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교육(韓國語敎育)의 현실과 미래(未來) -한국어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박갑수 ( Kap Soo Park ) 택민국학연구원 2010 국학연구론총 Vol.0 No.6

        이 글은 한국어교육의 지난날을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본 글이다. 한국어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의 방법, 한국 언어문화의 세계화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근대적 의미의 한국어교육은 19세기에 채 준비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피동적으로 시작되어 20세기에 들어와 비로소 교육 여건이 개선되고, 체계를 잡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학습 자료는 33개국에서 약 3,400종이 개발되었다고 하나, 여전히 취약한 형편이다. 교수법은 외국어교수법이 원용되어 그나마 큰 문제가 없는 편이다. 문법-번역법, 구두-청각법, 의사소통법이 주로 활용된다. 교원은 외국의 경우 자격을 갖춘 사람이 턱 없이 부족하여 문제다. 이것이 오늘날의 한국어교육의 현실이다.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볼 때, 그것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다문화, 세계화 시대에 걸맞는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현안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첫째, 국가수준의 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안을 서두른다. 둘째, 한국의 언어문화 교육을 강화해 나간다. 셋째, 특수목적 한국 언어문화교육을 강화함으로 그 능력을 향상시킨다. 넷째,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강화하고,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을 육성한다.다섯째, 한국어의 세계화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한국어교육을 강화한다. 이러한 방향 가운데도 문화교육과 세계화를 강화해야 한다. 열강이 자국어의 세계화에 열을 올리는 동안 우리는 한국 언어문화의 세계화를 방치해 왔다. 오늘날은 다문화시대요, 세계화시대다. 고립해서는 살수 없는 시대다. 상호간에 언어·문화를 교류하며 살아야 한다. 자문화중심주의, 자문화우월주의의 폐쇄적 태도를 버리고 문화적 상대주의적 입장에서 상대방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자세로 언어문화를 교류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우호적 사해동포(四海同胞)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한국 언어문화교육자들은 앞으로 더욱 열린 마음으로 상호간에 언어문화를 교류함으로 세계 문화 발전에 이바지하고, 지구촌의 모든 시민이 共存共榮하는 삶의 場을 만드는 일에 더욱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此の論文は韓國語敎育の現況を調べた後, 今後發展していくべき 方向を摸索してみたものてある. 韓國語敎育の發展すべき方向は敎 育課程, 敎育內容, 敎育方法, 韓國言語文化の世界化等に對して調 べてみた. 近代的意味の韓國語敎育は19世紀まだ準備されていない內受動的 に始つて, 20世紀に入つて始めて敎育與件が改善された. しかし未 に國家水準の敎育課程が作られていないし, 學習資料は33個國で 約3,400種が開發されたが, 依然脆弱な狀態である. 敎授法は外國 語敎授法が援用され特別な問題はない. 文法-飜譯法, 口頭-聽覺法, 意思疏通法が主に活用される. 敎員は外國の場合資格を持つている 人があまり不足であつて問題である. これらが今日韓國語敎育の現 實である. 此のような現狀を基礎に今から展開していくべき韓國語敎育の方 向を摸索する時, その方法は色色有るが, 多文化, 世界化時代に似 合う敎育をする爲には次のような懸案を解決する方向に行かなけれ ばならないと思う. 第一, 國家水準の韓國語敎育課程の構案をはやめる. 第二, 韓國の言語文化敎育を强化する. 第三, 特殊目的韓國言語文化敎育を强化してその能力を向上する. 第四, コミユニケ一シヨン敎育を强化し, 異文化コミユニケ一シヨ ンの能力を育成する. 第五, 韓國語の世界化に寄與する方向に韓國語敎育を强化する. 今日は多文化時代であり, 世界化時代でもある. それで孤立しては 生けない時代である. お互いに言語ㆍ文化を交流しながら生きなけ ればならない. 我我は文化的に相對主義的な立場から相手を理解し 包容する姿勢をもつひつようがある. 言語文化を交流しながら互に 友好的關係を形成し世界文化發展に寄與しながら生きるべきである.

