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 초등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실수업형태의 차이 및 변화과정 분석

        송영범(Young-Beom, Song),강경석(Kyung-Seok, K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실수업형태(교수자 중심, 학습자 중심)에 대한 현 실태를 분석하여 수업혁신과 공교육 개선을 위해 접근해야 할 교실수업형태에 대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간 교실수업 형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각각의 교실수업형태는 어떠한 변화를 보여왔는가? 셋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간 교실수업형태의 차이는 어떠한 변화를 보여 왔는가?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이분석 결과,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경우 1, 2차년도에는 일반학교가 높았던 것이 3차년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의 경우 1, 2차년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것이 3차년도에 혁신학교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조건모형 분석 결과,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경우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모두 초기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변화율에서는 일반학교에서만 부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의 경우에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모두 초기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변화율에서 일반학교만 부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셋째, 조건모형 분석 결과,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경우 혁신학교와 일반학교간 초기값의 차이와 그 변화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의 경우에는 초기값과 변화율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lass instruction in innovative elementary schools and regular elementary schools, and to present discussion points and implications for class instruction type that should be approached in order to improve class instruction and public education. To this end,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of class instruction types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regular schools? Second, how have the class instruction types changed by each school? Third, how have the differences of class instruction types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regular schools chang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analysis, in the case of teacher-centered type, regular schools were higher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ird year. In the case of learner-centered typ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but in the third year innovative schools were higher. Second, as a result of the non-conditional model analysis, in the case of teacher-centered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itial status of both innovative and regular schools, but in the rate of change, there was negative changes in regular schools. In the case of learner-centered type, both innovative and regular school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itial status, and only the regular schools had an negative changes in the rate of change. Third, as a result of the conditional model analysis, in the case of teacher-centered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initial status and the rate of change between the innovative schools and the regular schools. In the case of learner-centered type, neither the initial status nor the rate of change were significant.

      • KCI등재

        학교재정운영 특성과 교육성과간의 관계 분석 연구

        김지하(Ji-Ha Kim),우명숙(Myung-Suk W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재정운영 특성과 학교교육 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과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학교재정운영 방안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분석: 일반계고등학교(2009)」 자료와 「고등학교 학교회계세입세출결산(2009)」자료를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학교는 85개 공립 고등학교이고 학생수는 3,553명이었다. 분석방법으로는 분위회귀모형(Quanti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총세출액 대비 교수학습활동비의 비율이 높은 학교의 재학생은 교수학습활동비의 비율이 낮은 학교의 재학생에 비해 읽기와 수학 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총세출액 대비 비정규직 인건비와 공통운영비로 구성된 경직성 경비의 비율이 낮은 학교의 재학생은 이 비율이 보통이거나 높은 학교의 재학생에 비해 읽기와 수학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학교교육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학교재정운영시 교수학습활동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지니는 직접교육비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인건비와 운영비로 대표되는 경직성경비의 비율을 최소화하여 재정운영의 효율성과 건전성을 높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편, 통제변수로서 포함되었던 수준별 이동수업의 영향력은 읽기점수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일부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오히려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개연성을 시사하였다. 교사특성변수로서는 기간제 교사의 비율이 증가할 경우, 읽기와 수학 학업성취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공교육 내실화를 위해 정규 교원 충원이 시급한 과제임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방과후 학교 참여는 최상위권 학생들을 제외한 학생들의 읽기와 수학점수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 이는 방과후 학교 운영의 충실화를 통해 정책수혜대상을 확산하는 것이 향후 과제임을 암시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n aim to draw out a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operating school finance in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conditions of operating school finance and educational outcomes, and have presented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We used ‘Status of the school level of general high schools(2009)’ data and ‘High school accounting revenue and expenditure(2009)’ data by combining them. As an empirical strategies, We have employed Quantile Regression model.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When examining the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annual expenditure type, in contrast to the students attending the school with the middle percentage of teaching-learning expense, the students attending the schools with the percentage of teaching-learning expense at the higher level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students attending the schools with the percentage of uncontrollable expense at the higher level ha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students attending the school with the lowest percentage of uncontrollable expense According to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policy directions to invest the school finance and discussed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policies related to improving the students' achievement.

