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독자가 채우는 텍스트의 틈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그림책을 중심으로-

        김현경 ( Kim Hyeon-kyeong ),방애니 ( Bang Annie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19 독서아카고라연구 Vol.1 No.-

        본 연구에서는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작가의 그림책을 텍스트의 틈을 넉넉하게 가진 창조적인 텍스트로 보고, 작가가 독자를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 ‘텍스트의 틈’을 구성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픽션, 상호텍스트성, 주변 텍스트의 활용의 세가지로 나누어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그림책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작가는 그림책의 물리적인 속성을 활용하여 독자로 하여금 놀이하듯 그림책 읽기에 참여하도록 격려하였고, 하나의 기표에서 다양한 기의를 생산함으로써 독자가 상상력을 가지고 확장적인 읽기를 하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언어적·시각적으로 독자에게 말 걸기를 하여 작가의 일방적인 메시지를 수용하는 것이 아닌 독자가 의미를 구성 및 확장해 가도록 하였다.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그림책의 상호텍스트성은 자기참조, 유명한 예술작품의 참조, 기존 이야기의 참조 등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은 독자가 가진 레퍼토리에 따라 의미가 풍성하여지기도 하고, 그림책 읽기의 새로운 즐거움을 안겨준다. 마지막으로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그림책에서는 주변 텍스트를 활용하여 작가의 메시지가 더욱 일관적이고 깊이 있게 전달됨을 알 수 있었는데, 독자들은 그림책의 주요 텍스트인 본문뿐만 아니라, 표지와 면지, 종이 재질을 탐색함으로써 작가의 메시지에 몰입할 뿐 아니라, 동시에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가 치밀하게 구성한 ‘텍스트의 틈’은 독자를 자신의 그림책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초대하여 그림책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구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In this study, Iwona Chmielewska's picture book is regarded as a creative text with plenty of text gaps, and the author analyzes how the artist organizes the 'gaps' for the reader. To this end, the artist looked at Iwona Chmielewska's picture books in three categories: metafiction, intertextuality, and the use of paratex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rtist us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icture book to encourage the reader to participate in reading the picture book like playing. Also, by speaking to the reader verbally and visually, the reader did not accept the artist's one-sided message, but instead, the reader composes and expands the meaning. The intertextuality of Iwona Chmielewska's picture books appear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self-referencing, references to famous works of art, and references to existing stories. Lastly, Iwona Chmielewska picture book used the paratexts to convey the artist's message more consistently and deeply. Not only was the reader immersed in artist’s message, but the reader was also constantly asking questions. The 'gap of the text' carefully organized by Iwona Chmielewska plays a role in actively inviting the reader into her picture book to actively compose the meaning of the picture book.

      • KCI등재

        그녀들만의 음지문화, 아이돌 팬픽

        김남옥,석승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7 No.-

        This article deliberat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behind idol fanfic culture, one of many subcultures of fandom, by relating them to the view on fandom as a participatory culture practice group. The changes in the concepts and statuses of fandom are explained. Idol phenomenon is discussed as a cultural construct formed by the logics of cultural capital, social syndrome, and the cultural influence scope of fandom alike. Unique characteristics of fanfic culture are dealt with by analyzing the genealogy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idol fanfics. In doing so, the concept of “Textual Poachers”, where members decompose of mainstream idol cultural texts and reassemble for their own use and enjoyment is utilized. Fanfic culture continues to take the form of becoming ‘shade culture of their own,’ while fandom activities in general have offset the negative stereotypes of viewing them as pathological fanatics and moved on to acquire the image of active and voluntary media consumer. Connection is made with the construct and happenings. Lastly, the necessity of social discussions on the problems of preference minorities directly linked to social conflict, or gender conflict, is addressed. 본 논문은 아이돌 팬픽 문화의 특성과 의미를 주체적 문화 실천 집단으로서의 팬덤과 연관시켜 고찰한다. 이를 위해 팬덤의 개념과 위상 변화를 설명하고, 문화자본의 논리, 사회적 신드롬, 특히 아이돌 상품을 주어진 대로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돌 문화 텍스트를 분해하고 파편을 조립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전유하거나 재전유하고 즐기는 “텍스트 밀렵꾼들”의 의미에 맞추어 한국의 아이돌 팬픽의 계보와 서사적 특성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팬픽 문화의 특이성을 드러낸다. 이는 병리적 ‘광신도 집단’이라는 고정관념을 상쇄시키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미디어 수용자로서의 새로운 이미지를 획득한 여타의 팬덤 활동과 달리 팬픽 문화가 ‘그녀들만의 음지 문화’가 되고 있는 현실적 논의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사회 갈등-젠더 갈등-과 직결되는 취향의 마이너리티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의 필요성을 점검한다. 팬픽의 개념적 재정의와 계보학적 분석, 최근 변화하고 있는 팬픽의 지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본 논문은 ‘동성애’ 서사에 초점을 맞추어 여성들의 성적 주체성에 한정되어 미미하게 진행되었던 팬픽에 관한 기존의 연구의 한계를 넘어 팬픽 문화 연구의 지평을 확장시킬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그림책의 역사, 그리고 현대문학이론과 기호학적 관점에서의 그림책의 커뮤니케이션 분석

