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성폭력운동과 여성주의상담의 관계에 대한 연구

        변혜정(Byun Hea Joung)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3

        본 논문은 상담/전화라는 이름아래 반성폭력운동이 진행되는 것에 주목하여 반성폭력운동과 여성주의상담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반성폭력운동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 쓰여졌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법제화로 대표되는 반성폭력운동이 여성주의 상담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질문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여성주의 관점에서 성폭력이 왜 문제인지, 성폭력피해로 고통을 호소하는 자들과 어떻게 상담으로 만날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성폭력문제를 최초로 다룬 두 단체의 상담원교육자료집, 소식지 등의 간행물과 반성폭력운동에 관여했던 상담지원자 심층면접을 통해 성폭력피해경험자와 만나는 방식인 여성주의 상담의 전제, 내용, 효과 등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피해자‘ 관점을 가진 상담지원자의 입장에서 ‘서로 말하기(듣기) : 상/담’을 반성폭력운동의 하나의 가능성으로 제시하였다. 이제까지의 반성폭력운동이 상담을 통해 피해여성의 고통을 가시화하고 그 고통을 약화하거나 해결해주는 제도적인 기반을 만들어놓았다면, 앞으로의 운동은 피해경험자들이 주체가 되어 ‘서로 말하기(듣기) : 상/담’을 통해 피해경험들을 다른 의미로 만드는 운동이어야 한다. 이는 피해경험자가 피해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그것과 자신의 관계를 성찰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말하기와 듣기를 통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담지원자들은 피해경험자들의 피해와 고통은 무엇이며 그것에 대한 다른 의미 체계(re-storytelling)가 어떻게 구성될 수 있을지를 분석하여 피해경험자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고 말 할 수 있도록 하는 상/담 운동을 구성해야 한다. 피해경험자들이 자신들의 피해의미를 다르게 말할 수 있도록 잘 듣고 다른 대안적 지식들과 만나도록 하는 것이 상담지원자의 역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담지원자와 성폭력피해경험자들의 새로운 관계 맺기를 통해 제도화된 지원만이 아닌 다른 식의 성적, 몸적, 정서적, 사회문화적 지식을 새롭게 구성하고 말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여성운동에서의 상담지원자의 역할이라는 것을 주장한다. 즉 여성의 정체성을 이루는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이며 정치적인 것은 개인적이어서 그 경계를 상/담을 통해 새롭게 의미화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주장은 여성의 주체성이 서로 말하기(듣기)-새로운 관계 맺기를 통해 새롭게 구성될 수 있다는 전제에서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담이란 자기 능동성을 구성하는 ‘주체되기’의 과정으로서 여성운동이 될 수 있으며 특히 피해의미를 해체하여 고통의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는 반성폭력운동의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and feminist counseling, by focusing on the process of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under the name of sexual assault counseling/hotline (counseling by phoning), and expects to open a new chapter in the movement. It begins with questioning how feminist counseling is accepted in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represented legalization. It discusses what makes sexual violence problematic,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nd how we can meet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appealing their pain through counseling. To examine premises, details, and results of feminist counseling, as a way of meeting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it refers to counseling manuals, issued by two counseling centers dealt with the sexual violence issue for the first time, newsletters, and other journals, and includes in-depth interviews with counseling supporters/activists engaged in movement against sexual exploitation as well. In doing this, this study comes out with 'counseling/counseled37)(co-counseling; speaking and listening reciprocally)' as a new alternative in the position of counseling supporters/activists from the victim's point of view. Laying the systematical foundations that make visible and relieve the pain of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through counseling so far,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should reinterpret the meaning of ‘counseling/counseled' to help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become subjects from now on. It is possible through various ways of speaking and listening that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are encouraged to understand the very victimized experiences and reflect how to relate the incidents and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this, counseling supporters/activists have to figure out what is the victimization and pain of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and how re-storytelling on which can be made up. It is aiming for the counseling/counseled movement to promote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to make stories and speak for themselves. It is a counseling supporters/activists' role to give support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to voice themselves by listening and giving their full attention to acknowledge alternative information and knowledge. Accordingly, the article argues what feminist counseling/counseled as a part of the women's movement is supporting a counselee to make up and speak different sexual, bodily, emotional, and sociocultural knowledge other than offering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by forming an alternativ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ing supporters/activists and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In other words, the personal coinciding with women's identity is political and the political is personal, the division of which should be necessarily reinterpreted through counseling/counseled. It is argued on condition that women's agency can be newly constructed in the method of counseling/counseled, a new way of forming a relationship. Counseling/counseled is the process of 'becoming a subject' with self-agency to be part of women's movement; in particular, it will be the vital resources for movement against sexual violence by de-constructing the meaning of victimization and re-constructing the connotation of the pain of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 KCI등재