      • KCI등재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가원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4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long been emphasized, because the language of a country is closely bound up with learning about the culture of the nation. Indeed, cultural education is of great importance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that focuses on fostering an ability to interpret the customs of the discourse community rather than offering fragmental knowledge of culture should be stressed. In fact, however, current cultural education for teaching Korean has just been conducted as what's additionally needed for language education, though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s recognized. Cultural education is included in the curriculum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teach the Korean language, but this education is provided just fragmentarily as part of the language curriculum. Cultural education cannot be successful if it is offered fragmentarily without considering actual contexts. Therefore it should be avoided to present cultural information only as supplementary materials or without being properly connected to what's taught in class. Instead, it's advisable to teach learners to infer naturally about the given contexts by presenting practical materials. To make it happen, the kind of educational method that provides a variety of contents for learners to experience, apply and analyze in person is required.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learners who learn Korean is on the rise, and their motivation, learning goal and needs are diversified. Besides, they have a strong cultural achievement motiva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learning goal and needs. The example is learners who major in the Korean language, Korean studies, Korean culture, Korean history and Korean economy. Accordingly, cultural education for teaching Korean should be conducted in a systematic and diverse way in consideration of the goal and level of learners. In this study, problems with cultural education for teaching Korean are pointed out. Cultural education mostly centers around daily linguistic culture, and this education is not diverse enough to satisfy the needs of advanced learners. Korean culture is presented just briefly or as supplementary materials that aren't properly linked to what's taught in class. Therefore how to provide cultural education for teaching Korean by taking advantage of cultural heritage was explored in this study. Cultural heritage is one of educational items to improve the Korean cultural competency of advanced learners. That represents national culture, history and identity and is an educational material which shows the unique features of the nation and can gain empathy as universal value of mankind at the same time. Specifically,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lately very dynamic along with growing concern for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education that utilizes cultural heritage seems to be of great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xtbooks, cases of cultural experience and contents used in cultural education for teaching Korean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s also meant to shed light on the educational value of cultural heritage and to seek ways of taking advantage of it in cultural education for teaching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teaching Korean that uses cultural heritage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proficiency of advanced learners by increasing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and that also is expected to exercis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iversification of cultural education for teaching Korean in terms of level and content and on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teaching.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유산의 교육적 가치를 밝히고, 이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최근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로 한국어를 배우는 동기와 목적, 학습자의 요구 등이 다양화되었고, 이에 따라 문화적 성취동기도 높아지게 되었다. 언어에는 다양한 문화적 내용이 담기게 되므로 언어 능력의 증진을 위해서는 문화적 이해가 필수적으로 전제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한국어와 한국학 관련 전공자들은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가 선행되어야만 전공 학습과 학문적 성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더 강조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어 문화교육은 학습자의 목적과 수준에 따라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문화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보다는 목표어 문화 구성원들의 관습을 해석할 수 있는 문화능력 증진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문화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항목으로 문화유산에 주목하고 이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민족문화와 역사, 민족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문화유산은 민족마다의 고유성을 지니면서도 인류 보편적 가치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교육소재이다. 특히 최근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문화 콘텐츠 산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 문화교육은 매우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한국어 문화교육에서 문화유산의 교육적 가치를 밝히고 문화유산 콘텐츠를 활용하여 실제적인 교수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수준별・내용별 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위한 다각적 방향에서의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요구를 반영한 한국어 문화교육의 효과 - 아시아권 출신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

