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민영의 한국 연극사 연구

        홍창수(Hong Changso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3 No.-

        연극사학자 유민영의 주요 한국연극 관련 개별사들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인, 주요 개별사는 연대기적 서술 체제의 이완된 틀을 지니고 있고, 시기의 중첩성은 서술 방식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고, 저자의 서술 태도를 반영한다. 둘째, 저자의 연극사 서술 태도는 "있었던 그대로 가식없이", 그리고 "선별 없이 가능한 한 모든 것"을 서술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 태도는 연극사 연구도 본격화되지도 않았고 연극 관련 자료도 빈약했던 1980년 전후, 많은 자료와 내용을 실증적으로 정리하여 체계화된 연극사를 기술하겠다는 학자 의식의 소산으로 보인다. 셋째, 초기의 개별사들에서는 짤막한 서론에서 기술 방법을 언급한 것에 비해, 후기의 개별사에서는 엄밀한 학문적 객관성으로 근대연극의 기점부터 용어들의 개념과 차이, 연구 대상 시기와 범위 등을 논리적으로 기술하며 연극사 서술을 본격화한다. 넷째, 저자의 개별사 서술 방식은 실증적 방법을 기초로 하여 다중적 관점에 의한 포용적 서술, 정사와 야사의 혼합 서술, 연극 관점의 변화에 따른 확장적 서술의 방식을 취한다. 다중 관점과 서술의 포용성과 확장성은 그의 개별사를 더욱 확대하는 데 기여한다. 다섯째, 그러나 이러한 서술 방식은 작게는 자료 분석, 용어의 개념, 증언의 객관성과 같은 문제를 낳기도 하지만, 크게는 관점의 무원칙, 체제의 불안한 구성, 시기구분의 중첩성이나 애매성과 같이 연극사 기술에서 학문적으로 엄밀하게 다뤄야 할 근본 문제를 낳기도 한다. This study analyzed his major books about the history of Korean theatre. Its overall meaning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s major histories of Korean theatre have loose chronical structures, and each period in each history commonly has haracteristics that it overlaps one another. This overlapping of periods in history is closely connected with his chronical writing method of history, reflects on his writing attitude, and finally is due to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atre as a theatre historian. Second, the author"s basic writing attitude of theatre history is that history has to include "the whole truth without pretension", and "everything without selection". This attitude has early 1980s" background that studies on theatre history began in earnest and materials related to theatre were lacked. And it seems to be product of an historian"s consciousness that will write theatre history that systemizes by arranging positively a lot of materials and contents. At this point, the spirit of Yoo Minyoung"s theatre history is historical, and his major histories of Korean theatre can be the fruits of the times. Third, historical character of each history by him is able to confirm through change of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In his early history books, he mentioned writing methods on the short preface. On the contrary, in his later history books, he wrote from origination of modern theatre, the conception and difference of terminology, period and category of objects of study etc. logically, began in earnest to write history of Korean theatre. Fourth, on the basis of positive method that original materials are collected and arranged, the theatre historian uses an receptive writing method by multiple perspectives, an mixture writing method of official and unofficial history, and an extensive writing method by change of theatrical perspective. Multiple historical perspectives and receptiveness and extensiveness of writing make his histories more voluminous. Fifth, nevertheless although these writing methods cause from several problems such as analysis of original materials, the conception of terminology, and the objectivity of verbal evidences, cause to basic problems that have to deal with strictly in theatre history academically such as unscrupulous perspective, unstableness of chronical structure, and overlapping and ambiguity of periods in history.

      • 서지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본 1990년대 이후 한국연극학 연구의 동향

        이진아(Lee ChinA)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 세계한국어문학 Vol.2 No.-