        아내폭력 피해여성의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행위에 대한 연구

        박언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0 여성학논집 Vol.27 No.2

        본 연구는 아내폭력 피해여성이 사회적 지원체계로부터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이유를 밝히고,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행위의 의도를 중심으로 피해여성의 저항을 개념화하고자 하였다. 아내폭력 피해여성에 대한 연구는 “왜 폭력적인 관계를 떠나지 않는가?”라는 오래된 질문에 답하거나 피해여성들이 “떠나는 과정”을 밝히는데 주력해 왔으며, “왜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가?”는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아내폭력 피해여성들이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행위에 주목하여 피해여성의 행위성을 부각하고, 피해여성들이 어떠한 상황에서 특정 지원체계로부터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가를 밝힘으로써 기존의 사회적 지원체계가 갖는 한계에 대해 논하고 대안을 모색하려 하였다. 10명의 아내폭력 피해여성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에 기초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아내폭력 피해여성이 도움요청을 하지 않는 행위는 가해자의 추가적 폭력을 막고, 관계를 유지하며, 피해여성을 향한 비난 및 양가적 메시지를 피하기 위한 의도적이며 선택적인 행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떠날 준비가 된” 아내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위기개입 위주의 지원체계에 대해 피해여성은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비가시적 행위로 저항하며 기존의 지원체계의 문제점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는 가해자를 떠나는 것이 폭력을 종식하는 유일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통념을 넘어서는 방향으로 사회적 지원체계가 재정비되어야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battered women's reasons for not seeking help from social support systems. Likewise, it attempts to conceptualize battered women's resistance based on intent of women's acts of not seeking help.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ers redirect their attention from "Why do battered women stay in the abusive relationship?" to "Why do battered women not seek help from social support systems?" The former question has stigmatized battered women and limited their choices. This study attempts to expand battered women's agency by paying attention to their acts of not seeking help and to discus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ocial support system through analyzing the intent and meanings of such acts. In-depth interviews with ten battered women revealed the following. Battered women seem to intentionally choose not to seek help from certain social support systems. They do not seek help from such systems in order to prevent further abuse, to keep the relationships, and to avoid blames and ambivalent messages against themselves. Battered women's readiness to leave the abuser appears to affect their acts of not seeking help. Battered women tend to postpone seeking help from social support systems until they believe that they are ready to leave the abuser. It seems problematic that existing social support systems achieve the goal of stopping wife abuse by supporting only the battered women who are ready to leave the abuser. This study finally suggests that social support systems provide the battered women who are not ready to leave the abuser with diverse and sensitive services to promote their help-seeking.

      • KCI등재

        여성폭력 및 여성폭력방지기본법 개선 모색

        정도희(Dohee Jeo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圓光法學 Vol.39 No.1

