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하느님의 백성’ 신학에 관한 연구

        서명옥(Seo, Myeong 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7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두고 라너(K. Rahner)는 “교회에 관한 교회의 공의회”라 말한다. 이는 교회 역사상 어떤 공의회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처럼 교회를 전체적 주제로 삼지 않았고, 교회의 개념을 그 구성원의 상호결합으로 부터 시작하여 인류 전체로 발전시키지 않았으며, 엄격한 의미에서 사목적 행위를 교의적 진술의 원리로 삼지 않았다는 말과 부합한다. 이러한 교회에 관한 총체적 숙고를 거쳐 이 공의회가 새롭게 인식한 교회상이 바로 ‘하느님의 백성’이다. 이 ‘하느님의 백성’ 개념은 무엇보다 교회의 모든 구성원, 교계제도와 평신도가 각각 고유한 은사와 임무를 지니고 진정한 평등성 속에 전체로서의 하나의 교회를 이루고 있다고 이해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L.-J. Suenens)이라 칭할만큼 획기적인 교회상인 이 ‘하느님의 백성’은 종전까지 교회가 얼마나 엄격한 신분구조와 제도적 개념에 묶여있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교회 구성원의 평등성은 교회가 지향하는 목표의 시발점이어야지 결코 종착점이어서는 안 된다. 하느님의 백성의 본질을 이루는 것은 이 백성이 새로운 메시아의 백성이라는 것이다. 곧 그리스도로부터 불리어 그리스도에 의해 세워지고 그리스도로부터 파견되어 그리스도를 좇으며 그리스도를 살아가는 무리이다. 그런 까닭에 이 공동체의 생성과 발전과 실존의 원리는 그리스도의 직무이며, 그리스도의 직무(왕직, 사제직, 예언직)에의 참여와 실행이 ‘하느님의 백성’ 개념의 본질이며 핵심이다. 본고는 ‘교회는 하느님의 백성’이라는 말의 본질을 오늘날 제대로 이해하며 살고 있는지를 반성하며, ‘하느님의 백성’에서 참 교회와 인간 실존의 구상과 전망을 발견하고, 그 실현이 구체적으로 하느님, 인간, 세상에 봉사하는 그리스도의 직무 실행에 있음을 밝힌다. 아울러 이 직무의 실행에서 교회의 교의와 사목이 상호침투 되어야 하는 것도 중요하게 살핀다. 결국 교회가 지향하는 ‘하느님과의 깊은 결합과 모든 인간의 일치’ 안에 하느님의 백성은 구원의 성사로서 존재하고, 그 안에 인간의 진정한 인간화의 길 또한 들어있다. “The People of God” is the kernel concep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ecclesiology and the broadest idea concerning the church. It means this council that is called “the Council of the Church about the Church”(K. Rahner), has a new understanding of the origin and the meaning of the church, the identity and the existence of the church and the mission and the aim of the church through the general consideration for the church. Thus the People of God is a newly conceived image of the church in this Council. Primarily, this Council regards all the members in the church as parts of the whole, each having his own gifts and duties and being equal to one another under this concept, “the People of God.” The church is the community of the People of God, namely one church as the whole that is comprised of the hierarchy and the laity in true equality. That “the People of God” was an epoch-making image of the church that was called “the copernican revolution”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L.-J. Suenens) shows clearly the church was tied to the strict constitutions of ranks and institutional notions. However, this equality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should be the starting-point of the aim of the church, never the aim itself. In the essence of the People of God, there is the concept that this people are the new Messianic people. That is, a group of people that is called by Christ, is founded by Christ, is sent from Christ, follows Christ and lives for Christ. Therefore the principle of the formation, the development and the existence of this community is the Offices of Christ. The Offices of Christ are the duties of this people and the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of the three Offices of Christ i.e. Prophet, Priest and King are the quintessence and kernel concept of the People of God. This treatise reflects on whether people correctly understand and perform the word, the “Church is the People of God” that is so well known today that it almost sounds banal, and then finds the concept and the prospect of the true existence of the church and of the human being in the People of God, and lastly clarifies that the realization of them depends on execution of the Offices of Christ which serve God, human beings and the world. This paper also examines that the mutual penetration of Dogma and Pastoral of the church is very important in the performance of these Offices. Finally, the People of God exist as the sacrament of salvation in “a very closely knit union with God and of the unity of the whole human race”, namely, the aim of the church, and the way of the true humanization of the human being is also to be found in it.

