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파워(power)’에 대한 인식변화 연구: 중국 지도자 연설문 언어분석을 중심으로

        박선화,모리나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0 중소연구 Vol.44 No.1

        This study analyzes the speech style of Chinese leaders by applying TextMind program and grasps the change of perception of Chinese power through it. Recently, China has emphasized Chinese soft power, which is called negative soft power. This can be said to have a kind of hard power personality for pursuing the status of the world hegemony, and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China’s perception of power is changing from the nature of soft power to hard power. This pursuit of hard power in China has led to conflicts against the United States, and has recently emerged as an aspect of intensifying US-China hegemony competition. This change in the perception of power in China can be understood by analyzing the leader’s speeches, which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ways of expression. Therefore,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recognition of China’s power after economic rise is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pursuing hard power,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Chinese soft power and so-called negative soft power expression. And China’s change in perception is one of the causes of deepening the U.S.-China hegemony, with a hard power character challenging the U.S. hegemony. 본 연구는 TextMind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중국 지도자들의 연설문 언어스타일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국의 파워에 대한 인식변화를 파악한다. 최근 중국은 소위 부정적 소프트 파워(negative soft power)라고 불리는 중국식 소프트 파워를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세계 패권국 지위 추구를 위한 일종의 하드 파워적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국의 파워에 대한 인식이 소프트 파워의 성격에서 하드 파워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중국의 하드 파워 추구는 미국에 대한 견제와 갈등으로 이어져 최근 미중 패권경쟁 심화라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중국의 파워에 대한 인식변화는 그것의 표출방식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지도자의 대외연설문 분석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제적 부상 이후 중국의 파워에 대한 인식이 하드 파워 추구의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식 특유의 소프트 파워, 소위 부정적 소프트 파워 표출의 양상을 띠고 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중국의 이러한 인식변화는 미국 패권에 도전하는 하드 파워적 성격을 띠며 미중 패권경쟁 심화의 원인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스마트파워 구현을 위한 항공모함의 유용성과 역할

        한종환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22 국방연구 Vol.65 No.1

        외교정책 수단으로써 강압의 하드파워와 매력의 소프트파워가 가진 제한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스마트파워는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 간 통합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외교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효율적으로 자원을 사용하는 전략이다. 스마트파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외교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대응해야 하는 발생 가능한 다양한 상황(varying context)에서 융통성 있는 대응이 가능해야 한다. 항공모함은 항공모함 자체의 특성과 주 활동무대인 바다가 제공하는 환경적 특성으로 임무/시간/장소의 측면에서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는 융통성이 탁월하여 스마트파워를 구현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스마트파워를 구현하기 위한 항공모함의 유용성을 분석하고, 미국과 영국의 항공모함 운용사례를 바탕으로 스마트파워 구현을 위해 항공모함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왔는지 분석하여 한국해군에 대한 함의를 도출했다.

