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연구

        김욱(Wook Kim)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측정하고, 관련 변인들이 그 지식 및 태도 수준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양국 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10개 대학 학생 1129명(한국은 서울, 경기, 충청지역 소재 5개 대학 학생 840명, 미국은 뉴욕지역 소재 5개 대학 학생 289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결과를 SPSS 15.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노인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기 위한 Palmore(1998)의 Fact on Aging Quiz Part 1(FAQ 1), 노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Sanders 등(1984)의 의미분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그리고 몇 가지 인구사회적 및 노인관련경험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을 비교한 결과 25점 만점에 한국대학생은 12.51점, 미국대학생은 11.57점으로 한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이 미국대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의 문항별 차이를 보면 한국은 9개 문항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여 준 반면 미국은 4개 문항에서만 높은 정답률을 보여주어 역시 한국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이 미국 학생에 비해 높음을 뒷받침했다. 둘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20점-140점 구간에서 한국대학생은 77.54점, 미국대학생은 70.07점으로 미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점수가 낮아 한국대학생에 비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의 문항별 차이를 보면 한국대학생은 오직 한 문항에서 미국학생들보다 긍정적으로 답변한 반면 미국대학생은 14문항에서 한국학생들에 비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역시 미국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한국학생에 비해 긍정적임을 뒷받침했다. 셋째, 한국과 미국 대학생 모두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특히 양국 학생 간 그 강도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노인에 대한 심리적 지식과 가족/사회적 지식은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 정책과 실천 및 후속연구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re to examine the level of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knowledge of and attitudes about the elderly by selected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ging related facto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129 college students attending 10 school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840 Korean students in 5 schools, located in Seoul City, Gyeonggi-Do, Chungcheong-Do in Korea and 289 American students in 5 schools located in the State of New York of the United States). They were interview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5.0 for Windows. The research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Fact on Aging Quiz Part 1(FAQ 1) developed by Palmore(1998), Semantic Differential Scale development by Sanders et al., and several socio-demographic and aging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the level of knowledge of the elderly for Korean students was 12.51/25 and for American students was 11.57/25, resulting that the knowledge level of the elderly in Kore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students' knowledg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howed that Korean students showed high ratio of correct answer in 9 questions while American students showed high ratio of correct answer in only 4 questions, resulting that Korean students have higher knowledge than American students. Second, the level of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for Korean students was 77.54 and for American students was 70.07 in 20-140 points, resulting that the attitude level of the elderly among American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The results of students' attitudes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howed that Korean students responded positive tendency in only one question while American students responded positive tendencies in 14 questions, resulting that American students wer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in both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이슬람 문화권에서의 문화전이효과: 튀르키예를 중심으로

        서용구,김장현,배일현,안동휘 한국상품학회 2023 商品學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중동지역의 한류열풍이 폭발적인 가운데, 약 8,500만 명 정도의 대규모 인구를 가지고 있으면서 이슬람국가에 대한 영향력이 비교적 큰 국가인 튀르키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류에 대한 문화전이 수준과 한국기업에 대한 태도, 한국에 대한 태도,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튀르키예 현지소비자 406명을 대상으로 모바일폰, 가정용 전화기, 화장품 등을 이용한 검증을 각각 실시하였는데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튀르키예 소비자의 한국 문화에 대한 문화전이 수준이 높을수록 한국(국가)에 대한 태도, 한국제품 생산 기업에 대한 태도, 한국산 제품에 대한 태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기업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에 대한 태도가 모바일폰과 가정용 전화기에서는 구매의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었으나 화장품에서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는 모두 구매의도에 정(positivr)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슬람국가 중 튀르키예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본 연구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을 튀르키예뿐만 아니라 다른 이슬람국가로의 확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모바일폰, 가정용전화기, 화장품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제품을 활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남미 소비자의 문화전이가 한국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칠레소비자의 K-pop 지각을 중심으로

        배일현(Bae, Il-hyun),김장현(Kim, Janghyun),이철성(Lee, Chul-Sung)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6