        이지현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7 조형미디어학 Vol.10 No.1

        그림책은 어린이들에게 스토리를 전달하기 위해 문어(文語)적 텍스트와 시각(視覺)적 텍스트로 구성된 책으로서, 시각적 텍스트 특히 일러스트레이션은 문어적 텍스트의 파트너로서 이와 동등한 관계를 유지하거나 우위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그림책에 있어서 이 두 요소는 상호 문맥 의존 지시적인 관계(indexical relationship)를 형성하고 있다. 단어들과 같은 문어(文語)의 지시대상은 일러스트레이션과 같은 시각 언어를 문맥적으로 지시하며, 반대의 경우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그림책은 그 전체가 문어적 텍스트와 시각적 텍스트가 결합하여 생성된 하나의 통합(統合) 텍스트인 아이코노텍스트이며 독자적인 예술 형식이다. 그림책의 문어(文語)적 텍스트와 시각적 텍스트 그리고 아이코노텍스트로서의 그림책은 기호학적인 용어로 분석되어 질 수 있고, 그림책을 읽는다는 것은 이 세 가지 텍스트를 기호로 해석하는 것이다. 기호로서의 그림책은 특정 문화와 작가의 관점과 독자의 반응에 의해 그 해석이 달라지는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형식이다. 따라서, 여러 문화권의 그림책 주제와 컨셉을 시대적 흐름을 통해서 연구하는 것과, 현대문학이론과 기호학적 관점으로 그림책을 읽는 것은 그림책의 다양한 기호를 해석하고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는 최적의 해결책을 제공한다. A picture book consists of the verbal and the visual text to tell the story for children. And it is a book in which the visual text especially an illustration serves as a parter to the verbal text or plays a significant role. There is also an index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edia: in it, the verbal language, like words, is referring to the visual language, like illustrations, and the other way around. In common, a picture book taken as a whole, is an integrated text, an iconotext, where the verbal text and the visual text are woven into one entity. And it is a unique art form. The verbal and the visual text in a picture book and a picture book itself as an iconotext can be described in semiotic terms. Reading a picture book is interpreting these three kinds of texts as a sign. Interpretation of a picture book is dependent upon specific cultures and creators' vision and readers' response. A Picture book is a complex form of communication. Therefore researching themes and concepts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picture book in different cultures, and reading a picture book itself with contemporary literary theories and a semiotic point offer an optimal solution to interpretate various signs and understand communication of a picture book.