      • 이사 56,1-8에 나타난 새로운 하느님 백성 공동체를 향한 새로운 시도

        박형순(Park Hyungsoo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9 누리와 말씀 Vol.46 No.1

        바빌론 유배 이후 이스라엘 백성 공동체는 새로운 하느님 백성 공동체를 기획한다. 유배 이후 공동체 재건의 기사를 들려주는 에즈라기/느헤미야기는‘혈통’을 강조하면서 이스라엘 백성 공동체의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동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제3이사야(55-66장)는 ‘혈통’이 아닌, ‘윤리’ 중심의 공동체를 기획한다. 이 둘의 상충적 모습은 제3이사야가 추구하는 새로운 하느님 백성 공동체가 전통적 가르침을 거스르는 것으로 오해하게끔 만든다. 하지만, 제3이사야가 추구한 새로운 하느님 백성 공동체는 이스라엘 백성이라는 혈통의 강조가 아닌, 윤리적 가르침의 준수와 실천이 더 중요함을 강조하면서, 전통에서 진일보된 신학적 전망을 개진한다. 이사 56,3.6은 이방인을 지칭하는 가운데 rkn를 사용한다. 전통적으로 이스라엘 공동체와 함께 할 수 있는 이방인으로 간주되어 온 rg가 아닌, rkn를 사용하여, 공동체 수용의 범주를 더욱 확대하였다. 아울러 제2이사야서에서 등장한 ‘주님의 종(hwhy db[)’과 ‘주님의 종들(hwhy ydb[)’ 개념을 이방인과 고자에게 적용하면서 제3이사야서는 새로운 하느님 백성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장한다. 윤리 준수는 특히 안식일의 준수라는 구체적 계명의 실천으로 구체화되며, 이는 전통적으로 하느님 백성 공동체에 속할 수 없다고 간주되어온 이방인(rkn)과 고자(syrs)도 ‘주님의 종들(hwhy ydb[)’이 될 수 있는 전제 조건으로 제시된다. 이렇듯 역사서와 달리, 이사 56,1-8이 묘사하는 신학적 확장은 하느님 백성 공동체를 폐쇄적 공동체가 아닌, 개방적 공동체로 이끌어준다. After Babylon exile, Israelites community has planned a new community of God. The Book of Ezra/Nehemiah told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after exile, they emphasized ‘blood’ and tried to show the exertive image of restoring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But, the third Isaiah (chapter 55-66), which also based on the same era, planned a community centered on not ‘blood’ but ‘ethics’. These contradictions made to misunderstand the new community of God which the third Isaiah pursued go against the traditional teachings. But, the new community of God, which the third Isaiah pursued, emphasized to obey and to practice ethical teachings are more important than emphasizing the blood as Israel people, and set forth step-forwarding theological view from the tradition. In Isaiah 56,3.6, ‘rkn’ is used to call the foreigners. Traditionally, ‘rg’ was used for the foreigners who could be with Israel community, but with using ‘rkn’ rather than ‘rg’, it expanded the accepting scope of community. At the same time, the conceptions of ‘the servant of God (hwhy db[)’ and ‘the servants of God (hwhy ydb[)’ in the second Isaiah applied to the foreigners and to the eunuchs, which also extended the identity of the new community of God in the third Isaiah. Obeying ethics, especially Sabbath keeping is concreted by this specific law practice. This is presented as to the precondition that even the foreigners (rkn) and the eunuchs (syrs), who were considered that they could not belong to God’s people community, could be ‘the servants of God (hwhy ydb[). Like this, in a different way from Historical Books, the theological expansion which is described in the Isaiah 56, 1-8 leads the community of God to the open-community, not as the closed-community.