        여성폭력의 유형은 광범위하고 다양하다. 다양한 폭력유형 가운데에서도 현행법은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등이 “분절적으로” 입법되었고, 가해자 처벌을 위한 입법과 피해자 보호로 이원화되어 있다. 여성폭력 피해자의 통합적인 지원체계와 포괄적인 입법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이 계속되었고, 우리 사회에서는 격렬한 논쟁 끝에 2018년 12월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이 제정되었고, 2019년 시행되었다.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은 종래 개별적으로 규율되던 여성폭력을 통합적으로 규율하고, 여성에 대한 새로운 유형의 폭력을 반영하여 여성폭력의 확대를 고려한 포괄적인 성격의 법률이다. 여성에 대한 폭력 방지와 피해자 보호와 지원에 관한 국가의 책임을 분명히 하고, 여성폭력방지정책의 추진을 규정하며, 여성폭력 특수성을 반영하여 피해자 지원시스템과 일관성 있는 통계 구축 등을 통하여 여성폭력피해자 지원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 법의 제정 과정에서 찬성과 반대의 의견의 대립이 있었고, 현재에도 개정이 필요하다는 논의와 그 방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행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의 보완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이를 위하여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스페인의 입법례를 소개한다. 스페인은 ‘젠더폭력 통합 보호 조치에 관한 조직법’(Ley Orgánica 1/2004, de 28 de diciembre, de Medidas de Proteccióon Integral contra la Violencia de Género)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과거 가정폭력 피해가 빈번하고, 등한시되었던 여성의 권리가 입법을 통하여 강력하게 보호되어야 하고, 남성과 여성의 평등한 권력 구조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자각 하에 이 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젠더폭력 사건에서의 대응을 위한 것으로, 사건 발생 후의 경찰에의 신고, 피해자에 대하여 의료지원,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여성피신처 및 상담서비스 제공 등을 위한 것이다. 2022년 9월 스페인은 성폭력범죄의 처벌과 피해자 보호를 강화하는 형법 개정을 이루기도 하였는데, 스페인의 입법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의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의 수정이나 대응에 착안점을 줄 수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피해자보호명령제도는 「여성폭력방지기본법」에 도입할 만하다. 본고에서는 여성폭력 피해자의 권리와 여성폭력의 유형, 스페인 여성폭력 지원 관련 입법례를 살피고, 현행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의 주요내용과 비판을 검토한 후,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여성폭력과 여성폭력 피해자의 개념 확장, 2차 피해 용어의 명확화와 불이익처우금지의 확대, 피해자보호명령제도의 도입 및 조문의 신설・개정을 통한 미비점 보완 노력을 제안하였다. Types of violence against women are wide and varied. Among various types of violence, the current acts are “segmentally” legislated on domestic violence, sexual violence, and prostitution, and are divided into legislation to punish perpetrators and protect victims. The need for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comprehensive legislation continued, and after intense debate in our society, the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was enacted in December 2018 and implemented in 2019. The Act is a comprehensive act that comprehensively regulates violence against women, which had previously been individually regulated and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expans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by reflecting a new type of violence against women. It clarifies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for the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protection and support for victims, stipulates the promo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policies, and supports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by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establishing consistent statistics with the victim support system. It was intend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In the process of enacting this Act, there was a conflict of opinions for and against it, and discussions on the need for revision are still being conducted.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supplement to the current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to this end, introduces a legislative example of Spain, which may be unfamiliar to us. Spain has enacted and implemented the 「Organic Act 1/2004 of 28 December on Integrated Protection Measures against Gender Violence」( 「Ley Orgánica 1/2004, de 28 de diciembre, de Medidas de Proteccióon Integral contra la Violencia de Género」). In Spain, this Act was enacted under the awareness that domestic violence was frequent in the past, that women's rights, which had been neglected, should be strongly protected through legislation, and that an equal power structure between men and women should be formed. This Act is for responding to cases of gender violence, reporting to the police after an incident occurs, providing medical support to victims, and providing social welfare services, women's shelters, and counseling services. In September 2022, Spain also made amendments to the Criminal Code that strengthened the punishment of sexual violence crimes and the protection of victims. Examining Spain's legislative examples can give an idea for revising or responding to our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In particular, the victim protection order system is worth introducing in the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This paper reviews the rights of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types of violence against women, legislative examples related to support for violence against women in Spain, and major contents, criticisms of the current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which were sought. This paper emphasizes efforts to make up for deficiencie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defini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the clarification of secondary victim damage terms, the expansion of prohibition of disadvantageous treatment, and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 of provisions.