      • KCI등재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참여형태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유광욱 ( Kwang Uk You ),원유병 ( Yoo Byeong Wo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와 급격하게 변화하는 신체적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인문계고등학교 학생들은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인식하에 신체활동 참여유무와 형태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소재에 속해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640명의 자료를 SPSS/win program V.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t-검증(t-test),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3-way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체활동참여 유무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참가집단이 비 참가 집단에 비해 신체적 자기개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학교생활적응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참여 형태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인 체지방과 자신감은 운동시간에서, 외모와 근력은 운동기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적응인 교사적응은 운동 빈도, 운동 시간에서, 환경적응과 친구적응 그리고 생활적응은 운동시간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신체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지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생들을 스포츠센터에서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참여가 아니라도 시간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교내·외 신체활동을 30분 이상 참여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physical activity on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school adaptation on Korean highschool students who`s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e to rapidly changing physiological and academic conditions. Six hundred forty high school students from 4 different districts in Seoul a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using the SPSS/win program (ver. 12.0) frequency analyses, factor analyses, Reliability analyses, t-tests, correlation analyses, 3-way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es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school adaptation between the participated and non-participated groups. Th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physical activity positively evaluated their physical self and showed better school adaptation. Secondly, body fat and muscle strength variables of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was influenced by the length of participation. Also, th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time influenced the teacher adaptation, and the participation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environmental, friend, and school life adaptations. According to this study, students tend to perceive that any form of physical activities plays a positive role in improving their bodily self-description and in enhancing their school performance. Thus, it is recommended that students should participate in various physical activities at least 30 minutes a day in and outside of school.

      • 학교생활'의 초등교육적 의미

        정혜영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3 敎育論叢 Vol.50 No.2

        초등학교에서 교육적인 역할이 약화되어가고 있는 현실에서 초등학교 본연의 교육적 과제를 되찾기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 가장 기본적인 측면에서 초등학교를 보는 관점의 전환, 즉 초등학교를 수업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어린이들 의 생활공간으로 보는 관점이 요구되며, 여기서 ‘학교생활’에 주목하게 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학교생활’이 어떤 교육적 의미를 지니는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학교생활’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하였 다. 다음으로 ‘학교생활’에 대한 개념을 일반적인 규정과 대항적인 규정, 그리고 수업과의 관련성에 중점을 두어 파악하였고, ‘학교생활’의 내용적 이해를 위하여 ‘학교생활’의 현상 형태를 몇 가지 차원으로 분석?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기초 아래, 초 등학교에서 ‘학교생활’을 통한 교육적 과제 수행의 가능성을 수업 내적인 측면과 수업 외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결 론적으로 초등학교에서 ‘학교생활’은 교육적 과제 수행의 기반이 되는 것으로서 반드시 그 의미가 회복되어야 할 것으로 규명 되었다.

      • KCI등재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에 관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추론 연구

        박소영(Park, So-Young),홍사훈(Hong, Saahoon),유장순(Yoo, Jang-Soon),류지훈(Ryoo, Ji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본 연구는 학교형태, 교직경력, 통합교육 연수, 협력교수, 학교공동체 수용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K도의 초․중․고등학교 일반교사 445명의 설문 데이터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학교형태로 측정된 초중고의 구분은 통합교육운영 만족도 사이에서 유의미한 총합효과와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중․고등학교의 일반교사 보다,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 다. 학교공동체의 수용태도도 초등학교 일반교사가 중․고등학교의 일반교사 보다긍정적이었으며, 이는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 경력은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 았으나, 학교공동체의 수용태도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통합교육 연수는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연수를 경험한 교사와 통합교육 만족도 간에서 유의미한 총합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 대한 학교공동체의 수용 태도 와 통합교육 연수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통합교육 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협력교수 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school type, teacher exper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co-teaching,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445 general education teachers’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by K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e fi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nto the data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general education teacher was more likely satisfied with inclusion.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as also more positive than middle and high school gener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Although co-teaching experi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had no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eachers’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clusion had the total effect o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rol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bout inclusion and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Developing effective co-teaching models is also in need to promote inclusion.

      • KCI등재

        고교학점제에 따른 기존 학교 교사배치 유형 분석

        이용환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2 청소년시설환경 Vol.20 No.1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2022 개정 교육과정 시행에 따라 미래사회 대비 학생중심 교육공간 조성을 위하여 개별화 공간, 스마트 공간 등 학교 공간의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격적인 고교학점제의 시행에 있어서 기존의 학교시설에서 발생될 수 있는 교육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고교학점제를 시행함에 있어서 기존의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미래형 교육과정을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을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교학점제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양적인 측면 이외에 질적인 측면 즉, ‘교과교실형’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학생들의 이동이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적정한 공간배치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학교시설에 충족시키기 위하여 학생들의 주 학습공간이 되는 교사동의 배치형태 유형화 분석을 통하여 고교학점제 정착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기존 학교 교사동의 배치형태가 ㄱ자형 및 ㄷ자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미래의 교육과정 변화 방향에 입각하여 볼 때 교사동의 배치 유형이 학생들의 이동이 편리한 핑거 유형(finger type)이 이상적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품사 분류 기준 ‘형태’의 정착 과정에 대한 연구 - 역대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

