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중국어시기 부사 ‘必’, ‘必X’, ‘X必’의 의미기능에 대한 통시적 고찰

        서지은 한국중어중문학회 2023 中語中文學 Vol.- No.93

        This paper analyzed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 adverbs ‘Bi(必)’, ‘Bi(必)+X’ and ‘X+Bi(必)’ in Early Modern Chinese. According to our analysi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Bi(必)’ has the function of deontic modality by itself, since ‘Bi(必)’ only indicates deontic modality through the construnction ‘Bi(必)+X, Cai(才)+Y’, which indicates that X is a requirement for Y, or ‘Bubi(不必)’, ‘Hebi(何必)’, which indicate negative and rhetorical question. There are cases where ‘Bi(必)’ is used in the antecedent clause of a conditional sentence, which is no longer interpretable as epistemic modality, and there are also cases where ‘Bi(必)’ is combined with subjunctive conjunctions, such as ‘Biruo(必若)’, ‘Ruobi(若必)’, ‘Biqi(必其)’, and ‘Guobi(果必)’.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Bi(必)’ was already grammaticalized from epistemic adverb to subjunctive conjunction before the Tang Dynasty at the latest. ‘Bi(必)’ and ‘Biding(必定)’ have both semantic functions of ‘certainty of epistemic modality’ and ‘determination of will’, while ‘Bishi(必是)’, ‘Biran(必然)’, ‘Bihe(必合)’, ‘Biying(必应)’, ‘Bidang(必当)’, ‘Xiangbi(想必)’, and ‘Guanbi(管必)’ indicate only certainty of epistemic modality, and ‘Shibi(是必)’, ‘Wubi(务必)’, and ‘Shibi(事必)’ indicate only determination of will. Although there are many adverbs that belong to the same semantic function class, the distribution of sentences is different for each adverb. Of these two semantic functions, certainty of epistemic modality is more dominant than determination of will. Both of these semantic functions were originally represented by ‘Bi(必)’, but in the later period of Early Modern Chinese, they were much more often represented by ‘Bi(必)+X’ and ‘X+Bi(必)’.

      • KCI등재

        포이즌 필에 대한 再논의

        임수민(Soo Min Lim) 한국기업법학회 2021 企業法硏究 Vol.35 No.1

        포이즌 필 도입론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포이즌 필을 고안해서 상당 기간 운용해 온 미국의 사례를 최신 동향 위주로 살펴보고 우리법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포이즌 필이 1980년대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고안된 것은 경영권 분쟁 상황에서 경영권 방어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해서였다. 실제로 그 후 업계에서는 경영권 방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되었고, 경영권 방어 수단으로서의 포이즌 필이 미국법상 적법한 것으로 인정되는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포이즌 필이 적대적 경영권 방어 목적을 위해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회사에 중대한 순영업손실이 발행한 경우 회사의 과세자산을 보호하기 위해서 진화된 형태의 포이즌 필(예컨대, ‘NOL poison pill’)이 이용되고 있다. 또, 적대적 경영권 인수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이용되지 않고, 우호적 합병계약이 체결된 이후의 거래보호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미국의 포이즌 필을 신주인수선택권으로 번역하고 이를 어떠한 제도라고 정의함에 있어서는, 개념의 범위 및 이용 목적을 어느 범주에서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심지어 최근 미국에서는 포이즌 필은 미국 연방증권법에 위반되어 무효이며 종래 미국 법원도 포이즌 필을 허용하는 주법이 연방증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일률적으로 판시했던 것은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법적 논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이 논쟁은 미국에서도 포이즌 필의 적법성이 확실히 규명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2010년 이후 미국 회사들은 포이즌 필을 거의 활용하지 않았고, 여기에는 행동주의 투자자와 기관투자자 및 의결권 자문기구의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20년 초 코로나 사태로 인해 포이즌 필이 시장으로 귀환했고, 포이즌 필 도입을 공시한 회사 중 많은 회사의 주가가 반등했다. 이러한 현상은 시차임기제를 채택하지 않은 회사에서 두드러졌다. 포이즌 필이 귀환하자 실증적 연구가 부활했고, 곧 법적 논의도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의 경우, 상법 개정으로 포이즌 필을 도입해야 할 것인지 여부, 도입한다면 경영권 방어수단으로서의 포이즌 필만을 도입할 것인지 아니면 자금조달 목적의 포이즌 필도 도입할 것인지 여부, 기관 투자자와 행동주의 투자자를 달리 취급하는 주주불평등적인 포이즌 필도 도입할 것인지 여부 및 포이즌 필을 특수한 위기상황에서만 작동되는 것으로 디자인할 것인지 여부는 국내 기업들의 지배구조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연구하고 논의하여 사회적인 합의를 도출해나가야 할 문제이다. 포이즌 필 제도 자체가 미국에서 고안되어 35년 동안 운용되어 온 것인 만큼, 미국의 제도 운용 현황, 다양한 목적의 포이즌 필 운용사례, 포이즌 필의 적법성과 합헌성에 대한 근래의 법적 논쟁, 코로나 위기로 인한 제도 활성화 추세 및 그에 관한 법적 논의를 꾸준히 추적하면서 연구해나가는 작업은 우리의 상사 법제 정비에 도움이 될 것이다. Arguments in favor of the introduction of poison pill have been raised steadily.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latest cases in the US and to find implications under Korean law. Poison Pill was first devised in the US in the 1980s to be used to defend management rights in situations of hostile M&A disputes. After that, it was used in the industry to achieve the purpose of defending management rights, and the court judged whether poison pill as a means of defense of management rights was recognized as legal under US law. However, these days, the poison pill is not only used to defend hostile M&A. In the event of a significant net operating loss issued to a company, an evolved form of poison pill (e.g., "NOL poison pill") is also used to protect the company"s taxable assets. Besides, it is not used only when a hostile takeover of management rights occurs but is also used as a means of transaction protection after a friendly merger contract is concluded. Therefore, in translating the poison pill in the US as a new stock option and defining it as a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ich category the scope of the concept and purpose of use will be set. Recently, in the United States, it has been argued that poison pill is invalid because it violates the US Federal Securities Law, and the previous US court did not uniformly rule that the state law allowing poison pill was not in violation of the Federal Securities Law. The legal debate on this was fiercely raised. This debate shows that even in the United States, the legality of the poison pill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Since 2010, US companies have rarely used poison pill, and it has been shown that activist investors, institutional investors, and voting advisory bodies have acted on it. However, due to the corona crisis in early 2020, the poison pill returned to the market and the stock prices of many of the companies that announced the introduction of the poison pill rebounded. This phenomenon was noticeable in companies that did not adopt the Staggered Board. When the Poison Pill returned, empirical research revived, and legal discussions are expected to become active soon. In Korea, we should reach a consensus discussing whether or not to introduce a poison pill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commercial law, whether to introduce only the poison pill as a means of defense of management rights, whether to introduce a non-equal poison pill that treats institutional investors and activist investors differently, and whether the design will work only in particular crises. We should also consider the peculiarity of the governance structure of domestic companies. As the poison pill system itself was devised and operated in the US for 35 years, keeping track of the trend and legal discussions about it could help to improve our legal system.

