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고대사상의 원형(原型) 탐구(Ⅱ) - 고구려 건국설화와 한국 선도(仙道)사상-

        양태호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6 敎育論叢 Vol.53 No.1

        고구려의 건국 설화와 조의(?衣) 선인(仙人) 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첫째 고구려의 건국 설화를 통해 나타난 사상은 한국 고유의 신도(神道) 사상을 주체로 중국의 선도(仙道)사상을 수용 하여 형성된 한국 선도(仙道) 사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선도 사상에 의하여 밝혀진 세계가 바 로 동명왕 그리고 고구려로 표현되었으며, 아울러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이념이 고구려의 이도흥 치(以道興治)의 이념으로 변화하였음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 선도 사상은 전통 사상을 바탕으로 외래의 사상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형성된 사 상이기 때문에 단순히 선도 사상의 성격만을 갖지는 않는다. 한국 선도 사상의 세계는 인간 주체 적 자각을 통하여 밝혀진 세계이다. 그 세계는 인간 사회는 물론 사물과 자연 그리고 신이 인격 성 안에서 하나가 되어서 조화를 이루며 하나가 되는 아름다운 세상, 그것이 바로 한국 선도 사 상의 세계인 것이다. 셋째 한국 선도 사상은 전통 사상인 밝달 사상을 바탕으로 형성된 사상이기 때문에 인간 주체 적 자각을 통하여 밝혀진 사회가 중심이다. 따라서 개체가 아닌 우리 또는 국가 더 나아가서 세계 에 그 중심이 놓여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 선도 사상은 중국 선도 사상의 근거가 되는 도가 사 상은 물론 도가 사상의 정치적 응용인 황노술과 방사들의 신선술과는 전혀 다른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고구려의 건국설화와 조의 선인 제도를 통해 나타난 한국의 고대사상은 한국 고유 의 신도(神道) 사상을 주체로 중국의 선도(仙道)사상을 수용하여 형성된 한국 선도(仙道)사상이라 고 규정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선도(韓國仙道)’와 근대 이후의 ‘국학(國學)’ 담론 -洛書 相克의 限界와 그 克服으로서의 相均圖-

        정경희 동학학회 2007 동학학보 Vol.11 No.2

        한국 관련 연구에 있어 ‘한국학’ 또는 ‘국학’의 구분은 일차적으로 연구의 입지점 차이에서 비롯된다. 연구자의 국적 여부를 떠나서 ‘한국학’은 국외자의 입장에서 수행되는 연구, ‘국학’은 한국인의 입장에서 수행되는 연구라는 차이가 있는데, 한국사의 주체가 한국인이라면 일차적으로 ‘국학’ 방식의 연구가 더욱 중요해진다. 이렇게 ‘국학’ 개념은 일차적으로 한국인의 ‘주체적 입지점’에서 출발하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출발점으로서 ‘韓國仙道’에 주목해 보게 된다. 한국선도는 고유의 수련법에 기반한 고유의 사유체계로서 수련법, 사상 방면 뿐아니라 역사인식 방면에서도 중국을 위시한 동아시아의 제사상과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국선도는 상고 이래 국학으로 기능하여 오다가 단군조선 이후 국학으로서의 위상이 점차 약화되었고, 이에 중국에서 도입되기 시작한 三敎(道敎·佛敎·儒敎), 그 중에서도 불교 및 유교에 순차적으로 국학의 지위가 이양되었다. 단군조선 이후 조선에 이르기까지 오랜 침체기를 거친 후 한국선도는 근대에 이르러 민족종교의 방식으로 소생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대종교계 민족주의 사학자들을 중심으로 선도적 역사인식이 되살아나면서(‘민족주의사학’) 선도의 국학 원류로서의 위상이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선도를 국학으로 인식하는 ‘국학’ 담론도 시작되었는데, ‘초기 민족주의사학’에서는 선도가 곧 ‘국학’으로 인식되는 등 선도적인 기준이 강하였으나, 1930, 40년대 ‘신민족주의사학’에 이르러서는 ‘국학’ 대신 ‘조선학’ 개념이 사용되는 등 선도적 기준이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변화도 있었다. 이후 한국사회의 발전 방향이 서구화 쪽으로 맞추어지면서 선도는 일시적인 침체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해방 이후 선도가 다시 침체되고 ‘국학’ 담론 또한 약화, ‘국학’ 대신 ‘한국학’ 개념이 일반화되어 갔다. 1980년대 이후 한국선도가 수련법을 중심으로 대중화, 다시 부활하게 되면서 ‘국학’ 담론 또한 새로워졌다. 기성학계에서의 ‘한국학’ 개념과 달리 대중 차원에서 선도를 ‘국학’으로 바라보는 ‘국학’ 담론이 재차 등장한 것이다. 근대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선도 및 ‘국학’ 담론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서, 선도의 국학 원류로서의 위상 회복 과정이 곧 선도를 중심으로 하는 ‘국학’ 담론의 과정이기도 함을 알게 된다. 선도의 국학 원류로서의 위상이 높아질 때에는 ‘국학’ 담론이 강화, 주로 ‘국학’ 개념이 사용되었던 반면 선도의 위상이 약화될 때에는 ‘국학’ 담론이 약화, ‘국학’ 개념 대신 ‘조선학’ 또는 ‘한국학’ 개념으로 변개되는 모습을 통하여 선도가 곧 국학의 원류이자 중심이었음을 다시금 확인하게 된다.

