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신재흡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감성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조직효과성이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수행하기 위하여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초?중?고등학교 각각 10개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이중에서 5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감성적 리더십은 초등학교, 여교사, 국?공립, 30학급 미만, 부장교사, 임파워먼트는 초등학교, 국?공립,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위 이상, 학교 조직효과성은 초등학교, 여교사, 국?공립, 30학급 미만, 부장교사가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그리고 세 변인 간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또한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영향력이 있으며, 특히 감성적 리더십 변인 가운데 관계 관리와 임파워먼트 변인 중에 의미감, 역량, 영향력이 전체적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대한 단계별 영향력에서는 교사들이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파워먼트까지 인식을 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감성적 리더십 변인 중 관계관리와 임파워먼트 변인 중 의미감, 역량, 영향력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현장에서 행해지는 교육활동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KCI등재

        학교장의 자율성과 책무성, 교사의 임파워먼트가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강경석,강희경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3

        이 연구에서는 학교장의 자율성과 책무성, 교사의 임파워먼트가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자율성과 책무성,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모두 보통 이상이었고, 교직경력 15년 이상의 고경력 교사, 초등학교 교사, 국?공립학교 교사, 읍?면지역 교사, 그리고 18학급 이하의 소규모학교 교사가 네 변인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장의 자율성과 책무성,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변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교장의 교육과정 자율성과 일반적 자율성, 책임감, 공개성 및 응답가능성 그리고 교사의 역량은 직무만족 및 조직적응과 높은 상관을 보였고, 교사의 자율성은 직무성과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학교장의 자율성 하위변인 중 교육과정 자율성과 학교장의 책무성 하위변인 중 책임감, 그리고 교사의 임파워먼트 하위변인 중 역량, 자율성, 영향력, 전문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영향력의 크기는 교사의 역량이 가장 크고, 교사의 영향력, 학교장의 책임감, 학교장의 교육과정 자율성, 교사의 전문성, 교사의 자율성 순이었다.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영향력이 직무만족에, 학교장의 교육과정 자율성이 조직적응에, 교사의 역량이 직무성과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의 역량과 영향력, 학교장의 교육과정 자율성이 학교조직에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 내어 학교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핵심요소가 됨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조직문화 및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곽상기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조직효과성의 향상을 추구하기 위하여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학교조직문화 및 학교조직효과성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 경인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학교조직문화 및 학교조직효과성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조직문화 및 학교조직효과성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그 결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학교조직문화 그리고 학교조직효과성 변인간에는 다소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은 학교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 하위변인인 수업평가활동, 수업지원활동, 학교비전제시, 수업개선활동의 순으로 종속변인인 학교조직문화를 설명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 하위변인인 수업지원활동, 수업평가활동, 수업개선활동, 학교비전제시의 순으로 종속변인인 학교조직효과성을 설명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연구결과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은 학교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하위변인인 수업평가활동과 수업지원활동을 통해 학교조직문화를 적절히 관리하고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학교장은 수업지도성 하위변인인 수업지원활동과 수업평가활동 발휘를 통해 학교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최종진,박균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impact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TL)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learning organization(LO).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what is the structural impact relationship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PTL),learning organization(LO),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nd second, what is the organization’s full effect,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that has certain impact on PTL, LO, SOE? The research concludes that first, PTL does have an impact on LO, and as follows, LO on SOE, PTL on SOE. And second, PTL has direct effect on LO, and as follows, LO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TL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001).And PTL has indirect effect of .342 on LO, but it’s full effect on SOE using LO as a mediacy is of .991 showing its certain influence. In conclusion, PTL has effect on LO, and as follows, LO on SOE , PTL on SOE. The effect PTL has on SOE is greater than that of LO on SOE. However if the principal exhibi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romotes the LO ,then SOE goes by far greater. PTL not only has direct effect on SOE, but also has indirect effect on it by LO. Therefore if principal wants the SOE elevated, he/she has to exhibit certa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le applying LO on school. To suggest couple of things in order to improve further research and education on field based on this result is to, first, it is easier to collect objective data if the follow up study covers the extended region. Second, we urge the follow-up research with the extension of the model including emotional leadership that has been currently studied as leadership theory and morale leadership including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Third, the theorization of learning organization should be done more faithfully.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습조직화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학습조직화,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인 영향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학습조직화, 학교 조직효과성에미치는 집단 간 전체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습조직화에,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학 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습조직화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 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342이었으나, 학습조직화를 매개로 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전체효 과는 .991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습조직화에(.867),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394) 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649)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학교장의 변혁적 지 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직접영향보다 더 크 다. 그러나 학교장이 변혁적 지도성을 발휘하면서 학습조직화를 도모한다면 학교 조직의 효과성이 훨 씬 더 커진다.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습조직화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학교장이 학교조직의 효과성을 높이 려면 변혁적 지도성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학교를 학습조직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학습조직화의 한 유형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되어 학교조직 효과성을 향상시키도록 관 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와 교육 실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하면 첫째, 후속 연구에서 는 다른 지역까지 확대 적용하면 더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감성적 지도성, 도덕 적 지도성과 함께 다양한 관점에서 매개변인과 종속변인을 포함하여 모형을 확장한 후속 연구가 필요 하다. 셋째, 직접적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변인으로 삼아 많은 후속연구가 이루어져 학습조직화에 대한 이론화 작업이 더욱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사의 학교조직공적성 인식과 조직지원인식,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및 학교조직효과성간의 관계

