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과 협동 학습의 의미와 방법

        이재승,정필우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7 No.-

        이 글은 국어과 협동 학습의 중요성과 구체적인 방법을 다루고 있다. 협동 학습은 한 마디로 일정한 구성원들이 공동의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동등한 입장에서 책무를 가지고 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구성원 모두에게 유익한 결과를 산출해 내고 결과에 대해 공동의 평가를 강조하는 학습 형태이다. 이렇게 협동 학습은 공동의 목표를 갖는다는 점, 구성원 모두가 동등한 입장이라는 점, 개인의 책무성이 강조된다는 점, 모두에게 유익한 결과를 산출하고자 한다는 점, 결과에 대해 공동으로 책임을 진다는 점 등에서 일반적인 학습 형태와는 구별된다. 이 글에서는 국어과에서 협동 학습법의 뜻과 그 중요성을 다루었다. 그런 다음 국어과 협동 학습법을 적용할 때 유의해야 할 원리를 제시했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협동 학습을 적용하는 데 하나의원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국어과의 협동 학습법의 유형으로 배분 학습법, 상호 교수법 등을 제시했다. 그런 다음 각 협동 학습법을 적용할 때의 지도 절차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협동 학습법의 적용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제시함으로써 협동 학습법의 적용 모습을 그려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게 했다. Korean Language Learning can be achieved by the interaction of the Language among the students. Just as Vygotsky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social language' and 'role of adult and peer', Korean learning process can be done by the talking with the able student or a teacher, and by the established scaffolding which they communicate between little master and student,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Accordingly, Cooperative Learning makes students play active roles in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Because one of the traits of Cooperative Learning is that the member of the group are from heterogeneous groups, Cooperative Learning evokes language interaction actively. 'Teaching According to students level' which the Seven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point, aims individual teaching on the ground of the homogeneous traits of the student. But the social interaction of language which can be active among the heterogeneous groups will be diminished if we devide the student into able and poor group.

      • KCI등재

        UX 디자인 교수학습법에 따른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김영석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7 No.4

        In Design universities, field-based method, discussion method, multi-interdisciplinary study, phased method and others are applied as either a single method or multiple method.. In case of UX design learning, however, the multiple method is applied more than the single one, so a matter with regard to which method preferentially influences on the effect of learning would be brought up.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ach a class applying the four teaching methods—field-based method, discussion method, multi-interdisciplinary study and phased method—and consider relation of satisfaction in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accordingly. For this, a class where the four methods were applied was taught to 160 students taking 'UX design', which was opened during the second semester as an intensive course of the design-related departments of K College in 2018. On the 15th week of the class,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empirically. The result showed that 'field-based method' and 'multi-interdisciplinary study' influenced on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in learning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other methods. With regard to learning achievement, 'multi-interdisciplinary study' and 'field-based method' were more influential than the other methods.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in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higher learning achievement led to higher satisfaction in learning. It is expected that UX design educational method will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education of design schools as well as other colleges in future. 최근 디자인 계열 대학에서 UX디자인 교육 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교수학습법은 현장중심 학습법, 토의식 학습법, 다학제적 학습법, 단계적 학습법 등이 단일 학습법 또는 복수의 학습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UX디자인 학습의 경우 단일 학습법보다 복수의 학습법을 적용하다 보니 어떤 학습법이 학습효과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계열의 ‘UX디자인’ 교과목에서 4가지 교수학습법인 현장중심 학습법, 토의식 학습법, 다학제적 학습법, 단계적 학습법을 적용하여 수업한 후, 이에 따른 학습만족도와 학습성취도와의 관련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K 전문대학교 2018학년도 디자인 계열의 심화과정 2학기에 개설된 ‘UX디자인’ 교과목 수강자 160명에게 4가지 학습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수업한 후 15주째 설문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장중심 학습법’과 ‘다학제적 학습법’이 타 학습법보다 학습만족도 향상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성취도의 경우에는 ‘다학제적 학습법’과 ‘현장중심 학습법’이 타 학습보다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학습만족도와 학습성취도의 관계에서는 학습만족도가 클수록 학습성취도는 높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에는 UX 디자인 교수학습법을 도입하려는 다른 대학의 교육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漢文科 敎授ㆍ學習의 理論과 方法

        宋秉烈(Song Pyung Nyul)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9 동아한학연구 Vol.- No.5