      • KCI등재

        反행동주의 포이즌 필(anti-activist poison pills)에 관한 연구

        김경일 대한변호사협회 2020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

        These days, activism is at all-time high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Tactics that are used by activists to make the campaign succeed have been evolving, and there is a concern that activists tend to induce managers to pursue short-term financial goals at the expense of building long-term value. So anti-activist poison pills came up to defend against activism. This article analyzes anti-activist poison pills that were developed in the US, and tries to fi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Many investors take the long position through ‘total return swap’(“TRS”). Because TRS allows an investor to create the economic equivalent of ownership of an equity security, but TRS does not confer beneficial ownership of the underlying equity security to the long party, the long position is not required to be disclosed under the Securities Exchange Act and would not trigger traditional poison pills. Many investors use the strategy of the ‘wolf pack’. The members of the wolf pack can cooperate without disclosing under the Securities Exchange Act or causing aggregation under traditional poison pills. A two-tier pill was developed to ensure managers to respond to activists properly in the US. A two-tier pill sets the different trigger threshold according to the nature of shareholders, thus it provides for a 10 percent trigger threshold for shareholders filing a Schedule 13D(available to activist investors) and a 20 percent trigger threshold for shareholders filing a Schedule 13G(available to passive investors). Activists can accumulate stock under the radar through swaps or other derivative instruments without acquiring stock in its own name. To prevent activists from sneaking past the threshold through the use of derivative positions, boards of directors of public corporations altered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beneficial ownership in poison pills to include derivative securities in the calculation of the beneficial ownership threshold that triggers poison pills. There have been several recent examples of activists engaging in wolf pack activity that stops short of meeting the group definition for purposes of triggering poison pills or disclosure requirements. In response to this, boards included language that applied the pill threshold more broadly to ‘shareholders acting in concert’. It would be necessary to differentiate between poison pills and anti-activist poison pills in our country. In Korea, it has been said that there was the need to adopt poison pills to fend off hostile takeover, but recently there are more needs to adopt poison pills for the use of anti-activist poison pills against activists due to their vivid activities and new tactics. In the end, the need to adopt poison pills for the use of anti-activist poison pills must be considered in the debate over whether poison pills should be adopted. And there is the need to be cautious about designing anti-activist poison pills to make it meet the standard for judicial review. 최근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행동주의자의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행동주의자가 캠페인을 성공시키기 위해 구사하는 전략이 진화하고 있고, 행동주의자가 중장기적인 기업가치의 향상보다 단기적인 수익의 극대화에 중점을 두는 단기실적주의(short termism) 추구 경향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행동주의에 대응하기 위하여 反행동주의 포이즌 필(anti-activist poison pills)이 고안되었다. 이 글은 미국에서 고안된 反행동주의 포이즌 필을 고찰하고, 우리나라 법제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많은 행동주의자들이 총수익스왑을 이용하여 롱포지션(long position)을 보유하고 있다. 롱포지션 당사자(long position party)는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경제적 지위를 갖게 되지만, 주식의 실질적인 소유(beneficial ownership)를 하지 않기 때문에, 대량보유보고규제를 피할 수 있고, 포이즌 필을 발동시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행동주의자들이 이리 떼(wolf pack) 전략을 이용하고 있다. 이리 떼 참가자들은 대량보유보고규제와 기존의 포이즌 필에서의 지분 합산을 피해서 협력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대상회사 경영진이 행동주의자에게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2단 포이즌 필(two-tier pill)이 고안되었다. 2단 포이즌 필은 발동비율을 대상으로 되는 주주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대량보유보고규제에서 간이 양식인 Schedule 13G에 따라 주식보유를 보고하는 자(수동적인 투자자 등)에게는 20% 발동비율을 적용하고, Schedule 13D에 따라 주식보유를 보고하는 자를 포함한 그 밖의 자(행동주의자 등)에게는 10% 발동비율을 적용한다. 행동주의자가 파생상품을 이용하여 대량보유보고규제를 피하면서, 실질적으로 은밀하게 대상회사 주식을 대량으로 매입하는 것에 대응하여, 미국에서 발동비율의 산정 시 투자자가 보유하는 주식 파생상품의 포지션을 ‘보유’ 주식 수에 산입 할 수 있도록 하는 포이즌 필이 고안되었다. 행동주의자가 이리 떼 전략을 구사하여 증권거래법상의 ‘그룹’ 형성을 피하면서 다른 행동주의자와 느슨하게 협력행동을 하여, 대량보유보고규제를 피하면서 실질적으로 은밀하게 공동으로 대상회사 주식을 매입하여 경영에 개입하는 것에 대응하여, 미국에서 발동비율의 산정 시 실질적으로 ‘공동하여 행동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주주가 보유하는 주식 수를 ‘공동하여 보유하는’ 주식 수에 산입 할 수 있도록 하는 포이즌 필이 고안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적대적 기업인수를 방어하기 위한 포이즌 필과 행동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反행동주의 포이즌 필을 구분할 필요성이 있다할 것이다. 그간 우리나라에서 포이즌 필 도입의 주된 논거는 적대적 기업인수를 방어하기 위하여 포이즌 필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행동주의자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행동주의자가 파생상품 이용이나 이리 떼 전략과 같은 최신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이에 대응하기 위한 反행동주의 포이즌 필을 이용하기 위해서 포이즌 필을 도입할 필요성이 더 커졌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우리나라 포이즌 필 도입 논의에서 행동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反행동주의 포이즌 필을 이용하기 위하여 포이즌 필을 도입할 필요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고, 反행동주의 포이즌 필 설계에서는 反행동주의 포이즌 필이 적법성 판단기준에 부합되게 설...

