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 간 의사소통 문제와 한국문화 교육

        김효신 ( Hyoshin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5 No.-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배경이 되는 문화 간 의사소통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한국어 습득을 행하기 시작한 초창기부터 이제까지 꾸준히 제기되는 문제이다. 특히 한국어를 전혀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한국 문화를 접할 경우 더욱 이 문제는 크게 불거지게 마련이다. 그런데 이 경우 한국어로 된 노래를 접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해외로 수출된 한류의 수요자들이 한국어에 대한 온전한 이해가 없이도 한류를 이해하고 좋아하며 하나의 문화로 받아들이고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려는 충동이 생기는 계기가 어떤 것이든 간에 부족한 출발의 문화적 공백과 소통의 부재로 인한 답답함을 한류의 정서적 도구들이 어느 정도 해소해주고 있음에 주목할 수 있다. 문화 간 의사소통의 껄끄러운 부분을 음악적인 감성이 메워주어야만 보다 더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특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할 경우 한국문화교육에는 이러한 감성적인 장치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하며, 정서적 감성적 도구 없이 한국문화교육을 한다는 것은 21세기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하는 것이다. 그 감성적인 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 특히 한류의 흐름을 타고 한국의 대중가요 케이 팝을 예로 들었다. 케이 팝이 커버 댄스를 위한 음악만이 아니고, 문화의 간극을 메워주고 문화 간 의사소통이 어려울 때 감성으로 먼저 듣는 청자들로 하여금 마음을 열게 하는 필수요소임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문화, 그 문화 중 특히 어려운 존재로 받아들이는 시 문학을, 더군다나 한국인들에게도 어려운 것으로 다가오는 고대 시가들을 외국인들이 한국의 대중가요를 통해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한 방법을 생각해본 것이다. 요컨대 본 소고는 비교문학, 더 확대하여 비교문화로 하는 문화읽기를 통해서 한국문화교육의 확대 방향을 제시하였다. 문학과 음악의 교류를 통한 의사소통 향상 방안, 문자 아닌 감성 자극을 통한 문화교육실현, 문학의 변용텍스트로서의 노래와 드라마를 통한 의사소통과 문화교육의 확대를 주장하고자 한다. 그리고 언어교육에 있어서의 필수동반자 문화교육에 한류의 영향력 확산이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필요한 비교문학적 열린 의식, 열린 비교문화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will illustrate how Teaching Korean Culture could be realized efficiently by utilizing the Korean Pop songs based on the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on the korean old poems, for example 공무도하가, 정읍사, 청산별곡. This type of Teaching Korean Culture is a kind of Culture-Based Language Teaching Methods for teaching Korean mass culture focused on songs and ballads. As a matter of fact not a few korean poems are transformed into songs and ballads, so the emotional sentimental expression of songs and poems in inter-textual ways in poetry instruction should be an effective way to stimulate the Korean learners` interest and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a poem. Therefore it should be necessary to adopt the emotional tools of Korean Wave in order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Korean Culture and Korean Learners` Culture. Teaching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indeed, needs the comparative cultural openness of the comparative literature.

      • KCI등재후보

        통합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학습 활동 분석

        오문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1 No.-

        한국어 교육계에서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최근 한국어 교재에서는 문화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효과적인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의 내용, 교재 제시 방식, 교실 수업 방법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한국어 교재는 문화 지식만 아니라 문화 수행 능력에 도달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과 도달하기 위한 방법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즉 교재에서 한국 문화를 다룰 때 단순히 지식만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그런 지식을 다루고 평가하는 문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일방적인 설명 위주의 문화가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목표 문화를 비교하고 평가하게 하도록 유도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언어 숙달은 물론, 문화 이해에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문화 교육 내용에 대한 활발한 연구에 비해 문화 교육의 방법인 교재의 문화 학습 활동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족하다. 교재 내 문화 교육에 있어 문화 내용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하여, 그리고 나아가 문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문화 학습 활동의 역할을 의식해야 하고 다양한 문화 학습 활동의 개발이 매우 필요하며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내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을 위한 연구로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중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 내 문화 학습 활동의 개발을 위하여 중국과 한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학습 활동을 분석하고 교재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개발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논문의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경우를 나누어 각각의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기본적인 틀과 성격을 파악한다. 3장에서는 중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와 한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에서 문화 학습 활동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각각의 특색과 문제점을 지적한다. 교재 분석은 중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와 한국의 그것을 나누어 하고 분석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재의 서지상항을 통해 교재의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한다. 다음, 교재의 단원구성 및 학습 활동 구성의 틀을 밝힌다. 이런 틀에 교재에서 문화 학습 활동을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표로 정리한 후에 나타난 문화 학습 활동에 대해 교재의 예를 결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에 분석 결과로 중국의 한국어 교재와 한국의 그것의 각각의 특색과 장단점을 밝힌다. 4장에서는 분석의 결과로 중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 학습 활동의 개발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며 본 연구의 한계와 남은 과제를 제시한다.

