a common characteristic factor among large Korean companies. Cho, Kim and Kim(2007) investigated whether Korean corporate culture has changed with the influence of western culture subsequent to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1997. However, Shin (1992), Cho (1995), and Cho et al.(2014; 2007) did not try to clarify the mechanism of the Korean corporate culture contributing to the Chaebuls fast growth and global top player. This study introduces a new model ‘Organizational cultural capabilities’ to explain the mechanism of the corporate culture contributing to the organizational growth. The Cultural capabilities is defined as behavioral patterns operated by fundamental and behavioral values set to be relevant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Organizational cultural capabilities model includes seven styles(ways), such as goal setting style, working style, social competition style, organizational learning and change management style, managing people style, leadership style, boundary spanning, and inputs management styl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chanism used by Korean Chaebuls in their period of fast growth to be global top players can be described as ‘mobilizing the collective energies of the workforce to work for global excellence and top position’. 본 논문은 조직문화 측면에서 한국 대기업의 성장 동력을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 기업문화에 관한 선행연구문헌과 조직문화와 성과간 선행연구문헌을 비판적 입장에서 고찰하고, 성장동력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적 모형으로 조직문화적 역량모형과 공유가치DNA 구조를 제안한 후, 이를 통해 조직문화측면에서 한국기업의 성장동력 메커니즘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글로벌 기업으로 고속성장한 한국의 대기업들은 ‘최고를 향한 집단적 에너지’가 조직내 형성되고 발산되도록 하는 조직문화적 역량을 축적해 왔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한국기업의 조직문화적 역량은 목표설정방식에서 ‘일등주의 지향’, 일하는 방식에서 ‘헝그리정신에 기반한 필사적인 업무수행’과 ‘빨리빨리로 상징되는 속도전식 업무수행’, 관계설정방식에서 ‘수직적 협력에 의한 비공식집단 라인(줄)간 경쟁’, 학습변화혁신방식에서 ‘세계1등 선진기업 캐치업 벤치마킹 및 재혁신형 모방학습’, 경영관리방식에서 ‘우수 인재확보육성 및 신상필벌의 평가보상’, 리더십 방식에서 ‘카리스마를 지닌 본업충실의 현장지향적 솔선형 경영리더십’, 대외환경대응방식에서 ‘핵심경영요소 중시와 대외환경변화에 대한 신속한 적응’으로 집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한국기업의 조직문화적 역량의 행동패턴을 작동시키는 행동가치(파생가치)들과 기저가치들을 탐색하였다. 한국기업 조직구성원들의 행동패턴과 그 행동패턴들의 바탕을 이루는 행동가치들은 능력주의, 성과주의, 독립정신, 헝그리정신, 신상필벌, 소수정예주의, 변화혁신지향, 개방성, 상명하복, 도전정신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행동가치를 파생시키는 기저가치들로는 위계적 서열주의, 평등주의, 집단주의, 개인주의, 합리주의, 인본주의, 급진주의, 실질주의(실용주의), 명분주의, 민족주의, 진보주의, 낙관주의, 다원주의, 사해동포주의 등을 들 수 있다. 기저가치는 파생가치(행동가치)에 비해 상위의 개념이며 다른 기저가치와 접변(acculturation)되어 파생가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파생가치는 행동가치와 지칭하는 바가 동일한 용어로서 가시적인 행동패턴을 작동시키는 행동준칙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한국기업의 조직문화에서 작동하고 있는 가장 핵심적인 기저가치는 ‘위계적 서열주의’라고 할 수 있다. 서열주의가 한국 기업문화의 특징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신유근(1992)과 조영호(1995)도 주장한 바 있어 한국 기업의 문화적 DNA라고 할 수 있다. 20년 전에도 위계적 서열주의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면, 오늘날에도 위계적 서열주의는 계속 조직내에서 복제․전이되면서 한국 기업문화의 특징적 형질을 발현시키도록 하는 문화적 유전자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성취욕구, 승부근성과 같은 기질적 성향이나 집단적 낙관주의, 급진주의와 같은 기저가치들도 문화적 유전자로서 기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유가치DNA구조도를 도시하고 삼성그룹, 현대그룹, SK그룹, LG그룹을 포지셔닝 하였다. 공유가치DNA구조도를 통해 대기업들간에 조직문화적 형질이 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왜 조직문화적 형질의 차이가 발생하는가를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조직문화적 측면에서 한국 기업들의 성장동력 탐색이라는 거대 담론적 연구주제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한 막대한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분 미진한 점과 한계점들을 갖고 있어 추후 지속적인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후보