      • 隸變과 漢字의 字形 演變 考

        한연석(韓延錫)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2 동아한학연구 Vol.- No.8

        漢字史에서 각 字體의 字形 特徵을 縱勢, 橫勢, 方正으로 규정한다. 甲骨文과 金文은 縱勢와 橫勢가 混在하고, 大篆과 小篆은 縱勢, 隸書는 橫勢, 楷書는 方正之勢를 띈다. 자형의 변화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複合的으로 作用하여 일어났다. 그 가운데 書寫人과 書寫道具의 변화는 자형변화의 가장 核心的 要素이다. 일반적으로 甲骨文, 金文, 篆文은 專門 書寫人에 의해 書寫되었다. 하지만 隸書段階에서는 一般人도 文字生活을 하고, 書寫材料와 道具는 簡牘과 筆(붓)이 主를 이루었다. 筆과 일반인들의 문자생활은 小篆이 갖고 있던 非效率的인 筆劃과 字形을 改變시켰는데, 그 方法은 小篆의 彎曲된 필획을 書寫하기 쉬운 平直筆로 바꾸고, 縱으로 길게 뻗은 體勢를 橫으로 길게 뻗은 橫勢로 바꾸는 것이었다. 平直과 橫勢로의 轉換은 必然的으로 筆劃과 筆劃, 部件과 部件의 連接, 省略, 縮約 등을 동반하여 漢字史에서 찾아볼 수 없는 前代未聞의 자형변화를 일으켰다. 秦末에서 漢末까지의 隸書의 發生, 發展, 成熟, 變化를 隸變이라고 하는데, 이때의 한자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楷書 이해의 關鍵이 된다. 예서이전에는 基本的으로 筆順, 筆形, 筆道, 筆劃數 등이 확정되지 않았다. 소전에 曲과 直이란 筆劃이 있다고는 하지만 오늘날과 같은 多樣한 筆劃은 隸書에 이르러 生産되었다. 또, 위에서 아래로, 左에서 右로의 筆順과 例外的인 筆順도 이때 형성되었다. 예컨대 戈는 ‘??(小篆), ??(古隸), ??(今隸)??(楷書)’로 演變을 하였다. ‘戈’의 字形變遷은, 隸書와 楷書는 小篆의 第3筆과 4筆의 彎曲筆을 斜線의 平直筆로 改變시킨 것이다. 今隸의 字形만 보면 下部와 上部가 어느 것을 먼저 썼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楷書字形 를 보면 下部가 上部보다 먼저 썼음을 알 수 있다. 이런 例外的 筆順은 速寫를 하기 위해 筆을 자연스럽게 運用하면서 形成된 것이다. 楷書??는 今隸??의 筆道, 筆順, 筆形을 바꾼 것이다. 그 과정은 下部 向左斜線을 第3筆에 쓰고, 上部 右上의 点을 第4筆에 썼다. 第2筆(向右斜線)을 第3筆(下部 向左斜線)과 자연스럽게 連結書寫하기 위해서 收筆處를 向右上의 鉤 形態로 쓰고, 마지막 点의 방향을 向右로 變換 시켰다. 이러한 筆道와 筆順은 ‘??’와 같은 運筆의 節奏를 이루어 效果的인 書寫, 아름다운 筆劃을 써 낼 수 있다. 楷書는 隸書에 남아 있던 書寫에 불편한 一部 筆劃과 橫勢를 理想的인 方正之勢로 修整하였기 때문에 1500여 년이란 시간이 흐른 現在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 KCI등재

