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국협조체제와 한일병합의 국제관계, 1907~1912 - 영국의 동맹협상외교와 연계하여 -

        김원수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9

        본 연구는 한국문제가 한국조항을 삭제한 3차 영일동맹에서야 완결된다는 사실에 착목하여, 1910년까지로 한정된 기존의 한국병합연구의 시간범주를 1912년까지로 확대하였다. 그리고 영일동맹의 주축으로 한 4국협조체제가 일본의 한국병합과정과 연동되고 있는 사실에 주목하여, 한국병합을 러일전쟁의 사후처리 과정으로 보는 기존의 단선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4국협조체제의 상호 작동성이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해 봄으로써 한국병합을 둘러싼 국제관계사의 전후 맥락을 재구성하려 하였다. 이는 기존의 중심담론들을 넘어서, 다계적이고 다원적인 해석의 장을 제기함으로서 한국병합관련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려는 것이다. 제1장에서는 4국협조체제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화를 다루었다. 이는 일본의 한국병합이 러일전쟁의 사후처리라는 관점보다는 1907년 외교혁명으로 재편된 4국협조체제의 상호 작동성이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하기 위함이다. 2장에서는 3차한일협약 전후의 국제관계와 영국의 대일지원 과정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정미7조약과 헤이그밀사사건, 고종퇴위에 영국은 일본의 동맹국으로 역할을 충실히 했음을 알수 있다. 3장에서는 간도협약 전후의 국제관계와 영국의 대일지원 사례를 다루었다. 이로서 청의 헤이그중재재판 회부기도, 간도와 만주문제에 대한 청일협약과정에서 영국의 일본 지원이 있었음을 밝혔다. 4장에서는 한국병합 전후의 국제관계와 영국의 대일견제를 다루었다. 일본의 한국병합에 관한 영국과 일본의 사전접촉, 그리고 병합이후 한국조항을 삭제한 3차 영일동맹이 미영중재재판조약 및 제3차 러일협상과 상호 연동 됨을 밝혔다. 그 대요는 다음과 같다. 20세기 초 영국의 외교전략은 주변 지역들과의 동맹, 협조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제국의 틀을 유지하고 식민지 세계를 정립하려 했다. 특히 영국이 일본과 구축한 동맹체제와 프랑스 및 러시아와 맺은 협상체제는 외교혁명이라 할 만큼 새로운 국제관계 및 외교전략의 틀을 변화시켰고, 유럽 본토는 물론 세계 전 지역의 세력판도에 영향을 주었다. 한일병합 전후 동북아시아의 경우도 그 예외는 아니었다. 당시 영국의 세계정책이 미친 일련의 국제적 변동과 일본의 행동에는 동맹과 협조를 통한 상호 이해가 작동되고 있으며, 그것의 추진 속도와 결속력의 강약에 따라 일본의 한국병합이 진척되고 있음이 밝혀진다. 제1차 영일동맹은 일본의 러일전쟁외교와 만한 정책을 현실화하였으며, 한국조항을 수정한 제 2차 영일동맹은 한국의 보호국화와 연계되고 있다. 한편 1907년의 일불, 일러, 영러의 4국협조체제는 제 3차 한일협약과 간도 문제, 일본의 사전 병합 조치, 간도협약, 일본의 한국병합 뿐 만 아니라 나아가 병합이후 한국조항을 삭제한 3차 영일동맹, 미영중재재판조약 및 제3차 러일협상과 긴밀 연동되고 있다. 이 일련의 과정에 영국은 동맹국으로서의 의무를 비교적 충실히 이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배후에는 일불협상과 러일협상 및 영러협상을 통해 미국의 만주 진출과 독미청동맹구상 및 러시아의 전쟁위협을 제어한 다각적인 동맹협조체제의 구축을 전제로 한 실천계획이 뒷받침되고 있었다. 고로 일본의 한국병합의 전반 과정은 영국을 중심한 제국주의 열강과 일본의 다계적인 동맹협조체제 구축과정에서 나타난 세계체제의 변화과정의 부산물이었다. 요컨대 한일병합문제는 만주를 ... This article is to reconsider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Quadruple Entente System & Japanese Seizure of Korea from 1907 until 1912 with the global historical perspective. This work will be revealed clear tha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had been influenced by Interconnection of the Quadruple Entente system which has been made by Western Powers and Japan. It was the multilateral systems. In this research, I specially focused on the Interaction of the British entente diplomacy and the Japanese foreign policy in Korea & Manchuria in this period. It will be broaden the Horizon of the studies on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Chapter 1 is to connect the Quadruple Entente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rly 20th century. Chapter 2 is to the Anglo-Japanese relations with 3th Korea-Japanese Agreement. Chapter 3 is to the Anglo-Japanese relations related with Gando Agreement. Chapter 4 is to the Anglo-Japanese relations related with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Brief summary is as follows After the Russo-Japanese War, Japanese-French Agreement, Russo-Japanese Agreement, and Anglo-Russian Convention were concluded in 1907. This Quadruple system was to bring about the End of "the Great Game". Since then, In East Asia, Quadruple Enetente system based on the Anglo-Japanese Alliance was constructed and In Europe, Triple Entente system were operated. Interaction of Quadruple Entnete was forced to threaten and encircled German in Europe as well as to restrict the American Expansion from Asian Pacific. Therefore Germany actively took a plan for German-China-American Alliance. Nevertheless, Japan had free hands in Northeastern Asia regions under the British diplomatic assistance. Such an International change in East Asia was able to make shape of realizing Japanese Plan to annex Korea and to preoccupy Manchuria including Gando region from 1907 until 1912. Therefore Japanese Seizure of Korea has been not only influenced by Quadruple system based on Anglo-Japanese Alliance, but also controlled by Intervention and Restriction of German and America. Such actions were proved by Kaiser's Plan for German-China-American Alliance Connection from 1907 to 1909, Theodore Roosevelt's Initiative on the Root-Dakahira Agreement in 1908, The Knox's Neutralization Plan for Manchurian railway in 1909. Anglo-Japanese preliminary contacts with Gando and Manchurian problems in 1909 and Anglo-American Arbitration Treaty after the Japanese Seizure of Korea. All these measures were revealed tha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of Quadruple system. It was the Imperial struggle for Restablishing the Sphere of Influence in East Asia. But the Japanese seizure of Korea was not completed. the reason why was that The Aftermath of the Annexation of Korea was to increase the threat of war between America and Japan. It caused by the 2th Russo-Japanese Conven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Quadruple system. Counteraction was immediately taken by Taft Ministration suggesting the Arbitration Treaty between United State and England. In the aftermath of this, 3th Anglo-Japanese alliance was concluded in 13th,July,1911. In this course, the clauses related with korea and Russo-Japanese War were eliminated. It was the last diplomatic action for the Korean Problem taken step by Japan. In these measure, Korean problem was officially completed. In the course, British Entente policy was the unwavering support. But the Conclusion of the Arbitration Treaty between United State and England was to bring about the change of the Quadruple Entente system based Anglo-Japanese alliance. Now Anglo-Japanese relation was estranged, but Anglo-American diplomatic relationship is renewed. It means that Japan's Regional power is challenged.