        Korean Values

        Choi, Park Kwang 韓國比較文學會 2002 比較文學 Vol.29 No.-

        본 논문은 한국인의 가치에 대해 논한 글이다. IMF시기를 전후로 하여 많은 논쟁을 불러 일으켰던 아시아적 가치에 대한 규명과 그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의 가치에 대한 개별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급선무이기 때문이다. 1970년 이후 소위 아시아 신흥 공업국(Nics)이라고 불렸던 한국, 대만, 홍콩,싱가포르 등. 아시아 4개국의 눈부신 경제 성장은 세계 경제학자들의 주목하는 바가 되기에 족했다. 이 같은 경제 성장에 대한 칭송은 1997년 말 아시아에 밀어닥친 경제 위기 이후, 유교자본주의의 거품현상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여 아시아적 가치에 대한 논쟁이 재차 쟁점화 되었다. 그러나 이들 논쟁의 대부분이 아시아 각국들의 지리적, 문화적, 종교적, 사회적 특성은 고려하지 않은 채 서구의 기독교 문명과 대칭적 개념에서 서술된 일반론에 근거한 것에 그치고 만 것이 대부분이었다. 한국의 가치에 대해 일괄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가치형성에 크게 작용한 것으로 가(家)제도를 들 수 있다. 가란 좁게는 가족이란 개념이기도 하지만, 이를 확대하면 사회, 국가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종래의 가는 가장을 중심으로, 죽은 조상과 현재의 가족 구성원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구성원간의 윤리, 도덕은 삼강과 오륜에 바탕을 두면서 동시에 예에 근거한다. 예란 본래 곡례(신에게 제사지내는 예)에서 비롯되었지만, 윤리 도덕 사상의 중핵으로 인간관계의 질서를 유지하는 규범이라고 할 수 있다. 가는 근대에 접어들면서 가족으로, 또는 가정이란 개념으로 변모하면서 그에 따라 가치 또한 변모를 거듭했었다. 전통적 가제도 이외에도 한국은 개항이후 국가 체제는 물론, 계층 간의 변동도 극심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오늘날의 한국인의 의식 속에는 종래, 가를 중심으로 한 가치관은 사회변화와 함께 변화를 계속 하였지만, 그러나 한국인의 의식 속에 여전히 전통적 가치로 자리 잡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가치는 윤리 도덕과 예가 그 중핵을 이룬다. 아시아적 가치에 대해 언급한 논자들의 주장처럼 한국은 혈연, 지연, 학연 등을 통해 인간관계가 보다 긴밀하게 형성되어 왔었다. 그런 면에서 글로벌 사회의 보편적 가치에서 보면, 혈연, 지연, 학연을 통해 형성된 권위주의, 패거리주의, 정실주의, 이중규범 등등은 긍정적 요소보다는 부정적 요소가 더욱 부각 될 수 있다. 그러나 서구 사회와는 달리 오랫동안 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왔던 한국 사회 구성에서 보면 이점들은 한국인의 가치이면서 활력소적 역할을 해 왔던 것도 사실이다. 권위주의적이면서 민본에 바탕을 둔 박애정신, 가족 중심적 상부상조와 겸양의 정신, 금욕적인 청빈, 현실적 이해에는 초연한 선비정신, 경로·효 사상 등등, 전통적으로 지속되어오던 가치는 서구의 보편적 가치와의 접목을 통해 보다 조화를 이루어가야 할 것이다. IMF체제로 접어든 지난 2년 간, 그리고 그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기업은 물론 심지어 대학에까지 시장원리를 앞세운 서구의 보편 가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IMF시기 외국계 자본에 매각된 서울 은행장으로 최초로 취임한 호리에씨의 도중하차는 서구의 보편 가치가 한국사회에서는 일석일조에 통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따라서 한국적 가치는 서구 보편적 가치와의 상호보완적 접목을 통해서 다원사회의 가치 규범으로 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문화적 배경 차이에 따른 뉴스가치 비교 분석