      • 한·중 마고 전승 비교 연구

        석상순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19 유라시아문화 Vol.1 No.-

        본고는 한국선도의 ‘마고’ 전승과 원형을 살펴보고, 한국선도 마고관의 중국적 변형에 대해 살핀 것이다. 한국선도의 기본 원리는 삼원조화사상이며 수행의 목적은 천인합일(신인합일)을 이루는데 있다.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에너지를 움직여 사람과 만물을 창조한 하느님(삼신하느님)이란 존재가 바로 ‘마고’이며, 마고가 존재했던 마고성이 바로 천인합일(신인합일)의 공간이다. 이러한 마고의 가장 원형적인 모습은 선도사서 『부도지』에서 찾을 수 있으며, 요서지역 상고문화의 핵심이 바로 선도 마고제천이었음을 고고학적 유물⋅유적을 통한 연구 결과가 보여주고 있다. 한⋅중 마고 전승의 구체적인 모습을 비교해 보면, 한국의 마고는 우주를 창조한 근원적인 생명에너지로 모든 현상을 있게 한 창조주 하느님(삼신하느님)이었는데, 후대로 전승되면서‘할머니창세신’의 모습으로 변이되었고, 창세 행위의 일종인 ‘성쌓기[축성]’하는 모습으로 많이 남아 있다. 그럼에도 삼신하느님으로서의 위상이 전승되어져 오늘날 제천단⋅사당의 신격으로 모셔져 사람들에게 제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반해 중국의 마고선녀는 아름다운 외모에 신통한 도술력을 지녔고, 불로장생하는 여자 신선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창조신 이미지나 성쌓기하는 모습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필자는 이를 한국선도의 마고가 중원지역에서는 중국도교의 영향으로 불로장생하는 아름다운 선녀 이미지로 변형되어 전승된 것으로 보았다. 한국에서도 마고선녀 전승이 나타나는데, 이는 중국도교의 한국 유입으로 인하여 한국에서도 도교풍의 마고선녀 전승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한국선도 ‘마고(마고할미)’를 중국도교 속 ‘마고선녀’와 동일선상에서 단순 대비 하기에는 무리가 있겠다. 하지만, 성별 미분화 상태의 중성적 이미지를 지닌 ‘마고 (마고할미)’ 전승이 아름다운 여성적 이미지를 지닌 ‘마고선녀’ 전승보다 더 원초적 古形을 유지하고 있어 시적으로 앞선다고 보았다. 한국의 선도가 중원 지역에서 중국도교 형성에 영향을 주었기에, 따라서 한국선도의 마고가 중원으로 흘러가서 중국도교의 영향으로 도교화되어 마고선녀로 전승된 것으로 보았다. 한국선도의 마고(마고할미)는 중국도교의 마고선녀와 전승되는 모습이 서로 다르기는 하나 그 근원적인 뿌리는 상통하고 있다고 바라보기에, 모든 ‘마고’ 관련 전승의 원형은 선도사서 『부도지』에 등장하는‘마고’이며, 근대 고고학의 성과가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archetype and the transmission of 'Mago' in Korean Sundo, and to research on the chinese modification of Mago. The basic principle of Korean Sundo is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The purpose of the training is to establish Heaven-Human-Combined-In-One (God-Human-Combined-In-One) state. The One who had created human and all other things by moving fundamental vitality of the Universe is Haneunim(Samsin Haneunim), in other words, 'Mago'. The Great City of Mago where Mago had existed was the space of Heaven-Human-Combined-In-One. We can find the most archetypal form of Mago in 『Budoji』. Mago of Korean Sundo had been transmitted by legendary story in which 'Mago Halmi' builds mountain fortress walls. Later on, she has been worshiped as a god in the altar of the sacrificial rituals for Heaven or in the shrines. Mago of China is described as a beautiful female immortal who has miraculous powers. Mago of Korea had been HaNeuNim(SamSin HaNeuNim) who created the Universe by the fundamental vitality which resulted all the phenomena. As time passed by, she has been changed as a 'Grandmother Creator', and remained as a figure who wanted to go back to the Great City of Mago by 'building mountain fortress walls'. In China, it is very different from Korea. Instead of a creator or building mountain fortress walls, she appears as a beautiful female immortal. It seems that Mago had flowed to the center of China and have been changed as an image of a young beautiful woman who never dies or even getting old. Strangely, Mago Fairy can be found in Korea, too. It is presumed that she has been reimported by way of Chinese Taoism. It would be immoderate if we simply compare 'Mago' of Korean Sundo with 'Mago Fairy' of Chinese Taoism on the same line. But Mago of 『Budoji』 who had have ambiguous distinction of sex have kept original form rather than Mago Fairy, it is regarded Mago was far older historically than Mago Fairy. As Korean Sundo had influenced at the time when Chinese Taoism was formed in the center of China, naturally Korean Mago transmission also flowed to the center of China and became Mago Fairy by the influence of Chinese Taoism. Although the present forms of Korean Mago(Mago Halmi) and Chinese Mago Fairy are different, the archetype of Mago transmission is Mago myth of 『BuDoJi』, therefore it is certain that the fundamental roots have something in common.