        본 연구는 남미 국가 중 우리나라와 최초로 FTA를 체결한 국가인 칠레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문화전이 확산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즉, 칠레시장에서의 한국문화의 전이와 한류에 대한 태도, 한국에 대한 태도, 한국기업에 대한 태도,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 및 한국제품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한국기업의 남미시장 진출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칠레 현지 소비자 202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화전이는 한류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에 대한 태도는 한국, 한국 기업, 그리고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기업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매우 흥미로운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researched that the spread of Korean cultural appropriation in Chile, the first South American country to sign an FTA with Korea. That is to say, we trie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Korean companies which want to entry into the South American market. So, we identified relationships among Korean culture appropriation,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wave, the attitudes towards Korea,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companies,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products, and the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For this purpose, we distributed 300 questionnaires in Chile and collected 202 samples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act of korean culture appropriation on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wave is significant. Second, the impact of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wave on the attitudes towards Korea,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companies and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products. are also significant. Third, the impact of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wave on the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is significant. Fourth, the impact of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companies on the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is not significant, which is a very interesting result. Finally, the attitude towards Korean product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urchase of Korean products.

      • KCI등재

        한국판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척도(K-ATTID) 타당화

        김유경,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학연구 Vol.5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ttitudes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y Questionnaire (K-ATTID) with Korean disability-related professionals and lay people. The Attitudes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y Questionnaire (ATTID) was developed by Morin, Crocker, Beaulieu-Bergeron, and Caron (2013) to measure the multidimensional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rst, a preliminary inventory with 67 items was made through a translation (English to Korean) and a back-translation procedure prior to data collection. In the preliminary study, item analysis and content validity were conducted with data from 50 lay people and professional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econd, in order to identify a factor structure of the final inventory,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722 professionals and lay peopl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examined a construct validity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rty-one items were discarded because there was a problem in reliability and factor loading. Three factors, cognitive attitude, affective attitude, and behavioral attitude were extracted from the items; this was a different finding from the original scale with five factors. With a sample of 722,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three-factor model was fit for the data with 36 items. Contrary to the original questionnaire, the higher the score on the items and factors, the more positive was the attitude toward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questionnaire is 0.928. This study’s attempt to validate the ATTID is significant in terms of presenting a first reliable instrument (K-ATTID) to measure multidimensional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outh Korea. The use of the K-ATTID by lay people, professionals, and para-professionals can promote the importance of positive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Morin, Crocker, Beaulieu-Bergeron 및 Caron(2013)이 캐나다에서 불어판 및 영어판으로 개발한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척도(Attitudes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y Questionnaire, ATTID)의 영어판 원척도를 국내에서 타당화하여 ‘한국판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척도’(Korean Version of Attitudes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y Questionnaire, K-ATTID)를 제공하는 것이다. 우선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의 양호도를 확인하였고, 본 조사에서는 일반인과 더불어 5가지 장애관련 전문직인 특수교사, 일반교사, 의사, 치료사 및 사회복지사로 구성된 장애관련전문가 총 722명을 표집하여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로 부터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 ‘행동적 태도’ 라는 3가지 하위 요인의 36개 문항이 추출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척도의 모형 적합도는 수용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척도의 신뢰도는 .928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한국판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척도(K-ATTID)를 타당화함으로써 지적장애인에 대한 일반인과 장애관련전문가의 태도를 다차원적으로 평가하고,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중재를 개발하는 후속연구들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국내 장애 및 특수교육 분야에서 현재까지 빈번히 사용되는 장애인에 대한 태도 척도가 대략 30-60년 전에 개발된 아주 오래된 것으로 진전된 장애인식과 태도를 반영하지 못하는 점과 특별히 ‘지적장애인’에 초점을 둔 태도 척도가 부재한 상황에서 지적장애인을 포함하는 발달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를 측정할 수 있고, 지적장애의 중도 및 경도 기능 수준에 따른 태도 차이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척도를 국내에서 타당화하여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 제품의 성공을 통한 태국시장에서의 한류확산전략