        본 연구는 그 전 시대와 비교해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던 1990년대 이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를 시기적 대상으로 하고 한국 연극학 연구 성과물의 서지적 정보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한국 연극학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자 한다. 즉, 이 시기 연극학 연구의 몇 가지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그 쟁점들이 촉발되고 논의된 맥락과 그것이 한국 연극학 연구사에서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더불어 그러한 주제들을 접근하는 데에 사용된 새로운 연구방법론과 그것이 제시한 가능성들을 살피고자 한다. 1990년대 들어 달라진 정치 사회적 상황과 정보과학기술의 변화는 한국연극학 연구에 있어서도 새로운 환경을 제시했다. 1988년 7월 이후 월북 작가 및 사회주의 작가들의 작품이 해금되기 시작하고 1988년 통일원 도서관이 개관되면서,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주제에 대한 연구가 촉발되었다. 정치 사회적으로 개방적이고 탈이데올로기적인 분위기는 한국연극계 전반에 후기 근대적 징후를 드리우기 시작했는데 이에 대중성, 연극성(공연성), 포스트모던 연극 등이 연극학 분야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이는 동시에 한국의 근대, 특히 식민 근대에 대한 재검토이자 연극이란 무엇인가라는 실존적 질문이기도 했다. 새로운 연구관심사는 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새롭고 다양한 연구방법론의 소개로 인하여 연구에 활기를 띠었다. 연구방법론이자 비평이론으로서의 페미니즘, 기호학, 탈식민주의 등이 그것이다. 각각의 방법론은 서로 모순되기도 하고 상보적 관계를 이루기도 하면서 학계에 다양한 비판적 문제제기를 가능하게 했다. 본 연구는 개별적인 연구의 성과에 대한 고찰은 하지 않았다. 그보다는 9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연극학 연구의 동향을 살핌으로써 그 지형도를 구축해 보는 것까지가 본 연구의 소임이다. This study sets its periodic subject as since 1990's when there had been many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hanges compared to the previous era until today while setting the subject of study as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Korean theatre research results to examine the trend of Korean dramatics. In other words, several main arguments of theatre study during this period are arranged and attempted to clarify the logical connection in which such arguments have been stirred and debated as well as what they signify in the history of Korean theatre research. Moreover, the new study methodology used in approaching such subjects and possibilities presented by them are examined. The changed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as well as the change of information technology since 1990's had presented a new environment even in the study of Korean theatre. After July, 1988, the works authors who have gone to North Korea and socialist authors have started getting removed and as the Unification Center Library opened up in 1988, the study on subject that hadn't been researched so far have been stirred. While the open and post-ideological atmosphere have started to hand down postmodern signs throughout the entire Korean theatre world. Accordingly, the popularity, theatricallity(performativity) and post-modern drama, etc have been raised as main arguments in the field of theatre. This at the same time was also the re-examination on modernity of Korea, especially on the western colonial modernism as well as being the existing question of what the theatre really is. The new matter of interest for research has given life to the research due to the introduction of fresh and diverse study methodologies enabling approach to such interest. These are feminism, semiotics, and postcolonialism, etc as study methodology and critic theory. Each methodology has enabled raising various critical issues in the academic circle while contradicting or supplementing each other. This study has not investigated the achievement of individual research. Rather than this, the mission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trend of theatre study in Korea since 1990's until now to attempt building its topographical map.

