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筆記小說 槪念에 대한 小考

        정민경 중국어문학회 2003 中國語文學誌 Vol.14 No.-

        在中國古代文學史上, 筆記與筆記小說的混雜現象흔嚴重, 硏究者個人的意見也不一樣. 爲什公 出現筆記與筆記小說的混雜現象? 我們考察筆記和小說的特征, 可以拔出一個答案. 筆記的槪念與小說的槪念有着極爲密切的關係. 筆記的一般特徵 : 自由的形式與廣泛的內容與中國初期小說的特徵흔相似, 因此小說與筆記흔容易結合, 産生了筆記小說. 筆記小說産生後, 由於筆記與筆記小說特徵的相似, 導致單詞混用的現象. 筆記與筆記小說文體性質不同, 硏究整理的方法及要求也必然有別. 筆記小說是用筆記體來寫作的小說, 筆記與筆記小說 之間最關鍵的詞是"小說", 區分的基本標准是 : 以人物爲中心的故事性, 虛構性和文學性等小說特征.

      • KCI등재

        한국 대기업 필기전형 방식의 사적 전개 과정과 시대별 특징 비교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종구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4

        본 논문은 취업진로연구의 학술영역 가운데 하나인 '취업문화사' 분야이다. 취업문화사 영역은 취업 문화를 사적으로 고찰하고 탐색하는 분야이다. 본 연구는 취업문화의 하위문화인 공채문화의 필기전형 방식의 변천과정을 분석한 논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80년대 이래 2021년까지 한국 대기업들의 시 대별 필기전형 방식의 전개과정을 체계적ㆍ종합적으로 고찰한 데 이어 시대별 특징을 비교분석한 후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취지를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 다. 첫째, 1980년대 경제성장기의 필기전형 방식은 대규모 정기공채에 부합하는 단순하고도 획일적인 기초 지식평가가 투입되었다. 둘째, 1990년대 대기업 구조조정기에 적용한 필기전형 방식은 소수, 수시채용 시대에 부합하는 기초직무능력검사가 사용되었다. 셋째, 2000년대 디지털경제화시대의 필기전형 방식 은 지원자의 직무역량검증에 초점을 맞춘 종합인적성검사가 일반화되고 있다. 넷째, 한국의 필기전형 방식은 경제환경에 영향을 받는 기업상황에 의해 시대별로 새로운 시험형태가 출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섯째, 한국의 필기전형 방식은 IMF 사태를 전후하여 기초능력시험과 인적성검사로 확연히 구 분되어진다. 한편 본 연구의 시사점은 미래 경기순환 사이클을 선 예측하여 투입 가능한 필기전형 방식을 상황별 로 미리 확보해둔다면 향후 변화하는 공채환경에 직면했을 때 새로운 필기전형의 연구ㆍ개발에 소요되 는 시간으로 인해 적시에 적합한 인재를 확보하지 못했던 기존의 허점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별 적합한 필기시험 형태의 개발은 소요 직무에 필요한 인재를 적시에 채용할 수 있는 만큼 효 율적인 인재선발 시스템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field of employment culture history, one of the academic areas of employment and career research. The areas of employment culture history is an area that historically considers and explores employment culture. This study is a paper that studies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written screening method of open recruitment culture, a subculture of employment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of written screening method by era of Korean major enterprise from the 1980s to 2020.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ten screening method by period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i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written screening method during the economic growth period of the 1980s, a simple and uniform basic knowledge evaluation consistent with large-scale regular open recruitment was put in. Second, the written screening method applied during the restructuring of major enterprise in the 1990s used a basic job ability test consistent with the era of minority and occasional recruitment. Third, in the written screening method in the digital economization era of the 2000s, comprehensive personality & aptitude tests focusing on job competency verification of applicants are becoming common. Fourth, Korea’s written screening method shows the emergence of new test types by period due to the corporate situation affected by the economic environment. Fifth, Korea’s written screening method is clearly divided into basic ability Test and personality & aptitude test before and after the IMF crisis. On the other han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written screening method for each situation that can first predict and use the future economic cycle. The reason is that such a device must be equipped to prevent existing loopholes in which the appropriate manpower could not be secured in time due to the time requir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new written test when facing a new hiring environment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a written test type suitable for each situation will be of great help in effective manpower selection as it is possible to hire manpower suitable for the necessary jobs on time.