        衛夫人 『筆陣圖』의 書法論 연구

        김지수,장지훈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6 No.-

        『The Picture of Ink Brush』 from the Eastern Jin period has become a fundamental for people practicing calligraphy today. Wei Shuo, a renowned female calligrapher often called as madame Wei, is the one to write this. 『The Picture of Ink Brush』 contains theories for studying calligraphy, strokes, and style that established consequential rules about the regular script. Therefore, this thesis investigates calligraphy theory on Wei Shuo's 『The Picture of Ink Brush』, and review the criticisms and philosophies of historically famous calligraphers as it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s of practicing calligraphy. Eastern Jin period was the most chaotic time in Chinese history. Frequent wars among subordinating countries and inner confrontations among dividend parties resulted people to move inland, and it became the central place for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In this period, people started to review the art of writing characters which formed the calligraphy theory. Meaning, people started to look upon the written characters as an artistic field to be admired, thus creating and forming calligraphy theories. However, education was not a desirable virtue for females at this time. Wei too was not allowed to learn and develop her techniques although her family had rich background for calligraphy. In fact, Wei's family had many famous calligraphers such as Wei Ji, Wei Heng, Wei Guan, and much more. When Wei Heng, the uncle of Wei Shuo, saw her secret writings, he changed his mind to allow her to study. At the tim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lessons were taught within the family which allowed Wei to absorb the flourishing amount of references and teachings considering Zhong yao, who's still a greatly respected calligrapher, is from her grandfather's generation. Although there is a debate on whether 『The Picture of Ink Brush』 is Wei's work or not, it does not lessen the importance to study about 『The Picture of Ink Brush』. First, despite the debate, it is widely accepted as hers to most scholars. Second, the work itself has tremendously affected today's calligraphy in that it describes strokes and ways to study calligraphy. Third, Wei's theory in 『The Picture of Ink Brush』 has been recognized by reviews from critics which helped understand the essence of calligraphy and tradition. All these aspects about 『The Picture of Ink Brush』 provides reasons to investigate the work thoroughly. This study had limits on analyzing the original work since some letters were edited as it was descended down to generations. However, it did not affect the study much since the main contents in the original work remained well. 『The Picture of Ink Brush』 clearly affected the latter generations until today, and it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본고는 衛夫人으로 알려진 東晉時代의 여류서예가 衛鑠(272-349)의 『筆陣圖』를 연구한 글이다. 『필진도』는 위부인의 서예이론서로, 예로부터 글씨를 배우는 자들이 기초이론으로 삼았다. 『필진도』는 楷書의 필수 요소들을 포함하는 學書論 ․ 筆劃論 ․ 筆法論을 담고 있다. 세간에서는 『필진도』의 眞僞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많았다. 역대 『필진도』가 수록된 문헌을 살펴보면, 일부 相異한 부분에서는 상통하는 字로 변경되거나 한 두 글자 정도가 빠지고 추가되며 수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위부인이 『필진도』를 작성한 후 전해지는 과정에 후대 사람들이 글자를 첨삭한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진위여부를 떠나 글자의 상이함에 따른 내용은 별반 차이가 없다. 『필진도』의 구성은 내용상 學書論, 筆劃論, 筆法論 등으로 구분된다. 學書論에서는 글씨를 쓸 때 사용하는 도구와 집필의 중요성과 집필하는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筆劃論에서는 주로 ‘근 ․ 골 ․ 육’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특히 “뼈가 많고 살이 적은 것을 ‘筋書’라 하고, 살이 많고 뼈가 적은 것을 일러 ‘墨猪’라고 한다.”는 말은 후대에도 많이 회자되었다. 또한 글씨를 쓸 때 기본이 되는 일곱 가지 필획을 자연형상에 비유하여 설명함으로써 후대 ‘永字八法’의 모태가 되었다. 아울러 ‘영자팔법’은 서예이론상 매우 창조적인 학설로 남게 되어 『필진도』는 후대 서예학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왕희지를 비롯한 많은 서가들이 이 이론을 인용하는 등 서예이론 곳곳에서 『필진도』의 흔적들을 확인할 수 있다. 위부인의 『필진도』는 서예 본질에 대한 이해와 서예 전통에 대한 철저한 인식을 이해하는 기반을 제공해준다. 그리하여 오늘날까지도 많은 서론에 인용되어 서가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때문에 『필진도』는 서예의 전통적인 書法論을 이해하는 규범서로서 의의가 있으며, 전통 書論에 대한 인식을 提高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필서체에서 분화한 인서체의 구조 공간 표현

        이용제(Lee Yongjae)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23 글짜씨 Vol.- No.24