      • KCI등재

        상호문화주의 한국 일본 및 아시아 근대 연극사 비교 연구 : 유럽 연극 수입 양상을 중심으로

        장원재 한국여가문화학회 2004 여가학연구 Vol.2 No.2

        이 논문은 한국의 근대 문화 형성기의 외국 문화 수입 과정에 초점을 맞춰, 학문적 방법론으로서의 상호문화주의를 고찰하며 그 의미와 유용성을 검토하는 글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정밀하게 드러내는 현상으로서 식민지시대 한국 연극운동에 주목하기로 한다. 상호문화주의(interculturalism)는 문화/문학 교류의 양상을 연구하는 여러 학문적 분석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 이론의 가장 큰 특징은 수용자를 중심에 놓고 제반 문화현상을 분석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문화 교류의 전개과정에 주안점을 두지 않고, 문화교류를 촉발한 가장 큰 동인이 수용자의 사회문화적 상황이라는 전제하에 논의를 전개한다는 뜻이다. 상호문화주의에 입각한 활발한 문화교류는 20세기 초반 이래 계속되어온 범세계적 현상으로, 당대의 전형적 시대정신의 반영이라고도 볼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보자면, 한국의 근대극운동 역시 연극적 상호문화주의, 즉 ‘상이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연극들이 서로 타국의 연극적 전통성을 자국의 창작물에 적극적으로 이식하는 경향을 보이는’ 현상의 한 편린이라고 말할 수 있다. 1910년대에 발아하여 1920년대에 본 궤도에 오른 한국 근대극 운동은 정치적으로는 일제로부터의 해방, 사회적으로는 계몽과 교육을 통한 근대 사회 건설이 민족적 급선무라고 자각했었던 일군의 지식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추진했었던 문화 운동이다. 신학문을 제도적으로 학습한 최초의 세대, 그 중에서도 일본 유학생을 중심으로 결성된 근대극 운동의 지도자 그룹은 서양 근대극을 수입하여 한국 근대극의 기반을 구축하려 하였다.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보자면, 한국연극에 끼친 유럽 근대 연극의 충격은 그러므로 단순히 고립된 사건이 아니라 시대정신의 부름에 대한 한국적 응답이었다고 풀이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이 논문은 한국 근대극 운동 지도자들이 유럽 근대극을 수입하게 된 사회적 동기, 이를 흡수/소화/재창조한 한국 지식인들의 문화적 역량, 이에 수반하는 비교 문화, 비교 연극사적 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글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연극사와 일본 연극사의 관련 양상, 한국 근대극 운동과 다른 아시아 근대극 운동의 전개 양상을 비교 분석한다. 앞에서 제기한 문제의식에 대한 학문적 해답을 마련하려면 각각의 사항에 대한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나, 이 논문에서는 큰

      • KCI등재

        신극과 서구연극 수용을 통한 한국근대연극의 기원에 관한 문제제기

        안치운 한국연극학회 2020 한국연극학 Vol.1 No.73

        한국근대연극이 서양으로부터 수입한 신극은 문학적 연극 즉 희곡에 기초한 연극(literary drama)이라고 할 수 있다. 1920년대 극예술협회와 토월회, 1930년대 극예술연구회에 이르기까지 수입된 신극의 주류적 경향에 대한 비판적 서술과 자기 검열은 종종 있었지만, 많지 않았다. 신극을 주장했던 이들의 근대적 연극의 담론을 분석하는 목적은 신극에 대한 분명한 기록과 더불어 이를 해석해서, 이러한 담론이 한국 근대연극사에 끼친 영향과 신극이 발전해온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그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신극이념이나 당대 공연 실제 등이 오늘날에는 추상적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의 내용은 상정의 수준, 하나의 예비적 고찰에 머물 수밖에 없다. 실체가 없는 역사를 말하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국 근대연극사에서 신극은 근대 연극을 위한 대안을 넘어서는 거대한 프로젝트와 같다. 신극에 대한 담론은 구극인 한국 전통연극에 대한 종언이고, 신극을 통한 한국 근대연극 탄생에 대한 선언이고 천명과도 같다. 구극에 대해서 가학적이었고, 조소적이었던 연극개량주의자들의 주장들은 한국의 근대연극의 중심이 수입된, 번역된, 이식된 서양연극 즉 신극이어야 한다는 경직된 가정의 능산물이다. 김현·김윤식의 『한국문학사』에서 언급된 “문학사는 실체가 아니라 형태이다”라는 명제를 빌려 말한다면, 한국 근현대연극사에 관한 정의와 연구는 신극 이전과 이후를 아우르는 연극적 연대기 속에 나타난 구체적인 연극 형태들을 통해서, 그것들의 연속성에 의해서 더욱 분명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 다루려고 하는 것은 신극과 번역극의 수용에 관한 문제제기로서, 한국 근대 연극사의 중심을 이루는 신극에 대한 담론읽기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한국 근대 연극의 기원과 정의, 그 흔적에 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 KCI등재