      • KCI등재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보조 시스템 개발

        곽현서,김민영,전지용,정은혜,김주엽,현소담,정진우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3

        Recently, the demand for the use of personal mobility vehicles, such as an electric kickboard, is increasing explosively because of its high portability and usability. However,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personal mobility vehicles has also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To address the issues regarding the driver’s safety, we propose a novel approach that can monitor context information around personal mobility vehicles using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and smartphone captured videos. In the proposed framework, a smartphone is attached to a personal mobility device and a front or rear view is recorded to detect an approaching object that may affect the driver's safety. Through the detection results using YOLOv5 model, we report the preliminary results and validated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 KCI등재

        필기와 전기의 거리

        강상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7 고전과 해석 Vol.22 No.-

        본고는 한국 전근대문학사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해온 필기의 성격을 검토하면서 이를 전기 양식과 비교해보고자 작성된 글이다. 특히 필기와 전기의 차이를 형상화 능력의 우열로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글쓰기전략 혹은 글쓰기 태도의 차이로 병렬해서 파악해보자는 것이 필자의 애초 문제의식이었다. 이를 위해 1절과 2절에서는 우선 필기 개념은 다시금 생각해 보았다. 필기적 글쓰기가 전근대문학의 잡다한 산문들을 포섭하면서 經・史・文의 반열에 들지 못하는 글쓰기들을 포괄하는 폭넓은 개념으로 사용되었고, 그 결과 소설이라는 개념과 의미영역이 흡사해진 점을 살펴보았다. 3절에서는 필기적 글쓰기와 전기적 글쓰기가 애초 다른 글쓰기전략의 산물이었음을 주장하였다. 허구성이나 문식성 정도로 양자의 차이를 설명하긴 어렵다. 전기는 서술자가 인물의 심리와 행위의 동기 등에 관한 정보를 보충해주어서 인과적으로 구성되어야만 하는 글쓰기라면, 필기는 그러한 주관적 보충을 의도적으로 멀리하며 객관적인 정보의 누적을 통해 서술자가 作意에 의해 창작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있었던 사실을 傳述할 뿐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 결과 파편적이고 단편적인 서사에 머물기는 하지만, 그 파편성과 단편성이 역으로 전언의 사실성을 보강해준다. 4절에서는 필기적 글쓰기와 전기적 글쓰기의 거리 혹은 차이를 조선전기의 원혼 서사와 저승체험 서사 9편을 통해 비교해보았다. 무엇이 전기이고 필기인지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글쓰기전략의 차이를 통해 양자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었다. 이에 따르면 특히 문제시되는 것은 <설공찬전>이다. 이는 경험적 사실을 전술하는 필기인가, 아니면 우언을 통해 어떤 진실을 전달하고자 하는 전기인가. 작가는 단지 누적적 전술을 통해 사실을 보고하고 있는가, 아니면 보충을 통해 인물과 행위를 인과적으로 구성하고 있는가. 현재의 판본으로는 판단하기 어렵다고 필자의 생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맺음말에서는 현재의 시점에서 필기문학의 의의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필기 연구자들이 느끼는 근대적 문학관의 한계는 절실한 것이지만, 이를 전근대의 복원을 통해 해결할 수는 없다. 새로운 문학이란 紋의 학문, 즉 다양한 글쓰기를 탐구하는 학문일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현재의 비문학적 양식들을 포섭하는 새로운 문학관은 필기 같은 전근대 사실적 글쓰기를 이해하는 데도 필요하다는 것이 필자의 결론이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compare Pil-gi style that has occupied the largest part of classical literature history with Jeon-gi style. Especially, it was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that I tried not to return the difference of Pil-gi and Jeon-gi to the superiority of the ability to shape but in parallel with the difference of the writing strategy or the writing attitude. To this end, in Sections 1 and 2, Pil-gi was used as a broad concept by embracing miscellaneous prose of pre-modern literature, and as a result, the concept of novel and the meaning domain became similar. In Section 3, we argued that Pil-gi and Jeon-gi were products of different writing strategies. Jeon-gi is a writing that must be constituted causally by supplementing information about the psychology of the person and the motive of the act, Pil-gi does not intentionally disturb such subjective replenishment, and the descriptor is not created by the creator through accumulation of objective information. In Section 4, we compared the distance or difference between Pil-gi and Jeon-gi. I think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two through the difference of writing strategy. I think that it is hard to judge the present version in the case of <Seoljeongchan-Jeon>. Finally, I think about the significance of Pil-gi literature at the present time. The new literature study is the study of various writings. In that sense, my conclusion is that a new literary book that embraces current non-literary forms is also needed to understand the pre-modern realistic writing, such as Pil-gi.