        교수ㆍ학습의 방법은 수업을 통해 최상의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수업에 관한 여러 접근 방법들의 강조점과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자와 학습과제의 특성, 수업조건에 맞도록 활용해야 한다. 일반적인 교육학 이론은 교수자와 학습자 행동의 내용을 중심으로 개발된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을 제시한다.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은 여러 교과나 내용에 보편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대부분 수용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교과의 내용과 매체의 특성을 반영한 방법은 개발되었다. 따라서 한문과에서는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내용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매체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등으로 크게 분류한다.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에는 교사 중심의 강의법, 학습자가 결론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질문을 위주로 하는 질문법, 교사와 학습자간 의사소통을 통한 토론법,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의 학습 환경을 구성해주는 개별학습법, 자유로운 연상과 탐색발견을 위주로 하는 브레인스토밍과 버즈 학습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중심의 문제중심 학습법, 소집단 구성원들이 협력하여 목표를 성취하는 협동학습법, 학습자 스스로 학습 요구를 진단, 계획, 실행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법,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역할에 참여하게 하는 역할놀이 학습법, 낭독법 등이 있다. 내용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으로는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분석법, 조어 분석법, 이야기를 통한 고사성어 학습법, 도제식 한시 교수ㆍ학습법, 자원 활용법, 비교학습법, 허자지도를 통한 독해 지도법, 어순 구조를 통한 독해 지도법 등이 있다. 매체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으로는 언어 활용법, 색출법, 이미지컷 활용 학습법, 한자카드 활용법, NIE 활용 학습법, 웹기반 교수ㆍ학습 방법, 옥편 활용 지도법 등이 있다. 전통적인 교수ㆍ학습 방법은 근대의 교수ㆍ학습 방법과는 다른 것이 주로 학습법에 치중되어 있다. 자기주도 학습법이라고 할 만한 것이 대부분이다. 낭송하며 학습하는 誦讀法, 학습내용을 반복해서 읽는 多讀學習法, 학습 내용의 이치를 궁리하여 깨우치는 格物致知 學習法(격물치지 학습법 ; 精讀 學習法), 철저한 자기관리를 통하여 학습하는 全心全力(전심전력) 학습법 등이 있다. 제시된 한문과의 교수ㆍ학습 방법은 다양하나, 체계화가 미흡하여 다양한 유형과 모형, 기법의 개발 여지가 많다. The method of teachingㆍlearning is for getting the best effect through the class, so we have to grasp emphasis and characteristic of various methods about class and utilize to proper character of learner and task and the condition. As the methods of teaching-learning, there are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s of pedagogic theory 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classified two branches, one is to apply some general theories to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and the other is developed to be right for contents or nature of the area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In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s, there are 'Lecture method', teacher-centered method, 'Conversational method', question-centered to help learner draw the conclusion, 'Discussion metho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Personal learning', making one's personal studying environment out of regard for nature of learner, 'Brainstorming and Buzz learing', ceturing free associations and the exploration and discovery, 'Problem based learning', centuring process that is solving problems, 'Team teaching', where members achieve goals to work together, 'Self-lead learning', where the learner diagnose, plan and act learning needs himself, 'Role-play method', leading to play roles in the artifical situations and so on.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llowing Chinese character and content's area, there are the things that are presented for pedagogic general theory like 'Elocution, Lecture method, Discusson method, Team teaching, Role-play method and so on', or developed in the school field like 'Elocution adding Hangeul to Chinese character, Leading method using image cuts,Utilizing Chinese character card,Radical centered teaching, Analyzing constructure, Utilizing resouces, Teaching through th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Ok Pyeon), Analzing coinages, Utilizing languages, Searching out method, Comparing, Teaching reading through leading Huh ja(虛字), Teaching readig through constructure of the word order, Cognitive teaching apprentices and so on'. Some of them presented 'process', model of studying, but most of them are the teaching-learing methods presented in the level of technique without model.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s mainly focus on something unlike modern teaching-learning methods. Most of them are the things to say self-lead learning, learning through recitation(誦讀法), reading contents repeatedly(多讀 學習法), realizing the logic of learning contents through devising(格物致知 學習法), learning through thorough self-discipline(全心全力學習法). There are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but they are open to developing various types,models and techniques because they are insufficient for systematization.