      • KCI등재후보

        90년대 환상(the fantastic) 문학의 또다른 가능성 -메타 픽션(Meta-fiction)의 환상성에 관하여-

        장세진 상허학회 2003 상허학보 Vol.10 No.-

        This article attemps to check the literary possibility of “the fantastic” novels which has produced various kinds of literary discourse since the 1990's. As a new kind ofthe fantastic novel, this article suggests the lately procuced Meta-fiction. (김영하's ꡔ아랑은 왜ꡕ is chosen as the representative) Tzvetan Todorov, who had established the theory of “the fantastic” novels, defined the “the fantastic” as hesitation of the hero between “the real” and “the imaginary”. In fact, this hesitation means uncertainty of the cognition. Todorov's theory of “the fantastic” was the product of 19th century(During that period, people can be sure of “the real”). But so called Modernist writers think that “the real” itself go beyond the language.(Let's call it “the Real”) So they think the novel-which is made of language- can't represent “the Real”. Lately produced Meta- fictions suggest the new view of the realationship between “the Real” and “the fiction”. They think they can “compose” the “Real” by col- liding two literary heterogeneitic styles. As the Result of that practice, “the Real” is not one, but plural. So readers can experience the new kind of hesitation, the “fantastic” between the many realities 이 글은 90년대 이후 우리 문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환상 문학의 이론적 가능성을 모색하고 그 해답으로서 최근 메타 픽션의 한 흐름-김영하의 아랑은 왜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을 제시하려는 시도이다. 환상 문학의 이론을 확립한 토도로프에 의하면 “환상적인 것(the fantastic)”의 정의는 현실(the real)과 상상(the imaginary) 사이에서의 “망설임”인데, 실상 이는 개념적 확실성에 반대되는 불확실성과 모호함의 다른 이름이다. 그러나 토도로프의 환상 이론이 “현실”에 대한 합의가 가능했던(혹은 가능하다고 믿었던) 19세기 사실주의 소설의 풍토 위에서 탄생한 것이라면 이른바 모더니즘 텍스트들에서 보이는 환상은 또다른 종류의 것이다. 모더니즘 텍스트들에서는 현실 자체가 언어로 재현하기 어려운 것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언어가 리얼리티를 담보할 수 없다는 문제 의식을 공유한다. 최근의 메타 픽션은 이와 같은 “모더니즘” 텍스트의 기본적인 대립인 리얼리티와 픽션의 관계에 대해 새로운 견해를 제시한다. 그들은 리얼리티란 이야기(허구)로는 도달할 수 없는 절대적 기의가 아니라 이질적인 이야기들을 충돌시키는 재텍스트화를 통해 능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라고 여긴다. 그리고 이때 구성된 현실은 단수가 아니라 복수이며 독자들은 메타 텍스트가 제시하는 다수의 리얼리티 사이에서 새로운 형태의 망설임, 즉 환상(the fantastic)을 경험하게 된다.

      • KCI등재

        순환하는 독서와 무한의 글쓰기 : 보르헤스의 『픽션들』을 중심으로

        김은석 ( Kim¸ Eunseok )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 No.60

        보르헤스의 『픽션들』은 독자와 독서 경험에 대한 반복적인 모티프가 등장한다는 점에서 독서 행위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다. 본 논문은 독자 반응 비평에서 상정하는 창의적 독자의 개념을 바탕으로 보르헤스의 작품에 나타난 독서 행위에 관한 궁극적인 의미를 고찰했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서술자나 주요 인물들은 주어진 지식이나 이야기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순진한 독자들이 아니라 이야기의 변형과 재창조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창의적인 독자이다. 독자는 능동적으로 해석에 개입한다. 『픽션들』은 독자의 독서 행위를 통해 기존의 의미를 변형시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거나 작품의 창작 과정을 보여주는 메타 픽션들이 등장한다. 이 세계에서 고정불변한 의미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야기는 변형되거나 변조되는 과정을 겪으면서 새롭게 생성되어야 할 대상이다. 작품의 창작 과정 역시 어떻게 배열하고 변형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작가의 창조력은 편집자의 능력과 유사한 것이다. 이는 독서 교육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지닌다. 『픽션들』은 작품에 내재한 상호텍스트성을 보여주면서 책은 이미 선행하는 작품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부각시킨다. 이 때문에 독서와 글쓰기는 무한히 순환하는 관계에 있으며 독자와 저자, 문학작품과 비평의 경계는 무화된다. 『픽션들』은 특권화된 저자나 공인된 지식 등을 의심하거나 새로 쓰면서 이야기가 변형과 변조의 산물이며 이 과정 속에 창조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독자는 작품을 통해 해석하는 사람이지만 이미 잠재적인 저자인 것이다. “Fictions” by Jorge Luis Borges is a work that shows the meaning of reading in depth in that it features repeated motifs of readers and reading experiences.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sought to consider the ultimate meaning of reading behavior as observed in Borges’ work. The narrators and key figures in the stories are not naive readers, but creative readers who are assumed in the criticism of the reader's reaction. The reader actively intervenes in interpretation, not accepting the contents of the book passively. “Fictions” features meta-fiction that discovers new meanings or shows the writing process of a work by transforming the existing meaning through the reader’s reading behavior. There is no fixed or invariant meaning in this world and the story is something that needs to be newly created through transformation or modulation. The author’s creativity is similar to the editor’s ability in that the creative process of the work also shows how to arrange and transform. This also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reading education. “Fictions” highlights the fact that books rely on earlier works, showing the inherent intertextuality of works. Because of this, reading and writing are in an infinite cycle, and the boundaries between readers and authors, literary works and criticism are neutralized. “Fictions” shows that the story is a product of transformation and modulation and creation in this process by questioning or rewriting the ideas of privileged authors or recognized knowledge. The reader is a person who interprets through his work, but he is already a potential author.