      • KCI등재

        시제법적 관점에서 본 한국병합관련 ‘조약’의 효력

        박배근(Park Pae Keun) 대한국제법학회 2009 國際法學會論叢 Vol.54 No.2

        1998년에서 2000년에 걸쳐 일본의 『세카이』지를 무대로 하여 한일 양국 학자들 사이에 이른바 한국병합관련‘조약’의 효력을 둘러싼 치열한 논쟁이 전개된 바 있다. 논쟁은 크게 두 가지 논점을 축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첫째는 이들 ‘조약’이 강박에 의하여 체결되었기 때문에 무효인가하는 문제였다. 둘째는 이들 ‘조약’을 체결하는 형식과 절차에 하자가 있었기 때문에 무효인가하는 문제였다. 후자의 문제를 둘러싼 논쟁의 주체는 이태진 교수와 운노 교수였다. 이태진 교수는, 한국병합관련‘조약’, 그 중에서도 특히 1905년 ‘조약’과 1910년의 병합 ‘조약’과 같은 중요한 조약이 이른바 정식조약이 아닌 약식조약으로 체결된 점, 다시 말해 전권위임장이 부여되지 않았거나 비준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점, 이를 ‘조약’에 ‘treaty’라는 명칭이 붙어 있지 않고 ‘agreement’, ‘convention’ 등의 명칭이 붙어 있다는 점 등을 근거로 ‘조약’의 무효, 나아가서는 ‘조약’의 불성립을 주장했다. 이에 대하여 운노 교수는, 조약의 체결 형식 여하에 따라 조약의 효력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 조약은 전권위임장의 부여 없이, 또 비준 없이 체결되고 발효되는 것이 있다는 점, 중요한 정치사안에도 ‘convention’이라는 명칭의 조약이 체결된다는 점을 들어 반론하였다. 어느 쪽의 주장이 시제법적 관점에서, 다시 말해 한국병합관련‘조약’이 체결되던 당시의 실정국제법에 비추어 타당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당시의 대표적인 서양 국제법학자들 및 일본 국제법학자들의 저술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들 저술들 속의 관련 서술들을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로, 조약의 명칭 여하를 기준으로 한국병합관련‘조약’의 성립 여부 또는 유무효를 논할 수는 없다. 둘째로, 한국병합관련‘조약’이 체결되던 시기에 일정한 직책에 있는 사람은 전권위임장 없이 조약을 체결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되었다. 그러나 외무장관이나 외교사절이 아닌 사람에게는 전권위임장이 반드시 요구되고 있었으므로, 일정한 직책에 있지 않은 사람이 전권위임장 없이 체결한 조약이 무효라고 하는 것은 당시의 법에 비추어 타당한 주장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당시에 조약은 비준에 의하여 발효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조약은 비준되는 것이 원칙이었으며, 비준 없이 조약이 발효하는 것은 예외에 속하였다. 그런 점에서 한국병합관련‘조약’과 관련하여 비준서의 결여나 비준과 관련된 하자를 논거로 하는 무효론은 당시의 국제법이 비추어 상당한 설득력이 있다. 넷째, 당시의 조약 체결관행을 보면 모든 조약은 이태진 교수가 말하는 이른바 ‘정식조약’으로 체결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태진 교수의 주장은 역사학자가 국제법적 문제를 다루는데서 오는 일부 오류가 있으나 그 가장 중요한 논지, 즉 국권 이양과 같은 중대 사안을 전권위임장이나 비준 없이 체결된 조약으로 처리할 수 없으므로 한국병합관련‘조약’은 무효라는 주장은 시제법적인 관점에서 충분한 타당성이 있는 것이다. From the year 1998 to the year 2000, the Sekai, a widely read Japanese Journal of which the title means 'the World', had become a forum for hot debates concerning validity or invalidity of the so-called 'treaties' related to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the debates, two points were the basic subjects of controversy. One was the problem whether those 'treaties' were invalid because they were concluded by coercion. The other was the problem whether they were invalid because there were grave defects in the forms and procedure by and through which they were concluded. The second point was the subject of debate between professor Tae-Jin Le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rofessor Fukuju Unno of Meiji University. Professor Lee maintained that treaties such as the 1905 treaty which made Korea a protected state, and the 1910 treaty which annexed Korea into Japan were invalid ab initio, and in fact never concluded as they were concluded by representatives who lacked full powers and were not duly ratified. 'The fact that those 'treaties' lacked title or had the title of 'agreement' or 'convention' instead of 'treaty' is another basis on which he argued that they did not have any validity. Professor Unno objected to professor Lee as follows: validity of a treaty was not influenced by the forms of conclusion of treaties and their titles; at the time when the treaties related to Korean Annexation were concluded there were many examples of treaties which were recognized as valid though they were concluded without full powers and ratification; at the time there were treaties titled' convention' which regulated politically important matters such as the transfer of important state authorities. In order to judge whose assertion is more persuasive and said to be correct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temporal law, the texts of the most representative western and Japanese international law scholars at the time such as Wheaton, Bluntschli, Woolsey, Hall, Oppenheim, Akiyama, Kurachi, Ariga and Tachi were reviewed. The conclusions from the review are as follows: Firstly, title of a treaty cannot be a criterion to decide whether a treaty can be recognized as valid or not. Secondly, at the time. in order for a representative of a State who was not a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r a diplomatic agent to the other party of the treaty to conclude a valid treaty, presentation of full powers was essential.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 treaty concluded by a representative who was not a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r a diplomatic agent and did not have full powers was invali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temporal law. Thirdly, it was generally admitted at the time that, if there were no special circumstances, all treaties were to be ratified should it enter into effect. In principle all treaties were required to be ratified to have effect and a treaty entering into effect without ratification was exceptional. This supports the persuasiveness of professor Lee's maintenance. In the professor Lee's assertions and explanations which we can read in the manuscripts published in the Sekai, some inaccurate understandings of international law are found. That may be accounted by the fact that he is a historian who dealt with international legal problems through the texts. However,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point of his assertions that essential State authorities and powers could not be transferred by means of treaties concluded by representatives without full powers and never duly ratified, and therefore the treaties related to Korean annexation never entered into force and were not valid an initio should be said to be tru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temporal law.