        홍병기(Hong,Byeong-G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신문의 1면은 그날의 가장 중요한 뉴스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신문사가 기사 선택과정에서 어떠한 가치관을 우선하는가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공간이다. 언론사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사결정 구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가치 중에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분석은 국가나 문화, 언어 가 다른 이질적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언론인들간의 뉴스가치의 비교에 유용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토양이 다른 에디터들이 다양한 기사 소재를 놓고 톱뉴스로 다루는 과정에서 어떤 기준에 따라 기사 선택에 나서며, 그 차이는 지면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주목해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외국 언론인들이 제작에 다수 참여하고 있는 국내 영자신문 중에서 미국인 에디터들이 주도적으로 기사 선정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Korea JoongAng Daily의 편집회의에 대한 참여관찰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미국인 에디터들은 한국언론인들과는 상이한 뉴스가치를 기준으로 기사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에 비해 부서별 균형(balance)을 중시해 다양한 기사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대통령 선거과정을 다룬 보도에서도 한국언론인들은 하나의 사안에 대해 여러 개의 기사를 별도로 작성해 전체 현실을 설명하는 조합식 구성(mosaic style)을 선호하는데 비해 미국 언론인들은 다양한 관련 요소를 하나의 기사에 최대한 통합, 포괄해 제시하는 통합적 기사(integrated story)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정한 사회적인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도 미국인 에디터들은 문제를 불러오게 만드는 사회적 상황이나 시스템에 대해 주목하는 한국특유의 종합적인 사고방식 대신 개인적인 차원에서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분석적 사고방식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뉴스를 바라봤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한국 언론이 제시하고 있는 기사 가치 중에서 특히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들과 갈등을 빚거나 낮은 평가를 내리는 유형들로는 추가적인 사실(fact)가 제시되지 않아 내용의 발전(development)이 없거나 기사의 의미나 배경이 담겨 있지 않은 기사 , 의견이 담겨있는 주관적인 기사나 주장의 근거나 출처(attribution)가 없는 기사, 인간적인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재미’가 없는 기사들이 꼽혔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앞으로 문화적 배경이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에서 우리와 상이한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문화산업으로서의 한국 언론의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데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ery first page of the newspaper is a space where the most important news of the day is published on, and thus, it shows what each newspaper company values the most. Among theoretical models on how media selects certain article, there is a ‘gate-keeping theory’ under which mass media selects certain items through its traditional way. This theory is evaluated in a way that it explains complex and various structures of mass media. Among individual values that influence gate-keeping courses, analysis on ‘cultural background’ is a useful and theoretical base that compares news values selected by journalist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ith different nationality, culture and language. In this research, how editor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values choose articles, especially on what standards, and how those articles turn out on papers. For this research, I, as an observer, participated in an editor meeting of Korea JoongAng Daily (KJD), a domestic English newspaper where American editors select Korean news articles and pick out headlines. In result, American editors choose their articles on their own standards which tend to be different from Korean journalists. American editors tend to put various types of stories on the front page, meaning not just articles from a politics department, but also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 departments as well. So they are trying to balance out the number of articles so that each department gets to publish an article on the front pag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Korean journalists preferred a mosaic style where various types of articles on one particular item while American journalists preferred an integrated story where a number of different items are integrated in one big article. When big news breaks in, American journalists tend to put out an article that is more like an analysis, presenting solutions to the problem, instead of focusing on social circumstances or systems that caused the problem. Here are types of articles that are evaluated to have not much news values by American journalists: an article that has already been reported but has no additional facts, an article with no meaning and backgrounds, an article with subjective opinions, an article with no sources, and an article that raises no human interest. 