      • 성매매피해여성의 인권보호에 관한 연구

        장승진(Seung Chin Chang) 한국복지실천학회 2014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5 No.2

        우리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누구나 소중한 인권을 갖고 있다. 성매매피해여성도 마찬가지이다. 그들이 우리 사회 어느 상황에 있든지 인권이 침해되는 상황에 있어서는 안 된다. 우리 사회는 그동안 본인들이 자발적으로 원했다는 것으로 그 책임을 회피하려 하였으며 그 사이 많은 성매매피해여성에 대한 인권침해사례가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근절되지 않고 있는 그릇된 성매매문화의 현주소와 이 과정에서 성매매 피해여성들이 겪는 피해사례는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질적인 인권보호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조사를 위하여 기존의 성매매피해관련 문헌과 실태보고서, 상담결과, 통계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성매매는 힘과 권력을 이용하여 소중한 인격체인 인간을 성적 도구로만 본다는 점에서 명백한 폭력행위이며 범죄행위이며 많은 성매매피해여성들이 열악한 조건하에서 신체적 폭력, 정서적 피해로 인한 우울감 등으로 인권이 침해되고 있었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성매매피해여성에 대한 실질적인 인권보호방안으로는 성매매피해자 인권보호를 위한 수사체계구축의 필요, 성매매피해여성의 자립을 위한 지원확대, 탈성매매를 위한 성매매피해지원기관의 활성화, 성매매피해여성과 피해지원과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형성, 성매매예방교육시 성매매피해여성에 대한 인식변화 및 남성의 인식의 변화, 성매매피해여성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포주 및 환경에 대한 일제적인 정비와 법률조력인 제도 등이 정착되어야 하겠다. 이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도적 및 경제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성매매피해여성들을 위한 심리적 치유로 자존감향상 프로그램이 무엇보다도 효과적으로 진행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tect the human-right of the Sexual Traffic victim. Everyone has a human right in nature. We should protect sexual traffic victims because they are same like my family. How can the social system or structure be changed to this system? There are many human-right problems like sexual traffic victims. It is very difficult to change this sexual traffic system. Because the system have a long history. So some people think that this sexual traffic system is very normal. They are against protection the human-right protection of the Sexual Traffic victim. But it is not incorrect. This sexual traffic system makes them very unhappy. So we should get rid of this system. And Then we all are very happy. Sexual traffic experience is related to self-esteem and suicidal thought. They should enhance self-esteem by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of sexual traffic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We all should help sexual traffic victims in system. That's our duty in citizen and government.

      • KCI등재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모성경험의 구성과 행위성

        박언주(Park, Eon-Ju)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1

        본 연구는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모성경험에 대해 12명의 가정폭력피해여성을 심층 면접한 자료를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모성경험은 ‘책임을 다하면서 자녀와의 관계를 유지하며 삶을 이어감’으로 나타났다. 탈 폭력과정 중에 다양한 삶의 단절을 경험한 가정폭력피해여성은 자신에게 주어진 책임 수행과 자녀와의 관계유지 속에서 삶을 이어가고 있었다. 폭력과 모성수행이 중첩된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자녀를 보호하려는 시도를 하고, 자녀양육에 몰입하여 스스로 모성을 강화하고, 정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책임을 수행하고, 자녀와 서로 이해하고 도움을 주고받으면서 지속적으로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삶을 이어갔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과 모성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가정폭력피해여성이 모성경험을 의미화하는 방식을 통해 피해여성의 모성경험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밝히고, 가정폭력피해여성의 행위성에 대해 논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상황에서 자녀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삶을 이어가는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다양한 행위 및 생존전략을 보여줌으로써 가정폭력피해여성의 행위성을 가시화하고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모성 및 행위성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mothering experiences of battered women in the context of domestic violence. In-depth interviews with twelve battered women who mothered at least one child when they lived with the violence were conducted. Giorgi phenomenology method was adopted for the analysis of the battered women’s narrative on their mothering experiences. Mothering experiences of battered women can be explained as ‘keep their lives going on as taking care of responsibilities and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children’: Responsibilities include protecting children from violence, conducting intensive mothering, taking (back) normality, and restoring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is worth exploring the construction of mothering in the context of domestic violence and battered women’s agency through mothering.