      • KCI등재

        ‘韓國倂合’에 대한 일본의 정책적 일관성 검토-「對韓施設綱領」과 「對韓施設大綱」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성민(Han, Sung-Min) 한일관계사학회 2021 한일관계사연구 Vol.72 No.-

        그동안 ‘한국병합’ 또는 일본의 침략정책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그 연구의 대부분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나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 가츠라 타로(桂太郞) 등 일본의 최고 권력층을 중심으로, 급속한 ‘한국병합’을 주장한 ‘武官派’와 이에 반대한 ‘文官派’의 대립이라는 구도에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최고 권력층의 정치적 결단 또는 경쟁관계가 흥미 위주로 부각되면서 일본의 실질적인 ‘한국병합’ 정책의 진행과정은 도외시되었다. 특히 ‘한국병합’ 직전 한국의 상황, 즉 일본의 국권 침탈이 어느 정도의 규모로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진행되었는지를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연구는 많지 않다. 1910년 8월 29일 한국이 폐멸되어 일본의 일부로 강제 병합되었음에도, 한국과 일본 모두에서 특별한 혼란은 없었다. 그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무엇보다도 1909년 7월의 시점에서 한국의 정치・외교・군사・경제의 국가적 실권 대부분이 이미 일본에게 강탈당한 상황이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러한 상황은 일본 관료들이 관련된 각 부문에서 일본정부의 정책에 따라 자신들의 임무를 실행한 결과였다. 이 시기 이들에게 정책 실행의 지침으로 제공된 것이 1904년의 「對韓施設綱領」과 1909년의 「對韓施設大綱」이었다. 이 2가지의 세부 실행지침에는 수립 당시의 시점에서 일본이 한국으로부터 확보해야 할 국가적 실권들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일본의 한 국정책에 대한 실천방안으로 마련되었다는 점에서나, 군사력을 바탕으로 외교・경제・정치(행정)으로 일본의 세력을 확장한다는 서술체계의 면에서나 위 2개의 문건은 연속선상에 위치한다. ‘한국병합’에 대한 정책 결정권자들의 활동은 국제정세와 국내 정치상황에 따라 변화를 보이지만, 실무관료들의 활동은 ‘을사조약’ 이래 ‘한국병합’까지 일관된 모습을 보인다. 그것을 설명해 주는 것이 「대한시설강령」과 「대한시설대강」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보면, ‘한국병합’은 결코 어느날 갑자기 실행된 것이 아니라, 일본국민과 일본사회의 전반적인 동의와 지지 아래 일본정부가 국가의 정책으로 장기간 동안 일관성을 가지고 추진한 정책이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meantim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Most of the research have been focused on the top-ranked powers, such as Hirobumi Ito(伊藤博文), Masatake Teruchi(寺內正毅), and Taro Katsura(桂太郞), and unilaterally highlighted a frame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civilian faction and the military faction. As a result, the political decision or rivalry of the highest power class was highlighted as interest-oriented, and the process of the practical “the annexation of Korea” policy in Japan was neglected. In particula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can generally grasp the situation in Korea just before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namely, To what scale and to what level Japan"s invasion of national sovereignty has progressed. Although Korea was destroyed on August 29, 1910 and forcibly annexed as part of Japan, there was no particular confusion in both Korea and Japan. The reasons may vary, but most of all, it is important that most of Korea"s political, diplomatic, military and economic real power was already robbed by Japan, as of July 1909. This situation was the result of Japanese officials carrying out their duties in accordance with the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in each sector involved. In this period, the guidelines for policy implementation were provided to them. It’s ‘The Guidelines for Korea(「對韓施設綱領」)’ in 1904 and ‘The Code of Conduct for Korea(「對韓施設大綱」)’ in 1909. These two detailed implementation guidelines provide specific national real powers that Japan should secure from Korea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The two documents above are located on a continuous line, either in terms of being prepared as an action plan for Japan"s Korean policy, or in terms of a narrative system that expands Japan"s power through diplomacy, economy, and politics (administration) based on military power. The activities of policy makers on the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chang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but the activities of the working-level officials have been consistent from the “Eulsa Treaty(1905)” to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Explaining this is ‘The Guidelines for Korea’ and ‘The Code of Conduct for Korea’. And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was not implemented suddenly one day, but was a policy promo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with a long-term consistency as a national policy under the general agreement and support of the Japanese people and Japanese society.