        홍정현(Hong, JeongHyun)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39 No.-

        학교 문법의 형성 시기로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학교 문법에서는 품사를 필수적인 교육 내용으로 다루어 왔다. 특히 품사 분류에 있어서는 ‘형태, 기능, 의미’라는 세 가지 기준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었으며, ‘형태’는 품사 분류의 제1 기준으로서 형태 변화 여부로 단어를 1차 분류하는 기술 방식이 통용되고 있다. 그러나 ‘형태’는 교착어인 국어의 품사 분류 기준으로는 적합하지 않음이 여러 차례 지적되었다. 이에 본고는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학교 문법에서 ‘형태’가 품사 분류의 제1 기준으로 정착하게 된 과정을 알아보자 하였다. 2장에서 학교 문법에서 ‘형태’라는 품사 분류 기준이 도입된 과정과 개념 규정을 알아보고, 3장에서 ‘형태’ 기준 반영에 따른 역대 문법 교과서의 품사 분류 양상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현배(1934)로부터 품사 분류의 세부 기준을 언급하기 시작하였으며, 국정 문법 교과서 이전까지는 ‘형태’가 단순히 ‘어형 변화 여부’가 아닌 특정 품사로 분류되는 단어가 문장 내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적 특징을 두루 포함하는 개념으로 쓰이다가, 국정 문법 교과서 시기에 점차 ‘어형 변화 여부’만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해석되는 과도기적 시기를 거쳐, 국정 이후 검인정 교과서에서는 어형 변화, 특히 ‘활용 여부’를 가르는 기준으로 굳어졌음을 밝혔다. 이로써 역대 문법 교과서의 품사 분류 기준으로서 ‘형태’의 개념 및 그 적용 범위가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From the time the school grammar was formed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parts of speech” was adopted as an essential educational content in school grammar. In particular, the method of classifying words based on the three criteria of “shape, function, and meaning” has been generalized. The 1st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 “form,” is a method of preferentially classifying word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words. 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several times that “form” is not suitable for the classification criteria in Korean parts of speech, which are agglutinative language. In this paper, despite these points, I examined the process by which “form” became the first the criteria of 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in school grammar. In Chapter 2, we investigated the process by which “form” was introduced in school grammar and the concept of “form”, and in Chapter 3, we analyzed in detail the aspects of classifying words by applying “for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hoi Hyeonbae(1934) began to mention detail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 Before the national grammar textbook, “form” was not just a conjugation, but a concept in which words classified into a specific part of speech were shown in a sentence and included various morphological features. After a transitional period in which the form is gradually interpreted as a criterion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words” during the national grammar textbook period, in the officially certified grammar textbooks after the national grammar textbook,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words” is in particular, it was clarified that it was set as a guideline for dividing only “conjug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 of “form” and its scope of application have changed as the 1st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 in the past school grammar textbooks.

      • KCI등재

        구문 형태론에 기반한 형태론 용어들의 정의

        정병철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9

        본고는 학교 문법에서 통용되고 있는 형태론 관련 용어들이 어떤 문제점과 모순을 발생시키는지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구문 형태론의 관점에서 형태론 관련 용어을 보다 타당하게 정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교 문법은 학문 문법의 성격과 규범 문법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는데, 현재 학교 문법에서 통용되는 형태론 관련 용어들의 정의는 고전적인 형태론이 반영된 규범주의에 기울어 있어, 언어의 실제에 대한 탐구 활동 및 새로운 언어학 모형의 설명력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형태론 관련 용어들에 대한 구조주의 관점의 정의들은 기계 은유의 영향으로 단어의 형성 과정이 선조적이며 절차적일 것이라 단정하지만 구문 형태론에서는 단어와 구문이 기계적인 순서가 아닌 언어 사용의 경험을 통해 발생한 도식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구문 형태론의 관점에서 형태론의 다양한 용어들, 즉 형태소와 단어,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어근과 접사와 같은 용어들을 새롭게 정의해 보고, 그 새로운 정의가 한국어 사용의 실제에 대한 설명적 타당성을 개선해 주고 효율적인 탐구 활동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 초등학생의 사회자본과 보건실 이용 및 학교적응의 관계

        신미수 ( Meesu Sheen ) 한국보건교육학회 2016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ol.2 No.1