        연극의 ‘재정치화’ – 동시대 독일과 한국의 정치적 연극 연구(II) - ‘세월호’ 이후 한국의 정치적 연극

        이상복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2 No.1

        This thesis studied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political theater in Korea. The repoliticization of theater is a theatrical response to a radically changed reality. In particular, the reality of Korea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summoned a Korean theater. Conventional theaters that insist on emotional empathy or encouraging solidarity to the audience can no longer reflect the contemporary. The political theater is not simply a participation in reality, but is embodied by a formal overthrow through a break with existing theatrical customs. From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Korean theater has been changed so much that it is called ‘theatrical renaissance.’ It avoids the fictional representational theater, and changes to a form of ‘presentation’ on the stage based on reality and facts. Contemporary political theaters in Korea are produced based on public and private records that can prove facts rather than existing fictional texts. In addition, by weaving fictional texts on these records, various perspectives that exist in complex reality are presented. This documentary character and polyphony are made possible by the democratic theatrical production method of ‘devising’. The devising follows the opinions of all members of the entire process from finding the theme of a play to researching data on it, and organizing and setting the stage. In this process, all members of the theater become ‘co-producers’. He is an agent who embodies himself, not representing anything. Likewise, the audience is no longer a passive being that deciphers the intentions of the writer or director, but becomes a political subject who decides on his own actions in the discord with the characters shown by the actor. The contemporary political theater in Korea is summoned by a complex and uncomfortable reality, and attempts to correct the ineffective reality politics and divide the share of emotions rightly. 본 논문은 동시대 한국의 정치적 연극의 현황과 특징을 논구한 것이다.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연극은 현실을 다시 정치적으로 소환한다. 이러한 ‘연극의 재정치화’ 현상은 연극의 소재뿐 아니라 양식의 변화를 초래한다. 특히 ‘세월호’ 참사 이후 급변한 한국의 정치적 현실은 기존의 연극 양식을 해체하고 새로운 양식을 추구한다. 동시대 한국의 정치적 연극은 더 이상 현실의 허구적 재현을 추구하지 않는다. 이러한 변화를 ‘연극의 총체적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동시대 한국의 정치적 연극의 특징을 다큐멘터리적 성격과 다성성, 공동창작과 민주성, 해방된 연극과 수행성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극작의 측면에서 동시대 한국의 정치적 연극은 다양한 공적 혹은 사적 기록물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다큐멘터리적 성격을 갖는다. 또한 동시대 한국의 정치적 연극은 현실의 복잡성을 보여주기 위해 다양한 텍스트를 교직한다는 점에서 ‘다성성’을 논의할 수 있다. 연극 제작의 측면에서 동시대 한국의 정치적 연극은 구성원 전체가 수평적 관계 속에서 민주적으로 연극을 공동창작 한다. 공동창작을 위해서는 정해진 대본의 해석이 아니라 공동의 대본을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리서치가 요구되며, 이를 통해 풍부한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그것을 구조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동시대 한국의 정치적 연극에서 연기자는 종종 작가이고 연출자로 기능한다. 연극의 ‘공동생산자’로서의 연기자의 몸은 더 이상 ‘기호’가 아닌 ‘현상’으로서 수행성을 획득한다. 연기자는 인물에 대한 자신의 태도는 물론 주체로서의 자신의 태도를 제시한다. 이러한 수행성은 관객에게서도 실천된다. 동시대 한국의 정치적 연극에서 관객은 더 이상 환영 속에서 공연을 훔쳐보는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연극을 함께 만드는 능동적인 구성원이 된다. 동시대 한국연극의 재정치화는 불안정하고 불편한 현실에 의해 비롯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현실정치를 교정하고 감성의 몫을 정당하게 분할하려는 시도이다.