      • KCI등재

        중학생의 필기에 대한 인식, 실태 및 필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정민선(Min-Seon Jeong),신나민(Namin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최근 컴퓨터와 스마트 폰 사용의 증가로 학생들의 필기 능력 및 필기 행위 자체가 감소되는 추세에 있다. 이런 변화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필기에 대한 인식 및 실태 그리고 필기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연구 자료는 서울, 인천 지역의 9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346명의 학생들로부터 수집되었다(남 172명, 여 172명, 미기재 2명, 평균연령=13.5세, SD=.94). 필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인터뷰는 동일 군 학생 가운데 학년별 남녀 2명씩, 총 1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식 및 실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기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기억, 암기, 요약, 정리 그리고 성적향상, 수행평가 및 필기 검사 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신의 필체에 대해서는 그리 만족하지 않으며 자신보다는 친구들의 필기 능력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최초 필기교육은 어머니로부터 이루어진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45.7%), 절반 정도 학생이 노트 필기 방법에 대해 배운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49.7%). 필기 태도에 대한 설문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년별로는 1학년이 2, 3학년보다 필기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둘째, 만들기, 그림 그리기, 낙서하기를 좋아하는 정서가 높을수록, 그리고 시력, 기억력, 손의 힘 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필기 태도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역시 필기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컴퓨터 사용 시간은 필기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요약하자면, 중학생의 필기에 대한 태도에는 성, 학년, 정서적 태도, 신체적 요인, 컴퓨터 사용시간, 한글에 대한 인식 등이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가 중학생의 필기 실태 이해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다루어진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handwriting, and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s handwriting. Data were collected by menas of a survey targeting 346 students enrolled in 9 middle schools(Male=172, Female=172, Unknown=2, M=13.5 years old, SD= .94). Interviews, too, were conducted with 12 stud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students perceptions of handwriting. The analyses of both survey and interview data revealed the following: (1) the majority of the interviewee students believed that handwriting is useful for memory and summarization so as to get a better school grade, including performance evaluations; (2) Many of the interviewee students were unsatisfied with their handwriting skills, giving higher scores to their peers handwriting; (3) 45.7% of the students reported that mother was the one who taught them how to write for the first time; and 49.7% of them had no learning experience of taking notes; (4) Girls than boys and 1st graders than 2 or 3 grad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handwriting; and (5)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variables entered in the regression model, including sex, grade, affective attitude toward hands-on activities, physical abilities, time spent using a computer, and perceptions of Korean character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s handwriting.