      • KCI등재

        중견국가와 기여외교:그 유형과 적용

        김치욱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국가안보와 전략 Vol.11 No.2

        이 논문은 중견국가의 기여외교 유형을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 간의 균형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현실주의형·이상주의형·혼합형으로 분류한다. 나아가 이를 각각 신흥 중견국가, 북유럽 중견국가, 그리고 전통적 중견국가의 대표 사례에 적용, 그 실제 작동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기여외교는 기본적으로 소프트파워 외교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하드파워의 열세를 공통적인 한계로 지니고 있는 중견국가들에게 매우 유용한 외교정책 수단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중견국가의 기여외교는 그 동기, 방식, 추진체계 등 여러 측면에서 차이점을 드러내는데, 이 논문은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의 상대적 부존도에서 그 원인을 찾는다. 실제로 브라질과 인도 등 하드파워형 중견국가는 현실주의적 기여외교를 지향한 반면, 북유럽의 소프트파워형 중견국가는 이상주의적 성향을 나타냈다. 호주와 캐나다 등 균형적 중견국가들은 현실주의와 이상주의적인 모습이 공존하는 기여외교를 추구했다. 한국은 신흥 또는 북유럽 중견국가에 준하는 조건을 결여하고 있다. 따라서 창조적인 아이디어의 공급 등 전통적 중견국가에 가까운 혼합형 기여외교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types and cases of international contribution diplomacy of middle powers(MPs). Based on the relative endowment between hard and soft power, it classifies the ideal types of contribution diplomacy as realist, idealist and hybrid. Further it applies such typology to the cases of emerging, Nordic, and traditional MPs, respectively, and analyzes their practic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peacekeeping cooperation. The motives and methods of MPs’ contribution diplomacy are theoretically a function of the balance of hard and soft power resources, because international contribution is to increase the latter and to compensate for deficit in the former. Emerging MPs, such as Brazil and India, endowed with relatively abundant hard power, tend to follow a realist model of contribution diplomacy, whereas soft power-rich Nordic MPs follow an idealist model. And the traditional MPs like Canada and Australia are in between the two ideal types, which reflects their balanced hardsoft capabiliti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Korea, a balanced MP, pursue a hybrid model of contribution diplomacy in which realist and idealist elements coexist.

      • KCI등재

        특집 : 대북정책 추진체계와 스마트파워

        류길재 ( Kihl Jae Ryoo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09 통일과 평화 Vol.1 No.2

        이 글은 스마트파워 개념을 적용하여 대북정책 추진체계를 검토하려는 시도이다. 북핵 문제가 해법을 찾기 어려운 현재의 조건에서 당장의 해법 추구보다는 중장기적인 대북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발상을 갖고 접근하기 위해서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대두하고 있는 스마트파워 개념은 유용성을 갖고 있다.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구성된 하드파워와 문화, 정치적 가치관, 그리고 대외정책에 토대한 소프트파워를 잘 결합시켜놓은 스마트파워는 비록 개념화가 분명하지는 않지만 대북정책 논의에서 간과돼 온 한국의 매력 자원들에 대하여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 대북정책은 북한, 국내사회, 국제사회 모두를 고려하면서 추진돼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주로 북한에 대한 하드파워의 구사에만 관심이 집중되었다. 또한 대북정책의 내용 외에도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자원을 결합시키는 정부의 능력에 대해서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스마트파워는 북한에 대해서도 한국이 갖고 있는 매력 자원을 동원하고, 정책을 결정·집행하는 과정에서의 정당성을 확보하는데 관심을 기울인다. 스마트파워 전략 하에서 대북정책 추진체계를 위해서 첫째, 정부 차원에서 정책 추진을 위한 컨트롤 타워의 기능을 향상시켜야 하며, 둘째, 스마트파워 전략을 대북정책에 있어서 실천하기 위한 정부 부처 내 인적·조직적 개선을 추진해야 하고, 셋째, 정부와 민간 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하고, 넷째, 시민사회 내의 통일 및 북한 문제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plores how the concept of smart power could be adapted into the implementing system of the policy towards North Korea. Given the unresolved nuclear situation with North Korea, it would be useful to consider a new paradigmatic shift for the mid- and long-term policy towards North Korea, with the concept of smart power that recently stemmed from the United States. Although smart power denotes combination of the hard power consisting of the military and economic strength with the soft power based on culture, political value, and foreign policy, is not clear in conceptualization. However, it is bringing attention to what we call the attraction resources of South Korea, in the discussion for the policy towards Pyongyang. The North Korea policy could not be expected to be effective until it takes North Korea,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ciety into account in its implementation stage. Previously, the policy towards North Korea was predominantly involved with hard power, that lacked interest in the efforts by the government to incorporate various resources in the process of the policy-making and policy-implementation. Smart power strategy focuses on mobilizing attraction resources vis-a-vis North Korea, and on legitimizing the policy-making and policy-implementation of North Korea policy. This paper argues the following four points in order to enhance the implementing system of the policy towards North Korea in the context of smart power. Firstly,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function of the control tower in coordinating the policy-making process. Secondly, in order to implement the smart power strategy in its policy, it needs to reform the human and organizational institutions within the government. Thirdly, the cooperating system between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should be elaborated. Fourthly and lastly,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civil society`s understanding of the North Korea problem and national reunification.