      • KCI등재후보

        공동체의 구성적 가치로서의 연대

        최현순(Choi Hyeon Soon)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신학과 철학 Vol.- No.27

        본 연구는 현재 우리 사회에 필요한 가치들 중의 하나를 연대로 보고 「교회헌장」 9항을 기초로 그 신학적 개념을 탐구하였다. 교회를 무엇보다도 공동체로서 이해하고자 원했던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역사 안에 구체적으로 존재하는 이 공동체를 하느님 백성으로 표현하였다. 이 백성은 하느님과 그리고 인간과의 이중적 연대를 모태로 세상을 구원한 대사제 그리스도에 의해 그 사제직에 참여하는 사제적 백성이다. 이 백성은 하느님, 공동체의 구성원들 간, 그리고 세상과의 연대를 통해서 이 사명을 수행하는데, 이 연대는 그리스도의 연대와 같은 것이어야 해서, 함께 있음, 함께 경험함, 함께 고난을 극복함은 물론 연대된 이들의 자유와 자리를 허용하는 연대이고, 그로 말미암아 지속적으로 연대의 사슬이 가능케 하는 연대이다. 따라서 그리스도교적 의미의 연대는 한 공동체의 구성원뿐 아니라 그 공동체, 그리고 나아가 다른 공동체를 성장시키고 해방시키는 연대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연대는 공동제의 참된 구성적 가치가 된다. Considering solidarity as one of the values necessary in our time, this research wanted to clarify the theological meaning of solidarity in LG 9a. The Second Vatican Council comprehends the Church as the People of God. This People is the priestly community that participates in the priesthood of Christ. He is the High Priest, redeemed the world by the vicarious expiation and in the double solidarity, that is solidarity with God and that with humanity. Like Christ, the People of God exercises his priesthood, making the triple solidarity, that is, with God, among community members, and with the world. This solidarity which must be that of Christ, "being with", "fellow-feeling", "overcoming their difficulties with", "leaving space and freedom for others", and "leading to another solidarity with others." Therefore, solidarity in the theological meaning grows community members, the community itself, and other communities. In this sense, this solidarity is the constituent value of a human community.

      • 이사야서에서 선포된 “hôy” 신탁의 신학적 의미에 대한 고찰

        송태일 인천가톨릭대학교 2016 누리와 말씀 Vol.- No.39

        이사야서 안에서 21번 언급되는 히브리어 “hôy”는 주로 이스라엘 백성과 그 지도자들 그리고 이방 민족들을 대상으로 선포된다. 무엇보다도 이 용어는 피조물에 불과하면서도 창조주 하느님과 동등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그들의 교만한 생각과 위선적인 행동에 대한 하느님의 심판을 상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사야서 55장에서 선포된 마지막 “hôy” 신탁은 그 이전에 언급된 “hôy” 본문들과 긴밀하게 연결되면서 하느님의 용서와 자비로운 초대로 귀결되고 있다. 이 초대에 대한 첫 번째 응답은 바로 ‘주님을 찾고 부르는 것’(이사 55,6)이다. The Hebrew word “hôy”, which is mentioned 21 times in the Book of Isaiah, is mainly proclaimed to the people and leaders of Israel and the Gentiles. Above all, this word signifies God’s judgment against their arrogant thinkings and hypocritical behaviors that to obtain the same position as God the Creator, even though they are nothing but the mere creatures. Nevertheless, the last “hôy” oracle in Isaiah Chapter 55, which is closely linked to previously mentioned “hôy”, came to be a conclusion as to God’s forgiveness and his merciful invitation. The first answer to this invitation is “Seek the Lord and call Him”(Is. 55,6).