      • KCI등재

        동아시아 필기문학의 전통에서 본 베트남 筆記 - Hồ Nguyên Trừng(胡元澄)의 『南翁夢錄』의 경우 -

        곽미라 열상고전연구회 2021 열상고전연구 Vol.74 No.-

        본 논문은 1438년 호원징(Hồ Nguyên Trừng, 胡元澄)이 찬술한 필기(筆記) 『남옹몽록(南翁夢錄)』을 검토하여, 동아시아 필기문학의 자장에서 베트남의 필기를 일견하고자 기획한 것이다. 이는 향후 동아시아 필기문학의 지형을 정립하기 위한 예비 작업이기도 하다. 『남옹몽록』은 현재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베트남 필기 자료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찬술된 것으로, 베트남 필기의 초기 형태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베트남 이조(李朝)ㆍ진조(陳朝) 시기 인물들의 일화를 기록한 단편의 글 31칙이 실려 있는데, 문학 자료이자 역사 사료로서도 그 가치가 크다. 찬자 호원 징은 진조ㆍ호조(胡朝)의 관료이자 망국(호조)의 왕자, 명나라의 신하로서 다변화 된 삶을 살며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였다. 『남옹몽록』은 이러한 찬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역사와 문학이 결합된 이야기가 집적된 결과물이다. 따라서 여기에는 베트 남의 역사와 인물에 대한 호원징의 관점과 태도, 의식 지향이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임금과 선조의 사적(事跡)’, ‘충신과 열부의 선행(善行)’, ‘승려와 도사의 기술(奇術)’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남옹몽록』 전체의 내용과 특징을 파악하고 호원징이 드러내고자 한 핵심 가치를 거칠게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군주의 덕목으로서 ‘현(賢)’, 군자ㆍ열부의 덕목 으로서 ‘선(善)’, 불ㆍ도의 ‘영험(靈驗)’이 그것이다. 이로써 향후 이 분야의 심층적인 연구를 위한 토대가 어느 정도 마련되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Namongmongrok(南翁夢錄)』 compiled by Hồ Nguyên Trừng(胡元澄) in 1438 and investigate Vietnamese Pilgi(筆記) in the field of Pilgi literature in East Asia. The study will serve as a preliminary work to establish the landscape of Pilgi literature in East Asia. 『Namongmongrok』 was the earliest work of Pilgi in Vietnam based on the current available data. It is an important work to figure out the early forms of Pilgi in Vietnam. This contains 31 short episodes of figures from the Lee(李) and Jin(陳) Dynasties of Vietnam. It holds huge value as a historical and literary material. Its compiler Hồ Nguyên Trừng led a diversified life as a government official of Jin and Ho(胡) Dynasties, prince of Ho Dynasty, and subject of Ming(明), accumulating a wide range of experiences.  『Namongmongrok』 is a result of combined stories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put together by him based on his experiences. It thus connotes his viewpoints, attitudes, and conscious orientations for the history and figures of Vietnam. The present study divided and examined them into three parts including traces(事跡) of kings and ancestors, good deeds(善行) of loyal subjects and virtuous women, and the art of trickery(奇術) of Buddhist monks and gurus. These efforts helped to figure out the overall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Namongmongrok』 and check roughly the core ideas that Hồ Nguyên Trừng tried to deliver. That is, they include wisdom(賢) as a virtue of monarchs, good(善) as a virtue of monarchs and virtuous women, and miracle(靈驗) as part of Buddhism. These findings offer a foundation to some degree for future in-depth studies in the field.

