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업성적을 이유로 한 차별과 교육의 불평등

        김지혜 ( Jihye Kim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6 법과 사회 Vol.0 No.5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4년 연구에 따르면, `학업성적을 이유로 한 차별`은 연구에 참여한 초중고등학생의 30.5%가 경험했다고 보고한 가장 주요한 차별의 유형이었다. 하지만 국내 법령에서는 이를 명시적으로 규율하지 않고 있고,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된 소수의 사건을 통해 그 구체적인 양상이 일부 드러나는 상황이다. 헌법은 `능력에 따른 균등한 교육기회`를 보장하며 교육권에서의 평등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는데, 교육현장에서 대표적으로 보고되는 이 차별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조치가 취해지지 못했다. 그 이유 중 하나로 학업성적을 이유로 한 차별이 헌법이 용인하는 `능력에 따른` 합리적 차별로 오해되어 간과되는 측면도 있어 보인다. 이 글에서는 초중고등학생 9,823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교환경에서 학업성적을 이유로 한 차별이 발현되는 양상을 탐색한다. 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생에 비해 학업성적이 낮은 학생이 학교에서 덜 존중받고 교육의 기회를 덜 제공받으며 차별의 결과 정신적 건강에 해를 입는 구조적 경향이 있음을 발견한다. 학업성적이 교육적 도구의 기능을 넘어, 마치 하나의 사회적 신분처럼 사람을 달리 대우하는 기준이 되고 있으며, 이것이 헌법에 위배되는 교육의 불평등을 초래하는 현실을 지적한다. 따라서 국내의 일부 조례들에서 `학업성적`을 차별금지사유로 명시한 바와 같이 국내 교육 관련 법령에서 학업성적을 차별금지사유로 명시하며, 학업성적에 따른 차별의 철폐를 교육정책 안에서 하나의 주요한 의제로 적극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According to a study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4, `academic performance` was the type of discrimination most widely suffered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lthough a few relevant cases decid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llude it, however,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academic performance` has not been explicitly stated or seriously considered as a type of discrimination in law and policy.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guarantees “equal right to receive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ir abilities,” reiterating the principle of equality in the context of education, but no active measures have been taken to address this type of discrimination. One of the reasons seems to be that the discrimination based on academic performance is often erroneously legitimatized as a rational discrimination according to one`s abilities, which the Constitution permits. This article analyzes the data of 9,823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explores the features and effects of discrimination based on the academic performance. It reveals that `discrimination based on academic performance` in Korean society is characterized as one that favors students with excellent academic performance over those with poor academic performance in broad context of school life. The problem is that the meaning of `academic performance` in schools goes beyond a measure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becomes a standard that determines status or class in schools by which students are treated differently. Therefore, as a few local governments have adopted `academic performance` as a prohibited ground for discrimination in their ordinances, this article argues that legislators should consider explicitly stipulating academic performance as a prohibited ground for discrimination and that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take positive measures to combat this type of discrimination.

      • KCI등재

        한국의 교육과 사회이동 : 여성과 남성의 차이

        장상수(Sang-soo Ch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8 No.-

        This paper reviewed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which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Although these research can be classified into some detailed topics, this paper examined only the two education-related topics: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the returns to education. Each of these two topics includes two details respectively: the former is consisted of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of educational attainment, whereas the latter comprises both the returns in the labor market such as occupational and monetary and the returns in the marriage market such as cultural and monetary. Summarizing the various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tried to show both the present status or level of inequality in Korea in comparative perspective and the temporal change of it over the recent several decades. It found the following distinct trends; first,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or of educational attainment, has deteriorated since the early 2000s. Second, all of the returns to educati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labor market returns or marriage market returns, have declined since the mid 1990s. 이 글에서는 지난 수 십 년 동안 한국의 사회이동을 다룬 국내외 경험 연구를 개관하였다. 사회이동 연구는 여러 가지 세부 주제로 나뉘지만 여기에서는 교육과 관련한 두 연구 주제, 즉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을 살펴보았다. 특히 여성의 교육기회와 여성 교육의 수익을 더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다시 학업성적의 불평등과 학력성취의 불평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교육의 수익은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이 글은 한국의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이 국제 사회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였거니와 시계열 변화 방향도 알아보았다. 이런 비교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 학업성적이든 학력성취든 교육기회의 균등성은 1990년대 또는 2000년대 이후 점차 악화하였다. 둘째, 교육의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 그리고 여성의 혼인 수익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