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회화사' 재구축의 과제

        홍선표(Hong Sun-pyo) 한국미술사학회 2004 美術史學硏究 Vol.- No.241

        The present paper purposes to discuss tasks in reestablishing Korean painting history through the issue of 'meta art history' from the viewpoint of science history and theory history. Currently research and perception on Korean painting history is being developed focused on the subject and the object or nation and anti-nation based on the theory of internal development as the anti-colonial view of history. Taking typical landscape paintings and real landscape paintings as examples, the two were understood as opposite to each other in a way that former was non-subjective. imitative, ideological and foreign while the latter was national independent. original, realistic and modernistic, produced from the native color of Chosun. However, such a perception is hardly explainable considering that Jeong Seon, Kim Hong-do and other literary and professional artists in the late Chosun Dynasty created works of both tendencies without conflict. Like real landscape paintings, genre paintings and folk paintings developed as pan-East Asian genres and perception on them must also be reconstructed in the context of the circulation of East Asian practice and culture not in the view of modernism or nationalism. In modern paintings as well, Choi Woo-seok's <portrait of Admiral Lee> and other historical portraits are in fact military divin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 East Asia that borrowed the image of Toyotomi Hedeyoshi,and the fact that it was a symbol of 'Japan-Chosun Integration' combined with Shinto arts, which was the national polity of 'Empire' is a good example showing that it is urgent to overcome the existing frame of perception,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a discourse of resistance through reconstructing the frame of perception. To reconstruct Korean painting history. which has been defined and represented in Western modern ideologies and languages, in a form coincident with the realities, it is essential to reconsider the paradigm of art culture in the world system of East Asia, in which national boundaries have been drawn unilaterally and the others were excluded or reduced. Therefore, it is urgent above all to reconstruct Korean painting history in the structure of the paradigm of East Asian art culture and historical context, comprehending al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painting histories and going beyond unilateralistic self-sufficiency and closeness or the narrowness of nationalism based on unilateralism. An East Asian standpoint to examine the reality of Korean painting history is to look the whole picture of East Asian art culture including elements jointly promoted through mutual relationship under the objective conditions of geography and system and others and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countri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countries must be identified not by the relationship of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established from the existing dichotomic view of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s but by structural elements that form the paradigm of East Asia art culture. To establish a diachronic system as 'Korean painting history' as well as synchronic perception as East Asian art history. it is required to reconstruct Korea art history as a continuing serial, breaking off the discontinuing or separated systems before and after the modern ages. Current texts of art history survey, which stop its description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are limited to traditional art history or ancient art history, so they are characteristically 'Korean Ancient Art History' or 'Korean Traditional Painting History.' In addition, although it is a part of Korean art history,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is studied separately with littl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connection and evolution in the whole context. Such a research trend also caused dichotomic perception and discontinuity of traditional arts and creative arts, making it difficult to

      • KCI등재

        Korean Modern Reactions to Western Aesthetics

        민주식 한국미학회 2011 美學 Vol.65 No.-

        이 글의 목적은 20세기 초 서세동점의 시대조류 속에서 서양의 근대학문이 한국에 소개되어 정착되는 과정을 검토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미학 및 미술사학과 관련하여 열암 박종홍(1903-1976)과 우현 고유섭(1905-1944) 두 사람을 중심으로 그들이 접한 서양의 학문이 어떠한 것이었고, 거기에 대한 그들의 이해방식은 어떠하였으며, 나아가 그것을 어떻게 극복하려 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박종홍의 초기 학문연구에서 중요한 계기가 된 것이 3․1 운동이라는 사건이고, 이 과정에서의 민족적 자각과 동시에 인간적 자각이 그의 학문에서 원초적 체험 또는 출발점이 되었다. 그는 조선미술사를 서술하려다가 한계에 부딪혀 철학 공부를 본격적으로 하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는데, 이 점에서 미학에 대한 관심이 그의 철학 연구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는 일본의 미학자 다카야마 규와 철학자 니시다 기타로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박종홍은 ‘심미적 감정’을 생의 근본동기로서 파악하고 그 근거를 인간성 자체에서 찾는 인간학적 입장을 취했다. 이런 관심이 후에 하이데거 연구와 실존철학 연구로 발전되었다. 고유섭이 한국의 고미술과 그 미의식에 대해 기울인 학문적 관심은, 민족적인 것에 대한 투철한 탐구의욕에 의한 것이며, 이러한 정신은 그의 후학들에게 계승되어 한국의 미학 ․ 미술사학을 구축하는 데 토대가 되었다. 그가 필생의 과제로 삼은 것은 방법론적으로 체계화된 한국미술사를 서술하는 일이었다. 초기에는 일본인 스승으로부터 배운 19세기 독일관념론과 미술사학을 섭렵하여 양식사와 정신사를 적용하고자 하였고, 1930년 중엽부터는 이들을 통합하는 가운데 사회경제사학과 문헌학을 결합시킨 총체적인 미술사학을 지향하였다. 그의 미술사학은 이들 방법론과 구체적인 사실을 유기적으로 관련시켜 연구하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내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박종홍과 고유섭은 모두 어린 시절 독립운동을 몸소 체험하면서 민족의식을 자각하게 되었고, 청년시절에는 당시의 근대 학문에 깊은 열정을 갖고 탐닉하였다. 그러한 바탕 위에 한국의 전통사상과 고유한 예술을 발견하고 탐구하려는 남다른 사명감을 지녔다. 그들은 서구적 가치관과 대결하면서, 여기에 한국 문화와 예술의 특수성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학문의 방법을 수렴하면서 동서양의 종합을 시도하려 했다. 아울러 교육자적 태도를 견지하면서 후학 양성에 대한 책임감을 잃지 않았다.