        강경석,황구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교조직공정성 인식과 조직지원인식,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는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 조직지원인식, LMX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에는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 조직지원인식, LMX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영향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경로모형을 살펴본 결과,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조직지원인식, LMX는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중 조직지원인식이 학교조직효과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MX에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지원인식에는 LMX가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LMX와 조직지원인식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MX와 조직지원인식은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인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 중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의 하위변인 중 상호작용공정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총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교사의 수업전문성, 학교조직몰입,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김종철,이윤식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4

        이 연구는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교사의 수업전문성, 학교조직몰입,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의 하위변인인 교육목표, 교육과정 관리, 동기부여, 수업개선, 교육지원이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의 하위변인 중 교육목표, 교육과정 관리, 동기부여, 수업개선, 교육지원이 교사의 학교조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수업전문성의 하위변인 중, 수업내용, 수업전략, 수업관리가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매개로 하여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 교사의 수업전문성, 학교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보아 교사의 수업전문성과 학교조직몰입 변인이 학교조직효과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매개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수업전문성과 학교조직몰입의 매개변인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과 학교조직 효과성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치호(Lee, Chiho)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Vol.201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 간에 구조적 관계가 어떠한지를 규명하는 것으로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지각수준을 살펴본 후,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교원업무경감이 교사의 전문성을 매개로 하여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186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과 AMOS 22.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지각수준은 보통보다 높아 비교적 고른 분포로 나타났다. 둘째, 교원업무경감은 교사의 전문성 및 학교조직효과성과 높은 상관이 있고, 교사의 전문성도 학교조직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교원업무경감은 교사의 전문성 및 학교조직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교사의 업무경감이 교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업무경감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조직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의 업무를 줄여야 한다. 교사의 업무가 경감되면, 교사들은 스스로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노력을 하게 될 것이며 결국, 학교조직의 효과성으로 이어지게 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 overall investigation into structural relations among reducing teachers" workloa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fter examining the perception level of reducing teachers" workloa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examine correlation among reducing teachers" workloa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examine effects that reducing teachers" workload have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medi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that purpos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6 incumbent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tilizing a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level of reducing teachers" workloa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higher than a moderate level and its distribution was relatively uniform. Second, reducing teachers" workload had significantly high relations with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ls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to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reducing teachers’ workload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effect of reducing teachers’ workload on teachers’ professionalism is much more huge than effects on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ducing teachers’ workload directly influenc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t also have indirectly influence with teachers’ professionalism as a mediating variable. In other words, to improve the perception level of teachers on reducing teachers’ workload, once teachers’work was reduced. If teachers’work was decreased, teachers would make efforts for their professionalism, and finally,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ould naturally be achieved.