      • KCI등재

        한국에서의 실험연극 운동 연구

        서영석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아방가르드, 즉 전위예술이라는 최근 예술, 한국에서 벌어졌던 아방가르드의 소개와 파장을 연구한 것이다. 예술의 근간이 창조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창조는 도전과 응전의 결과물이라는 역사의식을 비울 수 없다. 즉, 인류 문명과 문화예술의 발전에 있어서 도전과 충돌의 결과라는 것을 부정 할 수 없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류는 새로운 사상과 예술을 갈구했다. 새로운 사상과 예술의 등장은 과거 전통의 거부와 단절을 선언한다. 즉 전위예술, 아방가르드의 탄생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의 문명은 그 태동에서부터 끊임없이 새로운 예술의 발전을 거듭해 왔다. 오늘날에 이르러 예술은 모더니즘 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전위예술로 발전을 했다. 전위예술, 아방가르드는 1960년을 기점으로 한국에 소개 되었다. 해방과 6.25전쟁을 통해 미국 문물의 여과 없는 급속한 유입의 한 방편으로 더불어 이루어졌다. 한국 연극이 있어서 전위예술다운 실험연극을 했던 극단은 무체극을 주창했던 ‘극단 에저또’(방태수)와 <관객모독>을 대표작으로 했던 ‘극단 76’(기국서)이 그 중심에 있었다. ‘극단 에저또’는 1980년 이후 실험 극에의 공연을 외면하고 극단의 존재조차 유야무야 시 되었다. ‘극단 76’도 원년멤버들이 손을 놓은 상태 로 그저 소극장 운영에만 골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그들의 실험정신은 아직도 대학로의 젊은 연 극인들에 전승되어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현재에 이르러는 ‘극단 하땅세’가 아방가르드에 가까운 공연 을 무대에 올려 그 맥을 잇고 있다. 한국의 연극은 1960년 대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고 하나 아직 세 계연극계의 변방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중국, 일본에 비해 세계연극사에 한국 연극에 대한 한 줄의 언급 도 찾아볼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이는 우리의 연극계가 우리 연극사의 정립을 못했음에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 연극에서의 아방가르드(실험연극)에 대한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한다. Creative is all art with life. Play art also absolutely proposition with life in creative, so it can not be free of that. We can not be deny there result from challenge and collision at Human-Being’s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A study of Avant-Garde in Korea”, which is most resent idea of art. Korean play is still stay countryside on culturally in the world. Hereupon this study is research of the Korea’s pulsation of Avant-Garde and research it’s flow influence to recent theatrical world. After The Second World War humankind long for a new ideology and art. Appearance of a new ideology and art declare rejection and severance of tradition. That is we say Avant-Garde. Avant-Garde, it’s movement is continuous test and deny and destruct one-self. Avant-Garde was introduced fiducial, the year of 1960 to Korea. But the Korea government do not allow because of evil influence-long hair, hippie, drug- to artist. Nevertheless ‘Silhum Theater’ was founded with the purpose of play-experimentation, but there slogan was fall in fabrication. The ‘Silhum Theater’ only participate in a play several plays, and actually the ‘Theater Ejotto’ take over the experimental art of Korea and The ‘Theater 76’ took over the pulsation of the experimental art and it be now. We can clearly notice Avant-Garde is diffused pushing the boundaries art and life, obstinately it get out of literary value that bring to a focus special human’s life so. Korean Avant-Garde hardly seen the trace of Korean creation in experimental art that only to look follows of foreign trend.