신문의 1면은 그날의 가장 중요한 뉴스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신문사가 기사 선택과정에서 어떠한 가치관을 우선하는가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공간이다. 언론사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사결정 구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가치 중에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분석은 국가나 문화, 언어 가 다른 이질적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언론인들간의 뉴스가치의 비교에 유용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토양이 다른 에디터들이 다양한 기사 소재를 놓고 톱뉴스로 다루는 과정에서 어떤 기준에 따라 기사 선택에 나서며, 그 차이는 지면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주목해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외국 언론인들이 제작에 다수 참여하고 있는 국내 영자신문 중에서 미국인 에디터들이 주도적으로 기사 선정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Korea JoongAng Daily의 편집회의에 대한 참여관찰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미국인 에디터들은 한국언론인들과는 상이한 뉴스가치를 기준으로 기사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에 비해 부서별 균형(balance)을 중시해 다양한 기사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대통령 선거과정을 다룬 보도에서도 한국언론인들은 하나의 사안에 대해 여러 개의 기사를 별도로 작성해 전체 현실을 설명하는 조합식 구성(mosaic style)을 선호하는데 비해 미국 언론인들은 다양한 관련 요소를 하나의 기사에 최대한 통합, 포괄해 제시하는 통합적 기사(integrated story)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정한 사회적인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도 미국인 에디터들은 문제를 불러오게 만드는 사회적 상황이나 시스템에 대해 주목하는 한국특유의 종합적인 사고방식 대신 개인적인 차원에서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분석적 사고방식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뉴스를 바라봤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한국 언론이 제시하고 있는 기사 가치 중에서 특히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들과 갈등을 빚거나 낮은 평가를 내리는 유형들로는 추가적인 사실(fact)가 제시되지 않아 내용의 발전(development)이 없거나 기사의 의미나 배경이 담겨 있지 않은 기사 , 의견이 담겨있는 주관적인 기사나 주장의 근거나 출처(attribution)가 없는 기사, 인간적인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재미’가 없는 기사들이 꼽혔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앞으로 문화적 배경이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에서 우리와 상이한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문화산업으로서의 한국 언론의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데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ery first page of the newspaper is a space where the most important news of the day is published on, and thus, it shows what each newspaper company values the most. Among theoretical models on how media selects certain article, there is a ‘gate-keeping theory’ under which mass media selects certain items through its traditional way. This theory is evaluated in a way that it explains complex and various structures of mass media. Among individual values that influence gate-keeping courses, analysis on ‘cultural background’ is a useful and theoretical base that compares news values selected by journalist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ith different nationality, culture and language. In this research, how editor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values choose articles, especially on what standards, and how those articles turn out on papers. For this research, I, as an observer, participated in an editor meeting of Korea JoongAng Daily (KJD), a domestic English newspaper where American editors select Korean news articles and pick out headlines. In result, American editors choose their articles on their own standards which tend to be different from Korean journalists. American editors tend to put various types of stories on the front page, meaning not just articles from a politics department, but also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 departments as well. So they are trying to balance out the number of articles so that each department gets to publish an article on the front pag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Korean journalists preferred a mosaic style where various types of articles on one particular item while American journalists preferred an integrated story where a number of different items are integrated in one big article. When big news breaks in, American journalists tend to put out an article that is more like an analysis, presenting solutions to the problem, instead of focusing on social circumstances or systems that caused the problem. Here are types of articles that are evaluated to have not much news values by American journalists: an article that has already been reported but has no additional facts, an article with no meaning and backgrounds, an article with subjective opinions, an article with no sources, and an article that raises no human interest.