      • KCI등재

        연구논문 :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강경석 ( Kyung Seok Kang ),고광혁 ( Kwang Hyuk K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변인 간에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변인 간에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학교조직몰입과 학교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변인간에도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하위변인 중에서 인지 및 통찰?비전제시, 구성원의 성장유도 공동체 형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교사 효능감 하위 변인 중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가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학교조직몰입의 하위변인 중에서 충성심 가치수용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하위변인 중 특히 인지 및 통찰`비전제시 구성원의 성장유도 공동체 형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교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효능감 학교조직몰입을 고려한 학교경영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tudy also analysed the effects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positively affec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school-based management for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이상철(Lee Sang-Chul),임우섭(Lim, Woo-Sup),김용주(Kim, Yong-Chu)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2

        본 연구는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 로 정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90년에서 2015년까지의 국내의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탑재된 학술논문 중 선정과정을 거쳐 석사논문 12편, 박사논문 12 편, 학술논문 8편 총 32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학교조직문화 유형은 진취지향문화, 관계 지향문화, 합리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로 나누고,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은 직무만족, 조 직적응, 조직몰입, 직무성과로 나누었다. 분석결과,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효과크기는 ES=.539(r=.492)로 나 타나 학교조직문화가 학교조직효과성에 큰 효과를 보였다. 조절변인에 따른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효과크기는 발표형식, 학교급별, 발표시기별에 따라서 유의미 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조직효과성의 관 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tegrated in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the researcher used the meta-analysis method on the 240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32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15.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was divided into developmental culture, relational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by two criteria, perception of the human relation, and attitude of the job performance. The sub-factors of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identified a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adapt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by the preference frequency.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effect siz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539(r=.492), it was proved that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has big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was revealed that the effect siz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ing on moderators h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ccordance with publication type, school level, publication year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학교장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교사의 공유리더십, 학습조직문화 및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이소영,최은수 한국성인교육학회 2017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0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teachers’ shared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of schoo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chool.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o principal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teachers’ shared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of schoo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chool? Second, do principal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teachers’ shared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of school have effects on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do principal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teachers’ shared leadership have effects on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of school? Fourth, does principal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ave an effect on teachers’ shared leadership?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ample(n=955) was drawn from teachers at 49 middle school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AMOS 18.0 and SPSS 18.0 program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incipal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ad indirect meaningful and positive influence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eachers’ shared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of school,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direct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chool. Second, principal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teachers’ shared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of school had direct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principal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ad direct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of school, also, principal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ad indirect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of school through the intervening teachers’ shared leadership. Finally, principal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ad direct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teachers’ shared leadership. 본 연구는 학교장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교사의 공유리더십, 학교조직 내 학습조직문화, 교사의 긍정심리자본, 학교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교육청 소속 49개 중학교를 선정, 1,20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최종 분석에는 955부의 설문이 사용되었다. 통계적 검증을 위해 AMOS 18.0, SPSS 18.0 프로그램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교장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교사의 공유리더십, 학습조직문화, 긍정심리자본에 직접 영향을 미침으로써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학교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공유리더십은 학교조직효과성을 높이는 직접적이고 주요한 변인임이 구명되었다. 셋째, 학교조직 내 학습조직문화 구축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넷째, 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역시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조직효과성 극대화를 위한 학교장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발휘의 중요성이 입증되었으며, 이를 통한 교사의 공유리더십과 학습조직문화, 긍정심리자본 등의 변인간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의 중요성도 입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