      • KCI등재

        교회학교 교사교육을 위한 문제중심 학습법의 사용-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문제중심 학습법의 효과에 대한 한국 교회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이수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7 No.-

        There is a hunger for effective teacher equipping programs for adultvolunteer teachers in the educational ministry of today’s churches. Inaddition, these programs for volunteer teachers need to be well-suitedfor adult learners and relevant to their real-life situations. The purpose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oblem-BasedLearning (PBL) in volunteer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a church inSouth Korea. A grounded theory study was utilized in order to comparechurc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traditionalLecture-Based Learning (LBL) and PBL upon their learning process. InSpring 2011,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participated in a volunteerteacher training program (total 8 weeks) primarily designed using LBL( week 1 t hrough 4 ) and PBL approaches ( week 5 through 8 ). T his studyutilized observations by the researcher, open-ended surveys, andinterviews to collect data from the church school teachers in a KoreanPresbyterian church in Anyang,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through the procedures of a grounded theory study. Based on the datacollect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makehypotheses that described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PBL and theirPBL experiences. First, PBL can shift the center of learning from the teachers to thelearners in a Korean church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Second,the participants of PBL will yearn to apply the PBL approaches in theirown teaching contexts. Third, the unfamiliarity of PBL can be adifficulty to implement for a Korean church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in Korea. Also, PBL seems to require more time to complete thetraining session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pedagogies. 한국 교회의 수적, 질적 감소와 주일학교 교육의 침체에 대한 원인을 여러 가지에서 찾을 수 있으나 많은 전문가들은 교회 주일학교 교사들이 충분하고 효과적인 훈련을 받지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교회의 교육사역을 위해 효과적으로 교사들을 교육하는 것에 대한 갈망은 어느 교회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성인교사교육 프로그램들은 성인 학습자로서의 그들의 특성과 그들의 상황과 잘 어울리는 것이어야 한다. 이질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한 지역교회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문제 중심 학습법(Problem-based Learning)의 효과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문제중심 학습법만의 효과가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살펴보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강의중심 교수법과 문제중심 학습법에 참여한 교사들이 각 교수법의 효과를 어떻게 다르게 인식했는지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총 8주짜리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들은 처음 4주(1주-4주) 동안은 강의중심 교수법을 통해 교육을 받았고, 그 다음 4주(5주-8주)의 기간에는 문제중심 학습법을 통해 교육을 받았다. 교육을 하는 동안 연구자는 참여자들의 반응을 관찰했고, 연구가 마친 후 간단한 설문조사를 했다. 또한 20명의 교사들을 심도 있게 인터뷰 했고, 나중에 분석한 데이터를 가지고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한국 주일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의하면,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습자들의 배움의 과정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옴을 발견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교수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학습에 가장 주요한 행위자가 되도록 하였다. 그들은 주어진 문제중심 학습법의 프로젝트를 그들 스스로 계획하고, 관리하고 시행해나갔고, 그 결과 다양한 소스로부터 배울 수 있었다. 이러한 모든 학습과정은 귀납적으로 이루어졌고, 학습자들 자신이 그들의 배움의 출발점이었다. 또한 이러한 학습 과정에 있어서의 극적인 변화는 참여자들의 배움에 큰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들을 산출하였다. 학습에 대한 그들의 태도도 보다 긍정적으로 바뀌었고, 자신들이 배운 것을 각자의 가르침의 사역의 현장에 접목하고 적용하려 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된 데이터에 근거해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습의 중심을 교사에서 학생으로 전환시켰다. 둘째, 문제중심 학습법에 참여한 교사들은 자신들의 교육 사역에 이 교수법을 적용하고 싶어 했다. 셋째, 그러나 문제중심 학습법에 대한 참여자들의 낯설음은 향후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될 수도 있고 또한 문제중심 학습법은 훈련과정을 마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요구했다.