        인쇄는 필사를 대체하면서 문명을 급진전시켰다. 그렇게 발전한 인쇄체는 크게 둘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글씨를 그대로 재현한 필서체와 글씨 특징을 변형 또는 강조한 인서체이다. 필서체와 인서체는 글자체의 조형 양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지만, 이 둘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어서 구분하기 쉽지 않다. 특히 글씨를 쓰지 않는 현대인은 글씨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서, 쓰기와 그리기의 차이를 이해하기 더욱 어렵다. 이 글에서 살펴본 필서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구조는 해서체로 상하좌우 대칭의 방형(네모틀)이다. 공간은 속공간과 밖공간의 비율이 비슷한 서예가의 해서체와 같거나, 글자 윤곽을 네모반듯하게 쓰는 사자원의 글씨와 같다. 표현은 획 머리와 맺음 등이 부드러운 곡선이다. 필서체에서 분화한 인서체는 송판본에서 나타난다. 송판본에서 널리 쓰인 인쇄체는 글씨의 미세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획을 칼로 오려낸 듯이 단조로운 방필(方筆)로 표현한 방체가 있으며, 가로세로 획을 수직 수평에 가깝게 표현한 것이 인서체화의 시작이다. 그 뒤, 명나라 시대에 인쇄체는 크게 변화한다. 명판본의 인쇄체는 방필에, 가로세로 획에서 기울기가 없고, 가로획이 가늘고 세로획은 두텁다. 획 머리와 맺음 등은 붓에 의한 자연스러운 형태에서 벗어나 맺음을 삼각형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글자체 공간은 반듯한 네모틀 안에 글씨를 쓸 때와는 달리 획을 인위적으로 글자틀 외곽으로 옮긴 ‘부곽방필’(膚郭方筆)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필서체에서 인서체로 분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① 필서체 획을 단순화하면서 나타난 방필 ② 수직 수평의 가로세로 획 ③ 과장된 획 대비 ④ 장식화된 머리와 맺음 표현 ⑤ 부곽자 공간이 합쳐지면서 전형적인 인서체가 만들어진 것이다. 필자는 글자체의 구조 공간 표현이 모두 글씨와 같을 때에 필서체로 정의하고, 글자체의 구조 공간 표현이 모두 글씨에서의 특징을 변형 또는 강조할 때에 인서체로 정의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필서체에서 인서체로 분화, 진화하는 중에 나타난 인쇄체는 과도기적 모습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Printing radicalized civilization when it replaced scribal writing, and the Inswae-che that developed from it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Pilseo-che, which reproduce handwriting verbatim, and Inseo-che, which modify or emphasize handwriting features. While Pilseo-che and Inseo-che are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ing Gulja-che, they share some similarities that make them difficult to distinguish. Especially for those of us who don’t write, it’s har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writing and drawing. In this article, we’ll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Pilseo-che. The structure is a cube (square) with symmetry up, down, left, and right. The space is the same as calligraphers’ Haeseo-che, which has a similar ratio of inner and outer space, or the writing of private sources, which has a square outline. The expression is a soft curve with stroke heads and endings. Inseo-che that evolved from Pilseo-che appeared in codices. The Inswae-che that was widely used in codice was Bang-che, which expressed the fine curved strokes of the writing in a monotonous Bang-pil as if they were cut out with a knife,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rokes were expressed close to the vertical horizontal, which was the beginning of Inseo-che. Later, during the Ming Dynasty, the Inswae-che changed significantly. The Inswae-che of the Ming book, written in Bang-pil, has no slop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s, and the horizontal section is thin and the vertical section is thick. The stroke heads and endings deviate from the natural shape of the brush, and the endings are expressed as triangles. In addition, the lettering space has the characteristic of a ‘Pu-kwak-bangpil’ (膚郭方筆) in which the strokes are artificially moved to the outside of the lettering frame, unlike when writing in a flat square frame. If we look at the process of evolution from Pilseo-che to Inseo-che, we can see that the Inseo-che was created by (1) Bang-pil that simplifies the cursive strokes, (2) vertical and horizontal strokes, (3) exaggerated stroke contrast, (4) decorated heads and closing expressions, and (5) the merging of minor spaces. I believe that it is correct to define calligraphy as Pilseo-che when all the structural and spatial expressions of a Gulja-che are the same as writing, and to define calligraphy as an Inseo-che when all the structural and spatial expressions of the Gulja-che modify or emphasize features of writing, and to define Inswae-che as a transitional form that appeared during the differentiation and evolution from Pilseo-che to Inseo-che.