      • KCI등재

        1910년 전후 일본의 역사 교육 : 상황, 교육과정, 교과서

        渡部宗助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8

        이 논문은 1910년 한국병합 무렵 일본의 교육과정 가운데 역사교육이 어떻게 위치했으며 역사교과서에 조선사 관련 기술, 특히 조선 고대에 관한 기술이 어떻게 변화하고 교수되었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한국병합 무렵 일본의 대표적인 학자들 가운데에는 한국병합이 고대 일본의 한국지배에서 기원한 '쾌거'라고 환영하는 논조가 대부분이었지만 고대에 일본이 한국을 지배했다는 설은 역사적 실재가 아니라고 비판한 논조(시라토리 구라키치)와 한국병합이 일본에게 큰 부담을 초래할 것이라고 위구하는 견해(다케고시 요사부로), 이에 한 발 더 나아가서 제국주의적 침략정책을 공격하는 시선에서 한국병합을 비판한 이시카와 다쿠보쿠, 고토쿠 슈스이 등의 주장도 보였다. 그러나 1910년 이후 역사교육은 역사학자의 학문적 입장과는 달리 국체의 관점에서 봐야하고 역사연구의 결과가 국민도덕을 파괴해서는 안된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그리하여 고대 한국에 대한 일본지배설을 부정한 기타 사다키치가 오히려 고대한국에 대한 일본지배설을 명시한 역사교과서 편찬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시기 일본의 역사교육에서 조선에 관한 부분은 일본과의 관계이거나 중국과의 관계에서만 다뤄졌다. 『동양사』 교육은 오로지 중국사에 국한되었으며 조선사는 교수되지 않았다. 외국역사 교육에서도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방제국과 서구제국으로 나뉘어 교수되었는데 조선은 「동방제국」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1909년 9월 발행된 『심상초등학교 일본역사』제1권은 심상초등학교 5학년에서 교수되었는데 신공황후가 신라를 정벌하여 신라가 복종을 맹세했다는 내용이 상황을 묘사한 창작이 덧붙여져서 서술되었다. 1910년 9월 발행된 2권(6학년용)에는 한국병합이 한국황제가 통치권을 양도하여 이뤄졌다고 적었다. 중등학교 역사교과서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미네기시 요네조의 「신편일본약사」(1908), 동양사는 구와바라 지츠조의 『동양사교과서』(1907)인데 임나가 조공을 바쳤고 백제가 복속했고 고구려도 조공을 바쳤다고 기술하였다. 이와 같이 당시의 역사교과서에서 조선 고대 관련 기술은 「일본서기」, 「고사기」 신화를 비판적으로 서술한 것은 없고 한국병합에 대해서는 「병합에 관한 조서」를 부연하는 기술이었다. 이는 국민국가 형성기와 제국주의 시대의 역사교육에 공통되는 大國 내셔널리즘이며 이를 뒷받침하는 황국사관이었다. In the article, I examined the position of Japanese history education in the course of study in Japan and how descriptions related to history of Joseon, especially descriptions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changed and how it was taught around 1910,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t that time, most of Japanese representative scholars displayed the tone of argument welcoming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hich originated from the ancient Japan's rule of Korea, however, there were critical remarks, that is, Siratori Gurakichi criticized the theory of the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the ancient Korea and commented that it was not a historical fact, and Dakegoshi Yosaburo commented tha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ould make the burden too heavy for Japan, and furthermore, Ishikawa Dakuboku and Gotoku Shusui criticized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from the point of view attacking the Japanese imperial policy of aggression. But Japanese history education after 1910 was performed to the direction that history education should be rea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olitical system of a country that was different from the academic point of view of the historians and the result of historical study should not destroy national morality. Therefore Kita Sadakichi who denied the theory of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ancient Korea led the compilation of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stating the theory of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ancient Korea. At that time, the part of Korean history in Japanese history education was covered in connection with its relations only with Japan or China. The education of Oriental history was only about Chinese history, and Korean history was not taught. In the course of foreign history, the history of Eastern countries with China as the center and the history of European countries were taught, however, Korea was not included in Eastern countries. Book one of Japanese history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ublished in September, 1909 was taught in the fifth-grade clas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tents that the Japanese Empress, Jingukogo conquered Shilla (an ancient Korean kingdom) and Shilla pledged obedience to Japan were described with a story describing situation. Book two for the 6th-grade class published in September, 1910 described tha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as done by the Korean Emperor's sovereignty transfer. "New short Japanese history (1908)" by Minegishi Yonezo and "Textbook of oriental history (1907)" by Guwabara Jichuzo were the most used for a secondary school. And these books described that Geumgwangaya kingdom brought a tribute to Japan, and Baekje was subject to Japan, and Goguryeo brought a tribute to Japan, too. There were no textbooks describing critically the myth of "Japanese history -Nihonshoki" and "Ancient Japanese history -Kojiki", and regarding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re was a description expatiating on a protocol on annexation. This was a great power's nationalism appearing in history education during a nation-state formative period and the period of imperialism, and was supported by Japanese historical view of nationalism with Japanese Emperor as the central figure.

      • KCI등재

        한국 강제병합 전후 일본 여성 기독교인의 한국 인식

        가미야마 미나코(神山 美奈子)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본 논문은 한국 강제병합기(1894년 청일전쟁부터 1919년 3.1 독립운동 시기까지를 중심으로)에 있어서의 일본의 여성 그리스도인, 그 중에서도 이 시기에 기독교를 배경으로 한 여성 단체로서 활동하고 있던 ‘일본기독교부인교풍회’(1886년 설립. 이하, 교풍회)와 일본 YWCA(1905년 설립. 이하, YWCA)에 소속된 여성들의 한국 인식을 고찰하였다. 특히 양 단체의 기관지, 즉 교풍회가 발행한 『도쿄부인교풍잡지』(이후 『부인신보』)와 YWCA가 발행한 메이지의 여자 (이후 수차례 개명 후 현재는 『YWCA』)에 게재된 한국 인식의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한일 기독교사에 있어서의 여성 그리스도인을 통한 새로운 관점을 확보하고, 두 단체에 있어서의 당시 기독교 이해 및 선교 이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청일·러일 전쟁 시기에는 ‘조선의 독립을 지원하는 일본’으로서의 모습을 연출하는데 일본의 기독교 여성들도 지원 활동을 전개했지만, 한국 강제병합기에 들어선 이후부터는 교풍회와 YWCA 모두가 공통되게 일본의 식민지하에 놓인 한국의 상황을 그대로 긍정하며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1919년의 3.1독립운동에 관해서는 한국에서 발생한 ‘소요사건’이라는 이해에 머물면서도, 한국인에 대해서 동정과 유감의 뜻을 나타내며 정치적 상황과 기독교 신앙과의 관계 가운데서 갈등하고 있음을 보인다. 그 중에서도 교풍회가 YMCA보다 일본의 식민지화 정책에 더욱 적극적인 협력의 태도를 보인다. 결국, 당시의 일본의 여성 그리스도인들은, 일본의 국책이라는 거대한 물결에 피동적으로 휩쓸려 가면서, 남성 그리스도인들 앞에서 스스로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개진하지 못하고, 기독교 신앙과 일본의 제국주의의 양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 결과 ‘망국조선’을 영적으로 각성시켜 구원의 길로 이끄는 손길로서의 선교 활동이 자진들에게 맡겨진 사명이라고 믿으며 그 역할을 잘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거기에는 한국인을 향한 동정이나 한국인 차별에 대한 반성을 재촉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기는 했지만, 식민지 지배 자체에 대한 비판적 견해나 고뇌, 갈등은 찾아볼 수 없다. 그 근저에는 뿌리 깊이 존재하는 한국인에 대한 일본인의 ‘우월감’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한국인에 대한 동정 심리나 반성적인 기사의 내용들도 그러한 우월의식을 잘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병합사안’을 통해본 한국병합 인식

