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중 단오절 세시풍속 비교 연구

        요위위 동양예학회 2012 東洋 禮學 Vol.27 No.-

        한·중 양국은 지리적으로 근접함으로써 오래전부터 빈번하게 교류해 왔다. 두 나라에서 많은 공통적인 세시풍속이 있다. 단오절은 그 중 대표적인 하나이다. 단오절은 같은 한자 문화권에 속했던 한국·중국·일본 등 아시아권에서 전승된 명절이다. 이러한 세시풍속은 대부분 중국에서 전해진 것이라고 하지만 한국에서 이를 단순히 수용하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용한 이후에 이를 재창조하거나 선택적으로 배제하였다. 본문에서는 주로 한국과 중국의 단오절을 소개하고 비교하였다. 한·중 양국의 단오절의 유래, 풍속과 음식 등을 정리하고 한·중 양국단오절에 행해지는 행사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추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한·중 양국의 지방에서 행해지는 단오제의 정보를 정리해 보았다. 한·중 양국에서 단오절은 많은 별칭을 가지고 있다. 양국에서는 단오의 별칭을 많이 가질 만큼 단오절의 유래에 대해서도 다양한 학설이 전해지고 있다. 단오의 유래에 있어서 한국에서 제사 설, 음양설이 있는 것에 비해 중국에서는 굴원 설, 오자서 설, 악월악일 설 등 것이 있다. 단오의 유래설을 검토해 보면 한·중 양국 사람들이 모두강한 역사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단오의 유 래설을 통해 한국 사람들이 조상숭배라고 볼 수 있는 것에 비해 중국 사람들이 원혼을 위로하는 사상도 엿볼 수 있다. 한편, 한·중 양국의 단오 풍습과 음식을 고찰해 보면 한·중 양국에서 비슷한 풍속, 예를 들면, 애호 붙이기, 오색실 맺기, 쑥과 창포 등 식물을 즐겨 쓰기 등, 이것은 한·중 양국에서는 모두 제액의식을 가지고 있고 동양철학에 있어 서로 통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단오에 한국에서는 씨름과 그네뛰기를 즐겨 놀지만 중국에서는 용주경기를 즐겨 노는 것과 한국에서 떡을 먹고 있지만 중국에서는 종자를 흔히 먹는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면 현재의 단오절은 이미 각 나라의 민족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현대에 들어와 한·중 양국은 단오절을 민족 유산으로 간주하고 있지만, 현대문명의 충격으로 명절로 여기는 기운이 차차 사라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대신 한·중 양국에서 갈수록 단오의 오락화, 세계화, 관광화 되어 있는 특징이 드러나고 있다. 이를 통해 전통명절로의 단오절은 또 다른 방향성을 보여 주고 있다. 앞으로 단오절이 더욱 크게 발전하려면 아시아권에 속하는 한·중 양국뿐만 아니라 일본·베트남 등 국가 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 KCI등재

        중·한 周易교육사상 연구의 현황과 과제 ― 1984년~2023년의 핵심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劉煜菡 ( Liu Yuhan ) 한국중국학회 2023 중국학보 Vol.106 No.-

        본고는 지난 30여 년간 핵심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중·한 주역교육사상 연구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를 검토해 본 결과, 중국의 주역교육사상 연구에서 몽괘의 입지가 상당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한국의 연구에서 몽괘교육사상을 전문적으로 다룬 연구가 비교적 낮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한 학계 모두 『주역』의 원리 및 내용을 사회교육, 도덕교육, 가정교육, 인문교육, 예술교육과 연결시켜 살펴봤고 중국의 연구자는 특별히 『주역』을 통해 역학교육, 미학교육, 사상정치교육, 원격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으며, 한국의 연구자는 특별히 『주역』을 통해 여성교육, 마음교육의 방향을 고찰하였다.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서는, 주역교육사상의 정의와 주역 교육사상 연구의 선택기준에 대한 학계의 협의, 『주역』의 교육학 접근을 위한 연구방법론에 대한 탐색, 몽괘교육사상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 등을 제언하였다. 중·한 주역교육사상 연구는 현재 각 분야의 다양한 주제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아직까지 중·한 주역교육사상 연구현황에 관련된 고찰은 전무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d Current practices and challenges of ‘Educational ideas in the Zhouyi’ Research, focusing on core journals in China and Korea over the past 30 years. A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reveals that ‘Educational ideas in hexagram Meng’ have a significant presence in Chinese Research. In contrast, the proportion of studies specializing in ‘Educational ideas in hexagram Meng’ in Korean is relatively low. Chinese and Korean scholars have linked the principles and contents of the Zhouyi to Social Education, Moral Education, Family Education, Humanistic Education, Art Education. Chinese researchers have explored the directions of Zhouyi Education, Aesthetic Education,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Distance Education through the Zhouyi. Korean researchers have explored the directions of Female Education, Mind Education through the Zhouyi. A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academic community should negotiate the definition of ‘Educational ideas in the Zhouyi’ and the judgmental benchmarks of related research. In addition, in-depth discussions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ducational ideas in the Zhouyi’ are suggested. Studies on ‘Educational ideas in the Zhouyi’ in China and Korea are making remarkable achievements in various fields. However, there has been no review of the current research status so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 KCI등재