      • KCI등재후보

        포이슨 필의 도입과 경영권 방어의 적법기준

        송종준(Song Jong-Joon) 한국법학원 2009 저스티스 Vol.- No.109

        법무부는 2008년 4월 효과적인 방어수단을 도입하기 위하여 “경영권 방어법제 개선위원회”를 발족하였다. 이 위원회는 2008년 11월 복수의결권주식, 동의권부주식, 이사선?해임권부주식, 주주총회 특별결의요건의 가중, 그리고 포이슨 필의 활용에 필요한 신주인수선택권(warrant)제도를 도입하는 초안을 성안하였다. 포이슨 필의 도입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미국, 일본 및 프랑스의 입법례를 비교 검토하였다. 그런데 포이슨필은 저비용의 가장 강력한 방어력을 가진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반면에 그 남용의 우려 또한 배제할 수 없다. 그리하여 개정초안의 입안에서는 포이슨 필의 남용을 막기 위한 법적 판단기준을 설정하고, 구체적으로는 포이슨필의 채택, 부여, 행사, 양도, 상환, 소각 등에 관한 절차와 내용을 규정함에 있어서 그러한 정신을 반영하였다. 개정초안에서는 신주인수선택권을 도입하되 그 용도를 경영권 방어의 목적을 위하여만 사용될 수 있도록 제한하였다. 이러한 용도제한은 미국법이나 일본법과는 다르고 프랑스 상법과는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개정초안은 포이슨 필은 정관변경에 의하여 채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적대적 기업인수자를 제외하고 신주인수선택권을 부여하거나 행사케 하여 주주평등원칙의 위반 문제를 입법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정관변경에 의하여 포이슨 필을 채택하였더라도 이사회가 포이슨 필을 주주에게 부여하여 행사케 하는 것은 기업가치와 주주일반이익의 유지 및 증진 원칙(기업가치적합의 원칙)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허용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포이슨 필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비례성의 원칙, 사전수권 및 사전공시의 원칙을 충족하여야 한다. The Ministry of Justice constituted a "Committee for Improvement of the Corporate Control Defense Legal Framework" in April 2008. This Committee designed a commercial Code revising draft in November 2008, introducing a stock purchase right so called a 'poison pill', including the multi-voting stock, stock of veto right, dual class voting stock and super-majority charter amendment. The committee reviewed the legislatures of U.S.A, Japan and France in comparison, and took the direction to designing our own legislative style. The draft explicitly prescribes the legal standards to prevent the discretional abuse of using the poison pill, and provides the introduction, issuance, transfer, redemption and cancellation of the stock purchase right etc. Especially the draft defined the use of the purchase right to defending corporate control against the unsolicited takeovers. This is different from the US and Japanese Corporation Act, but similar to the French Commercial Code. The draft provides that a corporate may introduce the poison pill only by amending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which reflects a principle of shareholder decision-making. Only if the amended charter permits, the board of directors can make a decision of the required conditions in details on the triggering event, issuance, transfer, redemption and cancellation of the purchase right. Even though the poison pill was introduced by amending the corporate charter, the board should issue the poison pill only in a harmonization with the principles of maintaining and increasing the corporate value and general shareholder's interests. In other words, the tests for the corporate value, the proportionality between the value and defense, the prior authorization test and prior disclosure test are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issuance of the poison pill.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duty of loyalty should be legislatively put on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to prevent the over-protection of the corporate control by using the poison pill, that contents of the above tests should be substantially reviewed and analysed in detail, and that fair and neutral judicial policy for resolution of the disputes between the parties are absolutely required.

      • KCI등재

        요한복음 로고스 개념에 대한 철학적 고찰

        문우일(Moon, Wooil) 한국신약학회 2013 신약논단 Vol.20 No.2

        본고는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로고스 개념을 사상사비평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철학적 특성 및 기능을 논한 것이다. 알렉산드리아의 필로의 작품에도 인격화 된 로고스 개념이 등장하기 때문에 과연 요한복음 저자가 필로의 영향을 받아 인격화 된 로고스 기독론을 펼쳤는가에 관하여 오랜 논의가 있었다. 그런데 요한복음의 인격화된 로고스는 필로의 인격화된 로고스 개념과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으므로 요한복음이 필로의 영향을 직접 받았는가에 관하여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했다. 더구나 요한복음의 철학은 그 어떤 기성 철학과도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대중적 플라톤주의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본고는 요한복음이 특정 기성 철학을 엄밀하게 적용하지 않는 까닭은 저자의 철학적 소양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예수와 요한공동체를 변호하기에는 그 어떤 기성 철학도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제안한다. 본고는 요한복음이 필로의 영향을 직접 받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채, 박식한 저자가 어떤 형태로든 필로 방식의 로고스론을 접했을 가능성을 열어둔다. 또한 본고는 요한이 필로의 중-플라톤주의 로고스론을 고스란히 답습하지 않고, 정통 플라톤주의를 응용하여 필로가 이데아 차원으로 승화시킨 유대 영웅들을 가시적 차원으로 끌어내리고 대신 인간 가운데 오로지 예수만을 이데아 차원으로 묘사함으로써 다신론적 가능성을 배제하고 필로 방식의 로고스론을 견제한다고 제안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Logos in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and analyzes its philosophical features and functions. The methodology is the history of ideas suggested by Arthur O. Lovejoy in a form modified with Stephen Hinds’s theory of intertextuality. Philo of Alexandria personifies the Platonic and Stoic notion of logos and applies it to real persons, and thereby many scholars discussed whether his notion influenced the personified Logos in John. No scholarly consensus has been made, however, mainly because Philo uses the Stoic idea of logoi spermatikoi while the Logos in John is not immanent in the universe but can be either accepted or rejected by particular persons. Since the doctrine of Logos in the Johannine prologue does not precisely repeat any specific idea of established philosophy, some critics like Charles K. Barrett and Martin Hengel consider the author of the Fourth Gospel less versed in philosophy and define his/her idea as a form of “popular Platonism” or of “dominant Platonism.” This paper, however, suggests that the Johannine doctrine of Logos is deliberately designed to defend the onto logical priority of Jesus and the Johannine community against the Philonic notion of logos which defines Israel and several Israelite patriarchs in terms of the divine logos.

