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 개발

        오현경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and to examine its effects.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set; First, Will the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be constructed in a valid manner? Second, Will the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effectively increase the total scores and the sub-factors(aspiration, problem solving, peer relation, family support, academic enviroment) of academic resilience in the treatment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develop the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Development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precedence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which was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the subjects of the program were randomly alloted to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10 students.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was made up of 11 sessions, 50 minutes per session.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 variance analysis was used. The finding of the study 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was constructed in a valid manner in order to improve the academic resilience of Youth. Second, The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effectively increase the total scores and the sub-factors(aspiration, problem solving, peer relation, family support, academic enviroment) of academic resilience in the treatment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uggestions and limitation based on this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은 타당하게 구성되었는가? 둘째,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학업탄력성 전체 및 각 하위요인(열망, 문제해결력, 동료관계, 가족지지, 학업적 환경)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인가? 이다.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학업탄력성 개발모형을 구안하였다.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0명으로 무선할당하였으며, 매회기 50분간 11회기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은 타당한 개발모형에 따라 체계적이고 순환성을 보완하여 개발되었기에 그 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은 청소년 학업탄력성 전체 및 각 하위요인(열망, 문제해결력, 동료관계, 가족지지, 학업적 환경)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청소년들의 학업탄력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김재철(Kim, Jae Chul),문종길(Mun, Jong gil)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및 그것이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분석 자료는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인문고 학생 704명이었고,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또 다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의 원리를 활용하여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학습된 무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지 보기 위해 학업성취 수준(학업성취 하, 학업성취 상)에 대한 경로계수 동일성 검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은 전체 분산의 54.1% 설명하고 있었고,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모두 학습된 무기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중 마음챙김의 설명력이 가장 컸다. 둘째,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은 학업성취 상 등급의 영향력이 학업성취 하 등급의 영향력 보다 더 컸고, 학업성취 상 등급의 경우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모두 학습된 무기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중 마음챙김의 설명력이 가장 컸다. 반면, 학업성취 하 등급의 경우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중에서 학습된 무기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는 마음챙김, 학업탄력성이었다.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이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난 변수는 귀인성향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on learned helplessness and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is a survey data of 704 high school students in P and I city during from July 10 to July 18, in 2014.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PSS v20 and Amos v20. Major findings are follows. First,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were found to have a direct impact on learned helplessness. A total 54% of variance in the learned helplessness was accounted for by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Second, The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on learned helplessness was greater, whe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compared to when it was low. In addition, whe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the learned helplessness was accounted for by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But whe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low, the learned helplessness was accounted for by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 KCI등재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강명희,이수연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9 No.4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ope and ego-resilience o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For this purpose, we had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with first and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and utilized 438 students’ answers excluding some mistakenly collected ones. As for the Two-Way ANOVA analysis, we had yielded coefficients among hope, ego-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and perform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ope and ego-resilience o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hope, ego- 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variables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as well as between grades. The main effect of gender was shown in academic stress, while the main effect of grade was not significant, and the effect of interaction was significant. However, as for hope and ego-resilience, the gender, grade and interac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Second,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mong hope, ego-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found that hop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go- resilience,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stress. Also, ego-resilienc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stres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hope and ego-resilience on academic stress, it had turned out that hope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academic stress while ego- resilience did have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it. It was shown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ego- resilience, optimism and vitality had negative influence, while curios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had static influence. Ego-resilient adolescents while at the same time to inspire a sence of hope to help cope with academic stress on health so that you can grow in the deve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본 연구는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경남지역의 인문계 고등학생 1학년과 2학년을 대상으로 희망척도, 자아탄력성척도, 학업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438명의 데이터를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먼저,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희망,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희망, 자아탄력성, 학업 스트레스 변인에서 성별이나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에 있어서 성별 주효과는 나타났지만 학년별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희망과 자아탄력성에 있어서는 성별과 학년별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희망, 자아탄력성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희망은 자아탄력성과는 정적 상관관계, 학업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각각 확인되었다.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희망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들 중에서 낙관성과 활력성은 부적 영향을 미치며, 호기심과 대인관계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업스트레스에 건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희망감을 고취시키는 한편 자아탄력적인 청소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개입프로그램 개발에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학업탄력성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구경호(Koo, KyungHo),김석우(Kim, Suk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8