      • KCI등재

        김명곤의한국적 연극지향과 극작술의 상관관계 연구

        김숙경 한국극예술학회 200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27

        Many directors and play writers have pursued ‘Korean style theater’ since 1970'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Myung Kon Kim who has pursued ‘Korean style theater’. Myung Kon Kim is a playwriter and director and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who have created ‘Korean style theater’ since 1980's. I make, his early works, “Kabose Kabose”, “Jum-a Jum-a Konjum-a”, “Kyek-jung-man-ri” an objects of this study. His initial interests of ‘Korean style’ originated in the Ma-Dang-Kuek Movement. Ma-Dang-Kuek was handed down by the success of Tal-Chum(Mask play). He transformed Ma-Dang-Kuek into the style on the stage theater. The materials of his plays are basically focused to social subjects and historical matters of Korea like Dong-Hak revolution, Gyang-Ju demonstration, The Korean War, the division of Korean and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and Korean theater history. He often applies the plot of epic theater and Ma-Dang-Kuek. In the aspects of plots, the quality is not so excellent, because the principles of theater on the stage and Ma-Dang-Kuek clashsed in his works. Moreover he intends to put too many materials, stories, and characters into a play. Therefore it is not easy to communicate the message of the play. He cares much for ‘theatrical ways’ in writing and directing, which are movement, song and dance, th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play within the play, masks and dress, and spectacle. He takes good ideas on theatrical ways from traditional drama and culture like the technique of traditional theater and play, Pan-So-ri and Korean folk songs, traditional dance, original korean objects and dress. The theatrical ways cover the problems of the writing in the performance and make the audience feel easy. However the misapplication and frequent insertion of theatrical ways make a paly worse and complicated. In this case, Myung Kon Kim may cause misunderstanding that he intends to depend on the formal and easygoing way in creating ‘Korean style theater’. 본 논문은 ‘한국적 연극’을 지향했던 극작가이자 연출가인 김명곤의 초기 작품을 대상으로 ‘한국적 연극’을 지향하는 그의 연극관이 극작술에 어떻게 반영되고 실현되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 작품은 <갑오세 가보세>, <점아 점아 콩점아>, <격정만리>이다.김명곤은 마당극의 무대화를 통해 ‘한국적 연극’을 추구한다. 주로 동학농민혁명, 광주항쟁, 6.25전쟁, 분단과 통일, 한국연극사와 같은 당면한 사회문제나 민족수난사에서 극의 소재를 취해 리얼리즘적 현실 깨닫기를 지향한다. 김명곤은 민중 지향적이고 진보적인 시각에서 주제의식을 부각시키고 있다. 작품의 구성에 있어 연구 대상 작품들은 상호 공통된 특성들을 보여주고 있다. 해설자를 등장시키는 서사극적 구조나 앞풀이-각 장-뒤풀이 식의 마당극적인 구조, 그리고 연대기적 구성은 두 작품 이상이 갖고 있는 공통된 구성 방식이다. 마당극과 무대극 모두를 개방적으로 수용하겠다는 창작의 방향을 표방하지만, 초기 극작품에서는 마당극의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나며, 이는 이후까지도 김명곤의 극작술의 한 특성으로 지속된다. 초기 작품에서는 마당극의 구성원리와 무대극의 구성원리가 적절하지 않은 지점에서 충돌하기도 한다. 해설자 진행 방식이 극을 상투적이고 평범하게 만드는가 하면, 총체적 접근이라는 목적 하에 다수의 짧은 장면들을 연대기적으로 나열시켜 극의 효과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또한 내용과 구성방식이 유기적으로 관련 맺지 못하는 측면도 발견된다.이러한 구성의 문제는 일정 부분 ‘연극적 방식’의 활용으로 공연에서 보완될 가능성을 마련하고 있다. 그가 즐겨 사용하는 ‘연극적 방식’은 대부분 한국의 전통연희나 전통극, 판소리와 민요, 한국의 전통춤(몸짓), 한국 고유의 오브제나 의상 등 ‘한국적 연극’ 지향과 깊은 연관성을 맺고 있다. ‘한국적’이고 ‘연극적’인 방식의 활용은 구성의 밋밋함이나 느슨함을 보완해주고, 대중적인 친근함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때로는 지나치게 잦은 삽입으로 표면상 ‘한국적’ 분위기를 내는 데에 그치기도 한다. 이런 경우 ‘한국적 연극’을 만드는 정형화되고 안이한 연출 방식에 기대고 있다는 오해를 받을 소지가 크다.‘마당극의 무대화’, 또는 ‘마당극과 무대극의 절충적 계승’은 김명곤의 ‘한국적 연극’을 이해하는 핵심 개념이자, 김명곤의 연극미학을 결정짓는 주요 개념이다.

      • KCI등재

        한류 드라마에서 K-연극으로 : 한국 근현대연극의 일본 소개 현황을 중심으로

        서재길 ( Jae-kil Seo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일본공간 Vol.29 No.-