        윤은주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7 한국어문화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요구를 반영한 한국어 문화교육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로서, 언어문화교육에 관한 이론을 기초로 매체언어교육으로서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을 초급 수준의 아시아권 출신 결혼이주여성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용 후, 그에 따른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요구에 부합하는 한국어 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국에서의 문화적, 사회적 기대는 여성 이주자에게는 매우 낯선 것이며 그들은 이와 관련 하여 크고 작은 어려움에 놓이게 된다. 이들 중 가장 직접적 어려움은 의심할 여지없이 언어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 대구, 경남 지역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3개 한국어 교육기관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뒤, 동질성 검증을 거쳐 진행하였다. 또한 드라마 활용 한국어 문화 수업을 6차시에 걸쳐 실험처치 후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 사후로 비교 검증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드라마 활용 한국어 문화 수업에 대한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결과, 실험 집단의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가 유의미하게 상승했다. 다만, 한국어 언어기능의 추론하기 영역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드라마 활용 한국어 문화 수업적용 차이에 따른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에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결혼이주여성의 실생활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요구를 반영한 한국어 문화 수업방식은 결혼이주여성 학습자에게 언어기능과 한국문화에 대한 습득능력을 증대시키고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는 교수방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cultural language education based on socio-cultural need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its effect. Based on theories about cultural language education, subjects of this study ar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Asia who are learning Korean via cultural language education watching Korean soap opera. By understanding the effect of this cultural language education on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comprehension of Korean cultu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etter cultural language education based on needs of marriage migrant women. Marriage migrant women are unfamiliar with various cultural and societal expectations in Korea, and such unfamiliarity begets problems for them. The biggest problem is language. This study picked subjects in Busan, Daegu, and Kyungnam area and assigned subjects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ree different Korean education centers and tested using equivalence check. Also, the study compared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understanding of culture on subjects before and after cultural language education using soap opera.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and culture analyzing the effect of cultural language education using soap opera. But, inference ability on Korean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suggesting that cultural language education using soap opera might be ineffective. But, the cultural language education is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ability overall, the study concludes that cultural language education based on needs of marriage migrant women is effective in teaching Korean culture and language. Also, it provides a motivation to learn Korean for marriage migrant women.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언어와 문화의 연계

        장소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2

        본고는 역사적으로 한국 문화교재의 시초라고 볼 수 있는 리델의 한국어문법 의 문화 부분을 따로 떼어내어 그 구성과 성격을 소개한 후, 2000년대에 들어와 한국인에 의해 집필, 발간된 문화교재들이 다루는 주제들을 검토하고 이 교재들이 공통으로 다룬 주제들을 추출, 동일 주제를 다루는 텍스트들 간의 관계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들어 한국어교육은 단순한 언어교육을 넘어 문화교육 혹은 문화를 통한 언어교육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교재 개발의 측면에서 볼 때 문화 내용은 언어 교재 속에서 부분적으로만 취급될 뿐이고, 전적으로 문화만을 다루고 있는 교재가 개발된 것은 비교적 최근으로, 2007년부터 개인 연구자를 중심으로 문화교재가 집필․편찬되어 발간되기 시작하였다. 좀 더 본격적인 문화교육에 대한 논의는 2008년 이후부터 이루어졌다. 외국어교육에서 문화를 통한 언어교육이 가장 효율적인 교육을 담보한다는 사실은 비단 최근 들어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행해진,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의 시초는 리델의 한국어문법 Grammaire Coréenne (1881)이다. 이 책은 이후 언더우드의 한영문법(1890)을 비롯하여 여러 문법서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 책은 단순히 한국어 문법을 기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책의 후반부에 부록을 싣고 이어서 단계별 한국어 연습에 해당하는 부분을 추가함으로써 문화교재를 겸한 강독교재로서의 성격을 겸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introduce the forma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content of F. C. Ridel’s Grammaire Coréenne, this book being the first teaching material in Korean culture, and to examine the topics that appear in the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culture that have been written and published by Koreans in the 2000s, and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s that cover the same topics.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recently been expanding its field from simple language education to cultural education or language education through culture. Previously, cultural content composed only a small part in teaching materials for language education. Recently however, teaching materials wholly devoted to cultural content is starting to be developed. Since 2007, teaching materials with cultural content have started to be written and published by individual researchers. A more advanced discussion about cultural education has been started since 2008. It is not a recent realization that language education through culture promises greatest efficiency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begin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for foreigners is F. C. Ridel’s Grammaire Coréenne published in 1881. This book exerted great influence on various grammar books, including H. G. Underwood’s 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Spoken Language which was published in 1890. Ridel’s Grammaire Coréenne not only focuses on explaining Korean grammar, but adds a supplement at the end of the book where one can practice Korean according to one’s proficiency level. The presence of this supplement shows that this book was not only a grammar book, but also a reading material combined with cultural content.