      • KCI등재
      • KCI등재

        글쓰기와 읽기를 통해본 나보코프의 존재론적 사유 : 『창백한 불꽃』의 메타픽션적 존재론

        현정환(Hyun, Jeong Whan) 한국영미어문학회 2011 영미어문학 Vol.- No.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Nabokov collapsed the conventional reality in Pale Fire. Like the term metafiction, he regards the totality of the meaning in fiction as an ideological product, trying to overthrow it by using double meanings in the narrative. His doubleness is a very efficient device, in which he makes us follow cause and effect narrative line, and he reverses the effect into the cause rule. Then, he makes two narrative lines meet each other. He traces how the early established facts break into the meaningless events in the text. The effects of the collision of two narrative lines are very big impact on Western monoism of epistemological attitude toward ontology. The consequences of the collision in text itself break the early well-established values of literary conceptions. The existence of the major components is undergoing the uneasy status. In the middle of this course, the totality of meaning of the text is not allowed to become fixed. At the result of this, the major components are not able to be fixed. They are only floating in text, which is making the text absent of being. The absence advances to epistemological recognitions in which the true reality is not acquired by ideological metaphysics, but by a self-sufficient system of correlational components.

      • KCI등재

        미술비평에서의 팩션(faction)의 매개적 효용성 연구

        김성호 ( Sung Ho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2 No.-

        본 연구는 연구자의 기발표 논문인 「새로운 온라인 공론장에서의 비전문가의 미술비평-자발적 비평과 말하기로서의 글쓰기」를 잇는 후속편이다. 위의 연구에서 전문비평가들의 권위적 비평적 글쓰기 방법론을 개선하기 위해 비전문가의 미술비평의 글쓰기 방법론으로 제시되었던 ‘자발적 비평(spontaneous criticism)’과 ‘말하기로서의 글쓰기(writing as speaking)’로부터, 이 논문은 팩션(‘faction)’의 글쓰기 방법론을 추출하고 연구한다. ‘말하기로서의 글쓰기’의 개념이 구체화된 ‘팩션’은 팩트 (fact)와 픽션(fiction)이 모호하게 얽혀있어, 실증적 사실에 기초해서 검증적 가치 평가를 주도하는 전통적 비평의 입장에서는 ‘금기의 글쓰기 방법론’으로 간주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연구자는 1960년대 뉴저널리즘을 탐구하는 문학으로부터 출발한 팩션의 역사를 검토하고, 미술비평에서 이러한 팩션이 오히려 긍정적이고 역동적인 특성을 지닌 글쓰기로 작동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즉 팩션이 오늘날 비평의 장에서 효용성을 지닌 수사가 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연구자는 역사와 비평이 그동안 ‘사실 vs 허구’, ‘참 vs 거짓’이라는 이원적 판별을 전제로 하는 구조주의적 사유에 오랫동안 거하고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팩션의 정체성을 그레마스(Greimas)의 구조주의 의미론 모델로부터 탈주하는 최근의 ‘텍스트론’으로 바라볼 것을 요청한다. 데리다(Derrida)나 바르트(Barthes)의 관점에서 ‘기표들의 무한한 유희’의 세계로 확장하는 텍스트론은, 우리의 논의에서 팩션을 규정하기 적합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역사란 ‘언제나 승자들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사실은 저자의 언어의 해석에서 비롯된 ‘가능성의 세계’라는 최근 역사학자들의 연구는 역사와 팩션을 거리낌 없이 만나게 하는데 일조한다. 비평 역시 오늘날 상대주의적 해석이나 주관적 해석이 야기한 탈구조적 사유를 통해서 팩션과 만나게 한다. 비평과 팩션의 동일한 ‘팩트/픽션’적 위상은 커뮤니케이션 주체들의 만남을 대립적 구조( vs )로부터 상호작용적 개방형 구조( / )로 전환시켜 이해할 것을 요구한다. 연구자는 미술비평과 팩션의 만남과 상호작용 자체를 ‘미술비평/팩션’으로 지칭하면서 이것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상상의 오목거울 모델’을 만들고, 구체적 논의를 위한 메타포로 삼았다. 집광(集光) 효과를 발현하는 오목거울은 ‘미술비평/팩션’이 커뮤니케이션 행위에서 담당하는 매개적 역할을 닮아있다. 우리는 이 모델에서 독자(RE)-비평(AC)-팩션(FA)의 관계 작용을 베르그송(Bergson)과 들뢰즈(Deleuze)의 논의인 ‘잠세태(Virtualite)’의 ‘현실화(Actualisation)’ 과정으로 바라보고자 했다. 그것은 팩션(FA)이 미술비평(AC, 오목거울)에 투사되면서 만남을 이루는 동시에 현실화(A: Actualisation)의 과정을 거쳐 비평이라는 현실((R: Realite)이 되는 것으로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팩션을 그 자체 내에 질료적 차원으로 비평적 속성을 지니고 있는 잠세태(V: Virtualite)’의 존재로 보는 것이자, 비평으로서의 매개적 역할을 효율적으로 담당할 무한한 가능체로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자는 팩션이 비평과 결합하는 ‘미술비평/팩션’의 한 사례를 통해서, 그것의 형식과 내용을 검토하면서 ‘미술비평/팩션’이 야기하는 매개적 효용성을 다음처럼 몇 가지 범주로 정리했다: ‘다시 써지는 텍스트’로서 독자에게 글 읽은 즐거움을 선물하는 ‘미술비평/팩션’, 사실에 대한 증거로서 작동함으로써 ‘가능성의 세계’를 드러내는 ‘미술비평/팩션’, 창의적 글쓰기와 흥미로운 내러티브를 통해서 비평적 메시지를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미술비평/팩션’, 온라인 공간을 통해 독자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대화형 글쓰기로서의 ‘미술비평/팩션’, 우화, 냉소, 풍자, 패러디의 방식으로 전문가들의 글쓰기에 시비를 거는 유쾌한 메타비평으로서의 ‘미술비평/팩션’, 지식인을 시험하고 동요시키는 사회적 효용성의 글쓰기로서의 ‘미술비평/팩션’. 이 논문은, 팩션을 미술비평의 외부로부터 도입할만한 새로운 글쓰기의 방식이기보다는 미술비평의 심층에 오래 전부터 잠세태로 살아 숨 쉬고 있는 존재라는 연구를 통해서 미술비평/팩션에 대한 새로운 하나의 관점을 제시했다. 이 논문은 문법적 질서에 매어 독자들에게 계도적인 메시지를 전하는데 집중하거나 미적 판별에 대해 중립성을 고수하고 있는 오늘날, 개선의 여지가 다분한, 전문 미술비평가들의 글쓰기 태도를 수정하려는 연구 목적을 분명히 한다. 이 논문은 팩션적 글쓰기를 시도하는 미술비평이 그간 전문가들의 건조한 미술비평 읽기를 거부해 온 독자들에게 보다 더 친근하게 다가설 수 있는 비평임을 피력한다. 팩션이 지닌 구조적 모순, 아이러니, 상상력 등이 오히려 전문적 미술비평의 다하지 못한 매개자적 역할의 건강성을 회복하고 그것의 사회적, 매개적 효용성을 성취해나가는 데 있어 일정부분 기여할 것으로 진단한다. 