      • KCI등재

        한국적 가치의 재정립을 위한 인문치료적 접근

        윤영돈,유병열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4 No.1

        This study started from inquiries of Korean core values which has regulated Korean thinking and conduct. In order to reconstruct Korean core values, we considered two aspects. One is Korean traditional values through diachronic perspective, the other is future-oriented values needed in Korea’s future society. Humanities therapy as methodology of this study, we think, holds effective to scrutinize prototype & transformation of Korean values, and elucidate the point of distortion in Korean values system, futhermore, reconstruct Korean core values in future prospect. This study suggested one mind(一心) as an prototype of Korean core values, and harmony(和), filial piety(孝), loyalty(忠) as examples of reconstructed Korean values. One mind(一心) rooted in Korean deep consciousness can be looked upon as immanent Buddhahood(佛性), benevolence(仁), returning to origin and becoming one(同歸一體) etc, which is a kind of cultural gene to unite Korean people. Harmony(和) enables us to make an propper relationship with others, group, society, and nature as a principle of symbiosis and coexistence. Filial piety(孝) which is the foundation of social life and human relations beyond thoughts and religions paves the path for learning and communal responsibility. Loyalty(忠) connotes integrity towards oneself, fidelity one’s duty, faithful attitude, rightness & fairness, resistance against injustice, and patriotism.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삶과 행동을 이끌고 규정하는 한국인의 가치관과 한국적 가치의 탐구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통시적 관점에 근거한 한국의 전통가치와 미래 한국사회에 요구되는 미래 지향적 가치를 살펴보고, 양자 간의 소통과 융합의 맥락에서 한국적인 핵심 가치의 일부를 재구성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 인문치료적 접근을 원용하였는데, 이는 한국적 가치의 원형과 변용(변형), 더 나아가 왜곡된 지점을 확인하고 미래지향적인 전망 속에서 한국적 가치를 재구성하는 데 친화력이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 일심(一心)을 한국적 가치의 원형 중 하나로, 화(和)와 효(孝)와 충(忠)을 한국적 가치의 재정립 사례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인의 심층의식에 뿌리내린 ‘일심’은 불성(佛性)이자 유교의 인(仁), 동학의 동귀일체(同歸一體)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그것은 한국인을 하나 되게 하는 문화적 유전자로 간주될 수 있다. ‘화’의 가치는 타자와의 올바른 관계 맺기라는 원론적 의미로부터 시작하여 사회 공동체와의 관계, 더 나아가 자연과의 관계에서 상생과 조화의 원리로 기능할 수 있다. ‘효’의 가치는 사회생활과 인간관계의 근본이자 공부와 학문의 출발점이며,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 원천으로서 효는 사상과 이념과 종교를 넘어선 인간관계의 근본 원리이다. ‘충’의 가치는 자신에 대한 성실, 맡은 일에 대한 충실, 올곧은 태도, 올바름과 공평함, 불의에 대한 저항, 나라사랑을 지향한다.