      • KCI등재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연구

        윤여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2

        이 연구는 한국문학 작품을 제재로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고, 그것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외국어교육에서 간문화적 능력을 기반으로 한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음에도, 문 화 개념의 범위가 매우 넓고 접근하고자 하는 관점도 다양하여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방법을 도출하기는 어려 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의 내용적 범위를 ‘성취 문화’, ‘행위 문화’, ‘관념 문화’의 차원으로 나 누어 한국어 문화 개념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교육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외국어교육에서 외국어 학 습자는 목표 언어의 사회와 문화를 학습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외국어교육은 학습자의 문화와 목표 언 어의 문화 사이의 관계인 간문화적 소통 작용에 주목해야 한다. 문학 작품은 이러한 교육에 매우 적절한 제재 라 할 수 있는데, 문학 작품은 실제적 언어 자료임과 동시에, 작품이 창작되었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정보를 풍부히 담고 있으며, 문화교육의 자료뿐만 아니라 고급스러운 언어 사용 교육을 위한 자료로서도 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의 구체적 내용을 개발하기 위해 본고는 먼저 초‧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로 수준을 나누어 각 수준에 적합한 문학 제재를 선정하였다. 초‧중급 학습자에게는 타문화 학습자도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기행문 성격의 글을 제공하였으며, 고급 학습자에게는 한국의 현대시와 현대소설을 제공하였다. 또한 각 제재별로 성취문화, 행위문화, 관념문화 요소를 고려한 교수-학습 내용을 도출하여 체계적인 문화 교 육이 가능하게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teaching Korean culture through Korean literature, and to examine its use in the actual classroom. Although the importanc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has been emphasized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deriving at its specific contents and methods has been difficult since culture covers a wide range of concepts and views, and its approach, very divers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discussions provided by Tomalin and Stempleski in defining culture into categories of ‘achievements culture’, ‘behaviours culture’ and ‘ideas culture’ to theoretically systematize the concept of culture and to present contents and methods for culture education accordingly. Additionally, this study seeks methods for teaching Korean culture through literary work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language learners need to understand the community and the language of the target language users. And in teaching a foreign language, intercultural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culture and that of the target language must be focused. Literature can be seen as the most appropriate material for such education since literary works provide authentic language, contain abundant sociocultural information about the time when they were written and serve not only as an educational resource but also have high educational value as materials for teaching sophisticated language use. In order to develop specific contents for teaching Korean culture using literature, this paper selected a few literary works appropriate for different levels of language learners. For beginning & intermedia learners, a travel journal was chosen since this type of writing is not restricted to a specific format and is relatively easy for learners of foreign cultures to understand. And for advanced learners, modern Korean poetry and novel were provided. For each literary selection, lesson objectives and topics were set with considerations given for elements of products culture, behavior culture and ideas culture. However in the actual classroom, lessons were focused on the most prominent cultural elements due to time restrictions and effectiveness of the lesson. The lesson using the travel journal focused on products culture since this type of genre concentrates on travel experiences such as cultural heritage, famous landmarks, etc. from various countries. The one on the poetry focused on the behavioral culture because poetry accentuates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use depending on the speaker and his/her feelings. And the one on the novel focused on the ideas culture since a novel makes it possible to discover beliefs and values of Koreans through background settings and characters’ spoken language.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 of language skills as well as cultural competence is very important in second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has been widely agreed upon. However, appropriate contents and methods for accomplishing this task are still in the search. This study proposed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teaching culture by using literary works, and further study is expected for using more diverse materials and resources.