        한·중 반의어 비교 연구: 한국어 학습용 반의어를 중심으로

        전정(Zheng Z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6

        목적 본 연구는 문헌 연구법을 통하여 정리한 한국어 학습용 반의어 목록을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반의어의 대응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교수학습샘터에서 제시한 한국어 교육용 반의어 목록에 근거하여 한국어 학습용 고급 반의어를 총 77쌍 정리하였다. 이어서, 한국어 반의어를 상보 반의어, 등급 반의어, 관계 반의어 등 세 가지로 분류하고 한국어 학습용 고급 반의어 목록을 상보 반의어 31쌍, 등급 반의어 18쌍, 관계 반의어 28쌍으로 나누었다. 마지막으로, 반의어의 특성에 근거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반의어의 대응 양상을 제시하였다. 결과 한국어 학습용 반의어를 중심으로 한·중 반의어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어 상보 반의어는 동의성, 다의성, 형태적 유표성, 의미적 유표성, 어휘적 빈자리로 인해 중국어 상보 반의어와 대응 양상이 다르고 한국어 등급 반의어는 동의성, 다의성, 형태적 유표성으로 인해 중국어 등급 반의어와 대응 양상이 다르며 한국어 관계 반의어는 동의성, 다의성, 형태적 유표성, 의미적 유표성, 어휘적 빈자리로 인해 중국어 관계 반의어와 대응 양상이 다른 것을 발견하였다. 결론 한국어와 중국어 반의어는 동의성으로 인해 한·중 반의어의 대응 양상이 다른 경우, 다의성으로 인해 한·중 반의어의 대응 양상이 다른 경우, 형태적 유표성으로 인해 한·중 반의어의 대응 양상이 다른 경우, 의미적 유표성으로 인해 한·중 반의어의 대응 양상이 다른 경우, 어휘적 빈자리로 인해 한·중 반의어의 대응 양상이 다른 경우가 존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sponding types of Korean and Chinese antonyms, which were based on the list of antonym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77 pairs of advanced Korean antonym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list of antony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vided by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of the National Language Institute of Korea. Next, the list of advanced Korean antonyms for Korean learning was divided into 31 pairs of complementary antonyms, 18 pairs of gradable antonyms, and 28 pairs of relational antonyms. Results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and Chinese antonyms, focusing on the list of antonym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it was found that Korean complementary antonyms had a different correspondence type from Chinese complementary antonyms due to synonymity, polysemy,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semantic identification, and vocabulary vacancies. Korean gradable antonyms differed in correspondence from Chinese gradable antonyms due to synonymity, polysemy, an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Korean relational antonyms differed in correspondence with Chinese relational antonyms due to synonymity, polysemy,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semantic identification, and vocabulary vacancies. Conclusions The corresponding types of Korean and Chinese antonym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synonymity leads to distinc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tonyms. Second, polysemy leads to distinctions. Thir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causes distinctions. Fourth, semantic identification causes distinctions. Fifth, vocabulary vacancies cause distinc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tonyms.