      • KCI등재

        한국 고대(古代) 선도(仙道)사상 고찰

        양태호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3

        삼국의 건국설화와 고구려의 조의선인(?衣仙人)제도 그리고 신라의 화랑국선(花郞國仙)제도를 중심으로 한국 고대(古代) 선도(仙道)사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삼국의 건국설화를 고찰한 결과 그 중심사상이 선도사상 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 고대 선도사상은 고유사상인 신도(神道)사상을 부계(父系)로 하고 외래 사상인 중국 선도사상을 모계(母系)로 하여 탄생한 최초의 한국사상이다. 둘째, 한국 고대 선도사상은 전통사상을 바탕으로 외래의 사상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형성된 사상이기 때문에 단순히 선도사상의 성격만을 갖지는 않는다. 비록 사상의 겉모습이 선도의 형태이긴 하지만 그 내용은 유교와 불교를 융섭(融攝)하여 일체화한 선도사상인 것이다. 즉 한국 고대 선도사상의 세계는 도가(道家)의 소요유(逍遙遊)하는 경계 속에서 밝혀진 자연과 불가(佛家)의 이상적 세계인 불국토(佛國土)가 유가(儒家)적 윤리 가운데서 일체화된 인간 주체적 자각을 통해 밝혀진 세계이다. 따라서 그 세계는 인간 사회는 물론 사물과 자연 그리고 신이 인격성 안에서 하나가 되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세계인 것이다. 셋째, 한국 고대 선도사상은 전통사상인 밝사상을 바탕으로 형성된 사상이기 때문에 인간 주체적 자각을 통하여 밝혀진 사회가 중심이다. 따라서 개체가 아닌 우리 또는 국가, 더 나아가서 세계에 그 중심이 놓여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고대 선도사상은 덕화(德化)정치 그리고 국가, 사회에 대한 봉사정신의 발로라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本文以三國建國說話,高句麗?衣仙人制度,新羅花郎國仙制度爲中心,探究了韓國古代仙道思想。得出以下結論。 第一,三國的建國說話的中心思想是仙道思想。韓國的古代仙道思想是作爲父系的固有神道思想與作爲母系的中國仙道思想二者融合之後所誕生的最初的韓國思想。 第二,因爲韓國的古代仙道思想以傳統思想爲基礎融合了外來思想,所以韓國仙道思想幷不與一般仙道思想相同。雖然有仙道思想的外部特征,但是從內容上看韓國仙道思想是與儒敎和佛敎一體化後的思想。所以,韓國仙道思想的世界是道家的逍遙遊的境界中發現佛家的佛國土理想世界,儒家倫理中一體化的自覺發現的世界。這個仙道世界是人與事物與自然與神全部融爲一體後的美好世界。 第三,因爲韓國的古代仙道思想是以傳統思想發掘思想(밝사상)爲基礎形成的思想,所以通過人自主的自覺而形成的社會是中心。所以不是個體而是共同體或者國家,進一步說是世界,幷以此爲中心。正因此,韓國古代仙道思想是德政與對社會和國家的奉獻精神的外表特征。

      • KCI등재

        韓國仙道와 ‘檀君’