      • KCI등재

        조선 전기 패설류 필기에 재현된 사랑과 그 담론화 방식

        강상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0 고전과 해석 Vol.8 No.-

        이 글은 조선 전기의 패설류 필기를 중심으로 남녀 간의 사랑이 어떻게 재현되고 담론화되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는 것을 그 목표로 삼는다. 동아시아의 전통사회에서 지배 담론으로 기능해온 유가철학은 성애의 욕망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으며 오히려 그것을 자연의 원리로 긍정하는 논리를 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자연과 사회의 간극을 인정하지 않는 연속적인 사유는 역설적으로 분열적인 지식을 생산할 수밖에 없었으니, 남녀 간의 사랑은 공적 지식체계에서 적절한 지위를 인정받지 못한 잉여의 지식에 속했다. 특히 성리학에 이르면 남녀 간의 열정적 사랑은 인욕으로 규정되고 부정되기에 이른다. 하지만 도덕규범의 범위내에서 쾌락의 활용을 추구했던 성리학의 목표는 쉽게 도달하기 어려운 목표였으며, 오히려 공적 규범의 영역과 사적 쾌락의 영역을 분리해서 별개의 규율을 적용하는 이중규율의 상황을 일반화시켰다. 조선 전기의 필기는 성과 사랑을 둘러싼 이와 같은 담론의 균열, 지식체계의 공백에 그 서식처를 두고 있었다. 이 글은 조선 전기의 필기 가운데서도 특히 사대부 남성과 기녀의 성애를 제재로 삼고 있는 패설류 필기를 중심으로 그 속에 남녀 간의 사랑이나 성이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대체로 네 가지 이야기 유형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조선 전기 필기가 남녀 간의 사랑을 담론화하는 방식 혹은 전략에 대해 검토했는데, 우선 조선 전기의 필기는 성애의 욕망을 인간의 자연적인 본성으로 인정하고 성적 쾌락의 향유를 너그럽게 긍정하지만 동시에 사랑에 어떤 낭만적 아우라나 초월성도 부여하지 않는다. 필기가 그려내는 사랑은 가벼운 유희와 진지한 열정 그 중간 어디쯤에 위치하는 모호하고도 착종된 정념이다. 이와 함께 조선 전기의 필기는 이러한 정념이 현실질서를 흔들 만큼 강렬하고 맹목적인 사랑으로 발전하는 것에 대해 냉소와 조롱이라는 방어를 작동시킨다. 냉소와 조롱은 집단의 시선과 규율을 내면화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매우 은밀하게 작동하는 이데올로기적 방어 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의 목표는 열정적 사랑 자체를 금지하는 것이 라기보다 성적 쾌락을 현실질서의 범위 내에서 안전하고 적절하게 향유할 수 있도록 그 한계를 정하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aspect representation and discourse of the love in the Pilgi(筆記) tales in the period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Confucianism affirmed love and sex is the principles of natural. But it produced knowledge divide because it was not recognized gap of nature and social system. Consequently, it caused the situation of dual-discipline. In chapter 3 I classify into four kinds of the story of love and sex between gentry(士大夫) and the gisaeng(妓生). Finally, in chapter 4 I analyze the way of discourse of love in the pilgi(筆記) tales. Love was recognized as the principles of natural but lost romantic aura and transcendence in the pilgi tales. Love was vague and mixed passion. In addition, excessive passionate love was denied and defended in the pilgi tales. Sarcasm and ridicule was used ideological defense strategy. It's real goals did not forbid love but protect enjoyment in the the pleasure principle.