      • SNS 이용동기의 선택 선호도에 관한 한·중 비교 연구

        왕혜하(Wang, Huixia),신호균(Shin, Ho-Kyun) 한국의사결정학회 2014 의사결정학연구 Vol.22 No.2

        최근 참여, 공유, 개방을 핵심 키워드로 삼는 web 2.0은 정보기술의 발전과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페이스북, 트위터 등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함께 다양한 방식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가능케 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여가시간 활용을 넘어 관계형성, 정보추구, 일상생활기록을 통해 개인의 다양한 개성을 표현하는 수준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중 대학생들의 SNS 이용동기에 따른 선호도는 어떠한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지를 4가지 동기인 심리적, 사회적, 정보적, 유희적 동기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해 각 국가의 대표적인 10개 SNS를 선정하여 한·중 대학생들의 SNS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들의 SNS 이용동기는 사회적 동기(40.0%)가 가장 높았고, 중국 대학생들은 유희적 동기(33.6%)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한·중 대학생들은 모두 SNS를 사용함에 있어 심리적 동기가 가장 낮은 선호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중 대학생들의 SNS 사용동기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SNS 선택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대학생들은 페이스북(24.0%)을, 중국 대학생들은 시나웨이보(24.3%)를 가장 많이 쓰는 SNS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10개 SNS 민감도를 분석하여 향후 발전 추이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SNS 동기요인을 비교하는데 문화적 이질성을 한계로 들 수 있다. Recently, Web 2.0 represented by key words such as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has vastly changed media-related environment and this change has resulted in the appearance of different Social Network Services(SNS) such as Facebook, Twitter and so on. This phenomenon not only enables people to communicate be engaged with different types of real-time communication activities, but also expands the activities to an extent of expressing one’s different characteristics through building relationships, seeking information, streaming life and a lot more. This study examined if the degree of preference based on use motives ha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n university students between Korea and China, focusing on 4 types of motives of psychological, social, informative, playful motives. Specifically, the study selected 10 representative SNS services of each country and analyzed SNS preferences of each student and analyzed the students’ in both countries utiliz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for Korean students, social motive has the most significant impact(40.0%) on SNS use motives. For Chinese students, playful motive has the highest impact(33.6%). On the other hand, both Korean and Chinese students shown psychological motive as the lowest significant factor. Second, this study analyzed SNS use motives reflecting weights of factors. The result shows that Facebook is the most frequently used SNS(24.0%) in Korea. It also shows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SNS in China is Sina Weibo(24.3%). Finally, the study predicted the future development tendencies of the representative SNS by using sensitivity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영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한.중.일 영화시장 분석

        백해린(Haelin Baek)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1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48

        본 연구는 한⋅중⋅일 관객의 영화 소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국가별 영화 산업 동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별 역대 흥행순위 내 100위에 랭크된 작품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관객의 영화 소비 형태를 파악하였으며, 2016년 연구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국가별 영화시장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영화시장에서 는 한국영화에 대한 선호도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오락적 기능만을 추구하는 영화보다는 오락성과 함께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영화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중국 영화시장은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중국적 소재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에 헐리우드 블록버스터 스타일을 더한 차이니즈 블록버스터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일본 영화시장은 한국과 중국에 비해 정체된 경향이 나타났으며, 세 나라 중 유일하게 흥행순위 내 자국영화의 비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일본영화는 자국만의 독특한 영화 스타일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이에 헐리우드 영화와의 경쟁에서 점차 밀려나는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일본 관객은 일본의 애니메이션에 대해서는 꾸준히 충성도를 보이고 있었지만 이외 장르에서는 미국영화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한⋅중⋅일 관객의 영화 소비 성향을 분석하였으며, 국가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최근 한국은 포화상태인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로 진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드라마나 음악 등 여타 장르와 달리 해외 영화시장에서 한국영화의 입지를 굳히지 못하고 있다. 한국 영화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좋은 스토리 개발 및 완성도 높은 작품 제작뿐만 아니라 국가별 관객의 영화 관람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작품 제작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ccurately identify the trends of film industry by country by analyzing film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s in South Korea⋅China⋅Japan and comparing the analysis with the findings in 2016. To this end, a content analysis of the films included in the top 100 of all time by countr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audiences’ film consumption patterns,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findings in 2016 to analyze changes in the film market of each coun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Korean film market, preference for Korean films has steadily increased, and there is a high preference for films that contain social messages as well as entertainingness rather than the ones that only pursue entertainingness. In terms of the Chinese film market, the market has recently shown rapid growth, and Chinese blockbusters, which are the combination of Chinese materials and Hollywood blockbuster styles, are highly preferred. Regarding the Japanese film market, it shows the tendency to be stagnant compared to Korea and China, and Japan is the only country to have a low percentage of its films in the box office rankings among the three countries. Japan has not been able to establish its own unique film styles, resulting in falling behind in the competition with Hollywood films. Audiences in Japan show steady loyalty to Japanese animation films but demonstrate a high preference for American films when it comes to other genres. This way, the study analyzed the film consumption propensity of the audiences in South Korea⋅China⋅Japan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s by country. Recently, South Korea is seeking ways to advance Korean films overseas beyond the saturated domestic market, but unlike other genres such as TV series and music, Korean films have not yet gained ground in overseas film markets. To boost the Korean film industry,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great stories, produce higher-quality films,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watching movies by country, and establish a strategy for film production and marketing based on this.