      • 이사야서에서 선포된 “yAh” 신탁의 신학적 의미에 대한 고찰

        송태일(Song Taeil)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6 누리와 말씀 Vol.- No.39

        이사야서 안에서 21번 언급되는 히브리어 “yAh”는 주로 이스라엘 백성과 그 지도자들 그리고 이방 민족들을 대상으로 선포된다. 무엇보다도 이 용어는 피조물에 불과하면서도 창조주 하느님과 동등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그들의 교만한 생각과 위선적인 행동에 대한 하느님의 심판을 상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사야서 55장에서 선포된 마지막 “yAh” 신탁은 그 이전에 언급된 “yAh” 본문들과 긴밀하게 연결되면서 하느님의 용서와 자비로운 초대로 귀결되고 있다. 이 초대에 대한 첫 번째 응답은 바로 ‘주님을 찾고 부르는 것’(이사 55,6)이다. The Hebrew word “yAh”, which is mentioned 21 times in the Book of Isaiah, is mainly proclaimed to the people and leaders of Israel and the Gentiles. Above all, this word signifies God’s judgment against their arrogant thinkings and hypocritical behaviors that to obtain the same position as God the Creator, even though they are nothing but the mere creatures. Nevertheless, the last “yAh” oracle in Isaiah Chapter 55, which is closely linked to previously mentioned “yAh”, came to be a conclusion as to God’s forgiveness and his merciful invitation. The first answer to this invitation is “Seek the Lord and call Him”(Is. 55,6).

      • KCI등재

        가톨릭교회 마리아론의 성사론적 구조 연구

        조한규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9 가톨릭신학 Vol.0 No.34

        Within the continuity and the discontinuity with the times of the Old Testament, the era of the New Testament is the process-and completionthereof-of God’s plans for salvation as they are formed and universalized within the context of the concrete personality of Jesus Christ.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salvific idea of the feminine, which had already been defined in several women of the Old Testament’s Israel, was truly realized within the Virgin Mary. Specifically, it engages the belief that the way in which Mary transcends human limitations to step forth to God should be the model to which the Church must aspire. This thesis aims to properly understand ecclesiology through the sacramental Mariology that is revealed through salvific history. First, the salvific and Sacramental meaning and role of the Old Testament’s Israelites is discussed. Observations on which kind of continuity connects the first People of God to the new People of God in the Church under God in the New Testament. Special attention is brought to the Mariology of the Virgin Mary in her role as a bridge between the peoples of God in the Old and New Testaments. With acknowledgement of the sacramental characteristics of Mariology, this paper aims to make observations of sacramental characteristics forming the essential core of ecclesiology. Finally,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idea that the Eucharist, as was emphasized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as being the “fount and apex of the whole Christian life”(Lumen Gentium Nr. 11), is in direct relation to, and reciprocally influences, Mariology. 구약 시대와의 연속성과 비연속성 안에서, 신약 시대는 하느님의 구원계획이 예수 그리스도의 구체적 인격 안에서 형상화되고 보편화되는 과정이자 완성이다. 본 논문은 바로 이 새로운 계약의 시기에 구약의 이스라엘 안에서 몇몇 여인들을 통해 미리 주어졌던 구원론적인 여성상이 신약의 마리아 안에서 실현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인간의 실존적인 한계를 초월해서 하느님께 나아가는 마리아의 모습이 교회의 전형(典型)이고 지향이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원 역사 안에서 드러나는 성사(聖事, Sacrament)적인 마리아론을 통해서 교회론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이 갖는 구원론적이고 성사론적인 의미와 역할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러고 나서 첫 번째 하느님 백성이 신약의 새로운 하느님 백성인 교회와 어떤 연속성을 갖게 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구약과 신약의 하느님 백성을 연결시켜주는 이음새 역할로서의 마리아의 위치와 이에 근거한 마리아론에 주목하고자 한다. 마리아론이 지닌 성사적 특징에 주목하면서 성사적인 특성이 교회론의 본질임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그리스도교 생활 전체의 원천이며 정점’(「교회헌장」 11항)이라고 강조된 성체성사가 마리아론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점에 대해서 규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평신도(平信徒)에 대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학적 구상