      • KCI등재

        한국 코로나19의 미디어외교 성격 규명을 위한 사례연구: 뉴욕 타임스를 중심으로

        최윤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3 언론정보연구 Vol.60 No.1

        In order to verify the media-mediated communication in the field of diplomacy, this study divided into hard power and soft pow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reporting patterns of foreign media related to South Korea. Next, in order to identify the role of media diplomacy in the transnational issue of COVID-19, this study analyzed foreign media reports related to COVID-19 era South Korea. To verify this, the New York Times, which has secured a reputation in international reports,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and related articles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oreign media cited sources related to COVID-19 era South Korea according to hard power practices. The New York Times similarly used the nationality, status, statement tone, and statement contents of the source in COVID-19 and hard power. And in the New York Times, the situation and response of COVID-19 era South Korea remained around rather than around the center of the article. The COVID-19 era South Korea information was used as a simple case for comparison or introduction in various types of articles such as straight, commentary, and opinion articles. Finally, the New York Times still had high interest in South Korea's hard power. In the New York Times, South Korean hard power was reported more centrally than soft power, and soft power was mainly cited as an example. 본 연구는 외교분야에서 미디어를 통한 매개된 커뮤니케이션을 검증하기 위해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로 구분해 한국 관련 외신의 보도형태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어서 초국가적 이슈인 코로나19의 미디어외교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국내 코로나19 관련 외신보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국제보도에서 명성을 확보한 뉴욕타임스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국내 관련 기사를 내용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외신은 한국 코로나19 관련 정보원을 하드파워적 관행에 따라 인용하였다. 뉴욕타임스는 코로나19와 하드파워에서 정보원 국적과 신분, 진술논조, 진술내용 등을 유사하게 활용하였다. 그리고 뉴욕타임스에서 한국 코로나19 상황과 대응은 기사중심보다 주변에 머물렀다. 한국 코로나19 정보는 스트레이트와 해설, 의견기사 등 다양한 유형의 기사에서 비교 또는 소개를 위한 단순사례로 이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뉴욕타임스는 한국의 하드파워에 대한 외신의 관심이 여전히 높았다. 뉴욕타임스에서 한국의 하드파워는 소프트파워보다 더 중심적으로 보도되었고, 소프트파워는 주로 사례로 인용되었다.