        본 연구는 최근 사회변화로 학교의 돌봄 기능이 강화되어 학교 내외부로 각종 「돌봄과 복지」를 위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지만, 정작 아이가 가정과 학교에서 사회자본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부적응을 경험할 때 다른 곳이 아닌, 학교 내에서 교사와의 집중적인 일대일 대면, 돌봄과 쉼이 있는 보건실을 자주 이용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실제 현장교사들은 보건실 방문자나 업무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어떤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 지지 않아 변화된 역할요구를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라 사회자본이 부족하여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보건실이 사회자본의 보완제로서 제대로 기능하기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일 학교의 보건일지를 분석하여 대상자 139명을 선정, 학생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적 배경에 따른 사회자본, 학교적응, 보건실이용행태를 측정하였다. 또한 학생 6명과 교사 4명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 및 분석은 일반적 배경에 따라 사회자본, 학교적응, 보건실 이용행태를 t검증 및 ANOVA검증을 통하여 평균 차이를 확인하였고, 사회자본의 정도에 따라 두 집단별 학교적응, 보건실이용횟수 및 이용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 및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 인터뷰을 통하여 설문조사 내용을 보완, 확인하고 사회변화에 따른 보건교사의 인식과 정책 제언을 위하여 보건교사 4인과 전화인터뷰를 통하여 보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변화된 학교보건실의 역할을 위하여 학교보건실에 대한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인력지원과 담임교사, 보건교사, 상담교사와 가정 간의 연계 시스템, 보건교육의 강화와 보건교육지원센터 설립 등 정책지원을 제언하였다. Along with recent changes in our society, schools’ caregiving function is getting enhanced, and policies for all sorts of 「caregiving and welfare」 are being enforced both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schools. But when children get to feel the shortage of social capital in their family and school and experience maladaptation, they often use their school health room where they can have an intensive one-to-one confrontation with the teacher and can be provided with caregiving and resting. Moreover, teachers in the field are expressing difficulties in playing their changed roles demanded because there is not any political support for them despite the increase of health room visitors or their workload. Focusing on this phenomenon, this author aims to find out ways to improve school health rooms so that they can function properly as a complement of social capital and also children can grow healthily despite having difficulties at school for the shortage of social capital attributed to the changes of our society. Regarding study methods, this researcher selected 139 subjects analyzing a school’s health care daily records, and with a student survey, this author measured their social capital, school adjustment, and health room-using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ir general background. Also, six students and four teacher were interviewed. Concerning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their social capital, school adjustment, and health room-using behavior were examined in accordance with their general background to see the mean difference based on the t-test and ANOVA. To figure out the two groups’ school adjustment and health room-using frequency and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their social capital, th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so, the student interview was used to complement and confirm the contents of the survey. To examine health teachers’ recognition of social changes and provide political implications, a telephone interview was conducted to four health teachers for further complement and arrangeme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author provides implications for political support so that school health rooms can play their changed roles, for example, providing stable and systematic manpower support for school health rooms, building up a system to connect teachers in charge, health teachers, and counseling teachers with families, strengthening health education, and also building centers to support health education.

      • 초등학교 시설 증·개축에 따른 배치계획 조사 연구

        채원연,최창길 대구대학교 2006 대구대학교 학술논문집 Vol.1 No.2

        The school building in the 21st century is pursuing qualitative alteration instead of securing conventional quantitative and uniform educational space. Furthermore, in the light of learning method, it is being reconstructed as opener educational environment, being equipped with agreeable facilities and equipment. In this context, site block plan as per extension and reco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can be classified into increment of school building, life accompanied by collective residence, increment of regional population, alteration of building form and amendment of curriculum. Considering conditions such as correlation between the outer/inner space generating in the site block plan as per the 7th curriculum and building form, connection form of moving line in the alteration of school block, etc. for elementary school block as per extension and reconstruction, elementary school can be located more efficiently in the light of space. Thus, taking the elementary school buildings located in Daegu as subjec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site block plan of existing elementary schools and those after extension and reconstruction. Then, based on the result shown in the research of site block plan, this study will draw out the existing issues and present corresponding direction for extension and reco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buildings for the future. 21세기 학교건축은 기존의 양적이고 획일적인 교육공간의 확보에서 질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학습방법에 있어서도 쾌적한 시설과 설비를 갖추고 보다 개방적인 교육환경으로 재구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초등학교 증·개축에 따른 배치계획은 교사동의 증가와 집합주거로 수반되는 생활, 지역인구 증가, 건물의 형태 변화, 교육과정개정으로 나누어 분류 할 수 있는데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배치계획에서 발생되는 외·내부공간과 건물형태와의 상관관계, 학교 배치의 변화로 인한 동선의 연결형태 등 증·축에 따른 초등학교 배치에 있어 이러한 조건들을 감안한다면 초등학교 계획 시 보다 효율적인 공간적 배치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건물을 대상으로 증·개축 할 경우 기존과 증·개축이 이루어진 초등학교의 배치를 비교·분석하여 배치계획 연구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에 대응한 향후 초등학교 증·개축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