        본 연구는 학업스트레스가 학업탄력성에 의해 매개되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세 변인간의 구조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초등학생 532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학업탄력성 및 학업성취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491부(남학생 234명, 여학생 257명)를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1이 완전매개모형인 연구모형2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1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성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는 학업탄력성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탄력성은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업탄력성에 의해 매개되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업스트레스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업탄력성에 의해 매개되어 학업성취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줄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위한 학업지도시 학업스트레스와 이를 극복하여 학업성취를 도울 수 있는 학업탄력성에 대한 인식 및 학업탄력성 증진을 위해 학생이 가지고 있는 개인내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academic stress, academic resil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1 students(male 234, female 257) who were elementary students in Busa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academic stress scale, academic resilience scale and the score of students final exam.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a research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alternative structural model. The research model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cademic stress have a direc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cademic resili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mpirically support the academic stress model that contends the notion that academic stress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resilience. These results show the need to revise the current model and to develop a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one that takes into account various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academic achievement.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학습동기와 학업탄력성의 관계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구경호,유순화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85 students(male 281, female 404) who were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academic motivation, academic self-esteem and academic resilience scal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a research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alternative structural model. The research model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cademic motivation have a direct influence on academic resilience. Second, the academic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resilienc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mpirically support the academic resilience model that contends the notion that academic motivat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ffects academic resilience through academic self-esteem. These results show the need to revise the current model and to develop a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one that takes into account various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academic resilienc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지각한 학습동기가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의해 매개되어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세 변인간의 구조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1, 2, 3학년 752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탄력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685부(남학생 281명, 여학생 404명)를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법에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이 완전매개모형인 대안모형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학습동기는 학업탄력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탄력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기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매개되어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탄력성의 관련 요인인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학업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이론적 근거와 실질적인 구성안을 제공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고등학생의 학업지연행동: 부모양육태도, 학업탄력성 및 학업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Yile Wu,안도희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arenting styles, academic resilience,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385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Korea.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independent t-tes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AMOS 26.0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erceived parenting styles, academic resilience,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on academic resilience,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ccording to parenting styles (i.e., positive parenting style vs. negative parenting style). Finally,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resilience had direct negative influence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Furthermore, academic resilience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resilience also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engagement.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resilience play important roles in academic procrastina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의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학업탄력성, 학업열의 및 학업지연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2개 고등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85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 분석을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분석하였으며, 부모양육태도에 따른 두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부모양육태도, 학업탄력성, 학업열의 및 학업지연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AMOS 26.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학업탄력성, 학업열의 및 학업지연행동 간의 유의한 상호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 집단의 학생들은 부정적 양육태도 집단의 학생들에 비해서 학업탄력성과 학업열의 수준이 더욱 높고 학업지연행동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양육태도, 학업탄력성이 학업지연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가 자녀의 학업탄력성과 학업열의를 함양하게 하며, 자녀의 학업지연행동을 완화시키며, 학업탄력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이를 통해 학업지연행동을 완화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고등학생의 학업지연행동 예방을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

        이영만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trends of academic stress, academic 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a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The research subjects were 7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ree kinds of scale were implemen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of SPSS 19.0 and Hayes' PROCESS 2.11.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First, the levels of academic stress were highest in the 5th grade students, the academic resilience the 4th grade students, and the academic burnout the 6th grade students. Overall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scores of negative variables. So The 6th grade students who were experiencing more academic stress, showed lower academic resilience and higher academic burnout. That is, academic resilience showed a negative effect to academic burnout, so the higher the level of academic resilience, the lower the level of academic burnout. Second, academic resilience ha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But regardless of the level of academic stress, children's academic burnout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resilience. Finally, the analyzed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를 710명의 4, 5, 6학년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학업스트레스, 학업탄력성, 학업소진 수준에 대한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고학년일수록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 수준이 높고 학업탄력성은 낮았다. 둘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 SPSS용 PROCESS 2.11을 사용하여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업스트레스와 학업탄력성은 학업소진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이었으며, 학업스트레스×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주효과분석 결과,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관계없이 학업탄력성이 강할수록 학업소진 수준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대해 선행연구와 관련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쌍이(Ssang-Lee Lee),이수진(SuJin Lee)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논총 Vol.30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6개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6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비교해 보면,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학교생활적응에서는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의 상하 수준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정도를 비교해 보면,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전체 학업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t=-3.47, p<.001), 학업스트레스 하위요인들 역시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 상하 수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비교해보면,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전체 학교생활적응 점수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t=13.31, p<.001) 학교생활적응의 하위 요인들 역시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와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부적 상관(r=-.24, p<.01)을 보여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과 매우 높은 정적 상관(r=.68, p<.01)을 보여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에 대처하고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계발이 필요하고,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verify the importance of self-resilience by examining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resilience upo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selected 300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attending six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Thereby, this paper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e comparison of self-resilience,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by sex, it was shown that self-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did not differ by sex and girls indicated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 in the comparison of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resilience, it was found that the group showing high self-resilience indicated lower overall academic stres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3.47, p<.001), and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also gained lower scores in the subfactors of academic stress. Third, in the comparison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resilience, it was shown that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received a high score in overall school life adapta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13.31, p<.001), and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also gained high scores in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Fourth, since children’s self-resilience had a significantly high negative correlation (r=-.24, p<.01) with academic stress in general, as self-resilience is higher, academic stress gets lower. And children’s self-resilience exhibited a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r=.68, p<.01) with school life adaptation, so as self-resilience is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becomes better.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self-resilience in the preventive dimension to relieve academic stress and support school life adaptation and also conduct follow-up researches on various variables affecting self-resilience.