      • KCI등재

        중국 소프트파워 대외정책의 공세적 변화와 원인 : 중국의 남중국해 정책을 중심으로

        이영학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2 중소연구 Vol.36 No.1

        This paper studies how Chinese soft power foreign policy has been changed to the aggressive hard power policy by closely examining Chinese policy change on the South China Sea, and analyzes its background and underlying causes. China had increased its soft power within Southeast Asia through the soft power foreign policy on the South China Sea that attractively utilized its diplomatic and economic resources and refraining from the use of military forces from the late 1990s through the late 2000s. However, in the late 2000s, China adopted the aggressive hard power policy actively utilizing its military as well as economic resources. Consequently, China Threat theory became active again within the region and the Chinese soft power, along with its lessened influence, has been decreasing.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China witnesses the relative rise of its global status and the strategic value of resources in the South China Sea are re-evaluated, such change of Chinese foreign policy can be considered the result of the vicious circle. In this case, the interaction of the internal factors such as Chinese confidence acquired by the increase of national capabilities, growing sentiment of domestic nationalism,bureaucratic politics among authorities participating in chinese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lack of leadership necessary for reasonable policy coordination, and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United States’ return to Southeast Asia and aggressive attitudes of the countries involved in the conflict in Southeast Asia comes into play. In addition, if such change means that China gives up soft power as its foreign policy strategy to become a global power, it is highly likely that China would strive for the regional hegemony. In that case, there will be a strong likelihood that we are put in a difficult diplomatic situation where we are forced to choose between China and United States. Thus, the careful examination of China's foreign policy behavior is important. 본 논문은 남중국해에 대한 중국의 정책 변화를 사례로, 중국의 소프트파워 대외정책이 공세적인 하드파워 정책으로 변화한 형태를 고찰하고, 그 배경 및 원인을 분석한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후반까지 중국은 남중국해에 대하여 외교력․경제력의 매력적 운용 및 군사력의 사용 자제 등 소프트파워 대외정책을 통해서 동남아 지역내 소프트파워를 제고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 이후 중국은 군사력․물리력 및 경제력을 강압적으로 운용하는 등 공세적인 하드파워 정책을 취함으로써 역내 중국위협론이 재유행하고, 영향력이 약화되는 등 소프트파워가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정책 변화는 중국 국력의 상대적 부상과 남중국해 경계획정 요구 및 자원 가치의 재부각 등의 배경하에서, 중국의 국력 상승에 따른 자신감과 국내 민족주의 정서 고취, 중국 외교정책결정 참여 세력간 관료정치 및 최고리더십의 합리적 조정 부재 등 대내적 요인과 미국의 동남아에 대한 회귀와 이에 따른 동남아 분쟁 당사국들의 공세적인 태도 등 대외적 요인이 서로 영향을 미치며 악순환한 결과로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변화가 중국이 강대국화 대외전략으로서의 소프트파워를 폐기한 것임을 의미한다면, 중국은 향후 역내 패권을 추구할 가능성이 크고, 이 경우 우리에게는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선택을 해야만 하는 외교적 난제가 주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중국의 대외행태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국의 동남아외교와 ‘소프트파워(soft power)’전략

        변창구 한국동북아학회 2011 한국동북아논총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China's soft power strategies in Southeast Asia and evaluate its achievements and limits. China has employed soft power as its strategy which focuses primarily on economic, cultural and diplomatic dimension. In economic dimension, China has improved economic cooperation with Southeast Asian states through economic aid, FTA(Free Trade Agreement), and Chinese development model called "Beijing Consensus". In cultural dimension, China has tried to construct "China connection" through establishment of a lot of Confucius institutes, inviting next-generation young leaders, and museum diplomacy in Southeast Asia. And in diplomatic dimension, China has pursued actively "good neighbor policy", and its main mechanisms are ASEAN+1, APT(ASEAN Plus Three), EAS(East Asia Summit), and ARF(ASEAN Regional Forum). China's economic aid and diplomatic "charm offensive" to the Southeast Asian states has resulted in the peaceful environment for successive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changes in their perception toward rising China, from being a threat to an opportunity. As a result of these constructive changes, China's influence in Southeast Asia has been greatly increased. However in spite of these achievement, China's soft power strategies in Southeast Asia has various kinds of limits. China still remains as a socialist authoritarian regime, and it has naturally been very supportive to authoritarian regime such as Cambodia and Myanmar. But China's political and economic support for these regimes, which is a violation of human right, has limits of moral justifications. In addition to China's soft power has been used for political means to meet the Chinese needs. Therefore ASEAN's counter strategy to the Chinese soft power diplomacy is a "balanced" or "hedging" strategy.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중국이 동남아외교에 있어서 중요한 전략적 수단으로서 활용하고 있는 소프트파워의 채택 배경과 그 구체적 추진 실태를 분석하고, 동남아외교의 목적에 비추어 얻은 구체적 성과와 한계가 무엇인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중국은 자신이 강조하고 있는 글로벌 외교전략의 목표, 즉 ‘평화로운 발전(和平發展)’과 ‘조화로운 세계(和諧世界)’의 건설을 통하여 강대국화로 나아가는데 있어서 동남아지역이 가지는 커다란 전략적․경제적 가치에 걸맞은 몇 가지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외교목표를 설정, 추구하고 있다. 그것은 첫째, 중국의 지속적인 경제발전에 필요한 평화적이고 안정적인 주변 환경의 유지, 둘째, 중국위협론을 불식시키고 책임대국으로서의 이미지 구축, 셋째, ‘하나의 중국’을 완성하기 위하여 동남아지역에 있어서 대만을 고립시키고 그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지역에 대한 일본과 미국의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 등이다. 이러한 외교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중국은 효과적인 전략적 수단으로서 다양한 소프트파워 자원들을 활용하고 있는데, 경제적 차원에서는 이른바 ‘베이징 컨센서스(Beijing Consensus)’라는 중국식 발전모델의 전수, 대외원조와 FTA 체결 등을 통하여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문화적 차원에서는 공자학원의 설립을 통한 언어영토와 중국문화의 확산, 세계문화유산을 통한 문화국가 이미지의 형성, 박물관외교와 차세대 지도자들의 유치를 통한 ‘차이나 커넥션(China connection)’의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외교적 차원에서는 ASEAN 회원국들과의 개별적 및 집단적 차원에서 선린우호외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그 주된 기제로서는 ASEAN+1․APT․EAS․ARF 등의 다자주의 제도들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중국의 동남아외교 목표에 비추어 볼 때 그동안 추진된 소프트파워 전략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지적한다면 선린외교의 결과 지속적인 경제발전에 필요한 평화적 환경이 조성되었고, 중국위협론이 크게 완화됨과 동시에 책임대국으로서 중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제고되었으며, ‘하나의 중국정책’에 대한 동남아국가들의 전반적인 동의를 얻고 있다. 그리고 이는 결과적으로 동남아지역에 있어서 일본이나 미국과의 영향력 경쟁에서도 점차 유리한 입장에 서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소프트파워 전략이 가지는 한계로서는 미얀마나 캄보디아와 같은 권위주의 정권에 대한 지원은 이들의 민주주의와 통치구조, 인권상황의 개선을 방해하고 있다는 ‘도덕적 정당성’의 문제가 있고, 중국이 개발원조의 명분으로 동남아국가들에 제공하고 있는 원조가 개발원조의 목표와 이상을 존중하기 보다는 자국의 경제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원자재나 에너지 자원 공급루트의 확보를 위한 ‘정략적 도구’로 남용되고 있다는 점도 부인하기 어렵다. 또한 중국의 소프트파워 전략은 동남아국가들에게 아직도 완전한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ASEAN은 중국의 위협에 대비하여 미국과 같은 역외 강대국과의 유대를 지속하는 ‘헤징전략(hedging strategy)’을 구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한계를 알 수 있다.