        정애영(Jeong Ae-Young) 한일관계사학회 2007 한일관계사연구 Vol.27 No.-

        본고는 1910년 일본의 조선강점기 병합사안(?合私案)을 중심으로 다양한 조선 인식 및 식민지배 구상을 고찰한 것이다. 특히 1903년부터 재조선 일본거류민단장과 한성신보 주필을 역임하고 간도 조사와 함경도 서기관을 지낸 나카이 기타로(中井喜太?)의 병합사안을 중심으로 조선에서 활동한 재조일본인의 조선인식과 통치구상과 영향을 고찰하였다. 그는 재조선 일본인 거류지를 일본인의 ‘海外膨張’의 근거지로 위치 짓고 더욱더 일본인 단체의 충실화를 꾀해 팽창의 기반 강화를 주장하며 군사 정치적인 침략 뿐 아니라 사람을 이주시켜 세력을 부식시키는 ‘식민’을 통해 그것을 관철시키려 하였다. 그는 한국병합 당시 병합을 자신들의 오랜 염원의 달성이라고 환영하며 자신이 만든 ?合私案을 발표하고 있다. 이는 당시의 일본의 대륙론자들의 행동의 일단을 보여주는 것으로 당시 제기된 병합사안들은 실천적 팽창론자들의 적극적인 행동의 면모와 아이디어를 보여준다. 병합 당시 제기된 다른 병합사안들과 비교해볼 때 나카이의 병합안은 매우 광범위하며 현지의 체험에 기초한 제안이 많이 보인다. 예를들면 조선 역사와의 ‘절충’적 통치의 제안이나 조선에서의 징병제 실시, 일본과의 무관세 주장 등 이후의 조선식민지정책과 관련지어 볼 때 주목할 만한 부분이 많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거기에는 조선인을 일본의 국민으로 보아 팽창의 선봉으로 삼고자하는 조선인식이 두드러진다. 조선을 이주식민지로 보는 시각이 강하여 일본의 과잉인구문제 해결과 조선통치에서의 동화정책의 주체로 위치지어 인적팽창에 의한 국민적 규모의 동화를 시도한 점이 특징이다. 병합의 형식에 있어서도 군부의 총독제 구상과는 다른 합방 형식의 논의가 보이고 동문동종론이나 문화적 동화주의 보다는 인적팽창을 위주로 한 ‘국민’적 시점의 동화론이 강함을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lots of recognition on Chosun and plans of colonial control by centering around the private plan for annexation during Japanese occupation by force in 1910. It examines, in particular, the recognition and ruling ideas & influences of Japanese people in Chosun who took an active part in Chosun by centering around the private plan for annexation by Nakai Kitaro who had served as a head of Japanese residents in Chosun, chief editor of HaSungShinBo, investigator in Chientao, and secretary of Hamkyeongdo since 1903. He located Japanese concession in Chosun as a base of Japanese ‘foreign expansion’, intended to make Japanese groups be faithful all the more, and asserted to intensify the foundation for expansion.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accomplish his intention by the ‘colonization’ to immigrate people and erode the force as well as by the military and political invasion. He welcomed the annexation as an achievement of Japanese long-cherished desire at the time of Korean annexation and presented his private plan for annexation which he had made out himself. This exposed some of Japanese continental theorists’ actions, and the private plans for annexation suggested at that time revealed active aspects of actions and ideas by practical expansionists as well. Compared with other private plans presented at the time of annexation, Nakai’s private plan is very broad and shows a lot of suggestions based on the experiences from the field. It is, for instance, regarded that there are many remarkable parts such as the suggestion of ‘compromise’ reign with Chosun history, the execution of a conscription system in Chosun, and the assertion of no tariff with Japan in relation to Chosun colonial policies afterwards. Moreover, the understanding of Chosun that considered Chosun peoples as both Japanese ones and the vanguard of expansion is prominent in Nakai’s private plan. It has, also, characteristics that takes a strong viewpoint to see Chosun as a colony for emigration, locates Chosun as a subject for the solution of overpopulation problem in Japan and the assimilation policy in the reign of Chosun, and makes an attempt to assimilate by personal expansion on a national scale. It is figured out that the discussion of annexing form different from the plot of governor-general system has appeared in the form of annexation, and the theory of assimilation from a ‘national’ viewpoint by putting personal expansion first has been apparent strongly rather than the theory of the same script and the same race and the cultural assimilationism.