      • KCI등재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가정폭력 피해자의 욕구와 피해자 보호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박영란(Park Yeong Ran) 한국여성학회 2007 한국여성학 Vol.23 No.3

        이 논문에서는 모저(Moser)의 젠더욕구 분석틀을 활용하여 여성주의 관점에서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피해여성들의 실질적 욕구는 물론 전략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 지원이 적극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후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를 위한 예산과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지만, 피해여성에 대한 지원과 가정폭력 문제의 해결에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했다. 이는 기존의 법률과 제도가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의 실질적 욕구에만 초점을 맞춘채 전략적 욕구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2006년의 개정 가정폭력 방지법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과거 ‘건전한 가정의 보호ㆍ육성’에 두어졌던 정책의 목표를 ‘가정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와 지원’로 전환하는 한편,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의 실질적 욕구와 전략적 욕구의 충족을 동시에 추구하는 조치를 포함함으로써 마침내 여성주의 관점에서 피해자 보호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In Korea, the budget and social services for th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have continued to increase since the enactment of the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Victim Protection Act in 1997. However, the problems of domestic violence, especially that of wife abuse, still persist in Korean society, and public policy has limitations in providing adequate support for its victims. According to the national survey conducted in 2004, 37.3% of married women in Korea experienced violence from their spouses within one year period, and 45.9% of them during their marriage. In this paper, Moser(1993)'s gender needs assessment tool was adopted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gender needs of th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for analyzing and designing more gender-sensitive and transformative policy measures. Over the past decade, the policy paradigm for domestic violence in Koreahave been transformed from ‘protection of at-risk women' to ‘advocacy of women's human rights' as the implementing agency for domestic violence policy changed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to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in 2001. Moreover, the needs of women who reside in the shelters for th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have also changed. Recently, more women have expressed the need for economic independence and self-sufficiency as they planned to leave the shelters. This is an indicator that women's needs are shifting from practical needs to more strategic needs. A major amendment of the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Victim Protection Act in 2006 has laid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implementing more effective domestic violence policy. However, the service delivery system is not yet adequately prepared to meet the evolving gender needs of th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Korea.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gender-sensitivity of the new victim protection policy, a feminist perspective needs to be integrated in constructing the social support system for th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in implementing the preventive measures as well.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우울증과 심리치료 - 도널드 위니캇의 이론을 중심으로 -

        이명순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1

        오늘날 우리는 핵가족 시대에 살고 있으면서 가정폭력문제는 갈수록 그 위험성이 더해가고 있다. 이제 가정폭력은 한 가정의 문제로만 바라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시각에서 본 논문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우울증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은 폭력으로 인하여 낮은 자존감을 형성하고, 심리적 불안 등으로 우울증을 경험하면서 부정적 견해를 가지게 되고, 이는 가정의 해체나 극단적으로 자살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도널드 위니캇(D. W. Winnicott) 이론이 중년기 가정폭력 피해여성 우울증의 극복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 연구한다. 그의 이론은 주로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개별화된 존재가 되고자 하는 자기(Self)의 험난한 투쟁에서의 분리과정이 무엇인가를 얻고 보존하는 일종의 통합과정을 포함한다는 것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에 이르러 우울증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있으나 아직 늘어나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우울증에 대해 확실한 해결 방법이나 지식이 없는 편이다. 여기에서 본 연구는 위니캇의 대상관계이론을 통해 가정폭력을 경험하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에게 자신의 낮아진 자존감과 부정적 사고를 인지하게 하고, 건강한 자기 형성을 통하여 피해문제가 해소될 수 있도록 시도했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은 정신에너지가 고갈되어 있는 상태이기에 이를 증가시키는데 위니캇의 이론에 기대어 도움을 받는 것이다. 그 결과 위니캇의 이론이 모든 가정폭력 피해여성들로 하여금 가정폭력으로 인한 우울증을 극복하고 활기찬 삶을 살 수 있는 하나의 해결책이 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Today, while live in a nuclear family age, the danger of domestic violence is increasing. It is true that domestic violence is not a problem of a family but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is sens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epression of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Because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have a low self-esteem because of that violence, experience a depression because of psychological anxiety etc., and have a negative opinion, which could lead to family breakup or extremely to suicide. Considering this, in this paper, it is studied whether Winnicott's theory is helpful to overcome the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Because his theory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separation process includes a kind of integration process that is gaining or preserving something in tough struggle of Self which wants to become an individualized existence, while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others. In the modern, many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depression, however there are no certain solution or knowledge about the depression of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that is increasing. Furthermore, through the object relations theory of Winnicott, this study tries for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to recognize their lowered self-esteem and negative thought, to solve the damage problem through a healthy self-forming. The mental energy of the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has been depleted. To increase it, the theory of Winnicott is used.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Winnicott's theory can be one of solutions for all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to overcome the depression caused by domestic violence and to live an active life.

