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자담보책임에서 하자의 추정

        김세준(Kim, Se-Jun) 한국재산법학회 2016 재산법연구 Vol.33 No.3

        민법 제580조 이하의 하자담보책임에 대해서는 개정의 논의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효과에 관한 것이 주가 되고 있으며 요건에 관해서는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하자담보책임의 요건으로서 하자의 존재는 책임의 인정여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하자의 증명에 관해서 문제가 된다. 원칙적으로는 하자가 존재한다는 증명을 할 책임은 하자담보책임을 주장하는 매수인이 부담한다. 따라서 위험이전시에 하자가 존재했다는 것을 매수인이 증명하지 못하는 한하자담보책임을 물을 수 없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매수인이 소비자로서 거래하는 경우에 하자담보책임문제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고, 목적물에 대한 정보의 측면에서 소비자가 하자의 존재를 증명한다는 것이 매우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위험이전시에 하자가 존재했다는 것을 추정하여 매수인의 증명책임을 완화할필요가 있다. 이러한 법리는 소비재매매를 규정한 독일민법 제476조 및 유럽연합소비재 매매지침(Richtlinie 1999/44/EG) 제5조 제3항 등의 입법례에서도 찾을 수 있다. 소비자보호라는 제한적인 목적 범위 내에서 위험이전시의 기초하자를 추정할 것인데, 원칙적으로이 기초하자에는 이미 존재하고 있던 하자는 물론, 아직 하자로 드러나지는 않았으나 향후에 하자로서 발현될 수 있는 잠재적 기초하자도 포함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주장시점에 실제로 하자가 발생했다는 점과 그것에 별도의 원인이 개입하지 않았다는 점만 증명하면 하자의 추정을 받아 사업자인 매도인에게 하자담보책임을 물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의 실질적 권리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하자 추정의 법리는 하자담보책임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될 수는 없으며, 소비자보호의 목적 하에서만 인정되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민법에서는 소비자개념을 전제하지 않고 있으므로 민법상 하자담보책임에 이를 규정하는 것은 체계상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한된 형태의 거래를 전제로 개별 법령에 하자담보책임에 대한 특별법 형식으로 규정하는 것이 체계상으로는 가장 타당할 것이다. Als Voraussetzung der Gewährleistung wegen Mangels der Sache(KBGB §§580, 581) hat das Vorliegen eines Sachmangels wichtige Sinne im Zusammenhang mit Anerkennung der Haftung. Es handelt sich besonders um Beweis des Mangels. Nach allgemeinem Grundsätzen ist das Vorliegen eines Sachmangels vom Käufer zu beweisen. Jedoch praktisch entsteht das Problem der Gewährleistung wegen Mangels der Sache, wenn der Käufer als Verbraucher handelt. Daher kann Verbraucher das Vorliegen eines Sachmangels fast nicht beweisen, weil er Informationen weniger als Unternehmer hat. Aus dem Grund durch Vermutung des Vorliegens eines Sachmangels bei Gefährübergang braucht es der Beweislast des Käufers zu lösen. Diese gesetzliche verfügungen werden nicht nur aus §476 BGB sondern auch aus Artikel 5 (3) Richtlinie 1999/44/EG gefunden. Also muss ein Grundmangel bei Gefährübergang im Rahmen von Verbraucherschutz vermutet werden. Grundsätzlich enthält der Grundmangel den bei Gefährübergang aufgetretenen Mangel und zugleich den potenziellen Mangel, dass der später als Mangel aufgetreten werden kann. Der Verbraucher kann deshalb dem Unternehmer-Verkäufer die Gewährleistung wegen Mangels der Sache geltend machen, indem er die Entstehung des Sachmangels mit keiner anderen Ursache beweisen. Jedoch bei der Gewährleistung wegen Mangels der Sache muss diese Vermutung nicht im Allgemeinen, sondern unter dem Zweck des Verbraucherschutzs anerkannt wird. Aber im KBGB ist der Begriff des Verbrauchers nicht vorausgesetzt. Also es ist problematisch, zu verordnen die Vermutung des Grundmangels im KBGB. Folglich ist es systematisch, zu bestimmen als Spezialrechts im beschränkten Bereich.