      • KCI등재

        학교교육에서 한국과 중국의 교육매체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교육정보미디어연구"와 "전화교육연구"를 중심으로

        왕얼 ( Yue Wang ),이영주 ( Young Ju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서 한국과 중국의 교육매체에 대한 연구 동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2006년에서 2012년, 최근 7년간 대표적 학술지에 출판된 교육매체 연구들을 매체의 유형, 매체연구방법, 매체연구 주제, 연구대상, 4가지 범주로 나누어 두 나라의 매체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교육매체에 관한 대표 학술지로 한국 학술지의 <교육정보미디어연구>와 중국 학술지의 <전화교육연구(電化敎育硏)>를 선 택하여 총 278편(한국 105편, 중국 173편)의 연구물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매체유형은 양국에서 컴퓨터 웹2.0기반 매체가 다수였으나, 컴퓨터기반 매체연구가 중국에서는 지속적으로 수행되 었고, 한국은 2008년이후 실행되지 않았다. 연구 방법면에서는 양국 모두, 개발연구와 실험연구를 많 이 시용하고 있었으나, 중국에서의 질적연구 비중이 두드러지게 낮았다. 매체연구주제는 양국 모두 매 체속성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 대상면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공통적으로 유아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매체 연구의 빈도가 저조했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papers on educational media in school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representative journals from 2006 to 2012, for the past seven years, were analyzed by the four categories: educational media types,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subjects to find out research trends on educational media in two countries. We chose two representative journal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and <Electrifying Education Research> to collect data. We analyzed a total number of 278 research papers(Korea: 105, China: 173). The research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media types, we found that the most media type is computer web 2.0-based media, While China have maintained conducting research on computer-based media, Korea discontinued computer-based media research since 2008. The two countries mainly used experimental research and development research most in the past seven years. However,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in China is remarkably low. For the research trend of media topic, the most research of the two countries is the study of media attribute research. Last, in terms of media research subjects, college students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There are few research studies in which participants are students at kindergartens, middle, or high schools.