      • KCI등재

        ‘한국병합’에 대한 재한일본 언론의 동향 - 잡지 『朝鮮』을 중심으로 -

        하지연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0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ecognition about Korean Annex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demonstrated in the Magazine Joseon . Magazine Joseon was published in 1908 by Japanese with a view to assimilating the Koreans into the Japanese culture so that the Japanese could advance into Korea. After the Protectorate Treaty of November 1905, Japanese residents in korea regarded protectorate korea as nearly colony. And they placed themselvese on the position of the people of the governing country and apparently revealed the consciousness of superiority to Koreans. This consciousness of Japanese residents, Magazine Joseon in Korea led to the criticism of the policy of Resident-General. They criticized that the policy of Residency-General is centered on Korea. Magazine Joseon asked more powerful control to korean resistsnces against Japan & Japanese. And Magazine Joseon insists immediate Korean Annex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lso, Magazine Joseon claimed that the ‘legitimacy’, ‘Justification’, even though Korean Annex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by force is ‘Inevitabile’. It was based on contempt for Korea & Koreans. And Magazine Joseon distorted Korean History, especially the ancient history, and asserted that the Korea & Korean have no experience of Independence in history. So, Magazine Joseon asserted ‘Assimilation’ & ‘Discrimination’ which were also ruling theory by Japanese Imperialism. Japanese Imperialism assimilated Korean to Japanese but it was not equalit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일본인들은 1876년 조일수호조규체결 이후 한국에 건너오기 시작하여 러일전쟁과 을사늑약을 거치면서 급속히 그 수가 증가했다. 한국으로 건너 온 일본인 가운데에는 관리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상당수에 달했는데 이들은 이민자인 동시에 한국인에게 있어서 ‘식민자’, ‘종주국민’으로서의 지위를 차지하는 존재였고, 통감부에 대해서도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는 세력으로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러일전쟁 종결로부터 시작된 통감부 정치는 명목상 한국을 ‘병합’한 것이 아니고 ‘보호’한다는 입장이었다. 통감부의 이러한 점진적 병합책 내지 보호국 정책과 심한 마찰을 빚었다. 재한일본인들은 자신들의 생계는 물론, 종주국민으로서의 확실한 지위 확보를 위해 통치기관인 통감부에 자기 의견을 표현할 필요성이 생겼고, 통감부에 대한 이권요구 수단으로서 신문, 잡지 등 언론활동을 활발히 벌였다. 그 가장 대표적인 재한일본인들의 종합잡지가 《朝鮮》이다. 대다수가 본국에서 사회적 저변에 위치해 있던 재한일본인은 ‘식민지’에서 ‘종주국민’으로서 자신들의 우월성을 유지하겠다는 의식과 한국인에 대한 차별의식을 《朝鮮》을 통해 여과 없이 드러냈다. 《朝鮮》은 1908년 3월 日韓書房 사주 森山美夫(모리야마 요시우)에 의해 월간, 日文으로 경성에서 창간되었고, 잡지의 편집 등 실제 운영은 主幹 菊池謙讓(기쿠치 겐조)와 편집장 샤쿠오가 담당했다. 창간 1년 후인 1909년 3월부터 모리야마는 잡지사의 경영을 전적으로 샤쿠오에게 위임하였다. 이에 동 지의 발행처는 제 3권 제 2호(1909년 4월)부터 日韓書房에서 朝鮮雜誌社로 변경되었다. 초기 주간이었던 기쿠치는 잡지를 창간한 그 해 말부터 이미 글쓰기를 그만두고 있었으므로, 동 지의 실질적 편집과 운영은 새 주간 샤쿠오에 의해 이루어졌다. 『朝鮮』은 1912년 1월(통권 47호)부터 『朝鮮及滿洲』로 改題하여 1941년 1월(통권 398호)까지 발간되었다. 《朝鮮》의 1908년 9월 「제 2권 제 1호에 題하다」라는 기사에 의하면 “本誌는 한인에게는 우리 일본 제국 보호권의 진실한 의의를 논설한다. 또 세계에 대해서는 대한 정책의 변호 및 통감부 변호를 하겠다. 우리 일본 정부와 통감부에게 극력 苦言과 비평의 지위를 취하는 것이다.”고 했다. 대외적으로는 당국의 선전적 역할에 복무하면서도 대내적으로는 당국에 대립하는 자세를 밝히고 있다. 즉, 《朝鮮》은 일본 정부와 통감부에 대한 비판을 통해서 일본의 한국 지배를 한층 강화할 목적으로 창간되었다고 할 것이다. 《朝鮮》에서는 즉각적 병합을 추진하지 않고, ‘한인본위주의’정책을 추진하는 통감부의 점진적 병합론을 비판하였고, 아울러 재한일본인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항일의병을 ‘폭도’로 규정하여 이를 강력하게 진압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또한 《朝鮮》은 한국병합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한국의 역사가 고대에는 원래 일본과 조상이 같았었다는 同文同種의 논리를 펴면서 병합은 본래의 역사로의 회귀라고 불법적 강점을 합리화시켰다. 또 한국인에 대한 멸시관을 상세하게 게재하여 한국이 망할 수밖에 없는 나라였고, 뒤떨어지고 낙후된 낙오자국가를 근대화되고, 문명화된 일본이 끌어않아 천황의 은혜를 입게 되었으므로, 병합은 차라리 한국에게 행복이라는 논리로 그들의 침략행위를 정당화시켰다. 병합 이후에는 통치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 ...