        鄭景姬(Jung Kyung Hee) 한국도교문화학회 2009 道敎文化硏究 Vol.30 No.-

        본고는 한국선도의 삼성(환인ㆍ환웅ㆍ단군) 인식에 준거하여 삼성, 그 중에서도 특히 단군인식의 변천과정을 살핀 연구이다. 한국선도의 수행 과정은 ‘性通→功完(’弘益人間ㆍ在世理化‘)→朝天’의 과정으로 정리되는데, 한국선도의 전통에서는 이러한 수행 과정의 典範이자 주요 매개자로서 삼성을 제시한다. 한국선도의 원형적 삼성 인식은 ‘仙人이자 군왕’이었는데, 삼성중에서도 특히 단군은 최초의 선도국가 단군조선의 군왕으로서 ‘선인’의 면모 외에 ‘군왕’으로서의 면모가 더욱 강하였고 이에 ‘민족시조, 건국시조’로서의 주된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한국 상고시기 최고의 ‘선인이자 군왕’이었던 삼성은 후대에 이르러 점차 삼성숭배 또는 삼성신앙의 대상으로 화하여 갔는데, 특히 중국에서 도입된 삼교중 불교와 유교의 영향으로 속성이 크게 변질되었다. 삼국시대 이후 仙ㆍ佛 습합의 과정에서 삼성은 과거불이나 미래불로 전화되거나, 불교사찰내 三聖뭇類의 주신격으로 전화되었다. 고려 중엽 이후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한국사의 중심이 삼성이나 단군 대신 기자로 변개되는 현상과 함께 선도에 대한 인식이 더욱 일천해지면서 삼성 인식에 있어서도 삼성 대신 단군만이 따로 떨어져 나와 강조되기 시작하였고 단군의 성격에 있어서도 ‘선인’의 면모가 사라지고 단군조선의 ‘군왕’, ‘민족시조’로만 인식되었다. 또한 조선시대 왕실의 선도 억압책으로 인해 선도가 무속신앙ㆍ무속신앙화면서 삼성이나 단군이 기복적 신격으로 변질되는 경향도 심화되었다. 근대에 이르러 선도가 부활하고 삼성 인식이 회복되는 조짐이 있었으나 선도속의 민족적 성향을 경계한 일제에 의해 좌절되었다. 1945년 일제의 패망으로 선도에 새로운 가능성이 주어지기도 하였지만, 곧 이은 남북 분단으로 한국사회에 냉전 체제가 적용되면서 남ㆍ북한 모두에서 선도의 민족주의 노선이 거부되었다. 남한의 경우는 서구사상 및 종교의 영향으로 선도는 ‘무속, 이단종교’ 등으로 이단시되었고 삼성이나 단군도 ‘무속신, 우상’ 정도로 취급되었다. 남북분단 이후 약화 일로에 있던 선도가 1970년대말ㆍ80년대초에 이르러 수련법을 중심으로 새롭게 약진하면서 삼성 인식 또한 달라지기 시작하였다. 선도가 부활될 때 삼성 인식 또한 원형을 회복하게 되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아직까지는 단군에 집중되어 있는 형편이다. 곧 단군에 대한 ‘무속신, 우상’론을 넘어서 ‘國祖’론으로까지 나아가고 있기는 하지만, 단군을 넘어서 한국선도의 원형적 삼성 인식으로까지는 나아가고 있지는 못하다. 조선시대 유교전통 하에서 삼성이 아닌 단군이 강조되기 시작한 이래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사의 시작을 단군조선 및 단군에서부터 바라보는 인식이 일반적이었기에, 근대 이후 새롭게 시작된 단군 담론, 그리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속되고 있는 단군 담론도 실상은 이러한 인식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선도의 원형적 삼성 인식에서 볼 때, ‘단군’을 넘어서 ‘삼성’ 인식이 온전히 회복될 때라야 선도적 원형이 복원되며, 더 나아가서는 한국사의 출발점이 제대로 해명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of Dangun understanding on the basis of Samsung(三聖: Whanin(桓因)ㆍWhanwoong(桓雄)ㆍDangun) understanding in Korean Sundo. The discipline process of Korean Sundo can be summarized to '① awakening(Sungtong性通)→ ②materialization of awakening(Kongwan功完)→③ revolution to origin of existence(Jochun朝天)', and Samsung used to be understood as the model and mediator of Korean Sundo discipline. The original Samsung understanding in Korean Sundo discipline was the supreme 'Sunin(仙人) and King' and especilly Dangun among Samsung had been recognized not only Sunin but also King of the first Sundo-State, that is Dangun Chosun. Dangun had the main image of 'the progenitor of Korean'. In ancient Korea, the image of Samsung had changed 'the Sunin and King' to 'the subject of worship' by the influence of Buddism and Confucianism. Since the middle age of Koryo Dynasty, with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the progenitor of Korean was changed from Dangun to Kija. As the Sundo understanding had been weakening gradually, Dangun had separated from Samsung and had understood just as 'King of Dangun-Chosun', that is ‘the progenitor of Korean'. In this process, the images of Sunin had disappeared. Since modern times, Sundo revived, but it was frustrated by Japan who guarded against the national inclination in Sundo. After World WarⅡand the fall of Japan, another possibility of revival was given to Sundo. But due to the tragic division of Korea, the Cold War system was applyed a rule to South and North Korea.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refused the national inclination of Sundo. So Samsung or Dangun was treated as 'Shaman or Idol'. In the late 1970's and the early 1980's, Sundo was made rapid progress. Because Sundo of that time was focused on Sundo discipline, Samsung understanding had been different from the past. When Sundo revives, it is natural that the original image of Samsung understanding recovers. But until now Samsung understanding has been held off Dangun. To be sure, the misunderstanding about Dangun -'Shaman or Idol' has become changed to 'the progenitor of Korean' but did not arrive at the original image of Samsung understanding in Korean Sundo yet. Under the Confusian tradition since Chosun Dynasty, not Samsung but Dangun was emphasized. So until now we used to think that the origin of Korean history is Dangun-Chosun. Currently Dangun conversation is kept within this viewpoint Seeing from the pointview of the original image of Samsung understanding of Korean Sundo, when Samsung beyond Dangun recovers fully, Korean Sundo can be restored and the origin of Korean history can be clarified correctly.

      • KCI등재

        ‘한국선도⋅중국도교⋅한국도교’ 구분론: 한국선도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방향 제안