      • KCI등재

        한국어 문화와 한국 문화의 관계 설정

        최영환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0 No.-

        한국어교육에서 한국 문화교육은 한국어 능력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게 해야하며, 한국 문화의 전반에 내재하는 공통성을 기반으로 한 문화적 이해까지 다룰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에 출발점을 두고 분석적 교육단계에서는 다양한 한국어 자료를 사용하고, 한국어 문화의 통합적 교육 단계에서는 한국어 문화 여러 요소 및 수준이 복합된 한국어 자료를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우리가 한국어 사용 방식 또는 한국어 문화에 담긴 내적 체계와 공통성을 발견할수 있는 한국 문화적 요소를 찾아 연계하여 교육한다면, 한국어교육을 지향하면서도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concepts of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Korean language culture has intimate relations with korean 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have dealt with the uniqueness of korean education, the relations between korean language materials and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The conceptual spectrum of culture are followings. conceptual spectrum and elements of culture elements spectrum of concept concepts (A)basis of thinking (B) symbol system style of living (C) procuct categories way of thinking religion ⇩ ⇦ ⇨ worship, funeral art ⇧⇩ ⇦ ⇨ painting, novel society ⇧⇩ ⇦ ⇨ family, economy system ⇧ ⇦ ⇨ education, law prope rties visibility internal explicit abstraction abstract concrete approach percipient analytic We should consider the heterogeneity and homogeneity of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in korean education. Korean culture education should be th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culture, not the teaching of korean culture itself. There seems to be three typ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① Teaching korean through korean education materials ② Teaching language culture through korean education materials ③ Teaching culture with various korean education materials The teaching of language culture seems to be desirable in a particular sequence - from ① to ③(① → ② → ③)- in korean education. Korean education for non-native speakers in multicultural situation should not be taught as “social” culture itself but as “language” culture. Advanced communication skills with the well-ordered language culture education will be helpful for non-native speakers to adapt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 KCI등재

        백워드 설계를 적용한 한국 현대 가치문화 교육방안 연구

        이원주 ( Lee Wonju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3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한국 현대 수필에 반영된 한국의 현대 가치문화를 백워드 설계에 적용하여 교육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소설처럼 허구화된 인물과 복잡한 사건이 덜 등장하며 시처럼 함축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이 적고 일상생활을 소재로 하여 한국인의 일상과 그에 반영된 가치문화를 가까이서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필 장르를 선택하였다. 또한 한국의 현대 가치문화를 가족주의 문화(혈연 문화, 효 문화), 집단주의 문화(우리 문화, 정 문화, 흥 문화), 관계주의 문화(서열 문화, 연줄 문화, 체면 문화)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어령의 수필 「빵과 밥」에 반영된 가치문화를 분석하여 백워드 설계를 적용한 교육방안을 수립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연구가 미진했던 가치문화 연구에서 백워드 이론을 적용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 가치문화 교육과 언어 기능 교육을 연결한 교육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한국의 가치문화를 교육하기 위한 연구와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ducational pla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by applying Korean modern value culture reflected in modern Korean essays to the Backward Design. To this end, the essay genre was chosen as it may help understand the daily lives and value culture of Korean people. Unlike novels, essays feature fewer fictional characters and complicated events. Besides, unlike poetry, they have fewer implicit and symbolic expressions. In addition, this study classified Korean modern values into three main categories: familism, collectivism, and relationalism, and put subcategories below them. Based on this, the study analyzed the value culture reflected in Bread and Rice, a modern essay by Lee-Eolyeong, to establish an educational plan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first study to apply the Backward Design theory in value culture research, which has been lacking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it suggests an educational plan that connects value culture education and language skills education. With this study, it can be expected that studies in Korean value culture and studies using the Backward design may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content of Korean spiritual culture education using Arirang : Focusing on the emotion of Han(恨)