        배일현(Bae, Il-Hyun),김형식(Kim, Hyung-Sik) 韓國商品學會 2011 商品學硏究 Vol.29 No.5

        본 연구는 동남아 한류의 중심지인 태국의 소비자 383명이 응답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콘텐츠 제품에 대한 이미지 풍부성이 높을수록 한류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류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갖는 경우 한국 소비재 제품에 대해 풍부한 이미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류 태도와 한국에 대한 이미지 풍부성의 관계와 한국 소비재 제품과 한국이라는 국가의 이미지 풍부성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재 제품에 대해 풍부한 이미지를 가질 수록 보다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에 대한 이미지 풍부성과 소비재 제품 태도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재 제품에 대해 호의적으로 평가할수록 문화콘텐츠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보다 풍부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전 연구와는 달리 한류에 대한 태도가 직접 소비재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동남아 시장에서 한류를 이용한 마케팅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문화콘텐츠제품을 이용한 한류 확산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In late 1990's Korean TV dramas, POP music and cinema fascinating Asian people fromNorth East Asia(China, Japan, HongKong, Taiwan) to South East Asia(Thiland, Vietnam,Malaysia and Singapore). This phenomenon are called the "KoreanWave" or "Hallyu". So, this research examines about KoreanWave in Thailand. And, we also study relationship of attitude on KoreanWave, plenty of image on Korean consumer goods, plenty of image on Korea, attitude on Korean consumer goods and plenty of image on Korean cultural contents goods. In conclusion, the 8 hypothesis are all supported. It is verified that plenty of image is useful factor. This study's results are can use to raise plenty of image in Thailand. Also, companies can use to improve its sale through a our study's results.

      • KCI등재

        치매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한일 비교

        장윤정(Jang, Yunjeong)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노인입소시설 케어워커를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치매지식이 치매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나아가 치매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는 요인에 있어 한일 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 하였다. 조사는 한국의 케어워커 320명, 일본의 케어워커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를 활용한 우편조사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t-test,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일 간에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치매지식, 치매에 대한 태도를 비교한 결과 치매지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치매에 대한 태도와 노인에 대한 태도는 한국에 비해 일본의 케어워커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치매에 대한 태도에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큰 변인을 살펴보면 한국은 치매지식(β=.305 p<0.001), 일본은 노인에 대한 태도(β=.348 p<0.001)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에 대한 태도와 치매지식은 한일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치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eks to probe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knowledge of dementia on attitude toward dementia of care workers who work in nursing homes i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whether there's a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n terms of factors that determine the attitude toward dementia.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careworkers in korea and 350 careworkers in japan.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vel of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s well a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no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knowledge of the dementia, but for attitude toward the disease and toward the elderly, the care workers in Japan were generally found to be more positive. Next, in terms of factors that determine the attitude toward the dementia, first, a careful examination of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attitude towards the dementia found that the knowledge of dementia in Korea is (β=.305 p<0.001) and the attitude towards the elderly in Japan is (β=.348 p<0.001). Seco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knowledge of the dementia was found to be a variable that influences attitude toward the dementia, both in Korea and Japan.

      • KCI등재

        장애관련전문가 5가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분석

        김유경,박승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장애와 고용 Vol.29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professionals and lay people perceiv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Attitudes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y Questionnaire(K-ATTID). K-ATTID provides the scores of multidimensional attitude and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Method: Paired t-test ware conducted to compare th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mild and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ttitudes toward ID of professionals and lay peopl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ttitudes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five different professional groups;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social workers, therapists, medical doctors. Results: The result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lower functioning ID. More positive attitudes were revealed from professionals than lay people. Among five professional groups, the attitudes of social work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more positive than doctors and general teachers and the attitudes of therapists towards persons with ID were more positive than general school teachers. Conclusion: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in Korea that examines the differences among five different professionals’attitud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isability-related professionals’and general public’s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ne study. Significance of this study’s results and some suggestions were further discuss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 일반교사, 의사, 치료사 및 사회복지사의 5가지 장애관련전문가와 일반인 집단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와 3가지(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하위태도를 비교 점검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한국판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척도’(K- ATTID)를 사용하여 전체 연구 참여자의 경도 및 중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장애관련전문가와 일반인 간 태도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5가지 장애관련전문가 집단 간 태도 비교를 위해 일원분산분석 및 Scheffé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연구 참여자 집단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평균은 5점 라이커트 척도에서 3.49(3점:보통)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전체 참여자의 중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보다 경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장애관련전문가의 다차원적 태도는 일반인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와 특수교사의 태도는 의사와 일반교사보다 긍정적이며, 치료사의 태도는 일반교사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5가지 장애관련전문가와 일반인 집단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와 3가지 하위태도 결과를 국내에선 처음으로 한 연구에서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 장애관련전문가들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의 함양과 전문가 간 유사한 긍정적 태도의 유지는 지적장애인을 위한 협응된 질 높은 서비스 창출과 제공에 결정적으로 중요함을 다시 한번 강조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및 연구의 제한점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일본소비자의 新한류지각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및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K-Pop 열풍을 중심으로