        페터 노이너(Peter Neuner),김일두(번역자)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神學展望 Vol.- No.218

        오늘날 교회가 ‘시노달리타스’(Synodalitas)에 대해 강조하면서 지향하는 바들 중 하나는, 중세와 근대를 거쳐 고착된 성직주의에 대한 극복이다. 단어의 생소함으로 인하여 시노달리타스가 교회사에서 등장하지 않았던 획기적인 쇄신 운동으로 이해될 수도 있지만, 시노달리타스 정신은 초기 교회의 역동적인 교회 활동에서 분명히 발견할 수 있으며, 특히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혁신적인 교회론에 녹아 있다. 『교회 헌장』은 ‘하느님의 백성 교회론’을 통하여 평신도의 품위를 상승시켰고, 이를 토대로 작성된 『평신도 교령』은 평신도가 세례성사와 견진성사에 근거하여 교회와 세상 안에서 사도직의 사명을 자발적으로 수행하기를 요청하고 있다. 이런 내용은 성품성사를 근본으로 하는 전통적인 교회론인 교계 중심적인 교회-상과 상충하는 것처럼 여겨진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여러 문헌들에는 혁신적인 교회론과 전통적인 교회론이 병렬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문헌 독해와 해석의 난제가 있으며, 공의회 정신을 사목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데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런 배경에는, 공의회의 ‘문헌 결정 과정’에서 첨예한 갈등과 대립이 있었고, ‘문헌 해석 과정’에서도 갈등과 대립이 숨은 그림처럼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보편 교회가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시노달리타스를 개별 교회를 향한 명령(지시)으로 받아들여, 당면한 과제를 신속히 해결하는 인상을 주는 방식으로 시노달리타스를 구현하려는 자세는 극복되어야 한다. 선행 물음은 ‘개별 교회들은 지역과 문화 안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는가?’에 담겨 있다. 왜냐하면, 공의회의 혁신적인 방향성이 전통적인 교회론을 고수하려는 세력에 의해 퇴보하였고 지금도 정체되어 있다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회는 성직자와 평신도로 구성되어 있다’는 명제에 앞서, ‘교회는 하느님의 백성 전체이다.’ 성직자, 수도자와 더불어 하느님 백성의 구성원인 평신도는 각자의 고유한 자율성을 바탕으로 교회와 세상에서 사도직을 수행하도록 주님께 ‘직접’ 임명받았다. 시노달리타스의 구현은 평신도의 평등함을 적극적으로 보장하고 구현하는 데에서부터 시작될 것이다. 이는 내적인 의식 변화의 차원에만 머무르지 않고, 외적인 구조·제도의 차원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이 번역문은 이를 위한 신학적인 토대를 제공한다. 독일 가톨릭 교회의 상황을 진단하는 IV장은 한국 교회에 그대로 접목할 수 없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만, 공의회 정신을 우리보다 한발 앞서 실현해 가고자 하는 개별 교회의 현실과 고충을 살펴보는 것은 유익할 것이다.