      • 학습전략 중 노트필기 전략 훈련의 효과에 관한 대학생 사례 연구

        장은정(Jang, Eun-Jung),박미순(Park, Misoo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전략 중 노트필기 전략 훈련이 학습능력이 낮은 학생에게 학습과정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학습능력이 낮은 학생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학습전략은 어떠하고, 노트필기 전략 훈련이 학습과정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트필기 전략 훈련으로 인해 학습전략에는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 심층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모 대학에서 학습전략과 성적이 부진한 학생을 선정하여 2013년 5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약 13개월 간 실시하였으며, 학습전략검사, 심층인터뷰와 노트필기를 바탕으로 심층적인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심층인터뷰의 내용은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의 과정을 거치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적이 낮은 학생은 성격이나 정서적 측면에서 불안함이 있었으나 노트필기 전략 훈련으로 인해 성격이나 정서적인 안정과 학습에 대한 태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노트필기법은 키워드를 찾고 필기하는 활동 자체가 수업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었고, 요약정리를 통해 반복학습의 기회를 제공했으며, 노트의 결과물은 학생에게 자신감과 성취감을 부여해 주었다. 셋째, 노트필기는 시험을 준비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핵심을 쉽게 찾을 수 있어 시험공부 시간을 절약해주고 시험준비 요령을 터득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넷째, 성적이 낮은 학생에게 노트필기 전략 훈련은 미미하긴 하지만 학습전략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노트필기를 철저하게 수행하지 못하여 학업성취에서 충분한 향상을 보이지는 못하였다. 다섯째, 학습능력이 부진한 학생에게 노트필기 전략 훈련은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훈련과 학습상담 전문가의 지속적인 컨설팅으로 개선될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능력이 낮은 학습자에게도 노트필기 전략 훈련은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컨설팅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note-taking practice on the academic development in the college. Using qualitative research with the case of a low academic achiever, the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after the note-taking practice were examined. The case study was continued for about thirteen months in a college setting. The MLST learning strategies test, in 3 depth interviews and note-taking skill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after note-taking practice, uneasiness of personality and the emotional aspect of low academic achiever stabilized. Also, learning attitude changed positively. Second, finding important keywords for note-taking and note-taking itself made the student focus on the class work. Summarizing learning contents allowed the student to repeat the concepts and personal effort drove the student to have academic confidence and achievement. Third, the note-taking strategy was a useful tool for preparing for assessments, too. This was because structured notes made it easy for the student to find important concepts and provided clues for the test without spending lots of time. Fourth, because the note-taking strategy could not strictly be applied, academic improvement was not significant. Finally, note-taking practice was long term programs for low achiever. And it needs to be consulted by learning specialists consistently. It is concluded that note-taking practice was useful for low academic achiev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o achieve a long term academic improvement, an educational consulting program about note-taking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필기체(筆記體) 자기서사(自己敍事)의 자기형상(自己形象)과 자기변명(自己辨明): 이식(李植)의 「서후잡록(敍後雜錄)」을 중심으로