      • KCI등재

        문화 텍스트적 관점의 번역 동화 이해 교육

        권순희 ( Soon Hee Kwon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5

        언어에는 문화가 반영되기 마련이며 텍스트에도 문화가 반영되기 마련이다. 번역 동화를‘문화’라는 표지(marked)로 이해하고 읽어 가자는 의도에서 문화 텍스트적 관점이라고 명명하였다. ‘문화 텍스트적 관점’으로 번역 동화에 나타난 언어 문화를 분석하고 이해하도록 초등학생에게 교육하고자 연구가 이루어졌다. 대한출판문화협회의 출판 통계에 의하면 10년 전에 비해 2000년대에 번역 도서와 번역 동화의 발행부수가 급증한 것을 알 수 있다. 2002년에 전체 도서 발행 종수 대비 번역도서의 비중을 보면, 아동 도서의 경우 46.8%, 만화의 경우 41.43%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이 접하게 되는 도서 중 번역 동화의 공급이 커지고 있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번역 동화에 대한 연구는 국어 교육 측면에서 거의 전무한 상태다. 간혹 번역에 대한 일반론에서 원전과 번역본과의 대조를 다루는 경우는 있으나 국어교육적 측면에서 다룬 연구는 찾기 어렵다.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해 나갈 미래의 일꾼을 위한 연구 과제로 번역 동화는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 분야이다. 번역 동화를 읽으면서 한국문화와 외국문화 사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문화 요소를 탐구하는 과정은 창의적 사고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은 물론 국어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번역 동화에 나타난 언어 문화적 현상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리적 구조 및 언어 문화적 현상을 다양한 방법으로 비교 검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논리적,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은 물론 하이브리드적 사고 능력(종합적 사고 능력 +관계적 사고능력)이 향상될수있다. 독일의 전래동화『개구리 왕자』와 영국의 창작 동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미국의 창작 동화『찰리와 초콜릿 공장』등을 등장인물, 표현, 가치관이라는 틀로 분석하였다. 작가의 문화적 텍스트 구성에 초점을 두어 분석의 틀로 삼았다. 작가가 텍스트를 구성하는 차원을 염두에 두고 이야기 구성에 대표성을 띠는 등장인물(텍스트 내적 요인), 텍스트표현(텍스트 외적 요인), 텍스트의 기반을 이루는 작가의 가치관(텍스트 기반 요인) 등을 고려 요소로 선택하여 번역동화를 살펴보았다. 이 분석은 번역 동화에 대한 교육 내용이 될 것이다. 번역 동화의 교육 내용에 근거하여 교수 학습법을 창안하였다. 국어교육 학습내용에 근거한 교수 학습법 창안은, 기존의 형식적 교수 학습법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다. 국어교육 내용학 차원에서 교수 학습법이 창안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문화 탐구 학습법, 이야기 분석 학습법, 이야기 구조 학습법, 관점 선택 학습법 등을 제안하였다. Text as well as language reflects culture. In the point that translated children`s story should be understood and read as a mark of culture, a reading education method was sugges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atio of translated children`s stories and comics in the published children`s books in 2002 were 46.8% and 41.4%, respectively. Although studies on the translated children`s story are very important for Korean education of children, little has been studied. The culture-inquiring process through reading translated children`s story can enlarge original thinking ability of children and this kind of education can open a new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Children`s hybrid thinking ability as well as logical, analytical,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can be developed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linguistic culture phenomena of translated children`s story. A German traditional tale ‘The Frog Prince’, an England fiction ‘Alice in Wonderland’, and an American fiction ‘Charlie and the Chocolate Factory’ were analyzed in the point of characters (a primary internal factor of text), expression (a primary external factor of text), and the writer`s sense of values (a fundamental factor of text). These factors can be education contents of the translated children`s story.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children`s story teaching methods such as culture inquiry teaching method, story analysis teaching method, story structure teaching method, and taking perspective teaching method were proposed.

      • KCI등재

        Tandem 학습법을 활용한 중국어 교육 방안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이효영 한국중국언어학회 2011 중국언어연구 Vol.0 No.35

        Tandem學習法指的是兩個不同母語的學習者通過自主地交流來學習對方的語言和文化等。這種交流可以是面對面的交流, 也可以通過其타手段進行, 如電話、電子郵件(或者書信)、網上聊天等。타是一種建立在自主學習、跨文化學習和과伴關系基礎上的學習方法。通過Tandem學習法, 學習者不僅能구提高自身的語言交流能力, 而且還可以鍛煉自主學習能力、跨文化交際能力以及解決問題的能力等。在韓國, Tandem學習法的應用尙處於起步階段。釜山外國語大學已經開始爲學生提供Tandem學習機會, 但國內相關硏究仍然較少。本文就當前Tandem學習法在韓國漢語敎學上的應用狀況進行了調査和硏究。介紹Tandem學習法的定義, 原則、基本運用形式、實施原則、學習過程、學習方法與內容等。爲了更多了解Tandem學習法在漢語敎學中的應用狀況, 對釜山外國語大學的漢語-韓語Tandem課的學習者進行了問卷調査, 對Tandem學習法在韓國漢語敎學中的應用給出了一些建議。