        석상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선도문화 Vol.33 No.-

        2000년대 초반 학계에 ‘한국선도’라는 새로운 학술 개념어와 학문분야가 등장하였 다. 본고는 한국선도를 중심으로 중국도교 및 한국도교와의 상호간 개념과 영역을 비교 한 연구이다. 그간 한국의 선도문화에 대한 인식은 유교문화 내지 서구인 시각으로 규정되어 저급한 샤머니즘[巫]으로 폄훼받기 일쑤였으나, 오늘날 고고학적 발굴 및 연구 성과는 선도문화가 샤머니즘이 아니라 고차원적인 세계관과 삶의 방식을 보여주는 신선문화⋅신선사상[仙]이라는 사실 및 동북아 신선문화의 시원과 전파의 주체가 한민 족에게 있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근대 이후 한국선도 연구는 두 경향이 있어 왔다. 하나는 신채호 이래 한국선도가 중국도교와는 차별화되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이라는 주체적 입장에서의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이능화 이래 한국선도를 한국도교의 범주 속에 포함시켜 연구하는 입장이었 다. 전자에 비해 후자가 양적으로는 학계의 주류를 형성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전자의 학풍을 계승하고자 하는 선학들의 연구가 이어져 왔고 이에 힘입어 ‘한국선 도’ 분야가 등장하게 되었다. 한국선도는 기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수행 및 철학(사상), 역사 등을 포괄하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 체계를 말한다. 반면에 중국도교는 신선장생사상을 기반으로 노장 사상 및 유교⋅불교와 여러 민간신앙의 요소들을 받아들여 형성된 종교이다. 전자는 삼원오행론 철학을 기반으로 성통⋅공완하여 홍익인간⋅재세이화한 연후에 조천한다 는 신선문화, 곧 ‘신선공완사상’을 갖고 있다. 후자는 음양오행론 및 불로장생하여 우화 등선하려는 ‘신선장생사상’을 갖고 있다. 한국선도는 선도철학의 정수를 담은 경전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철저한 수행, 강인한 역사의식 등을 기반으로 선도사관이 형성되었 다. 반면에 중국도교는 도장이라는 방대한 경전을 갖고 있을 뿐 역사의식이 미비하고 사회적 실천의식도 없어서 도교사학이 형성되지 못하였다. 한국도교는 중국도교와 거 의 비슷하다. 2000년대 초 이래 ‘한국선도’ 학문분야가 신생하여 분립하고 있다. 한국도교는 한국 선도의 분립을 수용하지 않고 한국도교의 도장 편찬을 위해 한국선도의 경전 및 사서를 끌어안고 있다. 반면에 그간의 한국선도의 연구성과는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도 교는 한국선도 연구성과를 대범하게 인정하고 한국선도의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를 제안한다. 이유는 동북아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유라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간 선도 문화를 한국선도 및 한국도교 연구자들이 상호 조화롭게 연구하여 유라시아 전역 상고 문화사가 선도적 역사의식의 관점에서 서술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 방법이 오랜 동안의 문화사대주의 특히 중화중심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서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new academic field of ‘Korean Sundo’ that emerged in the early 2000’s with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Chinese Taoism. The Korean Sundo culture was hitherto viewed as being similar to Shamanism especially seen through the western lens. However, archaeological discoveries and achievements since the 1980’s are revealing that the Korean Sundo is the ShinSun (神仙) Thought which embodies a highly cultivated ways of life and a world view distinct in its qualities to shamanism and it also explains the origins of the North-east Asia ShinSun (神仙) Culture. There have been two different tendencies in the research of the Korean Sundo since the modern era. One takes on the thoughts of Shin Chae-ho, that Korean Sundo is a thought system indigenous to Korea, distinguished from Chinese Taoism. The other follows on Lee Neung-hwa who understands Korean Sundo to be within the boundaries of Korean Taoism. The latter has been the mainstream point of view, at least in terms of the numbers of its researchers. However, the former school has continued to thrive, culminating in the emergence of the field of ‘Korean Sundo’. Korean Sundo is an indigenous Korean system of thought that embraces the balance of the mind and the body based on training by way of the philosophy of energy (氣) that further extends to an awareness of social values and its history.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Taoism is a religion formed of Shinsun Long-life thought, Laotzu, combination as a Confucianism, Buddhism and various folk religion. The former is a Shinsun culture with active sense of humanitarian cause with endeavor to establish Hongik Ingan (弘益人間 People devoted to the betterment of humanity)⋅Jae Ihwa (在世理化 Creating a peaceful world) by way of Seongtong (性通 Connecting with heaven)⋅Gongwan (功完 Serving to the society) on a basis of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of three dimensions - Chun(天)⋅Ji(地)⋅ In(人,) doctrine. The latter, Chinese Taoism, on the other hand, has its base on Shinsun Long-life thought by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of Yin and Yang, to ascend to heaven as a Taoist immortal by way of staying young and living long. Korean Sundo has also formed its way of viewing the history with emphasis on the awareness of the social consciousness through meditational training accompanied by the scriptures that contain the essence of Sundo philosophy. Whereas Chinese Taoism has a massive scripture, called Dojang (道藏), it lack historical consciousness or awareness to serve the society, and therefore there isn’t a branch of study in history in Taoism. Similarly, the same applies to Korean Taoism. Since the early 2000’s, the academic field of ‘Korean Sundo’ emerged and is standing independently. In response to this, the Korean Taoism is embracing the scriptures and historical studies of Korean Sundo in order to publish their own scriptures. Meanwhile, they do not accredit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Sundo. We propose that the Korean Taoists should acknowledge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Sundo, and that they should also study into the Chinese Taoism as a modified form of the Korean Sundo. This will enable the two fields to research more harmoniously as the Korean Taoism adopts the historical viewpoint from Korean Sundo, whereby the ancient cultural history that spread throughout Eastern Asia and Eurasian continent has its central philosophical origins in Northeast Asia. Furthermore, this will enable the Korean philosophers to stand on their own feet at last free of the prolonged cultural toadyism, especially Sino-centrism.