      • KCI등재

        한국문화교육에서 한국인 가치관의 실증적 규명에 관한 연구

        홍기정 ( Hong Ki-jung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4 No.-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교육에서 가치관은 중요한 항목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런데 가치관과 관련하여서는 자주 거론되어 온 하나의 문제가 있다. 그것은 현대 한국인의 가치관을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관련 교재들과 연구물들에서는, 집단주의 가족주의 권위주의 같은 것들을 한국인의 가치관으로 다뤄 왔다. 그러나 이것들은 이전 세대의 인접학문 학자들에 의해 포착된 한국인의 성격적 특징들로서, 매우 빠른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한국인의 가치관으로서 제시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게다가 그것은 특정한 학문적 관심이 바탕에 깔린 연구의 결과이므로, 외국인에게 현대 한국인의 가치관을 소개하고 가르치는 목적으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한국인의 가치관으로 거론되는 것들 상당수가 연구자 개인의 인생 경험에 기초한 경험적 직관에 따라 선택된 것이라는 점도 문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가치관 교육과 관련된 이러한 문제들을 지적하고, 대안으로서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와 <세계 가치관 조사>의 자료들을 활용하여 실증적인 방식으로 한국인의 가치관 규명을 시도한다.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Korean culture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And value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However, there is one problem with the value education. The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values of Koreans. So far, several things have been repeatedly mentioned as Korean values: collectivism, familyism, and authoritarianism etc. It is something that sociologists have pointed to in the past as a social feature of Koreans. The question is, does it reflect the values of Koreans today? Another problem is whether it meets the purpose of educating foreigners. This is because it is the result of research originating from specific academic interests. It is also a problem that the values of the Koreans mentioned are not based on objective and empirical data. This paper points out these problems and suggests an alternative. It is to use two surveys in value education, ‘Korean Sense & Value Survey’ and ‘World Value Survey(WVS)’. This paper explains how Korean values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se data.

      • KCI등재

        한국의 현대 패션과 젠더 가치관

        허예은,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근대화 혹은 서구화 등 단편적인 관점으로 이해되는 한국 복식사에서, 젠더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근현대 복식사를 고찰하여 한국 현대 패션의 문화적 특성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서구 사회에서 젠더 가치관에 따른 복식의 변화와 한국 젠더의 특수성 및 한국 근현대 복식사를 고찰하였다. 한국 젠더의 특수성으로, 이중적 구도와 복잡한 중층적 구조를 도출하였으며 개화기 이후 국가주의적 젠더 정치 하에 남성 및 여성 복식은 엄격한 사회적 통제를 받았고 한국전쟁 이후 국가의 통제를 벗어나면서 다양한 패션 스타일이 유행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헌 연구 및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한국의 젠더와 패션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20대, 30대의 남성 및 여성 총 2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횡단적 지표화 방식을 사용하였다. 한국의 젠더와 패션에 대한 인식을 고찰한 연구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에 비해 성 역할 고정관념은 많이 허물어졌으나 가정에서 남성이 경제적 소득을, 여성이 출산 및 육아에 대한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는 전통적 인 인식이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었다. 또한 남성 및 여성의 성격, 행동, 역할 등을 구분하는 고정관념이 남아 있어 한국 사회에서 젠더 가치관은 성적 정체성의 표현뿐 아니라 인성 및 품격을 평가하는 윤리적 규범으로 서 인식되고 있었다. 둘째, 한국 젠더 가치관의 특징으로 강한 이분법적 고정관념과 다양한 젠더 가치관의 공존이 도출되었다. 셋째, 한국 사회에서 젠더 가치관이 윤리적 규범으로 인식되어 오면서 패션은 단순히 취향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일 뿐 아니라 예의와 규범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다양한 젠 더 가치관이 공존하고 개인의 성향과 취향, 자율적 선택을 존중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자신의 만족을 우선 으로 하는 미적 태도 또한 중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현대 패션은 옷차림을 통한 규범적 가치를 중시 하는 한편, 다양한 패션 스타일을 단편적으로 경험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이중적인 패션 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ultural insight of Korean modern fashion by using a gender category.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it revealed that Korea’s fashion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gender value. Since 19th century, the Korean government has regulated the gender role while the dress code policy has been differently applied. However, as the gender value changed after 1970s, various fashion style appeare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gender perception of the Korean society. Interviewees were 11 men and 11 women in their 20s and 30s in order to examine their gender perception. As a result, it revealed that traditional gender value in the Korean society is not only a means of expressing sexual identity but also criteria of an ethical norm. However, the various gender values reflect that the importance of gender value has been weakened.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relation between gender value and preference for fashion style, it revealed that the attitude toward gender value had influence on a fashion style. Also, it has been found that fashion was not only a means of expressing their tastes and identities but also an important means of expressing courtesy and norms. However, aesthetic attitude prioritizing one's own satisfaction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gender and modern fashion in Korea through interview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the specificity of Korean gender valu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 of Korean modern fash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conducive to future research on fashion culture study trying new interpretation of Korean fashion.