      • KCI등재

        내용-언어 통합학습법과 이탈리아어 수업 적용의 실

        윤종태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19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58

        In questo articolo ho cercato di presentare l'approccio CLIL(apprendimento integrato di lingua e contenuto) e la prassi didattica per permettere questo approcio. Per fare questo ho tracciato la situazione corrente della formazione degli insegnanti di lingua che stanno utilizzando questa metodologia ed ho provato di costituire acuni modelli di lezioni che sono stati stabiliti da me con la nuova metodologia. L’idea fondamentale della metodologia CLIL è quella di trasmettere il contenuto di una disciplina nella lingua di scopo, servendosi di vari strumenti, le risorse e i materiali disponibili. L'approccio CLIL costituisce non solo un nuovo ambiente di apprendimeto ma anche un nuovo ambiente di insegnamento. Pertanto, rappresenta un nuovo ‘spazio’ di ricerca che può essere studiato da una varietà di prospettive. Non si tratta quindi semplicemente di spiegare una materia in una lingua straniera (scienze, arte, musica, geografia, storia, ecc.), ma di un vero e proprio apprendimento integrato, dove la lingua viene utilizzata per insegnare dei contenuti disciplinari. Per fare questo è necessario organizzare il contenuto che si vuole trasmettere in modo che sia semplice da comprendere, reperire e ripetere, con un elenco di vocaboli limitato. Il presente articolo si è concentrato proprio su questo aspetto attraverso l'analisi dei dati raccolti per una lezione preparata con la metodologia CLIL. La maggiore parte di questo lavoro consiste nella presentazione di un modello della mia lezione che aveva una finalità di far apprendere un elemento grammaticale(il passato remoto) attravero le canzoni, le fiabe(favole) e le varie risorse che riguardano la storia dell’Italia. I risultati mostrano che è necessario prestare maggiore attenzione all’aggiornamento degli insegnanti stessi nell'organizzazione delle attività della lezione CLIL che sono più favorevoli alla più ricca attività di comprensione, di scrittura e di produzione orale da parte degli studenti.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은 언어를 매개로 다른 내용을 가르치는 학습 방법이다. 캐나다에서 유행했던 몰입교육이나 미국의 내용 중심 교수법 과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다. 이러한 방법론이 만들어진 시기, 어학 학습의 환경 변화, 해당 제2 언 어의 지위, 언어 학습자의 지리적 위치 등에 따라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시작되고 성장한 배경 그리고 강조하는 점은 조금씩 다르다.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의 기본적인 접근은 언어를 실제와 유사한 상황에서 배우게 하는 것이다.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은 몰입교육의 여러 문제점과 교육 효과에 대한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를 해결하거나 개선할 마땅한 해결책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방법론으로 도 입될 수 있다. 외국어 전용 강의의 폐단을 극복하고 학습자의 언어 능력과 교수자의 준비도를 고려하여, 나름의 상황에 맞는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을 활용 하는 수업 방식은 현재의 교육 시스템과 사회 환경에서 최신의 멀티미 디어 외국어 학습 도구를 이용하는 가장 효율적이고 무난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에서는 교수자의 역할이 매 우 중요하다. 그리고 이 역할의 대부분은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수업 시간에 사용할 재료들을 찾아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소개한 수업의 예는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이 대학교의 제2 외국어로 이탈리아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수업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하나의 제시에 불과하다. 외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 다 양한 매체들의 발전과 함께 더 나은 수업 환경이 계속 만들어질 것이고 이는 보다 완성된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을 활용한 수업의 완성도를 높 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다. 외국어 교수와 학습에서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교수자들의 자기 발전이 필요성이 더욱 필요한 시 대가 도래했다 . 본 연구는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을 활용한 수업을 위해 가장 중요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교수자가 재교육까지는 아니더라도 새로운 교수 법을 연구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는 경험의 축적을 통하여 더 나은 외 국어 학습과 교수의 길을 모색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 여기에 소개된 것은 외국어 교육자인 한 개인의 경험의 일부이며, 앞 으로도 더 많은 발전을 이루기 위한 시작 단계의 예를 보여준 것으로 이해해주었으면 한다.