      • KCI등재

        동아시아 선도문화 연구동향과 ‘한국선도’⋅‘한국도교’ 개념의 재검토

        소대봉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선도문화 Vol.33 No.-

        Research Trends of Sundo Culture in East Asia and Review of the Concept of ‘Korean Sundo’ and ‘Korean Taoism’ So, Dae Bong (Korean Council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Despite the difference in origin and ideological content, ‘Korean Sundo’ has been comprehensively used in the Chinese-centered term ‘Korean Taoism’.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Sundo culture researchers, this paper attempted to clarify the unfairness of using ‘Korean Sundo’ tied to the term ‘Korean Taoism’. After Shin Chae-ho named the unique national thought ‘Sungyo’ and argued that it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Chinese Taoism, research on Sundo culture after modern times began. Lee Neung-hwa, who followed Shin Chae-ho’s research, organized the perception system and data range of Korean Sundo in a large framework, but confused the study of Korean Sundo by calling it ‘Chosun Taoism’ by combining its own ideology with Taoism from China. After Lee Neung-hwa, the unique national thought(Korean Sundo) was comprehensively studied in the Chinese-centered term ‘Korean Taoism’. Although there was a limitation in using the term ‘Korean Taoism’ centered on China, the trend of claiming the uniqueness and self-sustaining theory of indigenous thought formed the trend of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re of Korean Sundo is not only in individual enlightenment, but also in creating an ideal community called ‘HongikinganㆍJaeseiwha’.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Korean Sundo’ is a completely different thought system in practice from ‘Chinese Taoism’, which puts the purpose of discipline and life only on personal well-being and longevity. On this basis, as concrete research results have been accumulated since the 2000s, ‘Korean Sundo’ has the power to stand on its own feet, breaking away from the term ‘Korean Taoism’. As research results have been accumulated since the 2000s, it has been confirmed that Korean Sundo and Chinese Taoism are completely different in the ontology, which is the core of the ideological system, as well as the discipline method. In addition, as the research on convergence with archaeology deepened, it was found that it was contrary to reason to include ‘Korean Sundo’ in the term ‘Dogyo’ formed after the 4th century B.C., as the origin of Korean Sundo was retroactive to the Neolithic culture in the confluence of the Heukryong River and Osori River around 7000 B.C. Even after the 2000s, there is still a research trend in which the ambiguous term ‘Korean Taoism’ combines the unique national thought(Korean Sundo) and Taoism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China. They see that the unique national thought pursues eternal life, and there is also a research flow that sees the source of indigenous thought as Shamanism. However, due to the research results on the unique thought accumulated over 100 years starting with Shin Chae-ho, it was confirmed that the ontology, practice theory, and discipline method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Chinese Taois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far ahead of Chinese Taoism in historical origin. Now, the unique national thought should be called the right name, ‘Korean Sund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Korean Sundo’, which is bound by and the ambiguous term ‘Korean Taoism’, to ensure separation independence. ‘한국선도’는 그 연원과 사상적 내용의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한국도교’라는 중국 중심의 용어에 포괄되어 사용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선도문화 연구사에 대한 비판 적 검토를 통하여 ‘한국선도’를 ‘한국도교’라는 용어에 묶어 사용하는 것이 부당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신채호가 민족 고유 사상을 ‘선교’라고 명명하고 중국도교와 전혀 다름을 논증한 후 근대 이후의 선도문화 연구가 시작되었다. 신채호의 연구를 이은 이능화는 한국선도 의 인식체계나 자료범위를 큰 틀에서 정리하였으나 고유 사상인 선도와 중국에서 전래 된 도교를 한데 묶어 ‘조선도교’라 칭하여 한국선도 연구에 혼선을 초래하였다. 이능화 이후 민족 고유 사상(한국선도)은 ‘한국도교’라는 중국 중심의 용어에 포괄되어 연구되 었다. 중국 중심의 ‘한국도교’라는 용어를 사용한 한계는 있었으나 고유 사상의 독자성과 자생설을 주장하는 흐름이 연구의 대세를 형성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선도의 핵심은 개인의 깨달음에 그치지 않고 ‘홍익인간 재세이화’라는 이상적인 공동체를 구현하는 것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로써 ‘한국선도’가 개인의 안녕과 장생불사에만 수행과 삶의 목적을 두는 ‘중국도교’와는 실천론에서 전혀 다른 사유체계임이 드러났다. 이러 한 바탕 위에 2000년대 이후 구체적인 연구 성과가 축적되면서 ‘한국선도’는 ‘한국도 교’라는 용어에서 벗어나 자립할 힘을 갖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 연구 성과가 축적되자 한국선도와 중국도교는 사상체계의 핵심인 존재론은 물론 수행법에서도 전혀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고고학과의 융합 연구로 연구가 깊어지자 한국선도의 연원이 무려 서기전 7000년경 흑룡강⋅오소리강 합류 지역의 신석기문화로까지 소급되어 서기전 4세기 이후 형성된 ‘도교’라는 용어로 ‘한국선도’를 포괄하는 것은 이치에도 어긋남을 알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도 여전히 ‘한국도교’라는 애매한 용어 안에 민족 고유 사상(한국선 도)과 중국에서 전래된 도교를 묶어 사용하는 연구 흐름이 있다. 그들은 고유 사상이 장생불사를 추구한다고 보기도 하고, 고유 사상의 근원을 샤머니즘으로 보기도 하였다. 그러나 신채호를 기점으로 100여년 축적된 민족 고유 사상에 대한 연구로 인해 존재론, 실천론, 수행법에서 중국도교와는 전혀 다른 사유체계임이 확인되었고, 역사적 연원에 서도 중국도교에 훨씬 앞서는 민족 고유 사상은, 이제 ‘한국선도’라는 올바른 이름으로 불려야 한다. 본 연구가 ‘한국도교’라는 애매한 용어에 묶여 있는 ‘한국선도’가 확실히 분리⋅자립 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符都誌』에 나타난 韓國仙道의 ‘一·三論’

