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준 문법’으로서의 ‘학교 문법’ 정립을 위하여

        박정규 우리말학회 2013 우리말연구 Vol.34 No.-

        이 글은, 우리나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말의 전반적인 체계를 알게 하기 위해, 85년도 국정 체제로 설정된 현재의 학교 문법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국정 체제의 학교 문법이 처음 등장했을 당시 에는 국내의 학생들을 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거의 문제가 되지 않았 을지 몰라도, 현재의 학교 문법은 이제 단순히 학교에서만 통용되는 문법 이라는 차원을 넘어 상당히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우리나라를 대표 하는 ‘대표 문법’ 내지 ‘표준 문법’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는 상황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행 학교 문법에서와 같이, 설명 방식에서 심각 한 문제점을 안고 있음에도 ‘규범성’이라는 학교 문법적 특성만을 강조할 경우, 자칫하면 이러한 문제는 고스란히 국어 내지는 한국어가 지니고 있 는 문제점으로 인식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가 야기된 근본적 이유는, 현행 학교 문법이 ‘이다’를 ‘서술격 조사’로만 규정하고 있는 데서 빚어진 것이기 때문에, 아무리 학교 문법이 어느 정도의 ‘규범성’을 띨 수 밖에 없다고 하더라도, ‘서술격 조사’의 설정이 설명력을 우선적으로 고려 한 것이 아니었다면, 이러한 상황이 전혀 바람직하지 않음은 두말할 나위 가 없다. 따라서 지금부터라도 규범적 성격에 치중한 현행 학교 문법의 기술 방식을 개선하여 체계성뿐만 아니라 일관성도 함께 갖출 수 있는 학 교 문법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중지를 모을 일이다.

      • KCI등재

        학교문법 정립에 있어서 표준문법의 역할

        유현경 우리말학회 2015 우리말연구 Vol.43 No.-

        학교문법은 국어교육 현장에서 규범문법으로 교육되는 문법이 다. 그러나 검인정 체제에서의 학교문법은 기존의 국정 체제의 문법보다 유연하고 개방적인 방향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학교문법은 규범 성과 통일성이 약화되어 있다. 2013년에 시작되어 2017년 개발 완료를 목 표로 하는 표준문법은 학교문법이 좀 더 유연한 체계와 내용으로 기술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표준문법은 규범성과 통일성을 가지게 되므로 향후 학교문법의 기술에 중요한 참조문법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 이다. 표준문법의 범용성과 보편성은 학교문법이 실제 언어생활에 부합 되는 체계와 내용으로 기술될 수 있는 기반문법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고 본다. 앞으로의 학교문법은 학습자에게 새로운 문법 체계를 습득하게 하기보다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국어지식을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 주고 학습자가 스스로 국어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해야 한다. 문법 교육은 규범적 국어지식을 주입시키는 대신 국어 자료에 대한 귀납적인 탐구 학습을 통한 논리적인 사고 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방향으 로 나아가야 한다. 학교문법은 이러한 탐구 학습적 문법 교육의 도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어 문법론에서의 기술 문법과 학교 문법

        정희창 ( Jeong Hui-chang ) 국어학회 2014 국어학 Vol.69 No.-

        기술 문법은 학교 문법의 근거와 내용을 제공하지만 기술 문법 또한 학교 문법을 통해 구체화된다는 면에서 둘은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기술 문법과 학교 문법의 관계를 논의하고 문법 내용을 정비하는 일은 균형 있는 문법의 발전을 위해 무척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형태론과 통사론 영역에서 ‘어근, 어간, 인용절, 문장, 절, 이다, 문장 성분’ 등의 기초적인 개념에 대하여 기술 문법과 학교 문법의 내용을 비교하고 학교 문법의 설명적 타당성을 확장하는 방향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형태론 영역에서는 ‘어근’과 ‘어간’에 대해 각각 단어 형성, 활용의 개념이라는 점과 불규칙 용언에서 어간의 개념을 설정하는 근거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다’에 대해서는 서술격 조사, 지정사에 대한 논의를 소개하고 의존적인 형용사로 기술할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통사론에서는 ‘문장’과 ‘절’이 학교 문법의 고유한 개념으로 문장에 안긴 문장이 ‘절’이라는 관점을 분명히 제시하였다. 인용절의 문법적인 지위를 명사절과 부사절로 보는 관점에 대해서도 두 가지 관점의 가능성을 설명하였고 ‘이다’, ‘보어’와 같이 학교 문법의 쟁점 사항에 대해서는 기존 논의의 장단점을 상세하게 학습자에게 설명하고 안내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전체적으로 이론적인 관점보다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는 문법 내용을 실제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선택했는데 이는 기술 문법의 성과가 문법 교육의 관점에서 적용되는 접점에 문법과 문법 교육의 중심이 놓여야 한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기술 문법의 성과가 학교 문법에 심도 있게 적용되고 구체화되는 방식과 관점에 대한 다양한 논제가 좀 더 활발하게 논의 될 필요가 있다. The quantity category is a general phenomenon in all languages, however, specific expressions can be very different along with a specific language. For example, in Korean, morpheme, words and even phrases are used to express the quantity category. And at the same time, the words may follows different categories to represent the quantity meaning. In the traditional grammar system, we have been doing research on morphosyntactic numeral, classifier and quantifier. With a different point of view, in this paper, the quantity category can be regarded as a stage of semantic grammar just like modality category, category of space and time through figuring out the characteristics, system and doing research on image expressions. Firstly, the conceptions of quantity and this category are founded. Then the characteristics has been explained. Last but not the leas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in 3 chapters, I tried to do some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to set up a system. It makes great sense in grammar research with a new exploring in the categorization system of classifier of Korean. It will be very satisfactory if the research on expression aspects analyzed can play a role as the basic foundation of the grammar research of Korean.