        배일현,김장현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6

        본 연구는 2012년 이후 한일관계가 급격히 냉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시장의 한류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점에서 출발하였다. 즉, 양국간의 정치상황에 관계없이 과연 한류열풍이 지속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 많이 다루었던 드라마나 영화 중심이 아닌 新한류인 K-pop에대한 한류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도쿄, 요코하마, 지바 등 일본에 거주하는 일본 시장의 소비자 21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 집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한국에 대한 이미지 풍부성이 높을수록 한류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일수록 한국 소비재 제품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Pop에 대한 브랜드-파트너의 질이 높을수록 한류에 대한 태도, 소비재 제품에 대한 태도, 한국에 대한 이미지 풍부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연구와는 달리 브랜드-파트너 질이 외국인들의 한류를 설명하 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일관계가 악화되어 있는 상황에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한류에 관심있는 일본 소비자는 정치와는 변함없이 K-pop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또한 일본소비자는 지속적으로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본 연구는 일본의 다양한 지역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후에는 다양한 지역에서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 하다. 또한 한일 관계의 변화에 따른 연구 및 대상이 되는 제품의 관여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sustainability of Korean Wave in Japan under Korea-Japan relations have gone sour. Since 2012, former President of Republic of Korea Lee Myung-bak's visit to Dokdo in August, bilateral ties have effectively remained severed sector. In these circumstances, Korean wave in Japan has been emerging issue between Korea and Japan. Some experts insist that Korean Wave ended in Japan. So,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that new Korean wave in Japan under the cold state between Korea and Japan. Respondents consist of Japanese people who mainly live in Tokyo, Yokohama and Chib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ople who highly have image fluence of Korea have an friendly attitude to Korea. Second, high friendly attitude has a positive impact on Korean products. Third, high brand-partner quality about K-Pop has a positive impact on attitude on Korean Wave, Korean products and image fluence of Korea. So, this study find that brand-partner quality is the important factor in Korean Wave in Japan. The findings demonstrates that Korean wave in Japan is much stronger than expected. In conclusion, highly interested Japanese people about Korean Wave continuously like and love Korean entertainments like K-pop, K-drama and Korean artists. So, Korea should be successful in improving ties with the Japan through natural exchanges of culture at the civilian level.