      • KCI등재

        하자담보책임에 있어 하자추정을 통한 입증책임의 전환 - 독일민법 제477조와 우리법에의 시사점 -

        김동환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69 No.-

        According to the general principle of burden of proof, a buyer must prove that there was a defect at the time of passing of the risk in order to exercise the right die to defects which stipulated in Article 437 of the German Civil Code. If the defect is discovered after the time of transfer of the risk, the buyer must also prove the caused defect which existed before the time. However, the principle of proof gives rise to difficulties for the buyer to prove. Taking this into account, the German Civil Code reduces the burden of proof of consumers to protect them by stipulating as “If, within six months after the date of the passing of the risk, a material defect manifests itself, it is presumed that the thing was already defective when risk passed, unless this presumption is incompatible with the nature of the thing or of the defect” through the Article 477. Under this provision, a consumer only needs to prove the defect which existed at the time of asserting the liability for warranty against defect of seller and that such defect was revealed within six months from the time of the passing of the risk.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void liability for defects, seller must prove that there was any defect on the material when the risk is passed. According to the Korean Civil Code, however, a buyer shall prove that there was a defect in the material before the date of passing of the risk in order to claim the liability for warranty against defect which mentioned through the Article 580. Thus, it is necessary to the Korean Civil Code to impose a regulation such as the Article 477 of the German Civil Code for substantial protection of the right of consumer. 독일민법상 매수인이 제437조에 규정된 하자로 인한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서는 입증책임의 일반원칙에 따라 위험이전시에 하자가 존재하였음을 입증해야 한다. 매수인은 하자가 위험이전시 이후에 발견된 경우, 이러한 하자의 원인이 되었던 위험이전시에 존재하였던 하자도 입증해야 한다. 하지만 오늘날 매매의 목적물은 기술적으로 복잡한 물건이 상당수여서 매수인이 그러한 물건의 하자를 입증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독일의 입법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소비재매매의 경우 제477조에 하자추정을 통해 소비자의 입증책임을 완화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이에 따르면 물건의 하자가 위험이전시로부터 1년(살아 있는 동물매매의 경우에는 6개월) 내에 드러난 경우, 위험이전 당시에 이미 하자가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써 입증책임은 전환되어 소비자는 사업자의 하자담보책임을 주장하는 시점의 하자의 존재와 이러한 하자가 위험이전시로부터 1년 내에 드러났음만을 입증하면 되고, 반대로 매도인은 위험이전시에 하자가 없었다는 점을 입증하여야 한다. 우리법에서는 권리를 주장하는 사람은 자기에게 유리한 권리근거규정의 요건사실, 즉 권리발생사실에 대한 입증책임을 지게 된다(통설 및 판례). 따라서 매수인인 소비자가 민법 제580조 이하에 규정된 하자담보책임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위험이전시에(사견) 물건에 하자가 있었음을 입증해야 한다. 결국 우리법에서도 하자의 입증책임과 관련하여 소비자를 보호할 법정책적인 필요성이 존재하고, 이에 독일민법 제477조에 관한 논의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자동차관리법 제47조의2와 제47조의3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자동차 중재신청을 위한 하자개념을 중심으로

        이재호(Lee, Jae-Ho) 한국재산법학회 2021 재산법연구 Vol.37 No.4

        2018년 자동차관리법의 개정으로 하자 있는 자동차에 대한 교환 및 환불을 위한 중재절차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제도가 소비자의 권익구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개정된 자동차관리법의 중재를 통한 교환 및 환불받은 사건은 단 한건있었다. 또한 중재심의 기간 중 신청을 취하하고 이면합의를 통해 제도의 취지를 몰각시키는 사례가 다수 있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개정 자동차관리법의 중재신청의 실효적 운영을 위하여, 자동차 “하자”에 관한 개선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중재판정을 위한 하자 개념을 분명히 규정하여야 한다. 동법상 하자는 결함의 개념과 혼용되고 있어 혼란을 줄 수 있다. 다음으로, 중재신청을 위한 하자추정기간이 6개월로 지나치게 짧아 보인다. 관련하여 EU에서는 해당기간을 1년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개정하여야 한다. 또한 6개월의 하자추정기간은 법 제47조의2 제1항상 1년의 중재판정 신청기간과 충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 해소를 위하여, 6개월의 하자추정기간을 삭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는 하자 추정기간을 1년으로 연장하는 개정이 필요하다. With the revision of the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in 2018, an arbitration procedure for exchange and refund for defective cars was introduced. However, there are doubts about whether the new system will actually help consumers rights. According to statistics, there has been no case of exchange or refund through arbitration under the revised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In addition, there have been many cases in which applications were withdrawn during the arbitration period and the purpose of the system was obscured through a back-side agreement.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arbitration application under the revised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the improvements about meaning of “defect” in Motor Vehicl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efinition of defect for an arbitration must be clearly defined. The reason is why the concepts of defect and nonconformity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under the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Secondly, the estimation period for defects for arbitration is too short, 6 months.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the EU sets the period to one year. The six-month defect estimation period collides with the one-year arbitration application period. To solve this problems, it is possible to consider deleting the six-month defect estimation period. Or, a revision is needed to extend the estimation period of defect to one year.