      • KCI등재

        韩中货物多式联运相关法律体系及问题的考察

        王梓亦,池祥圭 한중법학회 2021 中國法硏究 Vol.46 No.-

        “일대일로” 의 제창은 각 분야에서 차근차근 진행되고 자유무역협정이 체결 됨에 따라 한·중 양국은 경제·무역 협력에서도 끊임없이 새롭게 나아갈 것 이다. 실제로 코로나19의 먹구름 속에서도 양국 간 수출입 총량은 해를 가리킬 정도로 늘어났다. 2020년 10월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같은 해 1계절 양국의 수출입액은 이미 약 1.45만억위엔으로 글로벌 경제 환경이 부진 속에서도 전 년 동기 대비해 1.1% 증가했다. 경제발전과의 상부상조는 확대한 시장과 성과를 확고히 하기 위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한 물류체계에 대한 요구이다. 전통적인 단일적 운송으로는 양국 교역의 수요를 모두 충족시킬 수 없는 지금, “종합운송체계”에 있어서 중 요한 부분으로서 복합운송은 더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 모델 덕에 화물 운송에서도 “강심제”가 될 수 있다. 복합운송을 크게 발 전시키기 위하여 다식연결운송 해운국가는 각종 국제 조약에 근거하여 복합운 송에 대한 입법 역량을 분분히 높였다. 한·중 양국 모두 ‘해양 강국’ 건설이라 는 큰 목표를 갖고 있지만 복합운송 입법에서는 다소 보수적이다. 양국이 서로 다른 정치제도와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입법상의 일 부 차이와 서로의 법 제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측면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양국의 복합운송법 체계를 정비하는 의미와 필요성이 있었다. 이중 한국의 복 합운송 및 그 운송구간의 입법은 “상법전”의 각 장에 분포된 반면, 복합운송에 대한 맞춤형 규제를 가하는 “2010상법개정안”은 여전히 연구단계에 머물러 한 국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반면 중국의 복합운송 및 그 운송구간의 입법은 “민법전”, “해상법” 및 각 단식운송법률체계에 산재하여 있으며 비교적 느슨한 복합운송법률 체계를 형성하였다. 화물 복합운송의 발전 요구가 강하여 국제 화물 복합운송 분쟁에 관한 양국간의 수량도 끊임없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관련 법규를 살펴보니 나날이 복잡해질지도 모르는 새로운 형세에 직면 에 있어서 현 법체계는 부분 적인 미비로 갈수록 더 많은 도전에 대처하기에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제 해결의 전제조건은 우선 문제를 발견하는 것이다. “비교법 연구”의 수단 을 통해 양국 입법의 다른 점을 찾는 것이다. 그 결과는 한중 양국은 복합운송 에 관한 규정에서 서로의 문제점도 있고 함께 극복해야 할 법적 어려움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법적·제도적 부족을 확실하게 개선한다면 양국 내, 특히 양국 간 화물 복합운송, 나아가 종합운송체계 발전에서도 적지 않은 기여 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중 양국이 자국 법규를 제정할 때 자국의 실정과 각자의 다목적 연계 운영의 실속을 고려한 맞춤형 보완이 필수적이라는 점도 고려됐다. 이를 통해 양국 간의 국제화물 복합운송을 발전시킬 때 “한·중 FTA”가 구축한 상호 신뢰 와 협력·상생의 기초를 전제하에서 같은 지역적 특성을 지닌 ‘한·중 복합운 송 협정’을 제정하여 양국의 입법상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조정하고 기한을 정 하여 한중 화물 복합운송을 위한 법제 건설에 힘을 보탠다. With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he signing of the Free Trade Agreement, Korea and China will continue to enter a new phase of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In fact, even under the impact of COVID-19, the total volume of imports and export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been able to grow despite the difficulties. According to data from China’s General Administration of Customs in October 2020, the import and export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d reached RMB 1.45 trillion in the first three quarters of the same year, an increase of 1.1% year-on-year against the backdrop of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The economic development is complemented by the demand for a more efficient and convenient logistics system in order to secure the results and continuously expand the market. As an important part of the so-called “comprehensive system of transport”, multimodal transport of cargoes, which is an integrated and efficient “door to door” mode, can undoubtedly become a “strong force” in the field of cargo transportation, as traditional unimodal transport is no longer able to meet all the needs of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order to vigorously develop multimodal transportation of cargoes, many shipping countries have increased the legislation on multimodal transportation of cargoes in accordance with various international conventions. Both Korea and China have the ambitious goal of building a “maritime power”, but they are somewhat conservative in the legislation related to multimodal transportation. The different political systems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two countries have led to some differences in legislation. Both sides also lack a certain degree of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legal systems. Because of this, it is meaningful and necessary to sort out the legal systems of multimodal transport in both countries. In particular, the Korean legislation on multimodal transport and its various transport sections are distributed in various chapters of the Commercial Code. The 2010 Commercial Law Reform Bill, which regulates multimodal transportation, is still at the study stage and has not been passed by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China’s legislation on multimodal transportation of goods and its various transport sections are scattered in the Civil Code, the Maritime Code and the laws and regulations on unimodal transportation, forming a loose legal system of multimodal transportation.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multimodal transportation of cargoes. The number of disputes on international multimodal transportation of goods between two countries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However, after examining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it is easy to see that the existing legal system is inadequate to meet the increasing challenges due to partial deficiencies in the face of a new situation that may become increasingly complex. A prerequisite for solving the problem is to identify it. By means of “comparative law studies” to fi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legislation, Korea and China have both their own problems and legal dilemmas that need to be overcome jointly in terms of multimodal transport-related regulations. If this series of legal system deficiencies can be effectively improved, it can make a non-negligibl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multimodal transportation of goods within the two countries, especially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even the entire integrated transport system. In addition,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two countries must give priority to their own national conditions and the actual needs of their respective multimodal transport development in the formulation of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the two countries will make targeted complements. Therefore, i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intermodal transportation of goods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e basis of mutual trust and mutual benefit and win-win cooperation of the “Korea-China Free Trade Agreement”, a “Korea-China Multimodal Transportation Agreement” with the same regional nature can be formulated. The “agreement” will effectively harmonize the differences in legisl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cover all the systems that should be involved in order to promote the legal construction of multimodal transportation of goods between Korea and China.