      • KCI등재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필순 考

        한연석 한국한문교육학회 2013 한문교육논집 Vol.41 No.-

        On the stage of 隸書(yesŏ) it is formed that the dominant principles of the stroke order:'from width to height', 'from top to bottom', 'write outside first and then inside' and exceptional principles of the stroke order:'the final consonant in the last', 'putting a spot in the end in the letter like 戈 (gwa)' However those principles are not always applied to all letters and may be different by each person, countries and penmanships. The stroke orders have been formed as they have been used. Most Chinese characters would be written beautiful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the stroke orders. It is recommended to refer the principle of the stroke order which Chinese scholar newly suggests. It is to think in separation that writing pilhoek and pilhoek and bugŏn and bugŏn. For example, let us look at the words 田(jŏn) and 牽(kyŏn) that have different opinions in stroke orders. The stroke orders of dokcheja '田(jŏn)' come under writing pilhoek and pilhoek. Therefore applying to the principle of pilhoek:'width first, height last', we should write width first and then height last in 十(sip) which have different opinions. The stroke orders of hapcheja ‘牽(kyŏn)’ come under writing bugŏn and bugŏn. The letter should be written in orders of ‘玄 → 冂 → 牛’ which is pugŏn writing because it consists of ‘玄(hyŏn)’ that represents sounds and ‘冂(kyŏng), 牛(u)’ that represent meanings. I recommend that people write by their own style in case of a difficult letter in which stroke orders can't be decided whatever principles would be applied because detailed examples and explanations may cause different opinions and confusion to learners. The stroke orders are important in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Writing Chinese characters by correct stroke orders makes not only writing easy and fast but also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efficient. 篆書에서 隸書로의 字體 변화를 隸變이라고 한다. 隸變은 붓과 대나무라는 書寫 도구의 사용과 일반인들의 문자생활이 많은 영향을 끼쳤고, 경천동지의 字體 변화를 가져왔다. 筆劃, 筆形, 筆劃數 등이 이때 확정되었으며 ‘가로에서 세로,’ ‘위에서 아래로,’ ‘밖을 먼저 쓰고 안은 나중에 쓴다.’라는 필순의 대원칙과 ‘받침은 나중에,’ ‘戈와 같은 글자의 오른쪽 위의 점은 나중에 찍는다.’와 같은 예외적인 필순도 형성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개인이나 국가, 또는 서체에 따라 원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필순 원칙은 한자를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 중에 형성된 것으로, 대부분의 한자는 이를 적용하여 효과적인 書寫를 해낼 수 있다. 하지만 원칙을 적용한다 해도 필순을 정하기가 어려운 한자가 있고, 개인의 서사습관의 차이로 인해 확정하기 어려운 한자도 있다. 예컨대 ‘王’의 경우 ‘위에서 아래로,’ ‘가로획 다음 세로획’을 적용한다 해도 ‘二 → 干 → 王’이 옳은지, ‘一 → → 王’이 옳은지 확정할 수 없다. 또, 개인의 서사 습관에 의해 ‘田’의 경우 안쪽의 ‘十’을 어떤 사람은 ‘가로 먼저,’ 어떤 사람은 ‘세로 먼저’ 써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필순을 확정하기 어려운 글자들은 중국학자의 새로운 필순원칙 분석을 눈여겨 볼만하다. 그것은 필획과 필획 쓰기, 部件과 부건 쓰기로 분리하여 생각하는 것이다. 예컨대 獨體字 ‘田’의 書寫는 부건과 부건 쓰기가 아닌 필획과 필획 쓰기에 해당한다. 그렇기 때문에 필획 쓰기 원칙인 ‘가로먼저 세로 나중’을 적용하여, 안쪽의 ‘十’은 가로 먼저 세로 나중이 적합하다. 이렇게 필획쓰기와 部件 쓰기 원칙으로 분리 적용하면 예외적 필순이 감소할 것이다. 아울러 異說이 있는 필순은 漢字學的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예컨대 필순이 어려운 牽은 聲符 ‘玄’과 義符 ‘冂, 牛’로 구성됐기 때문에 부건 쓰기인 ‘玄 → 冂 → 牛’로 써야 한다. 어떤 원칙을 적용해도 합리적 필순을 제시하기 어려운 글자는 개인의 서사 습관에 맡겨두었으면 한다. 굳이 세세한 예와 설명으로 異說을 양산하여 학습자의 혼란을 초래하지 않았으면 한다. 필순은 한자의 교수학습에 중요하다. 필순에 맞춰 한자를 書寫하면 아름답고, 쉽고, 빨리 쓸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한자 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 KCI등재