      • KCI등재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신학에 기초한 인간과 사회와 종교

        서명옥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神學展望 Vol.- No.207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강조하는 교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종전처럼 자신을 기초로 한 세상의 교회화가 아니라, 하느님과 인간을 기초로 한, 하느님과 인간 그리고 인간 상호 간의 관계에 봉사하는 것을 자신의 사명으로 인식한 것에 있다. “교회는 곧 하느님과 이루는 깊은 결합과 온 인류가 이루는 일치의 표징이며 도구”(『교회 헌장』 1항)인 것이다. 이에 따라 공의회는 자신의 중심 관심사가 바로 인간과 세상에 있음을 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전체 사상들을 전개해 나간다. 곧 이 두 표상, ‘교회는 모든 이의 구원을 이룩하는 일치의 성사’(『교회 헌장』 9항 참조), ‘인간의 구원과 인간 사회의 쇄신’(『사목 헌장』 3항 참조)이 공의회 교회의 실존을 결정짓는다. 종교 역시 이 인간 실존의 궁극적 신비와 관련하여 묻고, 타종교와의 관계 또한 바로 그 종교들의 구성원인 인간에 초점을 두고 전개해 나간다. 결국 모든 종교들은, 그것이 참 종교인 한, 인간의 구원을 목표로 제시하고, 세계 윤리 역시 인간의 행복과 평화를 목표로 한다. 따라서 종교들과 세계관, 세계 윤리 역시 ‘인간’이라는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요소에서 서로 만난다. 이렇게 인간과 사회와 종교는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문제는 이 삼자의 상호 관련성이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 위에서 어떻게 더 근본적이고 더 보편적인 이해에 이를 수 있으며, 그 이해를 바탕으로 가톨릭 교회가 오늘날 세상에서 어떠한 프로그램을 계속 전개해 나가야 할지 지속적으로 묻고 답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곧 ‘언제나 쇄신되어야 할 교회’(Ecclesia semper reformanda)의 실행일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 아래 오늘의 다원주의적 세계 속 인간과 사회와 종교와의 관계 안에서 진정한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를 향한 가톨릭 교회의 사명과 과제가 무엇인지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토대로 고찰해 본다. 그 과정에서 공의회의 인간과 사회와 종교에 대한 이해, 인간의 존엄성과 종교 자유와 비그리스도교 종교들과의 대화를 바탕으로 한 교회의 새 인식과 과제들이 표출될 것이다. 특별히 이 공의회 교회의 가장 핵심적이며 보편적 개념, ‘하느님의 백성’ 안에, 모든 인간이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 의지로 인하여 예외 없이 포함된다는 것이 교회의 보편적 사명에 중요한 단초이자 전망이 된다.

      • 세계주교시노드 규정에서 드러난 교회의 식별 자세 : 교황령 「주교들의 친교(Episcopalis Communio)」를 중심으로

        김의태(Kim, Eui-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0 이성과 신앙 Vol.68 No.-

        This study include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few regulations which governs the Synod of bishops (「Apostolica sollicitudo」 in 1965, 「Codex Iuris Canonici」 in 1983, and Ordo Sinodo Episcoporum in 2006), and Apostolic Costitution 「Episcopalis Communio」 in 2018. The author analyses the theological and canonical meaning of the apostolic Constitution, starting from its title and its main elements: the function and nature of the Synod of bishops, the typology of synodal assemblies, the daily running and role of the general secretariat of the synod, etc. The author picks out some valuable values: authoritative decision and consensus that results from the communion and correspondence of the Bishops, synergies and considered discernments were appeared when the church walks with God’s people, a principle of the discernment that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Bishop’s. Furthermore, The author hopes that these values ​​in Korean Church are actually realized. 본 연구는 주교시노드과 관련된 여러 규정들(1965년 「사도적 염려(Apostolica sollicitudo)」 , 1983년 「교회법전(Codex Iuris Canonici)」, 2006년 주교시노드 정관인 「Ordo Sinodo Episcoporum」)과 2018년 입법된 교황령 「주교들의 친교(Episcopalis Communio)」를 비교 분석하여 주교시노드의 변화된 법률들과 입법 의도, 그리고 새로운 목적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해 소중한 가치들, 즉 주교들의 친교와 일치에서 나오는 권위 있는 결정과 합의, 교회가 하느님 백성과 함께 걸어갈 때 발생하는 시너지 효과와 견고한 식별, 주교시노드의 과정에서 드러난 식별의 원리(‘인식하기[준비단계]’ - ‘해석하기[거행 단계]’ - ‘선택하기[투표 및 최종문서 승인]’), 온전한 식별 과정을 위해 필요한 경청-겸손-대화의 자세, 주교시노드라는 곳은 하나의 배움의 장이 된다는 점 등 발견하였다. 나아가 한국교회 내에서 이러한 가치들이 구체적으로 실현되기를 희망해 본다.