이런 차원에서 본 연구는 전문미술비평이 마땅히 지향할 과제, 즉 독자를 향한 효율적인 매개작용의 실천에 있어, 하나의 의미 있는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비평적 이론의 다양성’을 확보하는데 있어 일정부분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follow-up to my thesis Art criticism by laymen in the “new online public sphere”: spontaneous criticism and writing as speaking which I have already made public. This thesis elicits and is research into the methodology of writing based on “faction” in an extension of “spontaneous criticism” and “writing as speaking” presented as methodologies of writing by non-experts so as to improve the methodology of authoritative critical writing by critics. The “faction,” a concretization of “writing as speaking” has been considered the “taboo methodology of 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ntional criticism`s view, evaluating value based on positive facts, as fact and fiction are ambiguously entangled. However, I assert that “faction” in art history may actually operate as writing with positive, dynamic features, reviewing the history of faction initiated from literature exploring new journalism in the 1960s. That is, I propose that faction can be rhetoric with utility in the venue of criticism today. I call for viewing faction`s identity from the viewpoint of text theory escaping from Greimas`s model of structuralist semantics, pointing out that history and criticism has resided in structuralist thinking, premising a dualistic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fiction” and “truth and false”. This is why the text theory, extending to the world of “an infinite play of signifiers”, defined by Jacques Derrida and Roland Barthes is a suitable concept for defining faction in my discussion. Recent assertions by historians ―that a historical fact is the “world of possibility” deriving from an author`s interpretation of language (in that history has always been the “record of winners”)― helps history and faction meet together without hesitation. Criticism also enables us to meet faction through post-structuralist thinking aroused by relativist or subjective interpretation. The status of “fact/fiction” identical with that of “criticism/faction” calls for us to understand an encounter of subjects in communication through a conversion from confrontational structure to interactive open structure. I refer to an encounter of art criticism with faction as “art criticism/faction” and make “an imaginary concave mirror” taking it as a metaphor for concrete discussion. The concave mirror used for concentrating light resembles an intermediary role “art criticism/faction” assumes in communication. I try to see the relational operation of reader(RE)-art criticism(AC)-faction(FA) as the process of “virtuality”(virtualite) and “realization,” concepts Henri Bergson and Gilles Deleuze argued. It is to consider that an encounter is realized when faction(FA) is projected onto art criticism(AC, concave mirror) and faction(FA) turns to reality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realization(A). It is to see faction as being with a critical attribute within it, and as an infinitely possible body effectively playing an intermediary role as criticism. I have largely divided the intermediary utility deriving from “art criticism/faction” into several categories as follows, looking through the form and content of a case of “art criticism/faction”: “art criticism/faction” offering the reader the joy of reading writing as “re-written text”; “art criticism/faction” conveying critical messages to be understood with ease through creative writing and intriguing narrative; “art criticism/faction” as a conversational type of writing constantly interacting with readers in online space; “art criticism/faction” as pleasant meta-criticism criticizing expert writing in a way of allegory, sarcasm, satire, and parody; and “art criticism/faction” as writing with social utility testing and agitating intellectuals. This paper presents a perspective into “art criticism/faction” that faction has long been in the depth of art criticism rather than a new way of writing imported from the outside of art criticism. This study clarifies its goal to rectify professional art critics` attitude toward writing: concentration on conveying guidance messages and adherence to neutrality in aesthetic judgment capable of improvement. This thesis denotes that art criticism attempting faction-like writing can be criticism more familiar to readers who have refused to read the usual, arid art criticism by professional art critics. I judge faction`s structural contradiction, irony, and imagination could contribute to recovering the health of professional art criticism failing in its intermediary role and attaining its social, intermediary utility. In this respect, this study will dedicate to secure the “diversity of critical theories,” suggesting a meaningful objective in practicing an effective intermediary role for readers professional art criticism has to seek.