      • KCI등재

        국내 거주 외국인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임상적 특징 및 심박변이도

        김규리,최진숙,장용이,이해우,심현보,Kim, Kyu-Lee,Choi, Jin-Sook,Jang, Yong-Lee,Lee, Hae-Woo,Sim, Hyun-Bo 대한수면의학회 2017 수면·정신생리 Vol.24 No.1

        목 적 : 가정폭력에 노출된 여성은 우울증, 불안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다양한 정신 질환에 이환되기 쉽다. 심박변이도 검사는 자율신경계의 활성도와 균형을 평가하는 검사로 비침습적이고 재현성이 높아 정신 질환에 대한 연구에서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폭력 피해 여성에 대한 심박변이도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폭력 피해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및 심리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인과 외국인 폭력 피해 여성의 임상적 특징과 심박변이도 검사 결과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여성쉼터에 입소한 폭력피해 여성 중 2011년 12월 부터 2015년 12월까지 건강검진을 위해 서울의료원에 방문한 대상자 중 한국인 166명, 외국인 44명, 총 210명 대상으로 HAM-D, HAM-A, IES-R 등 임상 척도 평가와 심박변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폭력 피해 여성 중 한국인과 외국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심리적 특징, 심박변이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 및독립 표본 t-검정 등을 시행하였다. 결 과 : 한국인과 외국인 폭력 피해 여성은 거주지, 유년시절폭력의 경험, 폭력의 지속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한국인과 외국인 폭력 피해 여성 두 군 간의 HAM-A, HAM-D, IES-R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심박변이도의 세부지표에서는 ApEn 수치가 외국인 폭력 피해 여성군이 한국인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RMSSD 수치는 외국인 폭력 피해 여성 군이 한국인보다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기타 HRV 세부지표에서는 한국인 폭력 피해 여성 군과 외국인 폭력피해 여성 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국내 폭력 피해 여성은 우울,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높았고 한국인과 외국인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심박변이도 검사에서 외국인의 ApEn 값이 유의하게 높고 RMSSD 값이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한국인과 외국인의 인종 생리적 또는 이민 생활 등 환경적 영향의 차이일 수 있으며 향후 충분한 수의 외국인 대상자와 한국인을 비교, 추적조사를 통하여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Domestic violence is related to many psychiatric diseases, such as depression, anxiety disorder, and PTSD.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an index of autonomic control of the heart and is related to cardiovascular and emotional disorders.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on the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on women's mental health, relatively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on HRV in this popul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mographic data, psychological features, and HRV in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foreign female victims. Methods: A total of 210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166 Korean women and 44 foreign wome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Psychological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 (HAM-A),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 and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HRV measures were assessed by time-domain and frequency-domain analyses. Results: The mean score of HAM-A was 13.81, that of HAM-D was 12.92, and that of IES-R was 33.61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foreign women in these measures. In HRV time domain analyses, approximate entropy (Ap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foreign women compared to the Korean women. The square root of the mean of the sum of the squares of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NN intervals (RMSS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foreign women compared to Korean wom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HRV variables between Korean and foreign women. Conclusion: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Korea a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PTSD symptoms. The physiologic factors of a female victim's nationality could be related to higher ApEn and lower RMSSD in foreign female victims.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to study the relationships among ethn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HRV variables.

      • KCI등재

        범죄피해에 대한 공포의 원인과 여성 : 성폭력범죄의 두려움과 여성의 범죄에 대한 공포는 관련이 있는가?