      • KCI등재

        ‘공동합의성’ 실현을 위한 교회론적 기초: 저마다 제 길에서 그리고 함께 가는 길

        최현순(Choi, Hyeon Soo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08

        본고는 공동합의성 실현에 있어 제기되는 민주주의 개념과의 관계, 그리고 교계 제도의 권위와 공동합의성의 양립 가능성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공동합의성 개념에 내재된 교회론적 기초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성경에 기원하는 공동합의적 교회의 모습은 그리스도교 역사 안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현되어 왔는데, 특히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론으로부터 공동합의성의 개념이 발전하였다. 공동합의성은 이 공의회가 선언한 구원경륜적 삼위일체에 소집된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교회, 친교로서의 교회, 그리고 거룩함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향해 역사 안에서 걸어가면서 세상의 구원을 위한 성사인 교회라는 이해에 기초한 개념이다. 이 교회 안에서 모든 구성원들은 세례성사에 기초하여 동등한 품위를 누리며 구원 사명에 대한 공통의 책임성을 갖되, 이 교회가 교계 제도로 조직화된 공동체이므로 이 책임성은 유기적이며 분화된 책임성이다. 공동합의성은 하느님 백성의 삶의 방식, 활동 방식을 가리키는 말이므로, 공동합의적 교회의 실현을 위해서는 교회 구성원들이 참여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필요로 한다. 본고에서는 특히 공의회가 권고한 교구 사목 평의회 설치에 대하여 그 교회론적 당위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평의회가 갖는 자문의 사회법 정신과 구분되는 교회론적 고유의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공동합의성은 구성원 모두의 공통된 품위와 공통된 참여라는 면에서 민주주의와 공통된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권위의 기원이 그리스도라는 점, 결정의 기준이 다수결이 아니라 성령 안에서 듣는 하느님 말씀에 의해 이루어지는 식별이라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공동합의적 교회는 민주주의를 넘어 현대사회의 누룩이 될 수 있으며, 공통의 목표를 향해 공통의 사명을 수행하되, 저마다 제 길에서 그리고 함께 가는 여정을 실현한다. This study aims to manifest the ecclesiological basis of the concept of synodality starting from the two questions: one is the confusion of the concepts between synodality and democracy, the other is the compatibility of the authority of the ecclesial hierarchy and synodality. The synodal church, founded it’s model in the Bible, took place in the different forms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Especially, since the Vatican Council Ⅱ and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synodality is developed and specified. This concept is founded in this council’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the people of God, Church as communion, the Church on the path towards the common purpose, that is, Holiness. In this community, all members enjoy the same dignity as the children of God and co-responsibility for the common task, that is, sacrament for the salvation of the world. Since the Church is a hierarchically structured community, this co-responsibility is both organic and differentiated. Synodality is the way of life and operation of the Church, and is in need of the various institutions for its realization.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show the ecclesiological necessity of the institution of the pastoral council of the diocese, which is not mandatory according to the Vatican Council . And the theological concept of the council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decision of a ‘pastoral council’ is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sociological council. There are some common points between synodality and democracy, for example, the common dignity, common participation and co-responsibility of all members. However, the two are different: the origin of authority in Church is Christ, and the criteria of decisions are the Word of God heard in Holy Sprit. Synodality is a kind of super-democracy, an alternative community overcoming the limits of democ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