      • KCI등재후보

        『반회고록』의 포스트모던 글쓰기

        서명숙(Suh, Myung-sook)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코기토 Vol.- No.70

        본 논문은 앙드레 말로의 『반회고록』(1967)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실험기법 분석을 목표로 한다. 말로는 1928년부터 1943년까지 총 6편의 소설을 발표한 다음, 소설 창작을 완전히 접고 예술철학의 세계로 방향을 전환한 바 있다. 이런 점에서, 실로 20여 년 만에 발표된 문학 텍스트인 『반회고록』은 말로의 문학적 회귀를 선언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말로에게 다시 작가의 영광을 안겨준 작품이지만, 동시에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킨 것도 사실이다, 우리가 『반회고록』에 주목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작가의 기존 소설과도 , 전통적 회고록 장르와도 확연히 구분되는 『반회고록』의 새로운 글쓰기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작품의 첫머리에 실린 프롤로그를 작가의 실험적 글쓰기 이론으로 삼아, 『반회고록』에서 작가가 실천하고 있는 글쓰기 실험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작품의 파편화된 구성, 장르 패러디 전략, 효과적인 상호텍스트성 구사, 기존 미완성 소설의 ‘다시쓰기’에서 드러나는 메타픽션 상황 등을 근거로, 『반회고록』이 궁극적으로 포스트모던 실험기법의 미학적 창조물임을 밝혀보았다.