      • KCI등재

        대한민국 평화유지활동의 신패러다임 : 스마트파워 강화를 위한 국방·외교 전략

        최윤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5 국가안보와 전략 Vol.15 No.1

        1950년대 1인당 국민소득이 100불에도 미치지 못하는 세계 최빈국이었던 대한민국이 불과 반세기만에 중견국가로 성장한 일은 전대미문한 사건이다. 국제사회의 경제원조와 안보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특히우리는 국제원조와 유엔평화유지활동에 대한 역사적 책임감을 갖고 기여외교를 통해 분쟁의 종식과 세계평화구축에 기여하고자 많은 노력을기울여왔다. 1993년 첫 평화유지군 파병을 시작으로 어느덧 20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러나 정부의 관심과 의지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평화유지활동참여는 세계 35위권에 머물 정도로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평화유지활동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오늘날외교정책의 신주류라고 불리는 공공외교 측면에서 평화유지활동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소프트파워와 하드파워의 논쟁을 통해 스마트파워를갖춘 평화유지활동의 신패러다임에 대해 고찰하였다. 평화유지활동은스마트파워 육성을 통해 국위선양과 국익증진에 기여하는 국가 핵심 전략임을 명심하고, 평화유지활동 발전을 위해 더 많은 지원과 노력이 기울어져야 할 것이다. South Korea has gone through a unique experience with foreign assistance. After World War II and the devastation of the Korean War, the country was amajor beneficiary of international aid with GNP per capita of under US$ 100. However, South Korea is well recognized for having transformed itself fromimpoverished, war-torn into a modern, developed and democratic nation in lessthan half century. The government, in return, endeavors to participate moreactively in global affairs as a middle power and has made valuablecontributions in two key areas: overseas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peacekeeping operations (PKO). Yet, despite the government’s efforts androbust willingness, its contributions to PKO remains less significant. This paper purports to explore the new paradigm for peacekeeping in linewith public diplomacy. The study argues that the core components of publicdiplomacy and peacekeeping are closely entangled in the context of power:public diplomacy is an important tool in the arsenal of soft power, whereaspeacekeeping has traditionally worked through hard power. It suggests that asmart power strategy in peacekeeping which combines hard and soft powerresources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empower national defense and foreigninfluence as well as to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 KCI등재