        정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선도문화 Vol.2 No.-

        『Budo-ji符都誌』consists of two parts. The former part is the ontology and the historical view of Korean Sundo. The latter part is the origin of human history and Korean history viewing through the historical view based on Korean Sundo. According to the historical view of『Budo-ji』, the age of Mago-sung麻姑城 that the progenitors of the human race had completed to their mission that is to maintain the order of the universe, was indicated to the ultimate model for human to pursue. The historical view to pursue the revolution to the age of Mago-sung could be called to the historical view of Bokbon(復本: the revolution to the root). In Korean Sundo, it has been conceived that 'One'(Il一: Oneness, the whole, God: ) has an inclination to repeat endless periodicity of birth and death. Also『Budo-ji』has the theory on the periodicity, it is the theory on Sun-chun先天(the preceding periodicity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and Hu-chun後天(the following periodicity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When we investigate flows of Sun-chun先天 or Hu-chun後天 minutely, we can find out the fact that these periodicity is just the process of the three dimensions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that is Chun(天: Information or Naught無·空 : Huh-dal-sung虛達城), Ji(地: Material : Sil-dal-sung實達城), and In(人: Energy : Ki氣 : Mago-sung麻姑城), is harmonized to revealed to the concrete being or the concrete universe. In『Budo-ji』, the process that the three dimensions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is harmonized to revealed to the concrete universe or the concrete being, wa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Also this process was explained with the theory on Ruh-Yul(呂律論) and the theory on Eum-Hyang(音響論). According to the theory on Ruh-Yul(呂律論), Ruh(呂) acts first, and then Yul(律) acts in the second place. As Yul(律) acts, the being or the universe can be revealed itself concretely. The acting aspect of Ruh(呂) was conceptualized to Eum(音) and the acting aspect of Yul(律) was conceptualized to Hyang(響). Therefore the theory on Ruh-Yul(呂律論) and the theory on Eum-Hyang(音響論) are different expressive methods about the same theory. In conclusion, Ruh(呂) or Eum(音) means the possibility of revelation to the being or the universe. Yul(律) or Hyang(響) means the consequence of revelation to the concrete being or the concrete universe. In『Chunbu-kyung天符經』and『Samil-singo三一誥』, there is the original form of the theory on One-Three(一三論) of Korean Sundo. We can find just the same theory in 『Budo-ji』. 『부도지』는 내용상 제1부 ‘存在論 및 史觀’ 부분 및 제2부 ‘인류사 및 한국사의 시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제1부에서는 한국선도 고유의 존재론이 ‘神話’의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이 속에 한국선도 고유의 역사 인식, 곧 ‘仙道史觀’이 내포되어 있다. 『부도지』의 ‘선도사관’에서는 麻姑城 시기, 곧 人祖들이 존재계의 질서를 안정시키는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였던 시기를 인류사의 기준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인조들이 마고성에서 分居해 나온 이후에는 한결같이 ‘復本’의 기준을 적용하였다. ‘復本’의 ‘本(근본)’이란 ‘마고성에서의 인조들의 근본(本) 상태’라는 의미로, 여기에서 마고성 시기를 이상시하는 역사 인식이 단적으로 드러나 있다. 『부도지』의 선도사관에서는 ‘復本’의 기준이 너무나 선명하여 ‘復本史觀’이라고 이름할 수 있을 정도이다. 제2부는 人祖들의 麻姑城 分居 이래 ‘復本’의 상징물인 ‘天符’가 黃穹氏 → 有因氏 → 桓因氏 → 桓雄氏 → 任儉氏 → 夫婁氏 → 浥婁氏로 이어지는 7世 7천년간의 역사이다. 한국선도에서 ‘존재(계) 자체’인 ‘一()’은 무수한 생멸의 주기를 반복하는 속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는 ‘週期論’으로 이름해 볼 수 있다. 『부도지』역시 ‘先天·後天論’이라는 ‘주기론’을 취하고 있다. 선천과 후천 사이에 ‘朕世’가 설정되어 있지만 과도기에 불과하며 ‘선천’이나 ‘짐세’는 ‘후천’을 논하기 위한 전제로서 잠깐 이야기될 뿐이다. 분량이나 내용 면에서 전적으로 후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데,『부도지』는 존재계의 무수한 주기 반복의 역사 중에서도 ‘후천’으로 이름한 특정 주기의 역사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여졌음을 알 수 있다. 선천이나 후천 주기의 세부적인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이들 주기는 존재의 세 차원인 ‘虛達城·麻姑城·實達城’ 三元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발현되는 과정에 다름아님을 알게 된다. 한국선도에서는 ‘존재(계) 자체’인 ‘一(신)’을 이루고 있는 존재의 세 차원으로서 天(정보 또는 無·空), 地(질료), 人(에너지)을 제시하고 있는데,『부도지』에서는 이를 虛達城·麻姑城·實達城으로 표현하고 있다. 天(정보)이 갖고 있는 ‘無性·空性’을 범주화하여 ‘虛達城’으로, 地(질료)가 갖고 있는 ‘물질성·구체성’을 범주화하여 ‘實達城’으로, 人(에너지)이 갖고 있는 ‘三元造化의 중심으로서의 운동성·창조성’을 ‘麻姑’라는 여신으로 의인화하고 또 이를 麻姑城으로 범주화한 것이다. 虛達城·麻姑城·實達城 삼원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구현되는 과정은 몇 단계의 소시기로 구분되는데, 이 과정은 삼원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발현되는 과정이 麻姑城 차원 중심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 이유는 虛達城·麻姑城·實達城 삼원 중에서도 마고성 차원이 삼원을 움직이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이는 한국선도의 一·三論에서 天·人·地 삼원중 특히 人 차원에 삼원조화의 중심 역할을 부여하는 특징에 다름아니다. 一週期 내에서 ‘虛達城·麻姑城·實達城 삼원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구현되는 과정은 ‘呂律論’(‘音響論‘)으로도 설명되고 있다. 呂律論의 경우, ‘呂’가 먼저 작용한 다음 ‘律’이 작용하며 ‘律’의 작용과 함께 비로소 존재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呂’는 현상의 존재계가 형성 ...