      • KCI등재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문법분석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법문항과의 연계성연구

        구현정,박은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1

        학습자의 정확한 문법이해와 사용은 모든 언어영역 발달에 기본적인 토대가 된다. 교과서는 학습자의 언어사용의 정확성을 키우는 문법교육의 기본교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에 제시되는 문법항목과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출제되는 문법문항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일반계고등학교 한 곳에서 3년 간 사용하는 총 5권의 영어 교과서에 제시되는 문법항목과, 1994학년도 1차부터 2012학년도까지의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법문항에 출제된 문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과서는 다양한 문법을 고루 제시하고 있으나 각 문법이 차지하는 비중은 많은 차이를 보였다. 5개 교과서에 70개 항목의 문법이 169회 제시되었다. 3년 동안 한 번만 제시된 항목이 있는가 하면 반복적으로 제시된 문법항목이 있었다. 둘째,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58개 문법항목이 152회 제시되고 있다. 출제 비중에 있어서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항목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교과서에서 제시된 문법과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출제된 문법을 비교해 본 결과 교과서가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문법을 대부분 다루고 있었지만 강조하는 문법사항은 서로 달랐다. 교과서가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출제된 문법을 대부분 다루고는 있으나 이는 3년간 제시되는 문법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학년별로 시기적절한 구성이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grammar of high school textbooks and in the CSAT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the textbook for the CSAT, and to identify the grammar in the CSAT that does not match the textbook grammar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The grammar in five textbooks that have been used for three years in a high school and the grammar questions in the 19-year CSAT were analyzed and compared for these purpo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textbooks include various grammar items, but the emphasis differs among them. Five textbooks presented 70 grammar items in 169 instances. Some grammar items appeared just once over three years, while others appeared in the textbooks repeatedly. Second, 58 grammar items appeared 152 times in the CSAT. As in the textbooks, the importance of each grammar item was different 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textbooks. Some items were presented just once, but others were included 16 times in the 19-year CSAT. Third, the textbooks dealt with most of the grammar items included in the CSAT;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textbooks can help students in each grade to prepare for the state-led test or private mock exams in a timely fashion. The grammar items that most often appeared in the textbooks were conjunctions and relative pronouns, which were each offered 12 times. Thus, the grammar items emphasized differed between the textbooks and the CSAT.