        김은영 한국치안행정학회 201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8 No.4

        본 연구는 여성의 높은 범죄피해의 공포가 여성의 성폭력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이 다른 종류의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으로까지 확대되어 나타난 현상이라고 설명하고 있는 Ferraro(1995;1996)의 성폭력의 그림자 명제(the shadow of sexual assault thesis)과 국내와 외국의 선행연구모델들을 적용하여 직접적인 성폭력범죄피해의 공포가 개별적인 유형의 범죄피해의 공포를 증가시키는데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다양한 범죄피해를 유발하는 요소들과 함께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348명의 서울시민여성의 설문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서는 네 가지 종류의 범죄피해의 공포, 폭력범죄, 집밖에서의 강도, 집안에서의 강도, 그리고 소매치기범죄피해의 공포를 구분하여 다수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 성폭력범죄피해의 공포는 연구에서 사용된 다른 범죄피해공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보다도 네 가지 종류의 범죄의 공포에 가장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요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서울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성폭력범죄피해의 공포는 “지배적인 범죄로써(master offense)” 다른 범죄에 대한 공포, 특히 여성으로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범죄피해를 연상시키는 “그림자(shadow)”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성폭력의 그림자 명제(the shadow of sexual assault thesis) 이 한국의 여성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또한 본 연구는 여성의 성폭력범죄피해의 공포가 다른 범죄의 공포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그리고 여성의 범죄의 공포를 감소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여성들이 가지고 있는 성폭력범죄피해의 공포를 완화시키는 데 여러 가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연구결론을 내릴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제시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Ferraro's (1995;1996) “the shadow of sexual assault thesis” proposing higher level of women's fear of sexual assaults heightens their fear of victimizations to other crimes for women in Seoul. Also, this study utilized various correlates of fear of crime examined in the previous studies. Using self-reported data from a sample of 348 women in Seoul, this study utili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n four different types of fear of crime, such as violent assaults, robbery on the streets, burglary, pick-pocke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ear of sexual assaults substantially influenced these four types of fear of crimes, violent assaults, robbery on the streets, burglary, pick-pocket as predicted by the thesis. These findings give substantial support to the shadow thesis: the fear of sexual assaults may operates as a master offense predicting their fear of other crimes.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hadow of sexual assault thesis is appliable for the women in Korea.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gender-specific public policy to reduce the fear of crime among women.

      • KCI등재

        여성 노인의 취약성이 범죄피해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지역 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현재섭,김해경 한국경찰연구학회 2021 한국경찰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여성 노인을 중심으로 범죄피해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여성 노인에게 있어서 육체적 기능의 감퇴와 사회적 역할 및 기능의 상실 등 취약성을 중심으로 범죄피해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또한 여성 노 인의 취약성이 오랜 기간 거주한 지역의 환경에 따른 상호작용이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범죄피해 두려움을 밤 늦은 시간을 중심으로 일상생활에 따른 일반 적 범죄피해 두려움과 절도, 사기, 폭력 등 다양한 범죄 유형에 따른 구체적 범죄피해 두려움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의 전국 범죄피해조사 데이터의 여성 노인을 중심으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노인의 취약성은 일반적 범죄피해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며, 지역환경의 무질 서 및 경찰신뢰는 일반적 범죄피해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인 여성노인의 취약성과 지역환경의 상호작용은 일반적 범죄피해 두려움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성 노인의 취약성은 구체적 범죄피해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며, 지역환경의 이웃 유대, 지역 무질서, 지역 경찰신뢰 등 모든 요인이 구체적 범죄피해 두려움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인 여성 노인의 취약성과 지역환경 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취약성과 이웃유대, 취약성과 무질서가 구체적 범죄피해 두려움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 노인의 취약성 과 지역환경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경찰 및 지역사회의 치안 정책 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ear of crime damage, focusing on the older women. In particular,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crime victims were examined, focusing on vulnerability, such as decline in physical function and loss of social roles and functions in older women. In addition, we looked at how the interaction of older wome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area where they lived for a long time works. In addition, the fear of crime was divided into general fear of crime in daily life and specific fear of crime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crime such as theft, fraud, and violence, focusing on late at night.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older women in the national crime victim survey data of the Korea Criminal Policy Research Institut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vulnerability of older women affects the general fear of crime, and disorder in the local environment and trust in the police affects the general fear of crime. Howev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ulnerability of older women and the local environmen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terms of general fear of crime. The vulnerability of older women affects the fear of specific crime victims, and all factors such as neighborhood bonds in the local environment, regional disorder, and trust in the local police were found to affect the specific fear of crime victims. In addition,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ulnerability of older women and the local environment,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at vulnerability, ties to neighbors, vulnerability and disorder affect specific fear of cr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ulnerability of older women and the local environmen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e and local security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