      • KCI등재

        1910년 전후 일본의 역사 교육 -상황, 교육과정, 교과서-

        와타나베 소스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8

        In the article, I examined the position of Japanese history education in the course of study in Japan and how descriptions related to history of Joseon, especially descriptions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changed and how it was taught around 1910,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t that time, most of Japanese representative scholars displayed the tone of argument welcoming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hich originated from the ancient Japan’s rule of Korea, however, there were critical remarks, that is, Siratori Gurakichi criticized the theory of the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the ancient Korea and commented that it was not a historical fact, and Dakegoshi Yosaburo commented tha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ould make the burden too heavy for Japan, and furthermore, Ishikawa Dakuboku and Gotoku Shusui criticized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from the point of view attacking the Japanese imperial policy of aggression. But Japanese history education after 1910 was performed to the direction that history education should be rea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olitical system of a country that was different from the academic point of view of the historians and the result of historical study should not destroy national morality. Therefore Kita Sadakichi who denied the theory of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ancient Korea led the compilation of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stating the theory of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ancient Korea. At that time, the part of Korean history in Japanese history education was covered in connection with its relations only with Japan or China. The education of Oriental history was only about Chinese history, and Korean history was not taught. In the course of foreign history, the history of Eastern countries with China as the center and the history of European countries were taught, however, Korea was not included in Eastern countries. Book one of Japanese history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ublished in September, 1909 was taught in the fifth-grade clas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tents that the Japanese Empress, Jingukogo conquered Shilla (an ancient Korean kingdom) and Shilla pledged obedience to Japan were described with a story describing situation. Book two for the 6th-grade class published in September, 1910 described tha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as done by the Korean Emperor’s sovereignty transfer. “New short Japanese history (1908)” by Minegishi Yonezo and “Textbook of oriental history (1907)” by Guwabara Jichuzo were the most used for a secondary school. And these books described that Geumgwangaya kingdom brought a tribute to Japan, and Baekje was subject to Japan, and Goguryeo brought a tribute to Japan, too. There were no textbooks describing critically the myth of “Japanese history - Nihonshoki” and “Ancient Japanese history - Kojiki”, and regarding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re was a description expatiating on a protocol on annexation. This was a great power’s nationalism appearing in history education during a nation-state formative period and the period of imperialism, and was supported by Japanese historical view of nationalism with Japanese Emperor as the central figure. 이 논문은 1910년 한국병합 무렵 일본의 교육과정 가운데 역사교육이 어떻게 위치했으며 역사교과서에 조선사 관련 기술, 특히 조선 고대에 관한 기술이 어떻게 변화하고 교수되었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한국병합 무렵 일본의 대표적인 학자들 가운데에는 한국병합이 고대일본의 한국지배에서 기원한 ‘쾌거’라고 환영하는 논조가 대부분이었지만 고대에 일본이 한국을 지배했다는 설은 역사적 실재가 아니라고 비판한 논조(시라토리 구라키치)와 한국병합이 일본에게 큰 부담을 초래할 것이라고 위구하는 견해(다케고시 요사부로), 이에 한 발 더 나아가서 제국주의적 침략정책을 공격하는 시선에서 한국병합을 비판한 이시카와 다쿠보쿠, 고토쿠 슈스이 등의 주장도 보였다. 그러나 1910년 이후 역사교육은 역사학자의 학문적 입장과는 달리 국체의 관점에서 봐야하고 역사연구의 결과가 국민도덕을 파괴해서는 안 된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그리하여 고대 한국에 대한 일본지배설을 부정한 기타 사다키치가 오히려 고대한국에 대한 일본지배설을 명시한 역사교과서 편찬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시기 일본의 역사교육에서 조선에 관한 부분은 일본과의 관계이거나 중국과의 관계에서만 다뤄졌다. 『동양사』 교육은 오로지 중국사에 국한되었으며 조선사는 교수되지 않았다. 외국역사 교육에서도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방제국과 서구제국으로 나뉘어 교수되었는데 조선은 「동방제국」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1909년 9월 발행된 『심상초등학교 일본역사』 제1권은 심상초등학교 5학년에서 교수되었는데 신공황후가 신라를 정벌하여 신라가 복종을 맹세했다는 내용이 상황을 묘사한 창작이 덧붙여져서 서술되었다. 1910년 9월 발행된 2권(6학년용)에는 한국병합이 한국황제가 통치권을 양도하여 이뤄졌다고 적었다. 중등학교 역사교과서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미네기시 요네조의 『신편일본약사』(1908), 동양사는 구와바라 지츠조의 『동양사교과서』(1907)인데 임나가 조공을 바쳤고 백제가 복속했고 고구려도 조공을 바쳤다고 기술하였다. 이와 같이 당시의 역사교과서에서 조선 고대 관련 기술은 「일본서기」, 「고사기」 신화를 비판적으로 서술한 것은 없고 한국병합에 대해서는 「병합에 관한 조서」를 부연하는 기술이었다. 이는 국민국가 형성기와 제국주의 시대의 역사교육에 공통되는 大國 내셔널리즘이며 이를 뒷받침하는 황국사관이었다.

      • KCI등재

        한국문화의 특징, `융합(融合)`에 대한 고찰

        정경조 ( Jung Kyeong-j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5 No.-

        한국인의 문화와 기질을 두루 아우를 수 있는 말인 `융합`은 `둘 이상이 모여 무언가 새롭고 유익한 형태가 만들어지는 창조적 섞임`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융합은 한국인의 언어와 전통적 생활 저변에 공통분모로 내재되어 있는 핵심 가치이다. 한국어에는 한국인들이 공유하는 생각과 정서, 사고방식과 의식구조 등, 이른바 한국문화 의 전반적인 요소가 그 속에 고스란히 융해되어 있다. 한국어 중에도 특히 한국인들에 의해 생성된 토박이말에서는 더욱 확실하다. 우리말에는 나들이, 빼다지, 여닫이, 승강기 등 반대되는 요소를 하나로 묶은 단어가 수없이 많다. 영어의 `going out`, 한자말의 `외출(外出)`처럼 한 방향만 나타내고 있는 것과는 달리 `나들이`는 쌍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는 말이다. 조화와 융합을 추구하는 한국인의 특성은 음식에서도 잘 드러난다. 한국 음식의 주된 특징은 `어우러지는` 데 있다. 다양한 맛, 냄새, 질감, 온도의 조화로운 혼합으로 이루어진 밥상이야말로 한국음식을 완벽하게 대표하는 요리라는 것이며, 밥상에 담긴 조화로움을 한식의 매력으로 강조한다. 우리나라 음식은 독립된 개별 음식 맛을 즐기는 서양의 것과는 대조적으로 한데 섞이고 어울려서 어느 것이 어느 맛인지 모르게 융합된 맛이며, 우리는 어떤 하나의 맛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맛과 맛의 관계에서 생기는 맛을 느낀다. 각각의 요리를 순차적으로 즐기는 서양이나 중국 등과 다르게 모두 한 상에 차려놓고 함께 먹는 한국 음식은 `관계의 틈새에서만 존재`하는 것이다. 한국 전통 주생활문화를 대표하는 한옥은 한민족의 정서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장소다.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두 개의 문화를 한 공간에 구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옥은 남방문화인 마루와 북방문화인 온돌이 하나의 건축물에서 만난 희귀한 사례다. 이 두 구조는 아주 이질적이지만 이 상극(相剋) 요소가 오랜 세월을 두고 조금씩 절충되면서 적절히 조화하여 공존하는 제도로 정착한 집이 한옥이라면, 한국인의 의생활 문화에서도 융통성과 가변성의 한복 `치마`를 중심으로 관계론적이고 융합적인 한국문화의 특징이 확인된다. 한복은 그때의 정황에 맞춰 입을 수 있는 융통성을 전제로 디자인된 옷이다. 입체적인 양복은 모양이 완성돼 있어 옷에 몸을 맞추는 데 비해 평면구성인 한복은 옷이 몸에 맞추는 사람 중심의 옷이다. 한국인의 융합기질은 우선 두 극단을 조화시키고 모순을 화합시키는 중용의 문화 양단불락(兩端不落), 양자병합(兩者竝合)의 사고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양극단의 선택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나머지 하나를 포기하는 소위 양자택일적 사고가 아니라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두 가지 극단적 성향을 하나로 끌어안는 것이 양단불락 또는 양자병합적 사고이다. 모순을 껴안는 힘은 내면에서 그 모순을 회통시켜 새로운 조화와 균형을 창조해내는 한국의 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모순은 갈등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창조의 동인이 된다. 또한, 한국인의 융합기질의 밑바탕에는 삼재사상(三才思想)이 자리하고 있다. 삼재사상(三才思想)이란 하늘과 땅. 사람이 하나이고, 우주가 하나의 공동체라는 천지인합일 사상을 말한다. 이처럼 하늘과 땅과 인간이 하나의 통일체라는 삼재사상(三才思想)이 한국문화의 기층을 이루고 있었고. 이로 인해 한국인의 의식 속에 자연과 인간이 둘이 아닌 하나의 유기체이며, 대립구도가 아닌 공존공생의 구도라는 개념이 자리하게 되었다. 한국 문화의 융합적 특질은 결국 양자병합, 삼재사상과 어울림 관계 문화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모순을 동시에 수용하는 한국인의 기질적 특성은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독특한 문화를 만들었다. 한국문화는 이러한 통합 혹은 융합의 정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용, 나눔, 어울림 등의 글로벌한 가치가 있다. The convergence which contains Korean culture and characteristics can be the creative and mixed convergence with which somethings more than two can put together and then produce something new and useful. This is the vital value that Korean language and tradition have had basically. Most of Korean cultu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Korean`s way of thinking and consciousness structure, have converged on Korean language. It`s more certain for Korean native tongues. There are so many Korean words to combine two opposite meanings into one word, such as 나들이, 빼닫이, 여닫이, 승강기. Likewise, `Elevator` in English is coined from `elevate` which means going upward, but `승강기` in Korean means going up and down. The two opposite actions, going up and coming down, are joined into one word because it is affected by Korean cultural traits to put together the opposite phenomena. Korean languages have grown up in the influence of Chinese characters but they have kept their unique properties. The reason that it is possible to combine two opposite meanings is that Korean language has the power to integrate somethings contradictory. Languages can reveal that the Occident people tend to think by way of separation and Koreans do by way of unification. Korean food also reveals the traits for harmony and convergence. Korean food is oriented to eoullim which means minglement. The table based on the minglement of various tastes, smell, feeling and temperature may be the most perfect Korean food and the harmony on the table is the attraction of Korean food, Hansik. Unlike the western food enjoyed separately, Korean food is the mixed and converged taste. We Koreans not enjoy only one food but the taste made by the relation between foods. Korean food can exist on the gap of the relations. Hanok can represent Korean housing culture and Korean sentiment. It contains the space which may show two cultures. Hanok has the maru of northern culture and the ondol of southern culture. They are very different but they have been put together as time passes and got to co-exist in Hanok. Hanbok by freehand cutting can be a three dimensional clothing when it is dressed. Though the dress of western style by draping cutting is fixed, Chima can be flexible in accordance with one`s body type. It can give us comfort and economical profit. Hanbok can be adapt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clothing. It seems not only to be open but also to be close. It is linked with the space or margin of Korean traditional lifestyle. It focuses on adaptability more than fit, which really values the space or margin. Compared with the western dress, Chima is definitely versatile. The trait of Korean convergence originated from Yangjabyeonghab(兩者竝合) which means harmonizing two extremes and mediating contradictories. This philosophy is to merge things that look seemingly contradictive, instead of selecting one and discarding the other. The Korean energy to accept those conflicts can create new harmony and balance. Likewise, the trait of Korean convergence is based on the idea of Samjae(三才思想), which means the heaven(天), the earth(地), and the human(人) are one and the universe is the one community. Korean culture has been based on this Samjae idea, so Koreans tend to think Nature and Human have not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s but the coexistence relationships.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 of Convergence in Korean Culture originated from the organic whole of Yangjabyeonghab(兩者竝合), the idea of Samjae(三才思想) and Eeoullim relationships. With these traits, Koreans have produced very unique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and mixed convergence in Korean Culture may be the global values.