        본 논문에서는 20년에 걸친 일한연극교류센터의 한국 연극 번역 소개, 연극 <격정만리>의 일본 낭독공연, 『한국연극운동사』의 일본어 번역 출간 등을 통해 한국 연극의 일본 소개 현황을 살피고 여기에 드러나는 몇 가지 이슈를 살펴보려 한다. 2020-2021년은 한국 연극의 일본 소개가 한 획을 긋는 해였는데, 여기에는 2002년경부터 한국의 한일연극교류협의회와 일본의 일한연극교류센터가 20년 동안 지속해 온 양국의 현대희곡 번역 및 낭독공연이라고 하는 오랜 역사가 자리하고 있다. 특히 2021년 1월에 10번째를 맞이한 한국 현대희곡 낭독공연 작품으로 <격정만리>가 선정되었는데, 이 작품 속의 다양한 한국적 소재와 역사적 사건은 일본 공연 과정에서 해설자나 자막을 통해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공되었다. 한편 『한국연극운동사』(2020)의 일본어 번역 및 출판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들은 한국문학의 세계화라는 관점에서 유의해야 할 지점들을 보여준다. 20세기 한국학의 반일 내셔널리즘적 시선에서 쓰인 이 책은 21세기 이후 탈민족주의적·탈식민주의적 연구 성과가 충분히 반영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한일 연극 교류 20년의 역사와 한국 현대희곡의 일본 소개 및 낭독공연, 그리고 『한국연극운동사』의 일본 번역은 역사적 문제로 야기된 한일 간의 갈등을 치유할 수 있는 문화적 기제로 기능하고 있다. 작품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면서 문화적·예술적 교류를 계속해 나가는 과정에서 인간적인 신뢰를 쌓게 되고, 그것이 궁극적으로는 더 큰 역사적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several issue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Korean plays to Japan through three cultural events. For twenty years, fifty plays by fifty Korean playwrights have been translated into Japanese through the exchange program. The writers represented are diverse in their age and gender, and the translated works represent a wide range of genres from realism to avant-garde. The exchange program selected and performed Kyeokjeong-Manri for the season-ending show of its tenth event in January 2021. In the Japanese performance, various Korean repertories and historical events were explained using both diegetic and non-diegetic elements. The non-diegetic elements include the narrator’s explanations and the projection of subtitles on the back screen. In 2020, a transl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Play Movements, was published, but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the translation that rela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As the original was written with a nationalistic point of view characteristic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publication could not reflect recent transnational and postcolonial research that has emerged in the new millennium.

      • KCI등재

        한국 희곡 극작법 연구를 위한 방법론 모색 -한국 연극의 놀이적 양식을 반영한 「골계(滑稽) 절영신화(絶纓新話)」텍스트 연구-

        양세라 ( Seira Yang ) 한국드라마학회 2004 드라마연구 Vol.- No.23

        이 논문은 한국 연극의 특성이 희곡 극작기법으로 내재화 혹은 변증법적 형식화를 이루는 과정을 탐색하기 위한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그 대상은 서구 근대 희곡의 의식적 글쓰기로서의 희곡(戱曲)이 아닌, 체험적 극에 대한 인식이 반영된 글쓰기이다. 통시대적인 관점으로 설명될 수 있는 한국 연극과 그것이 반영된 글쓰기인 희곡의 극작법 원리에 대한 탐구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1940년대 한국 연극의 형식미학에 대해 기술한 정노식의 『조선 창극사』를 비롯한 한국 연극에 대한 인식과 원리를 기술한 저서들을 통해 방법론을 찾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연극적 경험이 반영된 의식적 희곡쓰기 이전의 글들로 한다. 정노식의 저서는 당시 전통적인 혹은 한국적이랄 수 있는 연극양식에 대한 타자적 시각이 아닌 동시대적 시각을 확인가능하게 한다. 또한 1940년대 기술된 저서이지만 이 저서가 대상으로 한 ``창극``은 한국 연극에 대한 ``창(唱)이 곧 극(劇)``이라는 인식의 실상이 거론되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므로 연구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자료가 된다. 창이 곧 극이라는 시각은 한국의 극 텍스트(문자 텍스트를 포함한 공연텍스트)의 특징이 문학적인 질서에 의해 구성되기 보디는 가무약(歌舞樂)이 함께 총체적으로 구성된 텍스트임을 입증한다. 따라서 극적 관습을 포함해야 하는 희곡장르의 특성상 이것은 한국 근대희곡 극작술이 반영하게 될 특징이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으로 이 논문에서는 ``歌舞로써 故事를 표현하는 것을 戱曲``이라 한다는 동양연극의 극텍스트 원리와 정노식이 언급한 ``창으로써 이야기를 전달한다``는 것에 입각하여 근대희곡의 창작기법의 전제조건을 확인하려 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들을 기반으로 한 근대희곡 글쓰기는 한국 전통 연극의 특징이 내재화되거나 은폐되는 구조를 형성하면서 의식적인 희곡쓰기와는 다른 차원에서 내적시선(경험)으로 자기를 반영하는 글쓰기를 형성하게 된다. 일회적인 공연에서만 확인 가능했던 연극적 특성이 희곡 텍스트에서 어떻게 내재화된 구조로 극작법을 성취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This thesis is to study specifics of the early-Modern Korea of a mentioned in newspaper of media. In the newspaper that make public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many modes of narratives mixed up. Immanent`s phenomenon of dramatic trait discus that the representative features of this period of narratives. Drama experience of a form is mentioned to newspaper that representative of the modern media. Because one of the drama experience of a form`s play have a use by system to deliver narrative in media of newspaper. This present situation is to imply a narrative the enjoyment convention of narratives. Therefore this study is analyzed that modern media have experienced of form to drama. Analysis showed that ``play`` and ``marrymaking`` contained early-modern korea narratives. And through 〈 golge-jerlyoungsinwha(滑稽 絶瓔新話) 〉, analyzed that the play be eyesight experienced, the case of application to use by the understand frame of society.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this study have showed that drama of early modern time take charged by the media of a role.