        스포츠 교류・협력의 국제정치:공공외교적 함의

        유호근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3 평화학연구 Vol.14 No.1

        A paradigm which is shifted from hard power toward soft power is being reached in the twenty-first century since the post-cold war era. Soft power is the ability to obtain what you want through persuasion and attraction. Sports prevails all over the world. Today sports have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political and social phenomenon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issues. Sports has come to play an important place in terms of soft power and public diplomacy. This thesis study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sports exchanges according to a functional perspective. This paper explores political significance of sports as a soft power and studies the attributes of sports in the view of public diplomacy. Particularly, sports in the context of soft power is of great importance to korea's public diplomacy in international politics. 20세기까지의 근대 국제관계가 지정학과 강제력을 축으로 하드 파워(hard power)에 기초한 국제정치였다면, 21세기의 탈냉전 시대의 국제관계는 개방된 소통 과정을 통한 설득과 이미지, 그리고 매력에 근거한 소프트 파워(soft power)에 바탕을 둔 국제정치로의 변화가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스포츠는 소프트 파워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꼽을 수 있고, 국가의 안과 밖을 넘나드는 정치ㆍ사회적 현상으로 부각되었다. 개방과 국가 간 경계 낮추기로 구현되고 있는 글로벌화 시대 속에서, 스포츠는 더욱 더 국가단위의 경계 영역을 허물면서 상호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본 연구는 스포츠 교류의 국제정치적 맥락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우선, 소프트 파워의 한 원천으로서 스포츠를 분석해보고, 스포츠를 통한 국가 간 교류ㆍ협력의 이론적 맥락으로서 기능주의적 함의와의 접점을 살펴본다. 나아가서 스포츠 교류가 국제 관계의 맥락에서 가져다 줄 수 있는 다양한 측면을 공공외교(public diplomacy)의 차원에서 규명해본다. 즉 스포츠를 통한 대중적 소통, 설득과 유인, 국가 이미지 형성 등과 관련된 실제의 다양한 사례에 주목하면서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탐색한다.

      • KCI등재

        소프트 파워로서 일본과 일본어에 관한 연구 -한일 대학생 앙케트를 중심으로-

        양민호 한국일어일문학회 2017 日語日文學硏究 Vol.103 No.1

        This study of the globalization era in which the physical boundary between nations collapsed is necessary at the present moment when mutual psychological boundaries become meaningless. This situation is gradually being restructured mainly by soft power from the power relations of the past which was influenced by military power and economic power. Therefore, in this paper, I will study soft power which was not well researched in Korea. Several results will be repor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on the influence of soft power especially thought by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Japan.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soft power will be in charge of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era if hard power is the indicator of the power of the country so far. Power mov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This also changes the awareness of companies in other countries we knew. Especially linguistic expression (linguistic behavior) is strongly positioned as an intermediary of soft power. 本稿は国家間の物理的な境界線が崩れた国際化時代に必要な研究である。このような状況は軍事力や経済力に左右された過去の権力関係から徐々にソフトパワーを中心に権力が再編されつつある。従って本稿では、韓国であまり研究されていなかったソフトパワーについて研究する。特に韓国と日本の大学生が考えるソフトパワーの影響力についてアンケート調査をとおしていくつかの結果を報告する。 その結果、これまでハードパワーが国の力の指標であったとしたら今後の時代ではソフトパワーが重要な役割を担当することになることが分かった。権力は時代の流れに沿って移動する。これによって我々が知っていた相手国の企業の認知度も変化する。特に言語表現(言語行動)がソフトパワーの媒介として強固に位置づけられると思う。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