      • KCI등재

        한·중 소설 비교를 통한 상호문화교육 방안 연구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과 나위장(罗伟章)의 「우리의 길」을 중심으로-

        진신 ( Chen Chen ),김지혜 ( Kim Ji-hye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99 No.0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 내 한국어학과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중 소설 비교를 통한 상호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상호문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과 중국 작가인 나위장의 「우리의 길」을 선정하여 한⋅중 소설 비교 학습을 통한 상호문화교육의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산업화시대 하층민이 처한 어려움’을 주제로 「삼포 가는 길」을 「우리의 길」과 비교하여 양국의 산업화시대 이농민이 직면한 어려움에 반영된 사회, 역사적 배경 및 사회적 갈등을 탐구하였으며, 이러한 소설 비교를 활용하고 상호문화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소설을 활용한 상호문화교육을 통해 문화적으로 낯선 목표 소설의 역사적 및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고 문학 작품의 주제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학습자들이 한국 사회를 보다 잘 이해하고 자신의 문화와 정체성을 반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호 문화적 태도를 통해 다른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of learners by presenting a plan for intercultural education through comparison of Korean-Chinese novels for advanced learners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Chinese universities. Korean author Hwang Seok-young’s “The Road to Sampo” and Chinese author Luo WeiZhang’s “Our Road” were selected in this study to explore ways for intercultural education through comparative learning of Korean-Chinese novels. Under the theme of “Difficulties faced by the Lower class in the Korean-Chinese Industrialization Era,” this study compared “The Road to Sampo” with “Our Road” to explore the social, historical, and social conflicts reflected in the difficulties faced by Lee farmers in the Korean-Chinese industrialization era, and used these novel comparisons and suggested ways of intercultural education. Through intercultural education using these novel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of culturally unfamiliar target novels and to deeply understand the themes of literary works. In addition, by compar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learners can not only better understand Korean society and reflect on their own culture and identity, but also cultivate an attitude of respecting other cultures through intercultural attitudes.

      • KCI등재

        조직환경과 사내 기업가정신 간의 관계: 한국과 중국 중소기업의 비교연구

        장수덕 ( Soo-duck Chang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7 中小企業硏究 Vol.39 No.2

        오늘날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변화는 매우 불확실하여 기업들이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선 사내 기업가정신이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한국이나 중국과 같이 신흥시장에 속해 있는 국가들에 있어 중소기업들의 기업가정신 실천은 경제적 혁신과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Hornsby et al.(2002)이 제시한 사내 기업가정신의 활성화를 위한 5가지 환경적 요인들이 기업가정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중소기업 300개 업체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서구의 대기업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어졌던 조직환경이 한국과 중국과 같은 신흥시장에 속해 있는 국가의 중소기업들에서도 동일하게 사내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내 기업가정신의 실천은 혁신이나 전략 재구축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그 형태에 따라 각기 조직환경이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도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적 동일한 문화권에 속해 있는 한국과 중국의 중소기업들은 조직환경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대체로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이들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도 많은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중국에 비해 유연한 조직구조나 직무자율성은 사내 기업가정신을 실천하는데 있어 보다 강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향후 국내 중소기업들이 경쟁력 제고와 혁신을 위해서 그리고 중국 중소기업들에 비해 비교우위를 갖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들을 더 경주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oday, changes in the environments surrounding companies are so uncertain that corporate entrepreneurship should be activated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firms and to improve their profitability. In particular, The practice of entrepreneurship by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hereafter SMEs) is suggest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of firm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s on th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of SMEs in Korea and China. The data obtained from 300 SMEs in Korea and China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were analyze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organizational climate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MEs in the countries belonging to emerging markets such as Korea and China. However, the practice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could be manifested in diverse forms, such as innovation or strategic renewal, an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limates were shown to sightly different effects o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In addition, SMEs in Korea and China, which belong to common cultural area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limates in general. Furthermor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However, SMEs in Korea with more flexible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higher job autonomy were shown to be more advantageous in practic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than those in China.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SMEs in Korea in terms of the efforts that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implement innovation, and achieve comparative advantages over China.