      • KCI등재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의 가치문화 교육 방안 연구 -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

        김한근 ( Kim Han-geun ),김현정 ( Kim Hyeon-jeong )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6

        국내 결혼이민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학생과 더불어 주요 한국어 학습 집단으로 여겨지는 이들에게 진정한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 사회와 문화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가치문화를 활용하여 결혼이민자들이 한국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를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보게 함으로써 한국 사회와 문화에 빠르게 적응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문화의 간접체험이 가능한 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가치문화를 교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다양한 한국의 가치문화 중 본 연구에서는 가족주의, 남성적 문화, 권위주의를 핵심적인 한국의 가치문화로 보았고 이러한 가치문화 속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여성차별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족주의, 남성적 문화, 권위주의에서 비롯된 한국의 여성차별 문제가 잘 드러난 문학 작품인 『82년생 김지영』을 통해 한국의 여성차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후 실제적인 수업 모형을 통해 결혼이민자들이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문화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파악하여 서로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상호문화적 관점을 채택하여 한국의 가치문화 교수·학습할 수 있는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또한 단순히 한국의 가치문화요소만을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에서 가치문화의 변화에 따른 전통적 가치와 현대적 가치의 혼재로 인해 발생한 여성차별 문제의 쟁점들까지 통시적, 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를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봄으로써 결혼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와 문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향후 사회 다방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As the number of domestic marriage immigrants increases, it is important to adapt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in order to live as a true member of Korean society for those who are considered as major Korean language learning groups along with internationa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help marriage immigrants not only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but also quickly adapt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by making them look at Korean society objectively by utilizing the value culture of Korea. Among various Korean value cultures, this study viewed familialism, masculine culture, and authoritarianism as core Korean value cultures, and focused on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these value cultures.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discrimination in Korea were examined through KIM JIYOUNG, BORN 1982, a literary work that shows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Korea that originated from familialism, masculine culture, and authoritarianism. Afterwards, through a practical instructional model,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was adopted so that marriage immigrants could understand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of cul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cultures and thus respect and understand different cultures. In addition, it not only educates only the elements of Korean value and culture, but also examines the issue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rising from the mixture of traditional and modern values according to changes in value culture in Korean society.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help marriage immigrants quickly adapt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by looking at Korean society more objectively a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social fields in the future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보수적인 한국교회에서 여성도들의 자존감 회복

        김승호 ( Seung Ho Kim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2 복음과 선교 Vol.18 No.-