      • KCI등재

        일제 말기 소설 유형의 탈식민성 연구

        장성규(Jang Sung-Kyu)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1

        일제 말기 전대의 문학적 지향이 사라진 시기, 작가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새로운 문학적 지향을 모색한다. 이는 특히 한국 근대 문학을 형성한 세 가지 경로, 즉 조선 고전 서사의 전통, 일본 자연주의 문학, 서구의 노벨 양식에 대한 정치한 재인식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 당대 일련의 동양 담론의 확산 속에서 조선의 고전 서사 양식인 역사서술을 차용하여 리얼리티와 픽션의 이중적 구성을 내포하는 역사소설 유형이 대두하며, 일본 자연주의 문학의 사소설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자아’를 둘러싼 현실과 길항하는 우회적 글쓰기 전략으로서의 ‘사소설’ 유형이 대두한다. 그리고 서구 노벨 양식 중 조선의 특수한 근대성을 해명하기 위한 소설 유형으로 가족사 연대기 소설 유형이 대두한다. 이러한 소설 유형은 전대에도 존재했으나, 이 시기 유독 강력한 문학적 흐름을 형성한다. 이들 소설 유형은 그 원천을 단순히 모방, 반복한 것이 아니라 각기 다른 문제설정 속에서 일제 말기 작가 의식을 표출하는 양식으로 기능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역사소설은 당대 민족주의와 체제협력 사이에서 균열된 정체성을 표출하며, 조선적 ‘사소설’은 신체제에 대응하기 위한 문학적 전략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가족사 연대기 소설은 당시 ‘근대의 초극’ 담론에 포획되지 않는 조선적 특수성을 해명하기 위한 작가들의 문제설정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일제 말기 새롭게 대두하는 소설 유형들은 각기 그 원천에 대한 다양한 탈식민적 전략을 통해 당대 작가의식을 모색하기 위한 글쓰기 양식으로 기능했다. 그리고 이는 소설의 내용과 형식의 이분법적 구도로 포착되지 않는 일제 말기 작가의식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징후로 재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nd of Japan's colonial period, when the literary investigation of the past disappeared, writers pursued new literary searches in different kinds of ways. They wanted to create the novels in a new pattern. For this, they need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three constituents: Joseon's traditional narrative, Japan's Naturalism literature, and European novel patterns, which are said to stimulate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novel. In the conclusion of writers' investigation, a historical novel pattern, an autobiographical novel pattern, and a family's chronicle novel pattern appeared. Firstly, the historical novel pattern implied a dual constitution of both the reality and the fiction. It borrowed Joseon's traditional historical narrative in the spread of a series of 'Orient' discourses. Secondly, the autobiographical novel pattern was a kind of roundabout writing strategy which connote the ego's competition with the real world. It resulted from the reperception of Japan's autobiographical novels, which was under the influence of Naturalism. Thirdly, the family's chronicle novel pattern was to elucidate Joseon's particular modernity borrowing the western novel pattern. Of course, these three novel patterns existed in the former period. But it is important that these became, in this period, the main and powerful stream of the literature on a sudden. We ne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se novel patterns in the literature history, because they are the consequences of each writer's competitons with the real world. Writers neither imitated nor repeated these three novel patterns. They tried to change the patterns in their own ways to show their critical mind. In brief, the historical novel showed the broken identity between the Nationalism and the Japanophilism, the autobiographical novel was used as an literary strategy competing the fascism in those days, and the family's chronicle novel showed writer's struggles to explain Joseon's extraordinary modernity in the different ways from the 'overcome of the modern' discourse. New novel patterns like these, which were decolonial changes of the fountainheads, re-appearing in the end of Japan's colonial period functioned as a writing strategy in which writers showed their own critical mind. We can revaluate these new novel patterns as important symptoms to elucidate the writers' critical minds in the end of Japan's colonial period. It is because the critical minds of writers in those days are not captured in dichotomous eyes of form and ma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