      • KCI등재

        기술문법과 학교문법: 총론

        이선웅 ( Yi Seon-ung ) 국어학회 2014 국어학 Vol.69 No.-

        본고는 기술문법의 관점에서 본 학교문법의 일반적 성격을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학교문법은 학교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문법을 가리키는 말로서 반드시 하나의 문법 기술로 통일되어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표준문법과는 다르다. 기술문법, 학교문법, 표준문법, 규범문법, 이 4자간의 상관관계를 기술할 때에는 문법 기술 내용을 기준으로 파악하는 것과 문법 기술 자료를 기준으로 파악하는 것이 구별되어야 한다. 지난 30년간 학교문법 기술에서는 국어사 지식이 확대되면서 통시문법에 대한 기술이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 점, 음운변동을 유형별로 기술하게 된 점, 문장 성분을 계층적으로 분석하게 된 점 등이 특기할 만하다. 학교문법은 체계적이고 단정적이어야 하며 단위 시간 내에 교육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학교문법은 교육적 효용성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준거에 입각해 본다면 학교문법의 즉물성ㆍ피상성에 대한 기존 비판들 중 상당 부분은 부적절하다. 그러나 현행 학교문법의 수준에서도 정밀하지 못한 기술이나 체계성ㆍ정합성이 부족한 기술은 수정되어야 한다. 현행 학교문법은 기본적으로 기술문법의 틀과 유사한 형식문법인데, 실제 언어생활에서의 쓰임과 관련하여 장기적ㆍ점진적으로 기능문법에 대한 고려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general characters of school grammar from the view of descriptive grammar. School grammar is the grammar that is taught and learned in the schools and doesn't need to be a unitary one, so it is unnecessary to be standard grammar. In describ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our categories, namely descriptive grammar, school grammar, standard grammar, normative grammar, we should distinguish the description based on linguistic descriptive contents and the one based on linguistic data. Of the changes of school grammars for the last 30 years, those are worthy of special mention that the description on diachronic grammar has been enlarged and that phonological processes are classified and that sentential components are analyzed hierarchically. School grammar should be systematic and conclusive and able to be educated within a definite time. Futhermore, school grammar should be educationally useful. On these criteria, most contents of school grammar which are criticized for their superficiality are inappropriate. But the imprecise or incoherent/unsystematic contents at the level of current school grammar should be modified. Current school grammar is a formal grammar basically, but we should take the functional grammar into consideration gradually considering the real uses in linguistic life.

      • KCI등재

        학교문법 다의어 교육 내용의 현황과 대안

        임지룡 우리말학회 2015 우리말연구 Vol.42 No.-

        이 글은 ‘2009 개정 교육과정(2012.12.)’에 따른 학교문법 다의어 교육 내용의 현황을 살펴보고, 대안을 제시한 것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다의어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밝혔다. 첫째, 교육과정에서 다의 어는 ‘초등학교’의 ‘문법’ 및 ‘고등학교’의 ‘독서와 문법’에 명시된 채 ‘중학 교’와 ‘고등학교(??국어Ⅰ??)’에는 언급되지 않았으며, 그 내용이 불충분하며 학교급 위계가 고려되지 않았다. 둘째, ‘교과서’에서 다의어에 관한 사항 은 초등학교 2종, 중학교 7종, 고등학교 ??국어Ⅰ??의 7종 및 ??독서와 문법?? 6종 교재에서 기술하고 있는데, 초등학교에서는 수준이 지나치게 높으며,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는 다의어를 독자적으로 다루지 않았으며, ??독서 와 문법??에서는 교재 간 공유의 폭이 매우 좁다. 셋째, 교육과정에서 다의 어에 관한 비명시적인 기술로 교과서에서 다의어의 기술은 자의적인 양 상을 드러내고 있다. 다음으로, 다의어 교육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다의어 교육의 내용요소로 ‘개념 학습’, ‘의미확장 학습’, ‘의미구조 학습’, ‘비대칭성 학습’을 설 정하였다. 둘째, 4가지 교육 내용 요소를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교, 고등 학교 일반 및 심화 과정의 4단계 위계를 설정하였다. 셋째, 고등학교 심화 과정에서 ‘사다’ 및 ‘팔다’의 중심의미와 확장의미의 ‘비대칭성’을 중심으로 탐구학습의 모형을 설정하였다.