      • KCI등재

        그릿과 학업적 탄력성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글쓰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정덕현,박송이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The Effect of Grit and Academic Resilience on AcademicSelf-regulation: Mediating Effects of Writing EfficacyDukhyun Jeong & Songyi Park Abstract: This study verifi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rit, academic elasticity, and academic self-regulation in college students,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writ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cademic elasticity, and academic self-regulation. The research method conducted a survey of 183 university students at H university, and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using SPSS 22.0 and AMOS 2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contents of this paper, college students’ grit and academic elastic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riting efficacy, and grit and academic elastic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regulation. In addition, writing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self-regulation. Reflecting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enhancing 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self-regul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lead t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to improve learners’ self-regulation. Key Words: Grit, Academic Resilience, Academic Self-regulation, Writing Efficacy, Mediating Effects 그릿과 학업적 탄력성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글쓰기 효능감의 매개효과정 덕 현*ㆍ박 송 이**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그릿, 학업적 탄력성과 학업적 자기조절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그릿, 학업적 탄력성과 학업적 자기조절 간의 그 관계에서 글쓰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H대학 대학생 18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그 자료를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 내용은 분석 결과, 대학생의 그릿과 학업적 탄력성은 글쓰기 효능감과, 그릿과 학업적 탄력성은 학업적 자기조절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그릿, 학업적 탄력성과 학업적 자기조절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효능감은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학업적 자기조절 향상을 위해 관련 변인을 제고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습자의 자기조절 향상을 위한 교수법 개발과 적용으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그릿, 학업적 탄력성, 학업적 자기조절, 글쓰기 효능감,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9월 30일, 수정일: 2022년 10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한남대학교 탈메이지교양대학 강의전담교수(First Author, Professor, HanNam Univ., Email: sun1496@hanmail.net)** 교신저자, 한남대학교 탈메이지교양대학 강의전담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HanNam Univ., Email: emptyyou@naver.com)

      • KCI등재

        초.중학교 시기 학업탄력성의 종단적 변화 양상 및 영향 요인 탐색

        이지용(Jiyong Lee),나우열(Wooyoul Na),이현숙(Hyun Sook Y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학업탄력성의 종단적인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의 초등학교 6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4시점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체 학생들의 각 시점별 학업탄력성에 따른 집단의 규모와 학업성취도를 파악하고, 학업탄력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취약계층 학생들의 학업탄력성 변화 양상에 따라 유형을 세분화하고 학업탄력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다층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이 지날수록 비취약계층-우수 집단과 비학업탄력적 집단의 규모는 증가하는 한편, 학업탄력적 집단의 규모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초기에 학업탄력적 집단이었으나 시간이 지나 비학업탄력적 집단으로 이동하는 학생들의 규모는 그 반대의 경우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탄력성이 하락하는 유형이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이러한 학생들은 초⋅중학교의 전환기 시점에서 학업성취도의 감소폭이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이해도, 학업과 관련된 여가 시간 활용, 교사의 학생 특성 파악 정도 등의 변인은 학업탄력적 유지 유형에 대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기술통계와 시각화 기법을 중심으로 전국의 초등학교 6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4년간 전체 학생들의 학업탄력성에 따른 집단 변화 양상을 포괄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의의가 존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longitudinal trends in academic resilience and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atterns of these trends. Methods Achievement data and survey data annually measured for the students from the 6th to 9th grades in the Korea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KELS) 2013 were used for the analyses. Students at each time point were classified into one of the four groups defined by the status of academic resilience and relative proportion of students in each sub-group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were explored. In addition, multilevel-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employ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that predict the patterns of longitudinal trends of academic resilience for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class.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have shown excellent academic performance among socio-economically non-disadvantaged class and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have shown poor academic performance among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class have been increased over time, the proportion of academic resilient students who have shown excellent academic performance among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class has been decreased. Second,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have transitioned from academic resilient group to academic non-resilient group was larger than that of their counterparts, and the extent to which their academic achievement declined was highest during the time of transi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Third, it was found that characteristics such as comprehension of class materials, the out-of-school study time, and teacher s understanding of student characteristics showed positive effect in predicting academic resilience. Fourth,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f the introjected regulation for students who have transitioned from academic resilient group to academic non-resilient group compared with students who have preserved academic non-resilient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implication in that it was comprehensively explored the longitudinal group change trends according to academic resilience from 6th grade to 9th grade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d visu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