      • KCI등재후보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조영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필요성은 모두 자각하고 있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문화 교육이 뒷전에 밀려나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문화 교육에 적합한 교재를 찾기가 쉽지 않을뿐더러 어학에 집중되어 있는 교육 과정과 한국어 교육의 현실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현행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의 문화 교육 현황과 한국어 문화 교재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하여 가장 시급한 문제지만 아직 그 개념조차 정립되어 있지 않은 ‘어떤 문화를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답을 모색해보고 그 문화를 가르치기에 적합한 매체를 선정할 것이다. 다음으로 그것을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제시하여 매체를 이용한 문화 수업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content of culture education in that of Korean language now needs a chang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started with curiosity aroused by the Korean wave, is now carried out for such various reasons as academic purpose, employment, immigrant and others. Therefore, the content of culture education needs to deepen more. Most studies agreed that culture education is important. But there are not many specific studies about how to teach culture depending on its type. On this, this paper was to suggest teaching method using a movie ,among various media, in dealing with funeral culture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 funeral includes such various cultures that it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figuring out spiritual and social life of people of the time. Formed based on a long history and changes, the present funeral custom is worth looking out for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deal with such funeral culture, I was to suggest teaching method using a movie, which showed effects in many parts when I analyzed disposition of learners who live in the media age. It is said that a movie 'Festival', which was selected for this paper, showed Korean awareness of death like a documentary, with the main awareness that a funeral service is not just burying a body but meeting among the living, the dead and the left. In addition, 'Festival' makes it possible for us to take a look at a large family, a rare family type in modern society and look at three generations through an extended family.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a movie as the media. Above all, classroom environment for showing a movie is needed and also about two hours-running time is a problem. Accordingly, film cutting is inevitable, but teachers cannot help but do the work and it requires skills. For film cutting, the storyline of a movie should be considered, so the work is not easy. It is a task to do in future presenting continuously methods of teaching about other specific cultural items in addition to funeral culture. The study about teaching specific cultural items so far is inadequate, so starting with funeral culture, teaching methods for various cultural items will have to be suggested.

      • KCI등재후보

        다문화 가정 중등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김혜련(Kim, Hye-Ryeu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6 No.-

        이 연구는 최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중등 학교 진학 비율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다문화 가정의 자녀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을 중등 학습자로 확장해야 한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한다. 다문화 가정의 중등 자녀들의 의사소통 문제는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으며 학습 지체는 물론 학교 부적응이나 학교 중도 탈락 문제로 악화된다. 따라서 학업 성취 능력과 학교 생활 및 한국 사회 적응을 돕기 위해서라도 다문화 가정의 중등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정책과 지원이 다각적으로 구안되어야 한다. 이를테면 중등 학습자에게 적합한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 원리를 모색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교재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안을 구안하는 등 중등 교육 수준의 한국어 교육 체제를 지속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등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나 초등 자녀를 위한 교재와는 달리 기초 한국어 능력과 함께 다른 교과 학습을 위한 도구적 언어 능력을 보다 강화하는 한편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경험할수 있는 내용으로 편성해야 한다. 다문화 문식성 신장이라는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 평가가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교재의 개발은 다문화 학습자들의 한국어 소통 능력 향상과 원활한 학업 성취 및 학교 적응을 통해 탈학교 현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의 주체적인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main focus of research thesis starts from the viewpoint that as a growing number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ttend secondary schools in recent years, the targets of policy concerns and supports for these children must be expanded to secondary education learners. Problems that secondary learners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ve due to a poor communication skill have something close to do with a lack of power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The things bring about worse consequences to lead those students to become slow learners; to make them have difficulties in becoming adapted to their school life; in the end, to force them to drop out of schools. Therefore, it makes sense to provide comprehensive policies and suppor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econdary learners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help those students become adapted to their school life and Korean society. Specifically, it is needed to steadily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s at a secondary education level by finding out objectives and 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uitable for secondary learners, and developing(revising)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seeking ways to provide pertained textbook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s. In particular,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secondary learners must be published with the focus on strengthening competence of basic Korean language and instrumental languages necessary for any other educational lessons, and accessing multi-cultural values. If textbooks are developed that have systemic structures of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of education aiming to enhance literacy competence of learners born and raised in multi-cultural families, most lean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ould be improved in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in Korean, and fulfill better school performance, and become well-adapted to their school life. It is expected that these developments would contribute not only to minimizing the frequency that thos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drop out of their schools, but to making them become each independent social member.