      • KCI등재
      • KCI등재

        미래 한국의 또 다른 종교들? -선도계 수련단체들을 중심으로-

        강돈구 ( Don Ku Kang ) 한국신종교학회 2015 신종교연구 Vol.33 No.-

        본 논문은 1970년대부터 우리나라에 등장한 호흡법을 강조하는 수련단체들을 정리하여 현대한국종교사에서 빠진 부분을 채워 보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일단본 논문에서는 국선도, 한국단학회 연정원, 석문호흡, 수선재 등 네 단체를 살피고자 한다. 이들을 선도계 수련단체들 Ⅰ과 Ⅱ로 구분한 이유는 순전히 편의적인 것이다. 국선도와 연정원은 주로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활동을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선도계 수련단체들 Ⅰ’로 구분하였고, 석문호흡과 수선재는 이들보다 이후인 1990년대에 활동을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선도계 수련단체들 Ⅱ’로 구분하였다. 사실 학계의 상식에 따르면 이들 단체를 ‘종교’로 분류하기보다는 ‘신종교’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제목도 .미래 한국의 또 다른 ‘종교들’?. 이 아니라 .미래 한국의 또 다른 ‘신종교들’?.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도 있다. 이들은 대체로 스스로의 전통이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 시작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이들의 이러한 주장보다는 오히려 ‘종교’와 ‘신종교’의 구분 속에서 ‘신종교’를 ‘종교’와 달리 ‘별종의’, 그리고 ‘괴이한’ 종교로 인식할 수 있다는 점을 염려하여, 이들을 ‘신종교’보다 ‘종교’로 범주화해보고자 하였다. 이들 수련단체에 대한 필자 나름의 호감의 표현으로 이해해주기를 바랄 뿐이다. 국선도, 연정원, 석문호흡, 수선재는 모두 선도, 선문화 등의 표현을 자연스럽게 쓰고 있다. 물론 이들 외에도 예를 들어서 단월드에서도 선도(仙道)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을 호흡법에서도 물론 찾을 수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공통점으로 ‘선도’라는 표현에 주목해 보고자 한다. 특정의 종교들을 ‘00계’로 분류하여 이들 각자의 특징을 도외시 한 채, 공통점만을 나열하는 것에는 물론 위험이 따른다. ‘00계’로 분류하는 것은 특정의 종교를 이해하기 위한 시작 단계에 필요한것이지, ‘00계’로 분류하였다고 해서 그 특정의 종교에 대한 이해가 모두 끝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들 네 개의 수련단체들을 ‘선도계’로 분류한 것은 이들에 대한 연구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를 지닐 뿐이다. 이런 형식의 논문은 마지막에 네 개 수련단체들의 공통점을 나열하는 것이 특징이다. 굳이 정리해 본다면, 이들 수련단체는 체험 위주의 단체로, 비록 구체적인 방법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호흡 수련을 강조하고 있고, 또한 기도나 의식등 기존의 종교전통의 방식과 달리 철저히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목표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규원사화』, 『부도지』, 『환단고기』 등 현재 알려져 있는 소위 재야사학의 역사관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나름의 역사관을 제시하고 있고, 또한 인류의 과거, 현재, 미래를 지구가 아니라 우주적인 차원에서 조망하면서, 백두산족이든 동이족이든 우리 민족의 역사적인, 그리고 우주적인 사명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모두 용어는 일치하지 않지만, 인류의 역사가 현재 전환점에 있으며 곧 대재앙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말하고 있다. 본 논문의 의의는 네 개의 수련단체들을 한꺼번에 종교학계에 소개하였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겠으나, 앞으로 빠른 시일 안에 각각의 수련단체들을 각각의 논문으로 작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각각의 수련단체들이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 받았는지, 또는 어느 수련단체가 보다 원조라든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필자의 소신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spiritual movements, such as Kouksundo(국선도), Korean Dahnhakhoe Yeonjeongwon(한국단학회 연정원), Seokmunhoheub(석문호흡), and Suseonjae(수선재), which have appeared in Korea after 1970’s and specialized in breathing techniques and exercises. Moreover, this study aims to show how important role this spiritual movements have played in the religious history of contemporary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Kouksundo and Yeonjeongwon, which have started their activities in between the 70’s and 80’s, so earlier than Seokmunhoheub or Suseonjae, are going to be called ‘Seondo(선도) lineage spiritual movements I’. Accordingly, Seokmunhoheub and Suseonjae, which have began their activities in the 90’s, are going to be classified as ‘Seondo lineage spiritual movements II’. These organizations claim that their tradition is inextricably connected with the tradition and history of the Korean race, and even though these spiritual movements are often classified as ‘religions’ in the academic world, in some cases the term ‘new religions’ would be more appropriate. However, in order to avoid any misinterpretation with the term ‘new relig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ll organizations mentioned above, have been simply classified as a ‘religion’. Kouksundo, Yeonjeongwon, Seokmunhoheub, as well as Suseonjae are often using the terms like ‘Seondo(선도)’ or ‘Seondo culture(선도문화)’. In some other cases, for example in Dahn World case, the term ‘Seondo’ is being used as well. Of course, breathing techniques and exercises are considered as the main factors which the above mentioned groups have in common. However this study points towards analyzing the term ‘Seondo’ as their main characteristic. This is also why the author has decided to call the four organizations by the name of ‘Seondo lineage spiritual movements I and II’. There are many features which the above mentioned spiritual movements have in common. First of all, all of them lay stress on the importance of breathing techniques and exercises. Secondly, unlike the so called “traditional religions”, they affirm that people are able to reach their goals through their own efforts only. Thirdly, they present their own historical concept, which, however has nothing to do with the concept of the history presented by so called ‘dissident historians(재야사학)’ in works like ‘Gyuwonsahwa (규원사화)’, ‘Budoji(부도지)’, ‘Hwandangogi(환단고기)’ and many others. Moreover regardless of the ‘true’ identity of the Korean race, these spiritual movements emphasize their own universal mission not viewing from the past, present, future of humanity, but from universal dimension at hand. Finally, all of them agree that the present time is a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the humanity, which will be ended by huge cataclysm. This study might be seen as an introduction of these spiritual movements to the religious studies academic community, therefore might be also seen as significant, even though this is only a brief introduction to the subject an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However, according to the author, the concept of how the four organizations have influenced each other or which one of them could be perceived as the “progenitor” to others, are not important and there is no need to focus on them in fur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