      • KCI등재

        『미학(美學)』 : 서구 미학에 대한 한국의 근대적 반응

        민주식 ( Joo Sik Min ) 한국미학회 2011 美學 Vol.65 No.-

        이 글의 목적은 20세기 초 서세동점의 시대조류 속에서 서양의 근대학문이 한국에 소개되어 정착되는 과정을 검토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미학 및 미술사학과 관련하여 열암 박종홍(1903-1976)과 우현 고유섭(1905-1944) 두 사람을 중심으로 그들이 접한 서양의 학문이 어떠한 것이었고, 거기에 대한 그들의 이해방식은 어떠하였으며, 나아가 그것을 어떻게 극복하려 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박종홍의 초기 학문연구에서 중요한 계기가 된 것이 3-1 운동이라는 사건이고, 이 과정에서의 민족적 자각과 동시에 인간적 자각이 그의 학문에서 원초적 체험 또는 출발점이 되었다. 그는 조선미술사를 서술하려다가 한계에 부딪혀 철학 공부를 본격적으로 하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는데, 이 점에서 미학에 대한 관심이 그의 철학 연구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는 일본의 미학자 다카야마 규와 철학자 니시다 기타로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박종홍은 ``심미적 감정``을 생의 근본동기로서 파악하고 그 근거를 인간성 자체에서 찾는 인간학적 입장을 취했다. 이런 관심이 후에 하이데거 연구와 실존철학 연구로 발전되었다. 고유섭이 한국의 고미술과 그 미의식에 대해 기울인 학문적 관심은, 민족적인 것에 대한 투철한 탐구의욕에 의한 것이며, 이러한 정신은 그의 후학들에게 계승되어 한국의 미학·미술사학을 구축하는 데 토대가 되었다. 그가 필생의 과제로 삼은 것은 방법론적으로 체계화된 한국미술사를 서술하는 일이었다. 초기에는 일본인 스승으로부터 배운 19세기 독일관념론과 미술사학을 섭렵하여 양식사와 정신사를 적용하고자 하였고, 1930년 중엽부터는 이들을 통합하는 가운데 사회경제사학과 문헌학을 결합시킨 총체적인 미술사학을 지향하였다. 그의 미술사학은 이들 방법론과 구체적인 사실을 유기적으로 관련시켜 연구하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내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박종홍과 고유섭은 모두 어린 시절 독립운동을 몸소 체험하면서 민족의식을 자각하게 되었고, 청년시절에는 당시의 근대 학문에 깊은 열정을 갖고 탐닉하였다. 그러한 바탕 위에 한국의 전통사상과 고유한 예술을 발견하고 탐구하려는 남다른 사명감을 지녔다. 그들은 서구적 가치관과 대결하면서, 여기에 한국 문화와 예술의 특수성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학문의 방법을 수렴하면서 동서양의 종합을 시도하려 했다. 아울러 교육자적 태도를 견지하면서 후학 양성에 대한 책임감을 잃지 않았다.

      • KCI등재

        새로운 방법의 모색, 한국미술사학의 과제

        홍선표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8 No.268

        This paper discusses issues related to meta-methodological exploration in Korean art history, aiming at breaking away from the narrow modern-era framework of theoretical concepts and ideas to make this discipline correspond to the dawning age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Concretely, the paper discusses tasks needed for drawing up a roadmap for such a new methodological exploration, with special emphasis on how we can broaden our research perspectives and expand areas of research interests and how we can diversify research and interpretation methods. The paper, however, does not propose specific new directions or methods, but is rather an attempt to pay attention to the need for the discipline of Korean art history to renew and reinvent itself in this chapter of postmodern evolution where we are headed for an ag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in the face of the sea-changes brought about by the digital revolution. I argue that the concept of art should today be extended from the traditional notion of art to include visual culture and image culture as a whole; that culture, being a complex phenomenon like life itself,cannot be accurately or comprehensively understood through the existing framework with its rigid and narrow concepts; and that cross-disciplinary research and holistic knowledge are indispensable for meaningful interpretations of cultural manifestations. Among the important task for future generations of scholars to shape a new paradigm for Korean art history are to adopt various modern approaches in their research to produce more richly diversified and interesting results and to take methodological stances by restructuring existing methods and integrating new methods. 한국미술사학이 근대적인 관념과 수법의 한정된 틀을 확장하고 개편하여 융복합시대의 지식 패러다임으로 거듭나기 위한 메타적 방법 모색과 결부하여 그 확대 발전의 이정표를 세우는 데 필요한 과제들을, 연구시야와 영역의 확장과 연구 방법과 해석의 다양화라는 측면에서 논의한 것이다. 새로운 방안의 제시 보다는 근대적인 분화시대에서 탈근대적인 융복합시대로의 전환과 디지털 매체의 발달에 따른 지각구조의 변동 등과 같은 변화된 시대적 조건에 대응하려는 문제의식을 개진하였다. 미술을 ‘예술’의 한정된 영역에서시각문화와 이미지문화로 확장해야 하며, 이들 문화는 생명처럼 워낙 복합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기존의 분과적인 체제로는 온전하게 이해할 수 없음으로 학제적인 방법과 통섭적인 지식으로 연구하지 않으면 올바르게 해석하기 힘들다는 관점에서 언술하였다. 후학들이 수행해야 할 한국미술사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향한 과제는 하이브리드모던의 관점에서 한층 다양하고 풍요롭고 흥미롭고 진전된 연구와 궁극적인 앎을위한 기존 방법과 새 방법의 抱越的인 재구조화 작업이라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