      • KCI등재

        한국 강제병합 전후 일본 여성 기독교인의 한국 인식: 일본기독교부인교풍회와 일본YWCA를 중심으로

        가미야마 미나코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 본 논문은 한국 강제병합기(1894년 청일전쟁부터 1919년 3.1 독립운동 시기까지를 중심으로)에 있어서의 일본의 여성 그리스도인, 그 중에서도 이 시기에 기독교를 배경으로 한 여성 단체로서 활동하고 있던 ‘일본기독교부인교풍회’(1886년 설립. 이하, 교풍회)와 일본 YWCA(1905년 설립. 이하, YWCA)에 소속된 여성들의 한국 인식을 고찰하였다. 특히 양 단체의 기관지, 즉 교풍회가 발행한 「도쿄부인교풍잡지」(이후 「부인신보」)와 YWCA가 발행한 「메이지의 여자」(이후 수차례 개명 후 현재는 「YWCA」)에 게재된 한국 인식의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한일 기독교사에 있어서의 여성 그리스도인을 통한 새로운 관점을 확보하고, 두 단체에 있어서의 당시 기독교 이해 및 선교 이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청일·러일 전쟁 시기에는 ‘조선의 독립을 지원하는 일본’으로서의 모습을 연출하는데 일본의 기독교 여성들도 지원 활동을 전개했지만, 한국 강제병합기에 들어선 이후부터는 교풍회와 YWCA 모두가 공통되게 일본의 식민지하에 놓인 한국의 상황을 그대로 긍정하며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1919년의 3.1독립운동에 관해서는 한국에서 발생한 ‘소요사건’이라는 이해에 머물면서도, 한국인에 대해서 동정과 유감의 뜻을 나타내며 정치적 상황과 기독교 신앙과의 관계 가운데서 갈등하고 있음을 보인다. 그 중에서도 교풍회가 YMCA보다 일본의 식민지화 정책에 더욱 적극적인 협력의 태도를 보인다. 결국, 당시의 일본의 여성 그리스도인들은, 일본의 국책이라는 거대한 물결에 피동적으로 휩쓸려 가면서, 남성 그리스도인들 앞에서 스스로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개진하지 못하고, 기독교 신앙과 일본의 제국주의의 양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 결과 ‘망국조선’을 영적으로 각성시켜 구원의 길로 이끄는 손길로서의 선교 활동이 자진들에게 맡겨진 사명이라고 믿으며 그 역할을 잘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거기에는 한국인을 향한 동정이나 한국인 차별에 대한 반성을 재촉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기는 했지만, 식민지 지배 자체에 대한 비판적 견해나 고뇌, 갈등은 찾아볼 수 없다. 그 근저에는 뿌리 깊이 존재하는 한국인에 대한 일본인의 ‘우월감’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한국인에 대한 동정 심리나 반성적인 기사의 내용들도 그러한 우월의식을 잘 드러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