        안득용 ( An Deuk-yo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자기서사(自己敍事)는 자신의 존재 흔적을 남기고, 자아와 세상에 대해 증언하며, 과거의 선택을 정당화하고자 서술한다. 조선 중기를 지나며 다양한 장르로 그 영역을 확장하던 자기서사는 장르의 친연성 때문에 필기(筆記)와도 교직하여 새로운 자기서사 장르를 형성했는데, 그것이 필기체 자기서사이다. 본고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저술된 필기체 자기서사인 이식(李植)의 「서후잡록(敍後雜錄)」을 대상으로 삼아 자기형상(自己形象)과 자기변명(自己辨明)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필기체 자기서사의 서술 동기와 전개 양상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서술 동기는 단편의 자기서사보다 넓은 지면에 자신의 삶을 대별할 수 있는 사안을 기록할 수 있다는 점, 필기 장르의 특성 상 온갖 이야기를 자유롭게 기록할 수 있다는 사실, 즉 포괄성과 유연성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아울러 동일한 주제나 유사한 사건을 하나의 기사로 묶어 서술할 수 있다는 장점 역시 필기체로 자기서사를 서술한 동기이다. 둘째, 필기는 대체로 일상의 사소한 사안에서부터 첨예한 정치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을 담을 수 있다. 따라서 그 전개 양상 역시 공(公)과 사(私) 양 측면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다만 조선 중기를 지나면서 여타 자기서사와 마찬가지로 사적인 측면이 부각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식의 「서후잡록」은 그의 「택구거사자서(澤?居士自敍)」, 「자지속(自誌續)」 등과 함께 삼부작을 형성하고 있다. 다만 그 규모는 「서후잡록」이 압도적으로 큰데, 포괄적이면서 유연한 필기의 장르적 성격과 자기변명을 위해 다양한 이야기를 한 지면에 풀어놓은 지점에서 그 이유를 찾아야 한다. 이식의 「서후잡록」은 `고립자신(孤立自信)`과 `문예(文藝)`를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그는 이처럼 주변인, 경계인으로서의 자기형상을 왜곡 없이 정확하게 형상하기 위해 내적 정합성과 기사 간의 유기성을 적극 활용하여 철저히 자신을 변명했다. 다만 이식의 자기변명 역시 그가 서술한 여타 글이나 동일한 사안에 대해 다른 이들이 남긴 기록과 비교해 보면, 기억의 착오나 과장과 축소의 과정을 거치며 일정하게 왜곡된 사례가 있어서 서술의 사실성을 꼼꼼히 살펴보아야 했다. 이로써 보자면, 「서후잡록」이 새로운 내용·형식의 필기체 자기서사 장르를 개척했다는 점은 가치 있고, 자기서사에서 자기변명을 본격적으로 시도했다는 사실 역시 의미 있다. 다만 과도한 자기변명으로 인해 자신의 삶을 냉정하게 돌아보며 반성하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보였다는 점, 그 사실성 역시 의심해 볼 법하다는 사실 등은 한계라고 할 수 있다. Self-Narratives are written for leaving existence, giving testimony of self and world, and justifying their choices. Self-narratives and miscellaneous writings made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of similarity of those genres. I studied on self-form and self-justification in Lee, Sik(李植)`s Seohujaprok(敍後雜錄) which was first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This report researched self-form and self-justification in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the describe motives of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had great diversity, flexibility, and organization by topic. Second, miscellaneous writings contained various contents. So there were public and private contents in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But the private contents were stood out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Lee, Sik`s Seohujaprok, taekkugoesa`s jaseo(澤?居士自敍), and jajisok(自誌續) organized a trilogy. But Seohujaprok was thickest, because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had great diversity, flexibility. Lee, Sik`s Seohujaprok focused on the isolation and the literature. He justified his choices by making good use of inner matching and inner correlation. I knew that Lee, Sik`s self-justification was distorted by mistake of memories and exaggeration and reduction of memories. So I scrutinized his self-narratives, and compared his self-narratives with another self-narratives. To conclude, Lee, Sik`s Seohujaprok was worth, because this self-narrative developed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and tried to self-justification in earnest. But there was no self-examination in this self-narrative. That is the problem in this self-narrative.

      • KCI등재

        16세기 필기(筆記)의 일고찰(一考察) : 『기묘록(己卯錄)』과 『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KIMYOROK(己卯錄)' AND 'YONGCHUNDAMJUKGI(龍泉談寂記)'