      • KCI등재

        연극 프로젝트 기반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영상 캐릭터와 앙상블 캐스트를 활용하여 -

        나은주,나은영 한국교육연극학회 2023 교육연극학 Vol.15 No.1

        This study examines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enhanc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is highly valued in current foreign language education.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Korean movies and dramas, are fun and natural media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acquire language skills for real-life situations. However, in foreign language classes, students need to move beyond merely comprehending the target language while watching videos and instead develop their language autonomy to employ the language appropriately in diverse contexts. A project-based Korean language course was designed for Korean language classes at American universities. The course combined video watching and drama activities to create a teaching method that could effectively fulfill learners' demands and enable them to take a more active role in their learning. The project's primary activities comprised producing concise written reports on Korean film or TV drama, engaging in collaborative scriptwriting of a short play, and delivering a play presentation during class. Throughout the semester, students watched a Korean movie or drama weekly, analyzed the characters, and submitted brief reports. Toward the end of the semester, the students, in a small group, selected characters they had collected and worked together to create drama scripts about the possible interactions between their characters. An ensemble cast was used to maintain an equal balance of students' roles and lines in a play. As a result of the project, it was discovered that incorporating characters from Korean films or dramas into the play project helped enrich the basic storyline and plot of student-created scripts. Using an ensemble cast was beneficial for the learners to improve their language proficien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using a drama project adapting characters from Korean media is a practical pedagogical approach to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이 연구는 외국어 학습에서 강조하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법을탐구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한국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영상 자료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제 생활에서사용되는 한국어를 재미있고 자연스럽게 익히기 좋은 매체이다. 그러나 외국어 수업에서는 영상을 보며목표 언어를 단순히 이해하는 것을 뛰어넘어 학생들이 학습한 언어를 상황에 맞게 구사하는 언어 주도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미국 대학에서 한국어 수업을 듣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상 보기와 연극 만들기 활동을 연계하는 프로젝트 수업을 운영하여 학습자의 요구도 충족하고 학습자가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한국어 교수 방법을 만들어 보고자 하였다. 프로젝트의 큰 갈래는 영상 시청 후 한국어로 간단한 보고서 작성하기, 연극 창작, 공연하기였다. 학습자들은 한 학기 동안 매주 한국 영화나 드라마를 보고 캐릭터를 분석하여 간단한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학기 말 프로젝트로는 한 학기 동안 모은 캐릭터를 각 조에서 고른 후 그 캐릭터들이 만났을 때 일어날 만한 상황을 연극 대본으로 공동 창작하게하였다. 이때, 학생들의 역할 비중이나 대사량을 비슷하게 만들 장치로 앙상블 캐스트(ensemble cast)를이용하였다. 프로젝트 결과, 한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캐릭터를 차용한 방법은 학생들이 만든 연극의 기본 줄거리를 더 풍성하게 만들었고, 앙상블 캐스트의 활용은 모든 참여자들이 연극에서 한국어를 고르게 구사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영상의 입체적 캐릭터를 활용한 연극 프로젝트 기반 한국어 수업이 효과적인 교수 방법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