      • KCI등재

        미국시장에서의 한류확산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배일현(Bae, Ilhyun),김장현(Kim, Janghyun) 한국상품학회 2013 商品學硏究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싸이의 강남스타일 열풍이 지구촌을 강타하기 이전에 유독 한류콘텐츠의 침투가 쉽지 않았던 미국시장에서의 한류확산 가능성에 대하여 탐색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를 비롯하여 근교의 버지니아주, 뉴욕시, 뉴저지, 뉴욕주 등의 미국인 260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mart PLS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미국시장 공략을 계획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은 물론 소비재기업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 해 연구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pop에 대한 감각적 체험이나, 감성적 체험의 정도가 높을수록 음악 컨텐츠 생산자로서 국가(한국) 브랜드신뢰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가(한국) 브랜드신뢰성을 높게 평가하는 소비자는 한국이미지, 한류에 대한 태도, 한국소비재이미지를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류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일수록 한국이미지, 한국소비재이미지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가 브랜드신뢰성은 체험과 한류에 대한 태도 사이에서, 한류에 대한 태도는 브랜드신뢰성과 한국국가이미지 그리고 한국소비재이미지 사이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에서는 한류를 이용하여 미국시장을 공략하는데 있어서 다른 아시아국가들과는 차별적인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의미 있는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미국시장 전체지역의 데이터가 아닌 미국의 동부지역의 응답자가 샘플의주를 이루기 때문에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을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문제점은 차후 연구를 위한 과제로 남겨둔다.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의 데이터는 미국 강남스타일 열풍이 불기 이전의 데이터가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미국시장에 대한 빠른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엔터테인먼트상품의 특성상 시장별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공헌점: 본 연구는 기존의 한류연구가 중화권, 동남아시아, 일본 등에 치우쳐있는 상황에서 미국시장에서 실증분석한 최초의 연구이며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usion of Korean Wave in the United States. Design/methodology/approach: We examined the effects of four (sense, feel, act, think) experiences on Brand Trustworthiness and attitudes Korean Waves. Also, we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Brand Trustworthiness, attitudes on Korean Wave, Images of Korea and Images of Korean Consumer Goods based on 260 Americans. We used the smart PLS analysis and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the effects of sensory and emotional experiences on Brand Trustworthiness are significant. Second, Brand Trustworthiness had a positive effect for Attitudes on Korean Waves, Images of Korea and Images of Korean Consumer Goods. There are also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s on Korean Waves, Images of Korea and Images of Korean Consumer Goods. Also, Brand Trustworthiness and Attitudes on Korean Waves have a mediating roles among all factors. Research implication/limi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 significant implication to raise Korean wave storms in the United States. Also, companies can use these results to improve their sales volume. This study is significantly important as first study on Korean Waves in the United States. Future work/research: The samples in this study were mainly from the eastern part of United States. Thus future researches should reach out to all across the United States. Originality/value: This study performed pioneering research on Korean Waves in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일본소비자의 新한류지각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및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K-Pop 열풍을 중심으로

        배일현,김장현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5

        This study is to find sustainability of Korean Wave in Japan under Korea-Japan relations have gone sour. Since 2012, former President of Republic of Korea Lee Myung-bak's visit to Dokdo in August, bilateral ties have effectively remained severed sector. In these circumstances, Korean wave in Japan has been emerging issue between Korea and Japan. Some experts insist that Korean Wave ended in Japan. So,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that new Korean wave in Japan under the cold state between Korea and Japan. Respondents consist of Japanese people who mainly live in Tokyo, Yokohama and Chib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ople who highly have image fluence of Korea have an friendly attitude to Korea. Second, high friendly attitude has a positive impact on Korean products. Third, high brand-partner quality about K-Pop has a positive impact on attitude on Korean Wave, Korean products and image fluence of Korea. So, this study find that brand-partner quality is the important factor in Korean Wave in Japan. The findings demonstrates that Korean wave in Japan is much stronger than expected. In conclusion, highly interested Japanese people about Korean Wave continuously like and love Korean entertainments like K-pop, K-drama and Korean artists. So, Korea should be successful in improving ties with the Japan through natural exchanges of culture at the civilian level. 본 연구는 2012년 이후 한일관계가 급격히 냉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시장의 한류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점에서 출발하였다. 즉, 양국간의 정치상황에 관계없이 과연 한류열풍이 지속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 많이 다루었던 드라마나 영화 중심이 아닌 新한류인 K-pop에 대한 한류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도쿄, 요코하마, 지바 등 일본에 거주하는 일본 시장의 소비자 21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 대한 이미지 풍부성이 높을수록 한류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일수록 한국 소비재 제품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Pop에 대한 브랜드-파트너의 질이 높을수록 한류에 대한 태도, 소비재 제품에 대한 태도, 한국에 대한 이미지 풍부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연구와는 달리 브랜드-파트너 질이 외국인들의 한류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일관계가 악화되어 있는 상황에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한류에 관심있는 일본 소비자는 정치와는 변함없이 K-pop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또한 일본소비자는 지속적으로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본 연구는 일본의 다양한 지역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후에는 다양한 지역에서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한일 관계의 변화에 따른 연구 및 대상이 되는 제품의 관여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