        Kim, Ji An 한국효학회 2024 효학연구 Vol.39 No.-

        배경: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한(恨)에 대한 정신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정신문화’ 는 인간의 정신적 활동으로 형성된 문화, 도덕, 종교, 학술, 사상, 예술 등을 아우르는 말이다. ‘한국의 정신문화’는 한국인들끼리만 공유되고 있는 특별한 정신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정신 활동에는 사람의 마음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감정 또는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기분이나 분위기인 정서가 포함된다. 한국인 들이 ‘그렇게 언행 하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그 언행을 하게 하는 정신 활동의 ‘기인이 어디에 있는 가’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만 한다. 목적: 한국어교육에 있어 우리 삶의 표층을 이루고 있는 행동문화와 성취문화 못지않게 심층을 구성하고 있는 관념문화인 정신문화를 다른 영역에 앞서 교육할 필요가 있다. 가시적인 현상과 행동이 있게 하는, 어떤 일에 대한 견해나 생각 즉 ‘관념’은 사물을 느끼고 생각하며 판단하는 마음의 자세나 태도 즉 ‘정신’에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리랑이라는 교육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가 접 근하기 어려운 한(恨)에 대한 정신문화 내용을 파악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능통한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능력의 함양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론/접근: 첫째 한(恨)의 정서에 대한 개념 정립하고, 둘째 아리랑의 형성과 유형을 살펴보고, 셋째 아 리랑의 내용 통해서 한국의 정신문화 교육으로 한(恨)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결론: 한국적 한(恨)의 정서를 이해하기 위해 아리랑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정선아리랑은 망국 의 나라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충신의 한(恨)이, 밀양아리랑은 절개를 지킨 아랑의 한(恨)이, 진도아리랑 은 오랜 역사 속에 지켜낸 삶에 대한 애환의 한(恨)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한국어 학습자는 아리랑의 사설을 통해서 한(恨)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게 될 것이며, 나아가 한국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받게 될 것이다. 이에 아리랑은 한국적 한(恨)의 정신문화 교육 확장 및 연계성을 갖기에 충분하다. 시사점: 아리랑의 사설을 통해 한국의 한(恨)의 정신문화 교육의 확장 및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한 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보다 심도 있는 정신문화 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Background: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piritual culture education about Korean han (恨)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Mental culture’ encompasses culture, scholarship, ideology, religion, art, and morality achieved through human mental activities. ‘Korea’s spiritual culture’ can be said to be a special mental activity shared only among Koreans. Mental activity includes emotions, which are moods or moods that evoke various feelings or emotions that occur in a person's mind. In order to know why Koreans ‘say things like that’, there must be an understanding of ‘where the origins’ of the mental activities that lead to those words and actions lie. Purpo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mental culture, which is the ideological culture that forms the deep layer, as much as the culture of behavior and achievement that forms the surface layer of our lives. This is because the opinion or idea, or ‘idea,’ about something that causes visible phenomena and actions can be said to be in the ‘spirit,’ or the attitude or attitude of the mind that feels, thinks, and judges things. Therefore, by using the educational material called Arirang, the goal is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 the mental and cultural contents of Han (恨), which are difficult to access, and to develop fluent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skill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Methodology/Approach: First, the concept of the emotion of resentment is established, second, the formation and type of Arirang are examined, and thir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of resentment are revealed through the contents of Arirang through the education of Korean spiritual culture. Findings/Conclusions: Jeongseon Arirang is the sorrow of a loyal subject who has no choice but to watch the country fall into ruin, Milyang Arirang is the sorrow of an Arang who maintained fidelity, and Jindo Arirang is the sorrow of the joys and sorrows of a life that has been preserved throughout its long history. It is fully contained. Arirang's editorials are sufficient to expand and connect the spiritual culture education of Korean resentment. Implications: Through Arirang's lyrics, we can confirm the expansion and connection of Korea's spiritual culture education of Han (恨),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more in-depth cultural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 KCI등재