      • KCI등재

        학교문법 교육에서 인지문법적 접근의 필요성 연구

        김억조(Kim, Eok Jo)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5

        이 연구는 학교문법의 복합어 교육 단원의 구성 체계 및 내용을 살펴보고 인지문법의 연구 내용을 학교문법 교육에 도입할 필요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실생활에서 만들어지는 단어를 살펴보면 학교문법의 단어 형성 교육과는 거리가 먼 단어가 많다. 이 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문법 교육에 인지문법적 관점을 도입할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 였다. 국어 단어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전통문법, 구조주의, 변형생성문법의 세 흐름으 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런 흐름에 따라 확립된 학교 문법에서는 조사만 단어로 인정하고 어미는 단어에서 제외하는 절충식 체계를 인정하고 있다. 언어 연구의 흐름을 반영하여 변해야 하지만 지금까지 단어관은 변하지 않고 있다. 이제라도 활용에 기초를 둔 (usage-based) 모형인 인지문법을 반영해야 한다. 인지문법은 아래에서 위로의 원리 (bottom-up)를 추구한다. 이런 관점에서는 단어를 ‘관습적 언어 단위들의 구조 지어진 목록(structured inventory of conventional linguistic units)’으로 본다. 이 단어관을 도입함으로써 기존 학교문법에서 복합어를 보는 관점이 ‘합성’과 ‘파생’으로 이원화되던 것을 넘어서 ‘통사적 구성의 단어화’까지 도입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기존 학교 문법 의 단어관은 구성의 관점에서 형성의 관점으로 변해 왔다. 단어 형성의 관점 또한 규칙 의 관점에서 파악해 왔는데 최근 들어 국어의 단어형성을 규칙으로 설명하지 않고 유추 라는 인지적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지문법적 관점이 국어 문법 교육에 도입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mposition system and contents of complex word education chapters in school grammar and propose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cognitive grammar contents to the school grammar education. When examined words created in our daily lives, this study discovered that many of them are far from the word-formation education of school grammar. Thus,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cognitive grammar perspectives to the school grammar education. All the studies on Korean words can be mostly divided into three flows, traditional grammar, structuralism and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Having been established with such flows, the Korean school grammar accepts an eclectic system that includes particles in words, but excludes endings from words. In other words, there are some opinions that both particles and endings should be recognized as words, and other opinions that neither of them should be excluded from words, so this system makes a compromise between them and is selected for the sake of grammar description. From this perspective, a new linguistic research flow should be reflected, but the concept of words has not changed at a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cognitive grammar, a usage-based model. Cognitive grammar pursues bottom-up principles. In this aspect, words are regarded as structured inventory of conventional linguistic units. With such a concept of words adopted, this study insists that it is needed to introduce even ‘Wordization of Syntactic Construction’, beyond the present school grammar that has dual perspectives on compound words as ‘Compound’ and ‘Derivation’. The present school grammar concept of words has changed from a perspective of composition to a perspective of formation. Even the perspective of word formation has been comprehended from a perspective of rule. Recently, however, Korean word formation is explained not with rules but as a cognitive process called ‘Inference’. Therefore, this study found it necessary to introduce cognitive grammar perspectives to the present Korean grammar education.

      • KCI등재

        학교 문법에서의 ‘이다’ 처리 문제 재고

        박정규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연구 Vol.50 No.-

        Currently, Korean grammar education is being taught for high school students as a subject of ‘reading and grammar’. However, current Korean school grammar follows the contents of the school grammar in 1985. Therefore, the problems of school grammar are continuing. That is, the problem of grammar education in the past continues to be continued. But Korean school grammar is playing a number of roles. It will not only serve as the correct ‘final grammar’ for Korean people but also to serve as a ‘representative grammar’ or ‘standard grammar’ for foreigners representing the Korean language. Therefore, problems in school grammar can cause various side effects. So in this paper, I discussed again the grammatical position of ‘ida(이다)’(‘copula’ in logical term). This discussion, however, relates to the range of ‘boeo(補語)’(commonly referred to as ‘complement’ in grammatical term) continuing to be controversial from the early days of the school grammar to the current school grammar. As a result of review, I found that the ‘ida’ is correct to be treated as an ‘adjective’ and the ‘boeo’ should be removed from the current treatment method to ensure that the range has broadened. In this case, we can remove the ‘essential adverb’ required in current school grammar as a sentence constituent and more consistent explanation is possible.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전체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 와 문법’이라는 과목명으로 문법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학교 문법은 1985년에 국정 체제로 발간된 문법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답습 하고 있으므로, 과거의 문법서에서 나타났던 제반 문제들까지 그대로 이 어지고 있어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상황으로서, 이는 현재의 학교 문법이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들뿐만 아니라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외 국인에게까지 한국어에 대한 오해를 초래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즉 우리 나라의 학교 문법은, 모국어 화자들에게는 ‘최종 문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이외에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에게는 ‘표준 문법’ 내지는 ‘대표 문법’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학교 문법에 내 재되어 있는 잘못된 설명은 자칫하면 모국어 및 한국어에 대한 오해를 불 러일으킬 수도 있는 상황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의 시작에는, 학교 문법에서 현재 ‘서술격 조사’라고 설명이 되고 있는 ‘이다’의 처리 문제가 자리하고 있으나, 국어의 여러 가지 자료를 바탕으로 현상을 검토해 보면, ‘이다’를 더 이상 ‘서술격 조사’로 처리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리하여 검토 결과 ‘이다’는 ‘형용사’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무난함을 논의하였는데, 이렇게 하면 ‘이다’를 ‘서술격 조사’로 처리하면서 부수적으로 야기되는 문제 들, 예컨대, ‘보어의 범위’ 문제 및 ‘필수적 부사어’의 설정과 같은 변칙적인 문제들 또한 정리될 수 있음을 아울러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교 일본어 문법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오현정 한국일어교육학회 202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53