        자기가치 (self-worth)는 자신을 얼마나 소중한 존재로 혹은 가치있는 존재로 여기느냐? 와 관련된 문제다. 심리학자 나대니엘 브랜든 (Nathaniel Branden)은인간의 모든 불행은 자신의 자기가치를 인식하지 못한 데 기인하며 자기가치는 행동, 인간관계, 혹은 인격형성의 모든 열쇠를 갖고 있다라고 말할 정도로 인간의 자기가치 인식은 중요한 문제다. 한국의 유교문화 하에서 여성의 가치는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자신들에게 낮은 가치를 부여하는 유교 세계관으로 인해 한국여성들은 자기가치를 인식하거나 그것을 개발할 기회조차 부여되지 않았다. 유교문화 하에서 여성들의 자신에 대한 인식은 자신이 아니라 주변사람들에 의해 결정되기까지 했다. 지난4050년 동안 한국사회는 현대화, 산업화 그리고 서구화 과정을 거치면서 유교적 세계관이 상당히 약화된 것은 사실이지만 유교는 여전히 한국인의 의식의 세계를 지배하고 있으며 가치판단의 기준으로 우리 곁에 살아 있다. 그렇다면 한국교회의 상황은 어떠한가? 19세기 초 한국에 들어온 선교사들은 한국사회 여러 분야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고 한국사회에 만연해 있던 부정부패해소, 차별철폐, 그리고 특히 여성교육을 위해 학교를 세우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현재 한국교회 구성원의약 70%가 여성도들로서, 이들은 세계가 놀라워하는 한국교회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청교도적이며 칼빈주의적 보수신학 성향을 지녔던 초기 선교사들의 신학사상 영향으로 현재도 한국의 보수적 성향의 교회에서 여성의 역할이나 위치는 남성들의 것에 비해 매우 낮은 위치에 있다. 교회의 주요 의사결정은 남성들의 몫이며 여성은 봉사(디아코니아)의 일과 아이들을 교육하는 수준이다. 지난 3040년간 한국의 정치, 경제, 법조계, 문화, 과학, 교육 등 다양한 분야들에서의 여성들의 괄목할 만한 성취와 진출이 있었지만 여전히 보수교회의 여성들은 하나님이 자신들에게 부여한 가치조차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남성목회지도자들은 여성도들에게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그들의 진정한 가치를 개발할 기회조차 제공하지 않고 있다. 연구자는 여기에 주목하여 논문을 통해 한국보수교회의 여성도들의 자기가치 인식 및 개발과 관련된 문화적, 신학적 문제점을 분석한 후 한국교회 여성도들이 하나님 안에서 자기가치를 발견함으로써 성경적인 자아상을 갖고 살아갈 수 있도록 네 가지 실천적인 제안들을 하였다.

      • KCI등재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지현미 한국회계정보학회 2013 회계정보연구 Vol.31 No.2

        K-IFRS was mandatorily adopted in 2011 for all listed companies. Some companies have adopted K-IFRS voluntarily from 2009. Financial information is value relevant to investors if it can be used by them in making investment decisions and so may affect a company's market value. The question of K-IFRS's value relevance is of great importance given the part accounting information plays in equity valuation and the facilitation of investment decisions. Many prior foreign studies report that adoption of IFRS increases the value relevance of financial information. In this study, it is empirically tested whether the value relevance of financial information after the adoption of K-IFRS is increased in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as well as in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The sample consists of non-banking firms (822 firm-year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that report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and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over 2010-2011. Market-based evidence shows that financial information after the adoption of K-IFRS explains market prices over and above K-GAAP. These results contribute to research about informational effectiveness of K-IFRS. 2011년부터 상장기업과 금융회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의무적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다만, 선택에 따라 2009년부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조기 적용 할 수도 있었다. 2009년과 2010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조기 적용 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한 재무정보가 과거 회계기준(K-GAAP)을 적용한 재무정보에 비해 기업가치에 추가적인 설명력을 제공한다는 연구와 그렇지 못하다는 연구로 일관된 결과를 나타내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는 조기 적용 기업이 매우 적은 숫자이므로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한 표본상의 한계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의무 적용 대상기간인 2011년과 과거 회계기준(K-GAAP)을 적용하였던 2010년을 검증대상으로 하여 Ohlson모형(1995)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 금융업을 제외한 상장기업 중 본 연구의 표본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822개의 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의무 적용 한 경우 연결재무제표 및 개별재무제표의 순자산장부가치의 주가와의 가치관련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의무 적용 한 경우 개별재무제표와 연결재무제표 주당순이익의 주가와의 가치관련성도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의무 적용이 회계정보 즉, 순자산장부가치 및 주당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을 전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의무 적용 첫 해인 2011년 재무제표를 검증대상으로 함으로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적용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의무 적용한 재무정보가 과거 회계기준에 의한 회계정보가 제공할 수 없었던 정보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기업의 시장가치에 기초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경제적 효과를 검증한 것도 본 연구의 공헌점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