        다문화가족이 함께 하는 한국어 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전한성(Jeon Han-sung),민정호(Min Jung-ho)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1 No.-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자녀들과 여성결혼이민자가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다문화가족 자녀와 여성결혼이민자가 함께 한국어를 공부하는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함이다. 특히 본 연구는 학령 전기 자녀들을 학습자로 선정하고 여성결혼이민자를 교수자로 설정했다는 특징이 있다. 다문화가족 자녀와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다. 다문화가족 자녀는 정체성의 혼란과 부모와의 갈등, 학업의 어려움과 대인관계결핍이라는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가정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 가정교육의 교수자로서의 위치를 잃고 양육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문화가족이 함께 하는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 프로그램의 특징은 엄마는 교수자로서의 능력을 갖추고 자녀는 놀이와 체험을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 엄마의 모국을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에서 엄마는 교수자로서의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상담법’, ‘훈육법’, ‘한국어 교수법’, ‘한국 문화’ 등과 관련된 교육을 받는다. 자녀는 엄마를 이해하고 가족 및 친구와 올바른 관계 형성을 위해서 ‘다문화 교육’, ‘예절 및 관계교육’, ‘한국어 화법 교육’, ‘한국어 자모 교육’을 받는다. 그리고 엄마와 자녀는 함께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한국어’,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서로를 ‘이해’한다. 물론 이때 진행되는 교육은 ‘놀이’와 ‘체험’에 기반을 둔 활동이고 건전한 ‘경쟁’과 ‘협력’도 함께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that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study Korean with and to resolv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difficulties experienced by. In particular, this study is characterized that preschool children selected by the learner and married female immigrants was set up as a teacher.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lack proficiency in Korean. That’s why the children suffer from Identity confusion, interpersonal difficulties, conflicts with parents and the difficulty of learning. Married female immigrants lose their position as a teacher in Korea and Korean culture and home education at home and experience parenting stress. For solve this problem, it proposes ‘The korean learning program with a multicultural family’. Features of the program is that the mother has the ability as a teacher and that the children understand the culture of Korea, Korean and the country of mother. In this program, the mother receive training related to the Korea Culture, consultation process, discipline law, korean didactics to furnish abilities as a teach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ther and to make right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family, the children were educa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manners and relationships education, Korean Speech education, education Korean alphabet. While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with mother and children, they can understand Korean culture, even understand each other. The training course is being conducted activity based on "play" and "experience" and the children can learn ‘healthy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ogether.

      • KCI등재

        한국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협력적 탐구학습형 교수․학습 모형 제안을 중심으로

        권화숙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2

        This study aims to cultivate foreign Korean learners’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nd effectively promote Korean culture education, targeting advanced foreign Korean learners, a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type based on integrated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using popular songs. It aims to propose a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ial piety and the necessity of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and to prepare an efficient Korean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plan, the usefulness of Korean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songs and popular songs was evaluated. I looked at it. And based on this, a collaborative inquiry-learn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popular songs based o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ed education was proposed.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nd its application, learners can go beyond understand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cooperatively solving problems with self-awareness of problems. By inducing them, you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cultivating your communication skills.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 및 한국문화교육의 효율적 방안으로서, 고급 수준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중가요를 활용한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협력적 탐구학습형 ‘한국의 효 가치문화’ 교수 ․ 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효 사상의 특징과 효 가치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대중가요의 특징과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의 유용성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대중가요를 활용한 협력적 탐구학습형 ‘한국의 효 가치문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모형과 이의 적용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한국의 효 가치문화’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서 자기 성찰, 내면화, 생활화까지 가능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가정 현황 및 한국어 교육 지원 방안