        中庸을 통한 筆墨의 교차와 융합

        신지민(Shin, Ji Min) 동서미술문화학회 2018 미술문화연구 Vol.13 No.13

        본 연구는 양식과 그 기법의 범주를 나누고 규정하기 어려운 현대 미술에서, 동양회화의 근간이 되어온 필묵(筆墨)이 어떠한 의미로 자리하고 있는지 그 가치를 모색해 보고 필과 묵을 분리하고 반복하고 교차함으로써 탈(脫)전통의 융합적 필묵 운용과 그에 따른 조형적 가치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동양회화에서의 필묵의 전통적 흐름을 살펴보면 필(筆)을 중요시 여기기도 하고 먹(墨)을 필(筆)에 귀납시키기도 하였으며, 먹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필과 먹의 가치와 의미가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근・현대에 이르면서 시대적 배경과 환경, 서구의 영향 등으로 전통을 혁신하려는 분위기가 성행하게 되었고, 이는 작가 고유의 창작 의지와 더불어 ‘먹’이 전통적으로 중요시되었던 ‘필’을 넘어 그 위상을 높이고 발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오늘날의 탈(脫)경계적・탈(脫)전통적 회화는 필묵이 새롭게 변화하고 발전해 나가야만 하는 상황에 이르게 하였다. 이렇게 다변화하는 현대 미술계의 현실 속에서, 본 연구자는 필묵의 반복과 교차를 통한 탈전통의 융합적 필묵을 획득하기 위해, 격변하던 시대 속에 생성된 근대적 필묵이 전통을 넘어 어떻게 혁신을 이루어 왔는지 고찰하였다. 특히, 중국과 한국의 근대 이후의 필묵을 중심으로 중국의 해상화파(海上畫派)의 근대 필묵, 석도(石濤) 필묵의 재해석, 오관중(吳冠中)의 혁신적 필묵 등을 살펴보고, 한국 수묵의 근대적 필묵으로 사경산수의 이상범과 변관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필묵은 끊임없이 혁신되고 발전할 수 있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한국 필묵의 현대화를 구현한 작품들과 그 경향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자는 유교 사상의 요체라 할 수 있는 ‘중용(中庸)’을 연구작품의 내재적 의미로 삼고 있다. ‘중용’은 인간 행위의 이상적 기준으로 ‘중(中)’이란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함이 없이 꼭 알맞은 것을 말하며, ‘용(庸)’은 언제나 변함없이 바른 것을 말한다. 특히, 중용사상의 중심개념인 ‘중화(中和)’와 ‘성자자성(誠者自成)’은 연구자의 작품과 그 과정 안에 내재되어 바탕을 이루고 있다. 이는 절도(節)에 알맞은 융합적 필묵의 완성을 위해 끊임없이 반복과 교차의 필묵을 실천해가며 조화로운 필묵의 조형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의 작품은 필과 먹을 분리하여 탈(脫)전통적・(脫)탈중복적 필묵으로 반복과 교차를 융합함으로써 새로운 필묵의 운용과 조형적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앞으로의 연구자의 작업에 있어 명료한 방향성과 정체성을 확립해 가는데, 소중한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value of ink brush, which have been a foundation of Oriental painting, in respect to morden art in which the category of styles and techniques are difficult to classify and define. Also this study seeks to acquire the operation technique of ink brush in the unity of de-tradition as well as its subsequent formative value through separation, repetition, and crossover of brush and ink. If we examine the traditional flow of ink brush in Oriental paintings, brush was considered important and ink was induced to the brush. Also there were processes of new perceptions of focusing on the ink. Through such processes, one can see that the value and meaning of ink brush has changed. Beginning in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y, it has become prevalent to seek innov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time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influence of the West, and this has had a great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the status of and advancement of “ink” along with the unique will of creation of an artist while exceeding the status of a “brush”, which was taken as being important traditionally. In this situation, in today’s painting, which is beyond borders and is de-traditional, there is a need for renewal and advancement of brush and ink. In this ever diversifying contemporary art world, the researcher reviewed how modern ink brush, which have been created in this rapidly changing era, have realized innovation by going beyond their tradition to accomplish the unity of brush and ink of de-tradition through the repetition and crossover of ink brush.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ink brush of China and Korea after the modern ag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modern ink brush of the Shanghai School of China, the re-interpretation of ink brush of the Shi Tao, and the innovative ink brush of Wu GuanZhong. Also the researcher looked into Yi Sang Bom and Byun Kwan Sik of the realistic landscape painting as modern ink brush examples of Korean ink painting. Through this, ink brush were discovered as indispensable for continuous innovation and advancement;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d some trends and paintings on which the modernization of Korean ink brush has been materialized. The researcher took the inherent meaning of the research work as “中庸(Zhongyong)” , which may be the key to Confucian ideology. Zhongyong refers to an ideal standard of human behavior, and “中(Zhong)” means something that is arguably suitable without being excessive or lacking whereas “庸(Yong)” means being always correct. Above all, “中和(Zhonghe)” and “誠者自成(Chengzhezicheng)”, which are the key concepts of Zhongyong ideology, become a foundation while being inherent in the work of the researcher. This aims to obtain the harmonious formativeness of ink brush by practicing a brush and ink of repetition and crossover without ceasing toward the completion of ink brush in a unity suitable for moderation. Based on this, from the work of the researcher, the new operation of ink brush and formative possibilities were deduced by uniting repetition and crossover with ink brush that moves away from tradition and 中鋒(Zhongfeng). This process became a precious opportunity for the future works of the researcher to establish a clear direction and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