      • KCI등재

        해상운송물의 고유한 하자 및 숨은 하자에 따른 입증책임

        양석완 ( Seok Wan Yang ) 안암법학회 2012 안암 법학 Vol.0 No.38

        A carrier is not liable at common law for loss or damage which results exclusively from some inherent quality or latent defect of the cargo carried. Every marine cargo case for lost or damaged goods starts with the so-called ``prima facie case.`` Even though a clean bill of lading had been issued, the carrier would not be estopped from pleading the exception providing that the loss had resulted from the inherent unfitness of the cargo to withstand the ordinary incidents of the voyage and had in no way been aggravated by the conduct of the carrier. No peril is an ``act of God``, ``restraint of princes``, or ``danger of the sea`` if its occurrence could have been avoided by the exercise of reasonable care. However, in ``Inherent Vice and Latent Defect``, the degree of care expected of the carrier will, of course, vary depending on the extent of his knowled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ular cargo. Hague-Visby Rules imposes some specific obligations about how the carrier must perform its contract, for example, and detail some of the legal consequences of the carrier`s failure to perform, but it does not explicitly declare the carrier`s most basic obligation simply to perform the core contract. There then foll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herent vice exemption liability and carrier`s implied undertakings not to do undutifully and not to make a ship unseaworthy. Onus of proof between the carrier and the cargo owner is finally considered. However, the Rotterdam Rules` treatment of carrier`s obligations begins by making explicit what the Hague-Visby Rules leaves implicit. Pursuant to article 17(5) of the Rotterdam Rules the shipper can prove that the damage, loss or delay was probably caused or contributed by the unseaworthiness of the ship. It employs what has often been described as a ``reversed burden of proof``, meaning that carrier (typically the defendant) must disprove its fault in order to escape liability (once the claimant has established a prima facie case). This differs from the allocation commonly employed in many jurisdictions to determine fault-based liability under which the plaintiff must prove the defendant`s fault as part of its affirmative case in order to recover.

