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ㆍ중 FTA 추진에 따른 중국에서의 비밀유지명령제도 도입에 대한 고찰

        허문일(Xu Wen Ri)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法學硏究 Vol.19 No.1

        중국의 개혁개방정책에 따라 한국과 중국 간의 무역, 투자의 교류도 확대되고 있으며, 한국 경제에서 중국의 비중은 갈수록 커지고 상호간의 경제의존도가 갈수록 높아가고 있다. 이와 반면에 중국이 지식재산권 보호를 강화해 나가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대한 지식재산권 침해가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여 그로 인한 피해가 우려할 만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한국의 경우 한ㆍ미 FTA 협상이 진행되면서 FTA를 통한 지식재산권보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이러한 관심이 한ㆍ중 FTA를 비롯하여 앞으로 추진될 FTA의 지식재산권 협상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때 한국기업으로 하여금 중국의 법률환경을 이해하는 것은 아주 필수적이다. 특히 한국은 이미 타결된 한ㆍ미 FTA의 지적재산권 분야를 충실히 이행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제 곧 추진하는 한ㆍ중 FTA에 대비하여 무엇보다 먼저 지적재산권침해소송의 경우에 양국의 법제도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점을 비교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이번 한ㆍ미 FTA 협상타결에 따라 새로 도입한 지적재산권집행 분야의 법정손해배상제도, 비밀유지명령제도와 같은 새로운 제도를 상호 비교하고, 특히 한국법에 새로 도입되는 비밀유지명령제도를 중국법에 도입하는 것이 이후의 한ㆍ중 FTA 추진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등의 중국의 지적 재산권에 대한 법률연구를 강화하여 지적재산권분야 협상에서 높은 수준의 FTA 협상을 체결하도록 중국을 압박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중국과의 FTA 협상이 개시될 경우 중국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 요구는 한국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지적재산권침해소송에서의 권리보호 및 구제제도와 관련한 양국의 제도를 연구하는 것은 중국법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증진시켜 양국의 국민에게 권리구제의 실효성을 담보하게 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새로운 제도의 접점을 모색하는 일은 양국 사이의 지적재산권침해소송과 관련한 사법마찰을 줄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물론 중국도 이러한 문제에 대비하여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할 것이며 지적 재산권침해사건에서의 비밀유지명령제도의 도입과 같은 선진제도의 도입을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ㆍ미 FTA 체결에 따라 한국에서 도입하게 된 비밀유지명령제도에 대하여 비밀유지명령제도를 먼저 채택하고 있는 일본의 상황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와 결부하여 미국에서의 비밀유지명령제도의 운영과 한국에서의 도입에 따른 이행 입법을 검토한 후 한ㆍ중 FTA 추진에 따른 중국에서의 비밀유지명령제도의 도입가능성과 구체적인 이행입법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ㆍ중 FTA 및 한ㆍ미 FTA의 환경조항 비교

        박명섭(Myong Sop PAK),김상만(Sang Man KIM),우정욱(Jung Wouk WOO) 한국무역상무학회 2016 貿易商務硏究 Vol.69 No.-

        Korea-China FTA and Korea-U.S. FTA are The most significant FTA in volume and economic effect for Korea‘s perspective. Developed countries have dealt with environmental issues one of the main issues in FTA negotiation, while developing countries have been reluctant to it. Both Korea-China FTA and Korea-U.S. FTA have separate environment chapter respectively. A separate environment chapter was firstly introduced in Korea-U.S. for Korea’s perspective. Both environment chapters provide high level of environment protection, recognition of multilateral environmental agreements, enforcement of environmental laws, and environmental cooperation. Both environment chapters require that each party make effort to improve environmental laws and measures. Korea-China FTA provides establishment a “Committee on Environment and Trade”, and Korea-U.S. FTA provides establishment a “Environment Council” to oversee the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 clauses. Korea-China FTA and Korea-U.S. FTA have very similar provisions on environment and trade,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environment protection. However, a lot of provisions are somewhat declaratory rather than mandatory. Therefore, further environmental cooperation is encouraged to achieve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environment clauses and FTA.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