        서혁(Suh Hyuk)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07 인간연구 Vol.- No.12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는가의 여부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는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도시와 농촌 지역에서 외국인 근로자와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2006년 현재 약 85만 명 수준인 외국인 체류자는 조만간 100만을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외국인 근로자 수는 약 40만 명에 달한다.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수도 6만 명을 넘고 있으며, 취학 대상인 외국인 자녀의 수만도 2만 명에 달한다. 다문화 사회인가 아닌가를 논하기 이전에 우리는 이미 이 문제에 준비해야 할 시점에 도달한 것이다. 넓은 의미에서 모든 가정은 기본적으로 다문화적 상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고에서 논하고 있는 좁은 의미의 다문화 가정이란 새로운 문화권의 유입 또는 혼합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는 가정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국제결혼에 따른 이주 여성 및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 탈북자 출신의 새터민 등 한국 사회 내에서 대한민국(남한)이 아닌 다른 문화권으로 이루어진 가정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다문화 가정은 전반적으로 경제적으로는 물론이고 일상생활이나 교육 등에서 모두 어려운 상황이며 그 핵심에는 의사소통의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외국인 근로자 자녀들의 취학 문제는 우리 사회의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 관련하여 ‘외국인 근로자의 입국 전ㆍ후 한국어 교육, 인터넷과 텔레비전을 통한 한국어 교육, 여성 가족부의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등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외국인 근로자의 입국 전ㆍ후 한국어 교육은 매우 빈약한 상황이라서 보완이 필요한데, 특히 2박 3일간 이루어지는 ‘입국 후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심각하다고 판단된다. 대폭적인 시간 확보가 요구된다. 인터넷이나 텔레비전의 경우 매우 유용한 매체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만족스럽게 한국어 교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는 못한 듯하다. 여성가족부의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도 큰 의미를 가지고는 있으나 앞으로 수정 보완될 여지가 많다고 판단된다. 다문화 가정과 그 자녀들에 대한 교육은 새롭게 상당한 재원과 투자가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당장은 여러 가지 부담이 따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국제 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 제고와 홍보 효과, 한국 문화에 대한 교육과 홍보 효과, 한국의 국제 신인도 제고, 한국의 국제적 인적 자원 양성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우리 사회를 더욱 건강하게 이끌어 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는 점이다. 다문화주의 철학의 핵심은 상호 수용과 인정, 존중이라고 할 수 있다. 다문화 가정 교육 지원의 원리로는 수요자 중심의 다양성과 실제성, 경제성, 단계성, 분담과 공조, 다중언어적 접근 등을 제시했다. 가정과 학교, 지역 사회, 방송과 언론 등이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으며 기존 혹은 신규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지원 체제를 구축하면서 노력해 나갈 때 다문화 가정에 대한 한국어 교육 지원은 더욱 실효성을 얻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ocused on how to support the multicultural family for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In recent years, there is a rapid increasing in the number of foreigners and their family, families consisted of Korean and south-east Asian woman. There are 850,000 foreigners in Korea in 2006, and researchers are saying the number will be more than one million in a few years. There are more than 60,000 women living in Korea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The number of foreigners’ children is about 20,000 who are in the age of their school year in 2006. In this context it is the time to prepare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n a broad sense every families are in a multicultural state in their generation, class, heritage, region and culture. But in a narrow sense, focused in this paper, multicultural family is defined as a new family consisted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heritage group, such as foreign labors, immigrated wives through marriage and new families from North Korea. These families are facing in many difficulties in their communication, education, getting a job, etc. and the point is Korean language ability. Regard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 analysed the problems of the Korean language programs focused on labor training before and after entry into Korea. I analysed also the Korean language programs in television and internet,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immigrated wives living in Korea. The Korean language programs for foreign labors has so many limitations in it’s period and contents, in particular after-entry training which takes just 3 days. First of all the period of training have to be extended. In other hands the Korean language program through internet or television could be much more useful, but it doesn’t meet our expectations at the moment. The textbook, developed and supplied b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s the first specific one by the government level, but it still need to make the weak point in it’s contents. Even though it needs much more funds and investment for the government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y at the moment, the effect will be much more bigger than the investment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o improve the Korean image and information as well as to raise international human resources. Most of all it will work to lead Korean society to the harmonious and sound direction. The key points of multiculturalism are recognition, accommodation and mutual consideration. The principles of support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diversity, reality, economical efficiency, stage, cooperation and multilingual approach which are based 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families and schools, regional societies, media and government need much more cooperation to make new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which will get a practical effect.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연동 방안