        This study is a basic survey conducted to grasp and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Japanese grammar education in high schools. For the study, a survey was organized and conducted on Japanese language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Japanese language classes have been executed focused on listening and speaking using audio-visual materials because of the trend for strengthening communication-oriented education and many respondents pointed out problems with regard to writing ability. In the case of Japanese grammar teaching, a large portion of teachers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teach gramma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Japanese language. Grammar was adopted and taught mostly while dealing with contents related to reading or writing and an emphasis was placed on teaching grammar rules. As a teaching method, to help students be aware of grammar rules through examples or other materials containing gramma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explicit methods. About 20-30% of the entire classes were devoted to grammar, and grammar lessons learned during classes were assessed only when necessary and teaching was conducted using textbooks and guidebooks for teachers. Regarding Japanese grammar evaluation, questions were mostly about the language format itself, such as usage, and the proportion occupied by grammar questions for paper tests was about 20-40%. In many cases, questions were asked in the multiple-alternative type way using textbooks and guidebooks for teachers. The above-mentioned results show that grammar education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high school classes, but more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to discuss how to integrate actual grammar edu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context. 본고는 고등학교 일본어 문법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일본어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정리한 것이다. 조사결과, 일본어 수업의 경우, 의사소통 중심 교육의 강화로 듣기와 말하기에 중점을 두고 시청각자료를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쓰기 능력이 가장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일본어 문법지도의경우, 일본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문법지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사가 많았다. 문법은 주로 읽기나 쓰기 내용을 다룰 때 도입하고 문법 규칙을 지도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지도 방법은 문법사항이 포함된 예시문 등 학생들이 문법규칙을 알아차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문법에 할애하는 시간은 전체 수업의 20∼ 30%정도를 차지하며, 수업 중 배운 문법은 필요시에만 평가하고, 교사용 교과서 및 지도서를 참고하여 지도를 하고있었다. 일본어 문법평가의 경우, 주로 활용 등 언어형식 자체를 묻는 문항을 출제하고, 지필고사 문법문항이 차지하는 비율은 20∼40%정도였다. 교사용 교과서나 지도서를 참고하여 다지선다형으로 출제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결과를 통해 고등학교 일본어 수업에서 문법교육이 어떻게 진행되는가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문법교육의 지도방안 및 방향성에 대한 많은 논의와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학교 문법론의 용어 사용의 문제점

        박용찬,홍성운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4 學校敎育硏究 Vol.9 No.-

        2009년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지금까지 독자적인 교과목으로 존속되어 오던 '문법' 교과서 '독서'와 통합되어 '독서와 문법 Ⅰ,Ⅱ'라는 새로운 교과목이 생겨났다. 그리고 이에 따른 검정 교과서 4종이 출간되었다. 지난 1985년 이후 25년 동안 국정 교과서에 의한 단일 문법으로 군림해 오던 '문법'이, '독서'와 통합되어 검정 교과서로 개발·출간된 것이다. 그러나 현재 출간되어 사용되고 있는 4종의 검정 교과서는 문법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얼마간 일관성을 잃고 있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와 문법'의 '문법'은 그 이전 시기의 고등학교 「문법」교과서(국정)의 문법 용어와 체계를 그대로 따르도록 되어 있다. 그럼에도 「독서와 문법 Ⅰ,Ⅱ」의 검정 교과서 4종 사이에서 통일된 문법 용어와 체계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2011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와 문법」의 검정 교과서 6종 사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교 문법 통인안'(1963)의 통일된 문법 용어를 알아보고, 1985년 이후에 국정 교과서로 출간되 「문법」(1985), 「문법」(1996), 「문법」(2002) 등의 주요 문법 용어를 상호 비교하여 주요 문법 용어 선정과 관련된 문제점을 살펴보고, 「문법」(2002)을 대상으로 주요 문법 용어와 세부 문법 용어를 대상으로 그 정의와 관련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The textbooks on school Korean grammar in being used presently doesn't quite cohere. The four government authorized school textbooks on Korean grammar(2009) use Korean grammar terms differently from one another and Each government authorized school textbook has different system of Korean grammar terms. This problems are found also in the six government authorized school textbooks on Korean grammar(2011). First, I examined closely Korean grammar terms in "Proposition for the Unification of School Korean grammar"(1963) with this point in view. Secondly, I made and compared lists of Korean grammar terms used in government designated school textbooks on Korean grammar(1985, 1991, 1996, 2002) one another, Finally, I identified the problems of ploblems with choice, definition, and use of Korean grammar terms in a government designated school textbooks on Korean grammar(20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