      • KCI등재후보

        한⋅중⋅일의 자금세탁 문제점 분석을 통한 해결방안모색 - 동북아공동체의 형사사법공조를 중심으로 -

        전수영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4 동북아법연구 Vol.8 No.2

        자본이동의 자유화로 자금세탁의 실태는 심각하다. 경제의 세계화로 인한 부정적인 측면이라고 불리는 자금세탁은 국가의 재정금융 시스템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이는 범죄단체 내지 범죄조직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경제적, 물질적 이익에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세계적 추세는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공동체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따라서 국제범죄의 증가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자금세탁의 문제는 초국가적(transnational)인 성격으로 인해 그 대응도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게 된 실정이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 일본은 자금세탁 방지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고, 그 입법과정에서도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였기 때문에 자금세탁방지체제는 아직까지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고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국과 중국, 일본은 지리적․역사적 배경으로 인한 유교적 전통의식과 성문법상의 법체계를 가졌다는 점에서 3국간에 범죄인인도를 비롯한 광의의 국제형사사법공조도 비교적 원활한 형태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이들 국가간에는 각국의 법률문화, 법의식, 법률제도, 경제력 등에 따른 차이로 인하여 유럽연합처럼 폭넓은 국제형사사법공조를 당장 현실화 할 수 있는 유리한 상황이 심도있게 조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은 자금세탁에 대한 일반론에 대해서는 기존의 논문에서 충분히 다루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논하지 않고, 오로지 동북아공동체의 중심인 한․중․일 3국의 자금세탁에만 초점을 맞추어“FATF 상호평가보고서(2009.6)”와 “FATF 권고사항(자금세탁방지 국제기준)(2012.2)”을 근거로 3국의 형사사법공조 필요성과, 한․중․일 각국의 자금세탁을 비교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으로 한․중․일 3국간의 형사사법공조방안을 모색해보려고 한다. Globalism in economy and society that has been rapidly progressed in 1990s makes international movement of people, things, money and information easy based on progr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vehicles centering on the Internet service. However, it caused crimes internationalized. Currently, delivery of weapons or drugs and conspiracy with foreigners including departure and arrival of criminals become easier. The profits obtained through crimes are quickly moved beyond the national boundaries and laundered. Korea and China, Japan which have kept good security conditions for such a long time have a new face of crimes according to changing social conditions of globalism. In Particular, money Laundering is getting serious along with liberation of capital movement. Money Laundering which is called as the dark side of economical globalization is becoming a serious threat by making national financial and banking system confused. Thus, as money laundering is transnational, to overcome it, we need international cooperation. So, active efforts for international balance are progressing in each country. Such movement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only countermeasures of specific countries do not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elimination of the problem. Criminals will find out countries or areas whose regulations are weak and commit crimes with a use of weak system as a loophole. Or they may use such places as a safe haven to conceal illegal profits or use them as a refuse. In that meaning, as a countermeasure against current crimes based on transnational or no-boundary, a problem, " how safe haven or refuges can be eliminated in the world" is suggested as an important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is to look out a future task centering on comparison of Korean legal system with Chinese, Japanese on money laundering system that is recognized as the most effective means to demonstrate the proposition of criminal policy as follows: Crimes do not pay. Fin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 small foundation to overcome problems of current law system on money laundering and speculate future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