        장영희 민족문학사학회 2004 민족문학사연구 Vol.26 No.-

        본고는 16세기 필기에서 기록문학에서의 서사적 위상을 고려해 보았다. 그 대상자료는 『기묘록』과 『용천담적기』이다. 『기묘록』은 전대 『역옹패설』과 『필원잡기』와 같이 사필을 잡은 이의 기록의식으로 공경대부의 언행을 다룬 점에서 그 전통을 이으며, 다른 한편 16세기의 기묘사화라는 특정현실을 담아내어 후세에 알리려는 정치적인 목적의식성을 담아내고 있었다. 글쓰기의 전통을 계승했으되 새로운 특징은 정치적 목적의식성으로 인한 인물의 언행이 이념화된 점이다. 기록서사로서의 특징적인 일면은 당대 사화의 피해자인 인물을 역사적 현실에서 이념화 한다. 그런데 견문기록을 모아 출처의 근거를 표지하며 기록하였기에 서사문학으로서 한계가 있었다. 『기묘록』은 당대인와 후대인들의 견문기록을 모아 놓은 것으로 전(傳)을 위한 전(前) 단계로서 자리매김 된다. 한편 16세기에 이르러 사활(死活)을 건 정치적 사건의 견문기록이 속출되는데, 기묘사림이었던 김안로의 『용천담적기』에는 이에 관한 내용은 없었다. 오히려 일반적인 사대부 필기로서 생활상(生活相)을 기록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미(寒微)한 신분의 사람이 겪은 기이(寄異)한 체험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기록 또한 『용천담적기』의 채생과 박생이 겪은 기이한 경험의 견문기록으로 서사문학으로 발전되지는 못하였다. 그것은 傳聞한 김안로의 논평이 기록의 중심이 놓여져 있기 때문이다. 16세기의 필기의 서사문학성을 고려할 때, 이러한 기록성은 전대(前代)의 필기문학보다는 서술의 폭을 확대하였고, 이후 야담의 발전에 한 줄기 서사문학으로의 물꼬를 터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채생과 박생이야기 뒤에 논평을 부기함으로써 사대부 이념에 의해 허구적 서사문학성을 배제하며, 이는 유가적인 현실주의에 입각한 事實의 경험기록만이 긍정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두 기록은 위에서 서술한바 내용의 차이가 있으나 그 차이 속에 동질성이 발견된다. 『기묘록』은 주어진 현실 속에서 사대부 이념에 의해 서사구조를 만들어 가는 단계이며, 『용천담적기』는 서술된 기이한 사건이 사대부 의식에 의해 현실적으로 조절된 점이다. 두 기록물은 16세기 필기로서 사실의 차원에서 사림의 유가적 합리주의를 내포한다. 역사적 현실에 피화(被禍)된 인물의 기록인 『기묘록』과 한미한 신분의 사람이 기이한 공간에서 체험기록인 『용천담적기』는 내용상 차이가 있지만 유가적 이념에 의한 현실세계를 긍정한다는 점에서 기록서사의 의미의 지향은 같다. 곧 두 작품을 통해 16세기 필기의 한 특징적 면모를 이끌어낸다면 기록·저술자의 철저한 유가의 의식에 의한 현실세계만이 긍정된다는 것이다. 이념을 근간으로 한 역사적 현실의 실제 경험만이 긍정되므로 여기에는 허구적 서사가 뿌리내릴 수 없다. 그래서 16세기 필기의 내용은 김안로의 말을 빌려 표현하면, '정도(正道)를 걸어가며 고난을 만나더라도 참아 나가는 것'으로 실제의 역사현실에서 사대부(士大夫)의 길을 기록하려 한다. 그것은 16세기라는 정치적 현실과 역사적 주역인 사림(士林)의 등장에 의한 것이고 15세기와 17세기의 중간 거리에 있는 16세기의 필기문학적 특징으로 유가적 이념에 의한 현실의 기록서사가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considers Pil Gi's narrative position in documentary literature in the 16th century and its objective data are 『Kim Myo Rok』and 『Yong Chun Dam Juk Gi』. 『Kun Myo Rok』 succeeded the writing tradition as recoding but had political consciousness to inform a purge of Confucian literati in 1519. It is characterized by idealizing of characters and yet is a limit as narrative literature because of recoding. It is positioned as pre-phase of Jun. 『Yong Chun Darn Juk Gi』had not experiential record of political events but recorded the strange experiences of poor status in addition to life of literati. Nevertheless it is not evolved to narrative literature, because it based on comments of author heard from others. It extended description compared with Pil Gi in former ages an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narrative literature as Ya Dam. Therefore both records have different content but also the same quality. 『Kim Myo Rok』 records political characters based on the literati idea and 『Yong Chun Dam Juk Gi』records the strange experiences of poor status based on the literati consciousness. Both records have the same orientation to accept only the real experiences based on Confucianist idea. i.e they have Confucianist rationalism as a characteristic of Pil Gi in the 16th century. Its historical background is emergence of Confucianists as a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