        장미영 국어문학회 2013 국어문학 Vol.54 No.-

        본 연구는 대학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다문화교육을 연동시켜 진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그 실천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다문화교육은 대학의 한국어교육 대상자들이 다문화적 감수성을 갖춰 글로벌시대를 헤쳐 나갈 수 있는 새로운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이제 우리 사회의 다문화교육은 가족, 민족, 국가 개념을 의식하는 소속의 논리에서 빠른 속도의 변화와 다양한 문화 접촉 기회의 확대 및 점증하는 복합성 개념에 의거한 도구의 논리를 수용해야 할 때가 되었다.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필요하다. 그것은 첫째, 다양한 역사적 관점의 이해, 둘째, 문화적 의식 함양, 셋째, 간문화적 역량 개발, 넷째, 모든 형태의 편견과 차별에 대해 투쟁하기, 다섯째, 지구의 현 상태와 전 세계적 역동성에 대한 이해 증진, 여섯째, 사회적 행동 기술개발 등이다. 이상 여섯 가지로 정리된 다문화교육과정의 목적들은 개별적으로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서로 중첩되어 있어 각각의 목적들이 서로의 발달과 함께 연동되어야만 성취가 가능하다. 한국어교육에 다문화교육을 연계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과과정의 개편이 필요하다. 교과과정은 교육 목표, 교과내용, 교수방법, 교수매체의 4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교육 목표는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되, 한국어교육을 통해 한국어만을 습득하게 하는데서 그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한국어교육의 목표는 한국어를 통해 다문화를 고려하는 상황적 결정 능력을 키우고 다양한 사회참여기술을 익히며 정치적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재 국가별, 민족별로 따로따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상호 배타적 정체성을 지양하는 쪽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교과내용면에서는 내용의 주제를 한국적 정황과 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과 함께 다양한 인종, 민족, 문화, 성, 언어, 사회적 계급, 종교, 성적 성향, 신체적 능력, 장애, 다양한 정치적 신념, 개념 등을 포함할 수 있게 한다. 교과내용은 무엇보다도 전세계의 다양한 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르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더 나아가서 인간의 존엄성이나 인권의 존중, 세계사회에 대한 책임감, 지구환경에 대한 경외감 등을 가질 수 있는 인류보편적인 내용과 함께 문화권간에 서로 공유되는 문화적인 요소가 중요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교수방법면에서는 일인교사제도를 지양하고 다문화적 학습자와 함께 하는 팀티칭, 멘토링, ‘제3의 교육공간’ 방법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교수매체 또한 현행 평면적인 도서 대신 입체적인 도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어교육과 다문화교육을 연계한다는 것은 특수한 문화권 출신의 학습자가 한국어교육을 통해 다양한 문화권 출신의 사람들과 상호 소통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결과적으로는 개별자로서의 한 인간이 어떤 문화권에서 삶을 영위하든 적응력을 높이고 나아가 선도적인 행보를 할 수 있도록 자신감을 갖게 하는 것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국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교육 연구

        문영자(Young-Ja Moon)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4 한국교육논총 Vol.35 No.1

        세계가 하나의 지구촌으로 되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중 · 한 두 나라 간의 정치, 경제, 무역, 문화 등 분야의 교류가 갈수록 밀접해지고 활발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 인재들이 중요한 가교역할을 하고 있으며, 아울러 한국 언어뿐만이 아닌 한국 사회 전반에 대한 탄탄한 이해를 가진 고 소질, 고 실력의 한국어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런 인재의 양성은 한국문화 교육을 떠나서 한국 언어교육만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다. 언어를 외면하고 문화를 이해할 수 없고 문화를 외면하고 언어를 이해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은 유기적인 연계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현재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문화교육 실태를 살펴보면서 존재하는 문제를 짚어보고 풀어야 할 과제를 지적하였다. 논의는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문화교육의 목표에 비추어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금까지 무절제하게 이루어지던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최근 들어 다소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한 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의 불균형으로부터 우승열태({尤姓劣洙)의 경쟁을 거쳐 양적 팽창에서 벗어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과학적인 재정립이 필요한 단계에 들어섰다. 이는 한국어교육에서 단순한 언어교육이 아닌 한국학 전반에 관한 지식 교육 즉, 언어교육과 문화교육 통합 진행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진일보적인 중명과 강조로 된다. The speed that world is becoming to a global village is getting faster. Thus, exchanges in areas of politic, economy, trade, cultural between China and Korea are becoming increasingly closely and actively. In this process Korean language talents have played an important bridge role. Therefore, it is required not only Korean language talents, but also the Korean talents with a solid understanding of aptitude, and skills for whole Korea Training of these personnel can not be done with language training alone without cultural education, understanding culture without language. Likewise, language training and cultural education is made in the organic connection. Ths study take a look at the realities is currently underway in China while Korea in cultural education, and pointed the problems being exist and a subj ect need to solve. The discussion pointed out the need for Korea culture education, and proposed a plan to proceed effectively in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excesses of until now has shown a lull recently. Korean education through competition from quantitative expansion to qualitative improvement entered the necessary step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are emphasiz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ot just language training and must be done with cultural education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