      • 테스트 시간 감소를 위한 새로운 앙상블 학습법

        류서현,장민기 한국품질경영학회 2018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에서 테스트 시간 감소를 위한 새로운 앙상블 학습법에 대해 설명한다. 기계학습에서는 더 좋은 예측성능을 얻기 위해 하나의 모델로 예측하기보다 여러 모델을 이용해 예측을 하는 앙상블 학습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앙상블 학습법은 더 좋은 예측 성능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테스트 시 여러 모델을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모델을 수행하는 것보다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알고리즘 수행시간과 동일한 테스트 시간을 가지는 앙상블 학습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앙상블 학습법은 학습 시 n개의 모델을 학습하고, 테스트 시 n개의 모델을 수행하여 예측을 한다. 하지만 제안하는 모델에서는 학습 시 1차적으로 n개의 모델을 학습하고, 이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1개의 모델을 학습한 후, 테스트 시 2차적으로 생성한 1개의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한다. 새로운 앙상블 학습법은 기존 방식 대비 수행시간을 n배 줄일 수 있다. 시험결과, 예측 성능 측면에서는 기존의 앙상블 학습법 대비 약간의 성능저하는 있으나, 동일한 테스트 시간을 가지는 하나의 모델을 이용한 예측 방식 대비 상당한 성능향상을 가져온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앙상블 학습법은 테스트 시간에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 상당한 예측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수학교 학생들의 컴퓨터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법 적용과 평가

        홍성미(Hong-Sung Mi),김귀정(Gui-Jung Kim),김봉한(Bong-Ha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9

        일반학교와 특수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컴퓨터 교육 과정 내용과 수업 방식을 조사?분석하고, 일반학교 비장애 학생들의 교수-학습법을 참고하여 특수학교 지체장애 학생들에게 새로운 교수-학습법을 제시하고 수행하였다. 제안된 교수-학습법에 대한 지체학생들의 수업 방식, 학생들의 태도를 평가하고 기존교수-학습법과 제안된 교수-학습법의 차이점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안된 특수학교 컴퓨터 교육에 대한 교수-학습법의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new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suggested and verified its efficiency.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teaching-learning method will be examined and compared by attending Hangeul class of the computer training courses in the special schools and regular schools. In addition, for evalu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existing teaching-learning method will be conducte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the special schools and after applying new teaching-learning method, the questionnaire survey will be conducted again. Through th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the impact of the new teaching-learning method o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all be analyzed.

      • KCI등재

        인공지능 스토리텔링(AI+ST) 학습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여현덕,강혜경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5

        본 연구는 인공지능(이하 AI)이 모든 영역에 전일적으로 확산되는 시점을 맞아 비전공자들도 AI를 효과적으 로 학습하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하나의 시론적 연구이다. AI 교육을 수학, 통계, 컴퓨터공학 전공 학생들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과학 등 다른 전공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학습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마침 ‘설명 가능한 AI(XAI: eXplainable AI)’의 필요성과 MIT AI 연구소의 Patrick Winston의 ‘지각 있는 기계(AI)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중요성[33]'이 두드러진 상황에서 AI 스토리텔링 학습모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이 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대구 소재 A 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가능성을 테스트하였다. 먼저 AI 스토리 텔링(AI+ST) 학습법[30]의 교육목표, AI 교육내용의 체계와 학습방법론, 새로운 AI 도구의 소개 및 활용에 대해 살펴보고, 1) AI+ST 학습법이 알고리즘 중심의 학습법을 보완할 수 있는지, 2) AI+ST 학습법이 학생들에게도 효과가 있는지, 그리하여 AI 이해력, 흥미도, 응용력 배양에 도움이 되었는지에 관한 연구 질문을 중심으로 학습 자들의 결과물을 비교 분석하였다. This study is a theoretical research to explore ways to effectively learn AI in the age of intelligent information driven by artificial intellige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I). The emphasis is on presenting a teaching method to make AI education accessible not only to students majoring in mathematics, statistics, or computer science, but also to other majors such a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the general public. Given the need for ‘Explainable AI(XAI: eXplainable AI)’ and ‘the importance of storytelling for a sensible and intelligent machine(AI)’ by Patrick Winston at the MIT AI Institute [33], we can find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on AI storytelling learning model. To this end, we discuss the possibility through a pilot study targeting general students of an university in Daegu. First, we introduce the AI storytelling(AI+ST) learning method[30], and review the educational goals, the system of contents, the learning methodology and the use of new AI tools in the method. Then, the results of the learners are compared and analyzed, focusing on research questions: 1) Can the AI+ST learning method complement algorithm-driven or developer-centered learning methods? 2) Whether the AI+ST learning method is effective for students and thus help them to develop their AI comprehension, interest and application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