      • KCI등재

        온라인 물품거래에서의 담보책임 - EU의 입법지침안과 우리 전자상거래법의 개정방향 -

        김진우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서울법학 Vol.24 No.2

        Die Reformbedürftigkeit des koreanischen Gewährleistungsrechts steht schon seit langem außer Streit, da dieses seit dem Jahr 1960 unverändert blieb und somit den Anforderungen des modernen Wirtschaftslebens nicht mehr gerecht wurde. Im Dezember 2015 veröffentlichte die Europäische Kommission Richtlinienentwurfürfe im Zusammenhang mit der Schaffung eines digitalen Binnenmarktes. Von Interesse ist vor allem der Vorschlag über vertragsrechtliche Aspekte des Online-Warenhandels und anderer Formen des Fernabsatzes von Waren. Der Beitrag setzt sich kritisch mit dem Richtlinienvorschlag auseinander und geht auf dessen Auswirkungen auf das koreanische Kaufrecht ein. Der Vorschlag enthält u. a. eine Verlängerung der Beweislastumkehr zugunsten des Verbrauchers auf zwei Jahre, eine Gewährleistung trotz Mangelkenntnis, sowie eine Rücktrittsmöglichkeit auch bei geringfügigen Mängeln. 이 글은 2015. 12. 9. 공표된 물품통신판매에서의 담보책임에 관한 EU의 입법지침안(이하 “지침안”이라 한다)의 내용을 파악하고 우리 전자상거래법의 개정방향을논구한 것이다. 지침안은 EU 물품통신판매에서의 담보책임법의 완전한 통일을 기하고자 한 것으로 아울러 소비자보호수준을 소비재매매지침보다 일부 제고하였다. 현행 EU 계약법과 비교할 때 가장 중요한 변화로는 ① 소비자의 판매자에 대한하자통지의무를 폐기한 점, ② 경미한 하자의 경우에도 소비자가 계약을 해제할 수있도록 한 점 및 ③ 하자추정기간을 6개월에서 2년으로 연장한 점을 들 수 있다. 우리 현행 전자상거래법은 통신판매에서의 담보책임에 관하여 침묵하고 있으므로그에 대하여는 민법이 적용된다. 그런데 민법의 담보책임은 대등한 계약당사자를염두에 두고 마련된 것이어서 소비자보호 라고 하는 B2C 거래에서의 핵심과제를수행하는데 한계가 클 수밖에 없다. 그리고 우리의 입법자는 사법(私法)의 기본법인민법에 소비자계약의 특성을 반영하는데 아직까지 소극적이다. 그렇다고 민법이 개정될 때까지 마냥 기다리고 있을 수만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지침안을 계기로 전자상거래법의 개정을 촉구함으로써 소비자보호에 관한 현재의 입법적 미비를 보완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2019년도 대법원 「민법」〔채권편〕 판결례의 소개와 약간의 첨언

        이진기 안암법학회 2020 안암 법학 Vol.0 No.60

        Es ist keine einfache Aufgabe, ale höchstgerichtlichen Entschedungen über schuldrechtliche bzw. vertragliche Streitfragen Im Jahre 2019 zu überprüfen und bewerten. Zu diesem Zweck hat man zunächst diejenigen Entscheidungen zu wählen, die entweder doch juristisch hochwert oder rechtstheoretisch bezweifelt und rekonstruiert werden solte, und noch in 8 Grupen geteilt sind. In diesem Platz wird zuerst Natur und Charakter der Entscheidungen des 2019 algemein nach der Reihenfolge des BGB erwähnt, gefolgt von der konkreten und kritschen Analyse einzelner Entschedung. Dabei hat man jedoch an der Privatautonomie als dem Grundgedanken des Privatrechts festzuhalten: das hat der Höchstgerichtshof mit diesen Entscheidungen gerade angenommen und bestätigt. Einen Überblick über großen Teil der Entschedungen, die hier aus verschiedenen Gründen leider nicht behandelt werden könen, kan man in andenren bereits veröfentlichten Aufsätzen ergreifen. 이 글은 민법 [채권편]에 관한 2019년도 대법원판결례의 소개와 검토·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양적 측면에서 대법원판결례가 상당하여, 이를 모두 다루는 것은 처음부터 가능하지도 않고, 글을 쓰는 취지와도 맞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글에서는 취사선택한 일련의 판결례를 대략 8개의 군으로 나누어 개략적으로 논의한다.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판결례들에관한 논의의 일부는 이미 이루어진 선행연구로 미루고, 다른 일부에 관한구체적이고 깊은 연구와 평석은 개별 민법학자의 몫으로 남긴다. 이 글의 모두에서 먼저 2019년도 대법원 민사판결례의 특징을 서술하고, 이어서 개별 판결례를 낱낱이 검토한다. 서로간의 연결관계를 전혀고려함이 없이 선정한 판결례군들은 다행스럽게 사적자치를 정점으로 하여 권리의 성질, 의사표시의 해석과 법률의 적용, 상계, 권리행사기간 등민법의 중요한 제도들을 연결고리로 하여 하나의 체계를 이룬다. 이로써대법원도 사적자치가 민사사법의 최고가치임을 확인하고 이를 기본가치로 한다. 그러나 폭주하는 상고사건의 부담으로 인하여 그러한 이념이 판결이유에서 법리적으로 제대로 뿌리내린 것인지는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판결례에서 정당하거나 본받을 내용이 있으면 이를 강조하고 쟁점사항 또는 법리의 측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이를 채우는 것이 이 글을 작성한 동기이고, 가능할 경우에는 –그렇게 말할 수 있다면- 이 글의 성과가 될 수 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