      • KCI등재

        공유 텍스트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한 방법

        김동환 ( Dong Hoan Kim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1 No.-

        이 논의는 일차적으로는 한국어교육에서 문학텍스트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논하는 맥락에 속하지만 넓게는 한국어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설계이기도 하다.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은 ``한국어생활 텍스트``, ``한국어문화 텍스트``, ``한국어예술 텍스트``라는 세 국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 본다. 그리고 이러한 국면들은 선택적인 것이 아니라 가능하면 단계성을 지니고 연계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논의에서 전제로 삼고 있는 것은 학습자들이 이미 경험했을 법한 텍스트와 유사한 자질이나 요소를 지닌 텍스트 즉 공유 텍스트를 찾는 일이다. 학습자들이 교육이나 독서를 통해 모국어로 경험했을 텍스트와 견줄 수 있는 한국어텍스트가 있다면 학습효과가 매우 수월하고 생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공유 텍스트를 ``한국어생활 텍스트``라는 맥락에서 접근해 가는 일은 그것을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어휘, 문법 등의 기본적인 학습 활동의 자료로 삼는 것을 의미한다. 그 학습의 결과가 학습자의 한국어 생활을 이끌어줄 수 있으리라는 판단이다. ``한국어문화 텍스트``라는 맥락은 그것에 나타나는 한국어 사용원리와 같은 한국어문화를 학습하는 일과 그 자체를 향유대상으로 삼는 일의 두 가지를 아우르는 측면이다. ``한국어예술 텍스트``의 맥락은 한국어교육이 일상적 생활이나 문화 향유의 측면에서 나아가 한국어를 바탕으로 언어적 창조의 차원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학습자들을 위한 배려도 필요하다는 맥락이다. 이 논의에서 주목하고자 한 것은 텍스트에 대한 비교문화적인 접근의 생산성과 효용성이다. 지역적, 민족문화적 변이양상을 보이는 광포설화와 같은 텍스트를 통해 한국어문화 텍스트에 접근해가도록 한다면 수월성과 효용성이 높은 교육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낯선 문화에 대한 정서적인 거리감을 줄여줄 수 있다는 점은 한국어교육 설계 시 일차적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가 아닌가 판단된다. 이에 대해서는 ``징검다리 문화``라는 방법적 개념을 통해 확장된 논의로 제시할 것이다. It will be desirable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a Literary Text to be accomplished on the three phase, treating a text as a Korean Language Culture text, a Korean Language Arts text, a Korean Language Living text. These phases are not selective, those are to be designed for a grade system In this article, the text means a co-experienced text by foreigner and korean teaching matter. The co-experienced text is very useful and productive matter for Language Education. Because the co-experienced text involves the properties and factors that is regarded as a already experienced objects in mother tongue of learner. Dealing with the co-experienced text as a Korean Language Living text means that teacher utilize it as a material of basic learning works, speaking, hearing, writing, reading, grammar, vocabulary. Dealing with the co-experienced text as a Korean Language Culture text means that teacher utilize it, as a material of using principle in korean language, and as a material for teaching of Korean culture. Dealing with the co-experienced text as a Korean Language Arts text means that teacher utilize it as a teaching media of creating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by foreigner. In this article, the usefulness and productivity of approach based on the comparative cultural theory is also very importantly considered. In that respects, the co-experienced text shall be studied to the widening dimensions. This article will be connected with the methodological concept, ``stepping stones culture``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 다문화 가정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유해준(Yoo, hae-jun) 서원대학교 직지문화산업연구소 2016 湖西文化論叢 Vol.25 No.-

        본고에서는 각 시도 교육청 등에서 다문화 가정의 부모와 자녀들에게 실시하고 있는 한국어교육 지원 체계와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역의 한국어교육 지원 체계의 발전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충청북도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 지원 사업체계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다문화 가정의 부모와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문화 정책은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16개 시도에 위탁하여 주로 부모 교육과 연계해서 자녀들의 한국어교육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와, 교육과학기술부를 중심으로 16개 시도교육청에서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을 근간으로 자녀와 부모에 한국어교육 지원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협조기관으로 다문화가족 지원센터를 지정하고 이 센터를 중심으로 각 시도에 전달되는 방식이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 지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여성가족부, 교과부, 법무부에서 그리고 각 시도교육청으로 분산되어 있는 한국어 교육 지원 체제를 한 창구로 연결하여야 한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 지원을 전담하는 독립기관을 두어 예산이 중복되지 않도록 운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의 수준별 교수·학습 과정안과 수준별 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교재개발이 단편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과부에서 교과서와 같은 개념으로 개발되어 보급되어야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한국어교육 지원체계를 정규교육과정과 연계시켜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supporting syst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performed by each municipal Education Office. By doing this, it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plan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system. Especially, reviewing the practices and issu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system performed in North Choongchung Province,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policies for multi-cultures can be divided by the case to suppor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children in alignment with parental education with entrusting to 16 city and provincial governments under the initiative of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case to support it by 16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under the initiative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addition, there is another system to assign the supporting cent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the cooperative institutions to distribute the supports by these centers. To suppor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ffectively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pporting systems which are distributed into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Justice, and Education Office of each city and province, should be united into one channel. It should be operated for the budget not to be redundant assigning the independent institution for the children’s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do so, it requires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a and learning materials by their levels. It seem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done not simply by ad-hoc basis but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textbook to minimize the resource waist. Also, the supporting syst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aligned with the regular courses of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에서 효 문화교육의 방향성 탐색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

        김지안 한국효학회 2020 효학연구 Vol.0 No.32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의 기준인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흐름을 파 악하여 한국어문화교육에 있어 효 문화교육의 방향성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서 한국어교육의 ‘사용’과 ‘활용’을 읽어내고 문 화교육 측면에서는 ‘실제성’을 읽어냈다. 한국어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국의 독 특한 정서이면서 인류 보편적 정서인 ‘효’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전통적 효의 개념과 현대적 효의 개념을 정리하여 한국어교육에 있어 ‘효’ 문화교육이 나 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첫째 상호존중으로 일방적인 ‘효’가 아니라, 양방향적인 ‘효’의 중요성을 제시 하였고, 둘째 인류애적인 측면에서 ‘효’가 서로 사랑하는 것임을 시사하였다. 셋째 상호존중과 인류애가 결국에는 ‘실천’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는 ‘효’ 문화 내용이 제시되어 있지는 않 지만, 한국어의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해 ‘효’ 문화교육은 반드시 교수·학습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irection of HYO culture education in Korean culture education by grasping the flow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is the standar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use” and “u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read. In terms of cultural education, “practicality” was rea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over time.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HYO’ cultural education, which is a unique sentiment of Korea and a universal sentiment of mankind. By organiz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 HYO and modern HYO, we sought ways to advance “HYO”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it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wo-way 'HYO' rather than one-sided 'HYO' as mutual respect. Second, it suggested that 'HYO' is to love each other in terms of humanity. Third, it emphasized that mutual respect and love for humanity should eventually go in the direction of “practice”. The “HYO” culture content was not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Korean Standard Curriculum”. However,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HYO’ cultural education must be ta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